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617A -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617A
KR20080066617A KR1020080003634A KR20080003634A KR20080066617A KR 20080066617 A KR20080066617 A KR 20080066617A KR 1020080003634 A KR1020080003634 A KR 1020080003634A KR 20080003634 A KR20080003634 A KR 20080003634A KR 20080066617 A KR20080066617 A KR 20080066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mponent
locking
connection memb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493B1 (ko
Inventor
아놀트 쉴츠
리하르트 슈트루프
라이너 베버
Original Assignee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nent to be fastened, e.g. forming part of the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6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balls or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05Y2201/636Universal or 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13Elastomerically biased or back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부품과 제 1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부품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선회 베어링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 2 부품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CONNECTION ELEMENT FOR JOINING COMPONENTS}
본 발명은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부품 결합용 장치들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들은 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4 042 906 A1호는 자동차 조종 장치의 한 부품과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고 그리고/또는 경제적인, 개선된 부품 결합부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부재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부품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선회 베어링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 2 부품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해결된다. 말하자면, 상기와 같은 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 추가의 부품 없이 제 2 부품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을 만들어준다. 다시 말해, 상기와 목적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고정부, 나사 및/또는 그와 유사한 추가의 연결 부재들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자동차의 경우에는 뚜껑(lid), 예를 들어 엔진 보닛(engine bonnet)이 파워를 지원할 목적으로 가스 스프링 적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스프링 적용부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상기 가스 스프링 적용부를 자동차의 뚜껑 및/또는 차체(car body)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앵귤러 시트(angular sheet) 및/또는 특별히 완성된 홀더와 같은 추가의 부품들이 반드시 필요치는 않다. 추가로, 상기 가스 스프링 적용부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말해 추가의 부분 없이 그리고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자동차 차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서는 간단한 구성 그리고 조립, 다시 말해 추가의 부분 없이도 충분한, 전체적으로 경제적인 고정 기술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뚜껑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의 선회 베어링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부품을 카르단(cardan)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측면에서 도입된 동작들의 보상은 선회 베어링을 사용하여 적어도 국부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는 상응하게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부품들을 생략함으로써도 중량은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추가의 부품들을 특히 상기 추가 부품들이 장착되는 자동차 정면 영역에서 생략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서는 수동적인 보행자 충돌 보호 작용도 개선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조화롭게 진행하는 둥근 표면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소정의 한계 안에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상기 제 2 부품의 적어도 한 리세스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조립을 위해, 상기 연결부는 간단한 방식으로 리세스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고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제 2 부품의 적어도 한 리세스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의 고정 장치에 의해서는, 연결 부재가 제 2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상기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정렬 장치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조립시에 이미 연결 부재가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인 정확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정확한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장치는, 예를 들어 형상 결합에 의하여 조립 중에 및/또는 조립 후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볼 소켓(ball socket)을 구비한 선회 베어링이 제 1 부품의 볼 및/또는 연결 부재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볼-앤드-소켓 조인트(ball-and-socket-joint)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부품 및/또는 연결 부재는 볼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볼은 상응하는 볼 소켓 안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볼은 적어도 한 가지 공간 방향으로 그리고 추가로 임의의 다른 공간 방향들로 소정의 한계 안에서 선회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1 부품과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부품에 연결된 제 2 부품 사이에서는, 볼-앤드-소켓-조인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적인 선회 지지 작용이 실행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선회 베어링이 연결 부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볼을 볼 소켓 안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부품을 연결 부재에 조립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볼이 소켓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볼을 연결 부재의 상응하는 볼 소켓 안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가 연결 부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클램프는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목 형상 부분을 둘러싸게 되고, 그에 따라 볼은 볼 소켓 내부에 지지 또는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 1 부품의 보수 작업을 실행할 목적으로 그리고/또는 제 1 부품을 교체할 목적으로 해체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연결 부재로부터 간단히 제거함으로써, 볼 소켓 안에 고정된 상기 볼의 고정부는 다시 해체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부재가 제 2 부품에 평탄하게 설치하기 위한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면은 바람직하게 스토퍼(stopper)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결 부재의 접촉면이 제 2 부품에 평탄하게, 바람직하게는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평탄하게 접하게 될 정도까지, 연결 부재 또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부는 제 2 부품의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부재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베이스는 제 2 부품의 상응하는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 2 부품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 2 부품은 상기 베이스의 외부 형상에 적응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리세스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부품과 연결 부재의 특히 우수하고 꼭 맞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부재를 정렬하기 위하여 베이스가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말하자면, 베이스를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의 형상에 가급적 정확하게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상기 베이스를 조립 중에 미리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의 가장자리와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으로써, 나중에 조립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부품에 대한 상대적인 정렬 상태는,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조립할 때에 이미 간단한 방식으로, 대체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가 제 1 측면에는 고정된 걸쇠(latch)를 구비하고, 상기 걸쇠에 마주 놓인 제 2 측면에는 로킹(locking)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쇠가 제 2 부품의 직사각형 리세스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연결 부재의 연결부가 상기 리세스에 맞물리게 된다. 