KR200202412Y1 -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412Y1
KR200202412Y1 KR2020000016930U KR20000016930U KR200202412Y1 KR 200202412 Y1 KR200202412 Y1 KR 200202412Y1 KR 2020000016930 U KR2020000016930 U KR 2020000016930U KR 20000016930 U KR20000016930 U KR 20000016930U KR 200202412 Y1 KR200202412 Y1 KR 200202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ase
fixing member
fix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영 filed Critical 정관영
Priority to KR2020000016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팔걸이에 부설되는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는, 상단부에 사각의 고정부재 안내홈(1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2)의 양측벽부상에 대칭을 이루어 다수개의 고정홈(13a)이 형성된 고정대(13)가 삽입 설치된 팔걸이 지지구(11)와, 상기 팔걸이 지지구(11)의 상부 외주면상에 삽입되며 상단 확개부에 팔걸이(A)가 거치되는 케이스(14)와, 상기 케이스(14)와의 접촉면상에 스프링(16)이 개재되어 케이스(14)의 일측면을 감싸며 탄력 설치되는 누름손잡이(15)와, 상기 누름손잡이(15)의 지지편(15a) 단부에 구비된 통공(15b)을 통해서 케이스(14)와 고정부재 안내홈(1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삽입측면 중앙에 한 쌍의 고정돌기(17a)가 형성된 고정부재(17)와, 상기 고정부재(17)의 대향측에 고정돌기(17a)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18a)이 형성된 원형의 고정브라켓(18)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의자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는, 의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팔걸이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의 편리성과 실용성의 향상을 추구할 뿐 만 아니라 원-터치에 의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Height-adjustable structure for the armrest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팔걸이에 부설되는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판과 좌판지지구 사이에 입설되어 팔걸이를 지지하는 팔걸이 지지구의 상단에 사각 케이스가 외삽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손잡이가 탄설되어 상기 누름손잡이에 하중을 가했을 때 연동되는 고정부재의 좌우 유동에 의해서 케이스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서 의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팔걸이의 높낮이를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의자 사용의 편리성과 실용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의자는 착석자가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부가 구조로서 팔걸이가 부착되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팔걸이 구조는 높낮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고정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의자의 팔걸이 구조는 좌판부의 양측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크거나 뚱뚱한 사람이 앉을 경우에 팔걸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팔걸이의 기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뿐더러 뚱뚱한 사람의 경우 착석 상태의 이동폭이 좁아져 오히려 움직임의 방해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고정식 팔걸이 의자에 키가 작은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에는 팔걸이의 높이가 키가 작은 만큼의 상승 효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팔걸이에 팔을 올려놓았을 때 어깨가 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의자의 고정식 팔걸이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팔걸이가 개발되고 있으나 그 형태가 조잡하고 작동 방법이 까다로워 자주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의 개수가 많아져서 오랜 기간동안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수 고정 부분이 헐거워져서 착석자가 올려놓게 되는 팔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하강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의자 팔걸이 구조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판의 양측 상부로 돌설되는 팔걸이 지지구의 상단에 사각의 고정부재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대가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팔걸이 지지구 외주면상에 케이스가 외삽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으로 고정부재 안내홈에서 고정부재가 연동되도록 삽입되는 누름손잡이가 부설되고 상기 케이스와 누름손잡이 사이에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석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팔걸이 지지대의 전방으로 돌출된 누름손잡이에 하중을 가하여 팔걸이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편안한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분해사시도.
도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가)는 고정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유동 가능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케이스 고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팔걸이 지지구 12. 고정부재 안내홈
13. 고정대 13a. 고정홈
14. 케이스 15. 누름손잡이
16. 스프링 17. 고정부재
17a. 고정돌기 18. 고정브라켓