추가로, 걸쇠에 마주 놓인 상기 연결 부재의 측면은 로킹 장치에 의해서 직사각형 리세스에 로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된 걸쇠 및 로킹 장치에 의하여, 연결 부재 또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부는 제 2 부품의 직사각형 리세스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형상 결합 방식의 고정이 베이스의 형상, 걸쇠, 로킹 장치 그리고 정지면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모든 공간 방향에서 형상 결합 방식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킹 장치가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를 갖는 하나의 로킹용 슬라이드,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 및/또는 로킹용 슬라이드에 할당된,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를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는 각각 결합력을 개선하거나 또는 높이기 위하여 별도로 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단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로킹용 노우즈도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용 노우즈는 로킹용 슬라이드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위치 변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로킹용 노우즈가 로킹용 슬라이드의 상응하는 대응 베어링 내부로 삽입된 후에 또는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위치 변동될 수 있음으로써, 로킹용 노우즈는 한 가지 로킹 위치, 다시 말해 대응 베어링과 결합되는 위치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대응 베어링과 로킹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걸쇠에 마주 놓인 상기 베이스의 측면이 만곡된 슬라이딩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조립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걸쇠가 직사각형 리세스 내부에 연결되고, 그 다음에 이어서 전체 연결 부재가 선회 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된 걸쇠 근처에서 완전히 리세스 안쪽으로 선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만곡된 슬라이딩 면이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의 한 가장자리에 접할 수 있음으로써, 리세스 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딩 면을 통해 베이스가 조립 중에 리세스에 지지 될 수 있다. 베이스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해서는, 연결 부재의 불완전한 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방향 에서 조립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베이스를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떠한 경우라도 조립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으로부터 벗어나는 형태를 갖는, 예컨대 약간 원추형의 형태를 갖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상기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용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정렬용 핀이 상기 제 2 부품의 정렬 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 홀 내부에 있는 상기 정렬용 핀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인 상기 연결 부재의 원하는 위치가 구현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적어도 하나의 확장 장치 그리고 상기 확장 장치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용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장치가 제 2 부품의 적어도 한 고정 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홀 내부에서 상기 확장용 핀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연결 부재를 조립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장치가 제 2 부품의 해당 고정 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정렬 홀 내에 있는 정렬용 핀에 의하여 원하는 정확한 위치 설정이 실현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해당 확장용 핀을 확장 장치 내부로 간단히 삽입함으로써, 제 2 부품과 연결 부재의 형상 결합 방식의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은 연결 부재의 조립 동안 상기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미끄럼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두 개의 슬라이딩 슈(shoe)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슈가 각각 제 2 부품의 좁아지는 슬롯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조립을 위하여, 제일 먼저 연결 부재의 연결부의 슬라이딩 슈가 제 2 부품의 좁아지는 슬롯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적어도 하나의 로킹용 핀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용 핀이 슬라이딩 베어링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부품의 한 로킹 관통구 내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상기 로킹용 핀이 로킹 관통구 내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베어링이 차단될 때까지,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을 따라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제 2 부품의 클립 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특히 두 개의 클립 및 두 개의 정렬용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용 핀에 의해서는, 연결 부재가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해당 클립 홀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정렬용 핀과 연결 부재의 형상 결합 방식의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이 연결 부재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립으로서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표준화된 연결부를 구비한 표준화된 클립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에 조립하기 전에, 우선 연결 부재 또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부에 클립(들)이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확장용 핀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용 핀이 별도의 확장 장치를 통해서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제 2 부품의 상응하는 고정 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확장 장치는, 상기 확장 장치가 고정 장치 내부로 충분히 돌출하자마자, 상기 연결 장치가 연결 부재의 조립 중에 제 2 부품 또는 상기 제 2 부품의 고정 홀의 가장자리에 자동으로 지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연결 부재 또는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 결합된 확장용 핀은 조립 동작 방향에 상응하게, 상기 제 2 부품에서 정지하는 확장 장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스템은 자동으로 제동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고정 홀 및 확장용 핀에서 실행되는 상기 확장 장치의 형상 결합 방식의 결합 및/또는 마찰 결합 방식의 결합이 구현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제 2 부품의 결합용 리세스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용 슈가 제 2 부품의 결합용 리세스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연결 부재는 상기 결합용 리세스 내부에 고정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일 먼저 연결 부 재가 소정의 각을 형성하면서 제 2 부품에 접근함으로써, 결합용 슈가 결합용 리세스 내부에 결합하게 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상기 결합용 슈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 2 부품의 한 클립 리세스 내부에 클립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가 제 2 부품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로킹 결합할 수 있다. 조립을 위하여, 상기 결합용 슈가 결합용 리세스 내부에 삽입된 후에, 연결 부재가 선회 축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용 슈 가까이에서 선회 될 수 있음으로써, 클립은 상기 선회 동작에 의하여 제 2 부품의 해당 클립 리세스 내부로 자동으로 삽입되고, 결국에는 상기 클립 리세스에 로킹 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의 상응하는 정렬 리세스 내부에 정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용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용 핀도 마찬가지로 선회 동작 중에는 상응하는 정렬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조립 중에 자동으로,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정확한 정렬을 보증해준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정렬용 핀은 상응하는 슬라이딩 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면이 제 2 부품의 정렬 리세스의 한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의 원하는 정렬 상태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부가 제 2 부품의 핀 리세스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 기 핀은 핀 리세스의 형상에 적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은 제 2 부품의 핀 리세스 내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의 선형 삽입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핀은 정지면과 함께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인 정확한 정렬 또는 위치 설정을 야기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핀이 적어도 하나의 로킹용 설형부(舌形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의 로킹용 설형부가 핀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결합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로킹 파워가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 동작을 저지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연결 부재가 조립 방향과 반대로 상기 로킹용 설형부에 의해 제 2 부품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핀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용 빗장을 갖는 스프링 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핀은 상기 폐쇄용 빗장에 의하여 핀 리세스에 로킹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링의 탄성력이 상기 폐쇄용 빗장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결국 연결 부재의 핀은 선형 조립 방향과 반대로, 상기 폐쇄용 빗장 위에서 제 2 부품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킹 장치가 나머지 연결 부재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제가 소수의 개별 부품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는 예를 들어 하나의 단계에서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완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로킹 장치가 베이스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 및 로킹 장치는 하나의 단계에서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베이스도 나머지 연결 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킹용 노우즈가 나머지 연결 부재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 소자, 즉 로킹용 노우즈가 나머지 연결 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별도의 조절 및/또는 조립은 반드시 필요치는 않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로킹 장치의 로킹용 노우즈가 탄성적인 재료 조인트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고, 상기 재료 조인트를 통해 각각 나머지 연결 부재에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 조인트는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의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로킹용 노우즈의 로킹 기능을 보증하기 위하여 탄성 특성들을 갖는다. 원하는 스프링 특성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재료 조인트의 치수 설계 그리고 연결 부재의 재료는 상응하게 선택되거나 또는 설정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킹 장치가 압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압축 거리의 제한에 의해서는, 로킹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손상이 피해질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스토퍼가 리브(rib)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바람직하게 레버로서 그리고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파워를 도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부재가 상기 스토퍼를 위한 대응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응 스토퍼는 로킹 장치의 압축 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대응 스토퍼에서 정지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대응 스토퍼가 하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대응 스토퍼에 핀이 각각 하나씩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하여 간단히 상기 연결 부재의 통합 구성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부재의 로킹용 노우즈의 압축 동작 중에 상기 리브가 핀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파워 흐름은 상기 리브 및 핀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킹 장치의 재료 조인트가 목표 파괴 지점을 가지며, 상기 목표 파괴 지점이 로킹용 노우즈의 파괴적인 초과 압력 행사를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목적한 바대로 신속하고도 파괴 없는 해체 과정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용 노우즈 및 핀은 간단히 압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로킹 결합은 바람직하게 영구적으로 그리고 추가의 파워 도입 없이도 해체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부재가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장치 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는 상기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 해제에 의해서 해체 과정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작동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를 통해 상기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 해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리세스는 상기 로킹 장치의 로킹용 노우즈에 대한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액세스를 가능케 한다.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작동 장치가 중앙 작동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작동 리세스 내부로 상기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의 삽입에 의하여,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은 간단히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막대 모양의 제 1 부품 및 평탄한 제 2 부품으로 구성된 부품 결합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이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연결 부재가 전술된 연결 부재에 상응하게 구현됨으로써 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은 전술한 장점들에 상응하게 평탄한 제 2 부품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결합체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부품이 피스톤-실린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상응하게 볼-앤드-소켓 조인트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 된 상태에서 상기 평탄한 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부품 결합체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부품으로서 공기 스 프링(pneumatic spring)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스프링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파워가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 2 부품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부품 결합체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2 부품이 자동차의 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막대 모양 부품이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다.
부품 결합체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2 부품이 뚜껑, 특히 자동차의 엔진 보닛, 강판부(steel sheet piece) 및/또는 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자동차 뚜껑의 개방 및/또는 폐쇄시에 파워를 지원할 목적으로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을 자동차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에 두 개의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하나의 연결 부재는 차체에 할당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는 자동차 뚜껑에 할당될 수 있다.
부품 결합체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2 부품이 자동차의 차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회 가능하게 지지 된 제 2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 뚜껑이 사용될 수 있다.