20. 고정치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단부에 사각의 고정부재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의 양측벽부상에 대칭적으로 고정대가 삽입 설치된 팔걸이 지지구와, 상기 팔걸이 지지구의 상단부 외주면상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의 접촉면상에 스프링이 게재되어 케이스의 일측면을 감싸며 탄력 설치되는 누름손잡이와, 상기 누름손잡이 단부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서 케이스와 고정부재 안내홈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삽입측면 중앙에 두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측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이 형성된 원형의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의 배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는 팔걸이 지지구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재 안내홈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며 두개의 고정돌기가 고정부재 안내홈의 양측벽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의 고정홈상에 삽입되므로써 케이스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의자 팔걸이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케이스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누름손잡이의 내측면과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스프링이 삽입 고정되어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서 누름손잡이가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누름손잡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고정부재 안내홈을 따라 연동하게 되는 고정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른 케이스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에 대한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에 의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는 의자의 좌판(S)과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지지부(D) 사이에 입설되어 좌판(S)의 양측부로 돌설되고 상부 중앙에 직사각형의 고정부재 안내홈(12)이 구비되어 안내홈(12)의 양측 벽부상에 다수개의 반원형 고정홈(13a)이 형성된 고정대(13)가 삽입 고정되는 팔걸이 지지구(11)와, 상기 팔걸이 지지구(11)의 상부로 외삽되고 그 상단부에 쿳션재질의 팔걸이(A)가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14)와, 상기 케이스(14)의 일측면에 부설되고 케이스(14)와의 접촉면상에 스프링(16)이 탄설되어 고정되는 누름손잡이(15)와, 상기 누름손잡이(15)의 일단부측 통공(15b)에 삽입되고 배면측으로 한 쌍의 고정돌기(17a)가 형성되어 고정부재 안내홈(12)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7)와, 상기 고정부재(17)의 대향측에 고정돌기(17a)가 삽입되는 요홈(18a)이 구비된 원형의 고정브라켓(18)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팔걸이 지지구(11)는 직사각 단면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구비된 고정부재 안내홈(12)의 일측에는 팔걸이 지지구(11)상에서 상하 유동하는 케이스(14)의 높이를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단수를 표시하는 숫자등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2)의 양측 벽부상에는 고정부재 안내홈(12) 내부에서 케이스(14)와 연동되어 상하 이동하게 되는 고정부재(17)의 고정돌기(17a)에 대응하는 걸림수단인 다수의 고정홈(13a)을 갖는 한 쌍의 고정대(13)가 대칭을 이루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사각의 고정부재 안내홈(12)에 고정대(13)가 삽입된 팔걸이 지지구(11)의 상단으로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케이스(14)가 외삽되며, 상기 케이스(14)는 상단부는 쿳션 재질의 팔걸이가 거치될 수 확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14)의 일측으로 전방이 케이스(14)의 외주면을 일부분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누름손잡이(15)가 결합되며, 상기 누름손잡이(15)는 일측면이 케이스(14)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이등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편(15a)이 형성되고 그 단부측에 고정부재(12)가 삽입되는 통공(15b)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누름손잡이(15)는 전방 절곡부에 양측으로 스프링(16)이 삽입되어 케이스(14)의 외주면상에 밀착 결합되며 스프링(16)이 개제된 상태에서 지지편(15a) 단부의 통공(15b)를 통해서 고정부재(17)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재(17)는 배면에 한 쌍의 원형 고정돌기(17a)가 구비된 구조로써 상기 누름손잡이(15)의 통공(15a)을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14)와 팔걸이 지지구(11)의 고정부재 안내홈(12)를 관통하여 고정돌기(17a)의 단부가 케이스(14)의 타측으로 고정돌기(17a)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4)를 통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17a) 단부측에는 배면에 고정돌기(17a)가 삽입되는 요홈(18a)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고정브라켓(18)이 억지끼움등의 방법에 의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팔걸이 지지구(11)는 양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절곡 부위가 형성되는 데, 이는 사각 단면의 케이스 내부로 삽입될 때 팔걸이 지지구(11)의 절곡부가 케이스(14)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이동하게 되는 케이스(14)가 그 내주면에 팔걸이 지지구(11)의 절곡부가 밀착되어 미끄럼 유동하게 됨에 따라 상하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도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가)는 고정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는 유동상태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는 팔걸이 지지구(11)의 고정부재 안내홈(12)의 내부에 대칭적으로 부설된 고정대(1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홈(13a)상에 누름손잡이(15)의 지지편(15a)을 통해 삽입된 고정부재(17)의 고정돌기(17a)가 밀착되어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7)의 고정돌기(17a)는 누름손잡이(15)의 내측면과 케이스(14)의 전방 외주면상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16)의 탄성 지지작용에 의해서 고정대(13)의 고정홈(13a)에 고정된다.