부품 결합체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부품이 두 개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제 1 부품은 조종용 핸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자동차 뚜껑을 작동시킬 때에 파워를 지원하기 위한 공기 스프링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제 1 부품은 제 2 부품 그리고 상기 제 2 부품과 유사한 추가의 제 3 부품, 즉 예를 들어 차체에 지지된 뚜껑 및 자동차 차체 자체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부품 결합체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실행되는,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연결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연결 부재의 연결부를 제 2 부품의 관통구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부를 상기 관통구에 고정하는 단계. 다시 말해, 연결 부재는 조립을 목적으로 제 2 부품의 관통구 내부에 간단한 방식으로 삽입된 다음에 상기 관통구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의 특히 간단한 조립 및/또는 결합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 결합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부품을 연결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품은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의 조립 전에 또는 조립 후에 미리 연결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 방법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부품의 볼을 선회 베어링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클램프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 부품을 연결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다시 말하자면, 제 1 부품과 연결 부재 간의 결합은 단 두 가지 단계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를 간단히 빼냄으로써 상기 결합은 다시 해체될 수 있다.
결합 방법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가 제 2 부품에 접하는 단계. 이와 같이 결합부가 제 2 부품에 접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조립 중에 미리 제 2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 로,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결합 방법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를 회전 삽입, 슬라이딩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또는 결합부를 제 2 부품에 로킹 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하여 연결 부재의 조립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부품에 대한 상기 연결 부재의 형상 결합 방식의 결합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실행되는,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연결 부재로부터 해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제 2 부품의 리세스에서 구현된 연결 부재의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연결부를 리세스로부터 빼내는 단계. 상기 해체 과정 및 빼내는 과정은 바람직하게 파괴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체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로써, 제 2 부품과 연결 부재 간에 이루어진 로킹 결합이 해체될 수 있다.
해체 방법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으로써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핀은 로킹 결합부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간단한 보조 공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며, 상기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동일한, 유사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 는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개선된 부품 결합부를 제조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연결 부재(1)를 제 1 부품(3) 및 제 2 부품(5)과 함께 3차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는 연결 부재(1)가 제 2 부품(5)에 조립되는 다양한 조립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5는 하나의 고정된 걸쇠(7)를 구비한,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 6은 제 2 부품(5)과 로킹 결합된 로킹 장치(9)를 구비한,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추가의 한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상기 연결 부재(1)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리세스(11) 내부로 비스듬하게 삽입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걸쇠(7)가 상기 리세스(11)와 결합된다. 또한, 연결 부재(1)의 경사부(13)(sloping)가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 접한다. 상기 경사부(13)는 걸쇠(7) 및 로킹 장치(9)를 구비하는 베이스(17)에 이웃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1)의 추가 조립을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는 선회 축을 따라, 도 1 내지 도 4의 정렬 상태에서 볼 때 좌측으로 선회 되며, 이와 같은 선회 동작은 구부러진 화살표(19)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상기 선회 동작 중에는, 베이스(17)의 만곡된 슬라이딩 면(23)이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11)의 한 가장자리(21)를 따라 미끄러진다. 연결 부재(1)의 전체 선회 동작 중에는 걸쇠(7)가 제 2 부품(5)의 하부면(25)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가 리세스 내부에 고정되어 선회 동작을 가이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선회 동작에 의하여 로킹 장치(9)가 리세스(11)의 가장자리(21)를 통해 삽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로킹 장치(9)가 다시 튀어나오는데, 다시 말하자면 제 2 부품(5)의 리세스(11)의 하부면(25)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결합된다. 또한, 연결 부재(1)의 접촉면(27)이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서 평탄하게 정지할 정도까지, 상기 연결 부재(1)의 선회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상기 접촉면(27), 걸쇠(7), 로킹 장치(9) 그리고 베이스(17)가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9)를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베이스(17)의 형상이 리세스(11)에 적응될 수 있음으로써, 연결 부재(1)는 휘어지지 않게 리세스(11) 내부에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5)과 함께 3차원 도면으로 다양하게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연결 부재(1)의 걸쇠(7)가 두 개의 부분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로킹 장치(9)도 마찬가지로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31)에 의해 두 개 의 부분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로킹용 노우즈(31)는 두 개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핀은 베이스(17)의 상응하는 리세스 내부로 압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 1 부품(3)이 선회 베어링(33)에 의해 연결 부재(1)에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연결 부재(1)는 볼 소켓을 구비한다. 상기 볼 소켓(35) 내부로 볼(37)이 삽입되어 있다. 볼(37)은 목 형상의 부분(39)을 통해 제 1 부품(3)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볼(37) 및 목 형상 부분(39)은 제 1 부품(3)의 통합 구성 부품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볼(37) 및 목 형상 부분(39)을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의 한 부품, 예를 들어 제 1 부품(3)에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한 부품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연결 부재(1)의 샤프트(43) 안에 삽입되어 있는 클램프(41)를 볼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자면, 연결 부재(1)는 실질적으로 볼 모양의 상부면(45)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볼 소켓(35) 그리고 상기 클램프(41)를 위한 샤프트(43)를 구비한다. 클램프(41)는 볼(37)의 목 형상 부분(39)을 둘러쌀 수 있고, 그럼으로써 볼(37)을 연결 부재(1)의 상부면(45)의 볼 소켓(35)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은 연결 부재(1)를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부품(3)과 함께 비스듬하게 전방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상기 제 1 부품(3)은 볼(37) 및 목 형상 부분(39)을 통해 연결 부재(1)에 연결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볼(37)의 목 형상 부분(39)이 상부면(45)의 슬롯 형상 리세스(47) 내부로 돌출한다. 상기 리세스(47)는 연결 부재(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부품(5)의 선회 동작을 가능케 한다. 볼 소켓(35)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리세스(47)의 세로 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부품(5)의 선회 동작도 허용될 수 있다. 제 1 부품(3)으로서는 막대 모양의 부품, 예를 들어 피스톤-실린더-유닛 및/또는 공기 스프링이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서는 제 2 부품(5)이 없는 상태에서 3차원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연결 부재(1)는 두 개의 고정용 핀(4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용 핀(49)은 상부면(45)의 두 개의 리세스(52)로부터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까지 이르는 영역에 있는 두 개의 관통구(51)를 통과하여 돌출한다.
도 13은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을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모서리를 떼어낸 사면(57)(chamfer)을 갖는 정렬용 핀(55)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따른 연결 부재(1)는 두 개의 확장 장치(59)를 구비한다. 관통구(51)가 상기 확장 장치(59)를 통과해 연장됨으로써, 고정용 핀(49)은 상기 확장 장치(59)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삽입 가능성에 의해서는 상기 관통구(51) 둘레에 환상으로 배치된 상기 확장 장치(59)의 세 개의 확장 소자(61)의 진행 방향이 휘어진다.
연결 소자(1)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부로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연결 부재(1)를 이용하여 제 1 부품(3)을 제 2 부품(5)과 함께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조립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14에서는 볼(37) 그리고 볼 소켓(35) 외부에 있는 목 모양의 부분(39)을 볼 수 있다. 또한, 클램프(41)도 연결 부재(1)의 상부면(45)의 샤프트(43) 외부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부재(1) 와 제 1 부품(3)을 결합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볼(37)이 위로부터 아래로 볼 소켓(35)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삽입 동작은 도 14에 화살표(63)로 표시되어 있다. 볼(37)이 볼 소켓(35)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클램프(41)가 샤프트(43)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삽입 동작은 도 14에 화살표(65)로 표시되어 있다.
도 15는 볼(37)이 하강 되었거나 또는 볼 소켓(35) 내부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은 제 1 부품(3)과 완전히 연결된 상태의 연결 부재(1)를 보여준다. 볼(37)이 목 모양의 부분(39)과 함께 연결 부재(1)의 상부면(45)의 리세스(47) 내부에 있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클램프(41)가 완전히 샤프트(43)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추가의 조립을 위하여, 다시 말해 제 2 부품(5)을 연결 부재(1)와 고정하거나 또는 제 2 부품(5)을 연결 부재(1)를 통해 제 1 부품(3)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1)는 제 2 부품(5) 위로 내려가며, 이와 같은 하강 동작은 도 17에 화살표(67)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상기 제 2 부품(5)이 정렬용 핀(55)을 위한 하나의 정렬 홀(69) 그리고 확장 장치(59)를 위한 두 개의 고정 홀(71)을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17에 화살표(6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렬용 핀(55)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확장 장치(59)가 상기 정렬 홀(69) 그리고 고정 홀(7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확장 장치(59)의 확장 소자(61)도 모서리를 떼어낸 사면(73)을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 소자(61)의 사면(73) 그리고 상기 정렬용 핀(55)의 사면(57)이 연결 부재(1)의 조립시에 상황에 따라 제 2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국 전체적으로 볼 때 조립은 용이하게 된다.
도 18은 제 2 부품(5)과 완전히 연결된 상태의 연결 부재(1)를 보여준다.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의 접촉면(27)이 제 2 부품(5)의 상부면(45)에 평탄하게 인접한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따르면 고정용 핀(49)은 - 부분적으로 상부면(45)의 리세스(52) 안에 있는 한 가지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 연결 부재(1)의 관통구(51)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는 화살표(75)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확장 장치(59)의 확장 소자(61)는 형상 결합 방식 및/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기 고정 홀(71)의 내부면에 접하게 되며, 이로써 연결 부재(1)가 - 화살표(67)로 표시된 바와 같이 - 조립 방향과 반대로 제 2 부품(5)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9는 도 18과 마찬가지로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연결 부재(1)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제 2 부품(5)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연결 부재(1)의 인접 접촉 및 고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렬 홀(69)뿐만 아니라 고정 홀(71)에도 가장자리(77)가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확장 장치(59) 그리고 정렬용 핀(55)이 상기 홀(69 및 71)의 가장자리(77) 위로 약간 돌출함으로써, 형상 결합 방식의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의 우수한 인접 접촉 상태가 얻어진다.
도 20은 두 개의 슬라이딩 슈(79) 그리고 두 개의 로킹 핀(81)을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측면 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하였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측면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5)과 함께 보여주고 있으며, 도 22에는 반원 형태로 둘러싸는 덮개(83)와 함께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연결 부재(1)를 완전히 원 형태로 둘러싸는 덮개(85)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은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과 함께, 다양한 조립 단계에서 다양한 3차원 도면들로 보여준다.