또한, 도3의 (나)와 같이 착석자가 누름손잡이(15)의 전면에 하중을 가하여 누름손잡이(15)를 케이스(14)의 전면으로 밀착하게 되면 팔걸이 지지구(11)의 고정부재 안내홈(12) 내부의 고정부재(17)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고정돌기(17a)는 고정홈(13a)에서 이탈되어 케이스(14)가 팔걸이 지지구(11)의 외주면상을 상하 유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에서 착석자는 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팔걸이의 높이 조절을 행하고 누름손잡이(15)의 전면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작동시키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 사이로 밀착되어 잡기 편하고 상하 이동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스프링(15)의 전면을 일정한 형상의 요철 곡면으로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에서 의자에 앉아있는 착석자가 팔걸이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손바닥을 이용하여 팔걸이 지지구(11) 전방으로 돌출 결합된 누름손잡이(15)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대(13)의 고정홈(13a)상에서 고정돌기(17a)가 이탈되도록 하여 케이스(14)를 포함한 누름손잡이(15)와 고정부재(17)가 고정부재 안내홈(12)을 따라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착석자가 누름손잡이(15)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14)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자신에게 적합한 높이에 이르렀을 때 누름손잡이(15)를 놓게 되면 누름손잡이(15)가 그 내측면에 부설된 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에 연동하여 고정부재 안내홈(12) 내부에서 유동하는 고정부재(17)의 고정돌기(17a)가 고정홈(13a)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의 양측면의 일측에는 원형 통공(14a)이 형성되어 케이스(14)의 높이에 따라서 그 내부의 팔걸이 지지구(11) 일면에 인쇄된 숫자등의 높이 단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5는 본 고안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의 케이스 고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케이스(14)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누름손잡이(15)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16)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케이스(14)를 관통하여 그 타측 단부가 팔걸이 지지구(11)에 접촉되는 고정치구(20)가 밀착 결합되므로써 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서 케이스(14)의 내부 일측 벽부상에 팔걸이 지지구(11)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치구(20)는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16)의 일정한 탄성에 의해서 항상 케이스(14)의 일측 벽부상에 밀착되는 데, 이는 팔걸이 지지구(11)상에서 케이스(14)가 이동할 때 케이스(14)의 벽면상에서 팔걸이 지지구(11)의 일측면의 면접촉에 의한 미끄럼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동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의자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는 좌판부의 저면에 입설되어 좌판의 양측으로 돌설된 팔걸이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안내홈상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대를 대칭되도록 삽입하고 그 외주면으로 케이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손잡이와 고정돌기가 구비된 고정부재를 부설하며 상기 누름손잡이와 케이스의 외주면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고정대의 고정홈상에 밀착 삽입되어 케이스의 이동에 따른 팔걸이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로써 의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팔걸이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의자 사용자의 편리성과 실용성의 향상을 추구할 뿐 만 아니라 원-터치에 의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사각의 고정부재 안내홈(1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2)의 양측벽부상에 대칭을 이루어 다수개의 고정홈(13a)이 형성된 고정대(13)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팔걸이 지지구(11)와, 상기 팔걸이 지지구(11)의 상부 외주면상에 삽입되며 상단 확개부에 팔걸이가 거치되는 케이스(14)와, 상기 케이스(14)와의 접촉면상에 스프링(16)이 게재되어 케이스(14)의 일측면을 감싸며 탄력 설치되는 누름손잡이(15)와, 상기 누름손잡이(15)의 지지편(15a) 단부에 구비된 통공(15b)을 통해서 케이스(14)와 고정부재 안내홈(1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삽입측면 중앙에 한 쌍의 고정돌기(17a)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7)와, 상기 고정부재(17)의 대향측에 고정돌기(17a)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18a)이 형성된 원형의 고정브라켓(18)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지지구(11)의 고정부재 안내홈(12) 일측에 숫자등의 단수표시가 인쇄되고 팔걸이 지지구(11)의 상부로 외삽되는 케이스(14)의 양측 소정 위치에 원형 통공(14a)을 형성하여 케이스(14)의 상하 이동에 따른 팔걸이 높이의 단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누름손잡이(15)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16)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케이스(14)를 관통하여 그 타측 단부가 팔걸이 지지구(11)에 접촉되도록 십자형의 고정치구(20)가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KR2020000016930U 2000-06-14 2000-06-14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KR200202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30U KR200202412Y1 (ko) 2000-06-14 2000-06-14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30U KR200202412Y1 (ko) 2000-06-14 2000-06-14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412Y1 true KR200202412Y1 (ko) 2000-11-15

Family

ID=196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930U KR200202412Y1 (ko) 2000-06-14 2000-06-14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4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30057A1 (no) * 2013-01-10 2014-07-11 Scandinavian Business Seating AS Høydejusteringsanordning for armlene
WO2018018139A1 (en) * 2016-07-28 2018-02-01 Ergo-Industrial Seating Systems Inc. Improved telescoping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30057A1 (no) * 2013-01-10 2014-07-11 Scandinavian Business Seating AS Høydejusteringsanordning for armlene
WO2018018139A1 (en) * 2016-07-28 2018-02-01 Ergo-Industrial Seating Systems Inc. Improved telescoping mechanism
US10941797B2 (en) 2016-07-28 2021-03-09 Ergocentric Inc. Telescop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WO2006017065A3 (en) Ergonomic chair arm
GB2393648A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for high chair
CA2376340C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GB2295961A (en) Chair leg assembley with three legs
KR200202412Y1 (ko)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KR200431469Y1 (ko) 등받이 조절 기구
WO2003103385A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fishing chair
JP3169443U (ja) 高さ調節椅子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JP2008506438A (ja) 椅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0605035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CN2361172Y (zh) 可垂直及水平调整的扶手结构
JP3169440U (ja) 高さ調節椅子
ATE315900T1 (de) Armstütze höhenverstellbar
KR200243558Y1 (ko) 낚시용 의자의 높이조절구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200220120Y1 (ko) 의자용 완력기 고정구
JP2005131091A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KR20019986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44011Y1 (ko) 의자 일체형 책상
KR200275528Y1 (ko)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레저용의자
KR200240463Y1 (ko) 좌변기 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