도 20 및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슈(79)는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은 리브를 갖는 두 개의 캐리어(87)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는 슬라이딩 슈(79) 내부에서 연장되며,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슈들은 지름 상으로 마주 보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과 슬라이딩 슈(79) 사이에는 슬라이딩 리세스(89)가 각각 하나씩 존재하며, 상기 리세스 사이에 제 2 부품(5)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슈(79)는 각각 양면에 경사부(91)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슬라이딩 슈(79)가 제 2 부품(5)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 과정은 아래에서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5에서는, 제 2 부품(5)이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슬롯(93)을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롯(93) 각각은 대략 중앙에 협착부(95)를 갖는다. 다시 말해, 슬롯(93)은 폭이 더 넓은 영역 그리고 상기 협착부(95)에 이어지는 폭이 더 좁은 영역을 각각 하나씩 갖는다. 슬롯(93)은 상호 반사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서는, 상기 슬롯(93)의 폭이 더 넓은 영역에 슬라이딩 슈(79) 그리고 연결 부재(1)의 캐리어(87)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4에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로킹용 핀(81)이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 올려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는, 슬라이딩 슈(7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딩 슈의 경사부(91)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롯(93) 내부로 돌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1)는 슬롯(93)을 따라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형 동작은 도 25에 화살표(97)로 표시되어 있다. 제 2 부품의 상부면에 올려져 있는 상기 로킹용 핀(81)에 의해 나타나는 간격을 보상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슈(79)는 제 2 부품(5)의 하부면(25)으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도 24에 화살표(99)로 도시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은 연결 부재(1)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5)과 함께 보여준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제 1 연결 부재(1)는, 상기 로킹용 핀(81)이 제 2 부품(5)의 상응하는 로킹 관통구(101) 내부에 결합할 정도까지, 화살표(97)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슈(79)가 재차 뒤로 압축될 수 있음으로써,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과 제 2 부품 사이의 간격은 0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다시 말해 접촉면(27)은 제 2 부품(5)에 평탄하게 인접하게 된다. 슬라이딩 슈(79)가 제 2 부품(5)의 하부면(25)을 둘러싼다는 것, 다시 말해 연결 부재(1)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슈(79)가 추가로 압축 응력을 받을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슬라이딩 리세스(89)의 내부 지름은 제 2 부품(5)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품(5)의 선형의 이탈 동작은 로킹 관통구(101) 내부에 결합된 로킹용 핀(81)에 의해서 방지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슬라이딩 슈(79) 그리고 슬롯(93) 및 제 2 부품의 상부면에 올려져 있는 로킹용 핀(81)은 제 2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연결 부재(1)를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103)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03)은 로킹용 핀(81) 및 로킹용 브리지(101)에 의하여 최종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03)은 제 2 부품(5)에서의 연결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와 동시에 연결부(29)로서 고정 기능을 위하여 이용된다.
도 27에서는, 연결 부재(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두 개 슬롯(93)의 더 넓은 섹션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그 뒤에 있는 부품들에 대하여 그리고/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누출에 대하여도 통찰할 수 있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1)와 제 2 부품(5) 사이에 있는 연결 영역을 반원 형태로 둘러싸는 덮개(83)가 사용될 수 있 다. 하지만, 대칭적인 광학 수단을 얻기 위하여, 상기 연결 영역을 환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덮개(85)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상기 덮개(83 또는 85)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방식으로 제 2 부품(5) 및/또는 제 1 연결 부재(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83 또는 85)를 제 2 부품(5)에, 특히 슬롯(93) 및/또는 제 1 연결 부재(1)의 상부면(45)에 예를 들어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 특히 로킹 하는 것, 또는 상기 덮개를 연결 부재(1)의 통합 구성 부품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8은 두 개의 분리 가능한 클립(105) 그리고 두 개의 정렬용 핀(55)을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를 보여준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과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품과 함께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조립을 위해, 정렬용 핀(55)이 상응하는 정렬 홀(69)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클립(105)은 클립 홀(107) 내부에 로킹 되어 있다.
도 28 및 도 31에서는, 클립(105)이 T자형의 리브(109)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가 연결 부재(1)의 상응하는 T자형 리세스(1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립(105)으로서는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1)의 조립 전에 양쪽 측면이 상응하는 리세스(1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표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립(105)이 두 개의 스프링 암을 갖는 스프링 소자(113)를 구비한다는 것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암은 조립된 상태에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 지지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소자(113)에 의해서는 소정의 공차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촉면(27)과 상기 제 2 부품(5)의 상부면(15) 사이에서는 공차를 더 넓게 설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발생하는 공차는 예를 들어 발생 가능한 진동 경향을 줄이기 위하여 클립(105)의 스프링 소자(113)에 의해서 보상될 수 있다.
도 32는 고정된 두 개의 확장용 핀(115) 그리고 상기 확장용 핀을 둘러싸는 두 개의 별도의 확장 장치(117)를 구비한 연결 부재(1)의 추가의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3 내지 도 36은 특히 제 2 부품(5)과 연결 부재(1)의 다양한 조립 상태들을 다양한 3차원 도면으로 보여준다.
도 3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장용 핀(115)은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에서 팩 홀 보어(119)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1)는 두 개의 정렬용 핀(55)을 구비한다. 도 3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별도의 확장 장치(117)는 확장용 핀(115)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35는 제 2 부품(2)과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연결 부재(1)를 보여준다. 확장 장치(117)는 각각 네 개의 핀(121)을 구비하고, 상기 핀들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중에는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 지지가 된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핀(121)이 완전히 팩 홀 보어(119) 안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확장용 핀(115)은 도 3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확장 장치(117) 안에 있 다. 이로 인해 상기 별도의 확장 장치(117)의 네 개 확장 소자(61)의 진행 방향이 방사 방향 외부로 변환됨으로써, 결국 상기 확장 소자들은 제 2 부품(5)의 상응하는 고정 홀(71)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품(5)에서는 연결 부재(1)가 네 배로 고정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한편으로는 두 개의 정렬용 핀(55)을 통하여 제 1 연결 부재(1)의 해당 정렬용 홀(69)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장용 핀(115)에 의해 확장된, 상응하는 고정 홀(71) 안에 있는 두 개의 별도의 확장 장치(117)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확장용 핀(115), 확장 소자(61)를 갖는 확장 장치(117) 그리고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의 접촉면(27)은 상기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의 홀(69 및 71)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9)를 형성한다.
도 39는 하나의 그립핑 슈(123)(gripping shoe), 상기 그립핑 슈(123)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클립(125) 그리고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에서 상기 그립핑 슈(123)와 클립(125)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정렬용 핀(127)을 구비한 연결 부재(1)의 3차원적인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적인 도면을 보여준다. 도 41 내지 도 44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연결 부재(1)와 제 2 부품(5)의 다양한 조립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44는 제 2 부품(5)과 연결 부재(1)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을 보여준다.
도 4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조립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그립핑 슈(123)가 상기 연결 부재(1)의 상응하는 그립핑 리세스(129) 내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은 제 2 부품(5)의 상부면(15)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추가의 조립을 위하여 연결 부재(1)가 그립핑 슈(123) 및 상기 그립핑 슈에 해당하는 그립핑 리세스(129) 가까이에서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의 하부면(53)은 제 2 부품(5)의 상부면(15)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은 도 41 및 도 42에 화살표(131)로 표시되어 있다.
도 42에서는 선회 동작이 더욱 진행됨으로써, 클립(125)은 이미 상응하는 클립 리세스(133) 내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정렬용 핀(127)도 마찬가지로 이미 상응하는 두 개의 정렬 리세스(135) 내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도 4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1)가 제 2 부품(5)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로킹용 노우즈(137)가 상기 제 2 부품(5)의 하부면(25)에 결함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살표(131)의 방향과 반대로 역 선회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연결 부재(1)의 접촉면(27), 그립핑 슈(123), 클립(125) 그리고 정렬용 핀(127)이 상기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9)를 구현한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45는 핀(139)을 갖는 연결부(29)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를 보여준다. 상기 핀(139)은 실질적으로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를 갖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었다. 도 46은 연결 부재(1)의 추가의 한 3차원적인 배면도를 보여준다.
도 47 및 도 48은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1)를 비스 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다양한 3차원 도면들을 보여준다. 도 45 내지 도 4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139)은 두 개의 로킹용 설형부(141)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로킹용 설형부는 로킹용 노우즈(143)를 각각 하나씩 갖는다. 연결 부재(1)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핀(139) 그리고 그와 더불어 상기 로킹용 설형부(141)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상기 제 2 부품(5)의 핀 리세스(145)를 따라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로킹용 설형부(141)는 압축되며, 이와 같은 동작은 도 48에 화살표(147)로 표시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용 설형부(141)가 다시 튀어나옴으로써, 결국 상기 로킹용 설형부의 로킹용 노우즈(143)는 제 2 부품(5)의 하부면(25)에 결합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연결 부재(1)의 해체가 아무런 문제 없이 가능해진다. 핀(139)의 외부 형상이 핀 리세스(145)에 적응됨으로써, 상기 핀(139)은 한 내부면에서 상기 핀 리세스(145)와 인접 접촉 상태로 된다. 상기 핀(139) 그리고 상기 로킹용 설형부(141) 및 상기 로킹용 설형부의 로킹용 노우즈(143)가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현한다는 것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핀(139)을 핀 리세스(145)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재(1)의 회전 가능성은 사라지게 된다. 또한, 로킹용 노우즈(143)를 이용한 로킹 작용에 의해서는, 연결 부재(1)가 핀 리세스(145)로부터 빠질 가능성이 없어진다.
도 49 내지 도 52는 핀(139)을 구비한 연결 부재(1)의 추가의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다른 도면들과 달리 본 도면의 핀(139)은 로킹용 설형부를 구비하지 않 는다. 오히려 상기 핀(139)은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리세스(149)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를 통해 두 개의 폐쇄용 빗장(151)이 돌출한다. 도 51에서는, 상기 폐쇄용 빗장(151)이 스프링 링(153)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링(153)은 도 51에 화살표(155)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폐쇄 방향으로 상기 폐쇄용 빗장에 탄성력을 가한다. 다시 말해, 핀(139)이 제 2 부품(5)의 상응하는 핀 리세스(145)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폐쇄용 빗장(151)은 핀 리세스(145)에서 정지되는 비스듬한 면(157)에 의하여, 화살표(155)의 방향과 반대로 압축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용 빗장(151)이 재차 튀어나온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폐쇄용 빗장(151)이 전술된 로킹용 설형부(141)의 로킹용 노우즈(143)의 기능과 유사하게 상기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도 52 및 도 53에서는 스프링 링(153)의 폐쇄용 빗장(151), 핀(139)의 리세스(149), 상기 핀(139) 그리고 연결 부재(1)의 접촉면(27)이 상기 연결 부재(1)를 제 2 부품(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9)를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4는 추가의 한 연결 부재(1)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56은 도 54 및 도 55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도 57은 도 54 내지 도 56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도 55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58 및 도 59는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바라 보고 도시한 다양한 3차원 도면들을 보여준다.
연결 부재(1)는 특히 도 56 내지 도 58에서 볼 수 있는 로킹용 노우즈(31)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 소자(161)를 구비한 로킹 장치(159)를 구비한다. 베이스(17)를 갖는 연결부(29)를 구비한 연결 소자(1)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른 도면들과 달리 본 도면의 로킹용 노우즈(31)는 스프링 소자(161)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응하는 복원력에 대항하여 압축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시 튀어나올 수 있다.
로킹 장치(159)는 전체적으로 볼 때 나머지 연결 부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두 개의 부분, 즉 로킹용 슬라이드(163) 및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에 압축 응력을 가하는 스프링 소자(161)로 구성된다. 로킹용 슬라이드(163)는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31)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용 노우즈는 연결 부재(1)의 베이스(17)의 리세스(165)를 통해 돌출한다.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는 슬라이딩 베어링(167)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에 의해서는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가 연결 부재(1)의 베이스(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형으로 미끄러지도록 지지 된다. 상기 미끄럼 방향은 도 56에 이중 화살표(169)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67)은 특히 두 개의 슬라이딩 리브(171)를 구비하며, 이 경우 각각의 로킹 노우즈(31)는 상대적으로 더 긴 한 상부면에서 측면에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17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171)는 로킹용 노우즈(31) 상에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킹용 슬라이드(163)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리브(171)는 각각 베이스(17)의 상응하는 리세스(165)의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적응된 슬라이딩 리세스(173) 내부에 결합된다.
스프링 소자(161)가 서로 마주 놓인, 구부러진 그리고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스프링 블레이드(spring blade)를 구비함으로써, 타원 형태의 볼록한 형상이 나타난다. 제 1 스프링 블레이드(177)는 고정용 리브(179)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리브는 예를 들어 프레스 피팅(press fitting) 또는 루스 피팅(loose fitting)에 의해, 자신의 형상에 적응된 고정용 리세스(181) 내부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킹 장치(159)를 베이스(17)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로킹용 슬라이드(159) 또는 로킹용 노우즈(31)와 슬라이딩 리브(171)가 슬라이딩 리세스(173)를 갖는 리세스(16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압축 응력에 의해 압축 상태에 있는 스프링 소자(161) 또는 고정용 리브(179)가 고정용 리세스(18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7에서는, 스프링 소자(161)의 제 2 스프링 블레이드(175)가 이중 계단(185)을 갖는 고정용 리브(183)를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이중 계단(185)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로킹용 슬라이드(163)에 상응하게 적응된 리세스(187)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소자(161)는 실수로 빠질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로킹용 슬라이드(163)는 슬라이딩 베어링(167)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동작 방향은 스프링 소자(161)의 조립 방향 또는 해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도 57에서는, 스프링 소자(161)의 제 1 스프링 블레이드(177)의 고정용 리브(179)가 연결 부재(1)를 향하고 있는 한 측면에서 고정용 핀(189)으로 변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고정용 핀은 연결 부재(1)에 상응하는 고정 홀(191) 내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 홀 내부로 돌출한다. 스프링 소자(161)가 연결 부재(1)의 베이스(17)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소자(161)의 제 1 스프링 블레이드(177)는 스톱핑 리브(193)(stopping rib)를 구비하고, 상기 스톱핑 리브는 베이스(17)의 바닥면(195)에서 정지할 수 있다. 한 조립 최종 위치에서는 상기 스톱핑 리브(193)가 바닥면(195)에서 정지함으로써 상기 조립 최종 위치를 규정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원하는 조립 최종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소자(161)의 조립 동작을 제한한다.
도 54 내지 도 59에서는 스프링 소자(161)가 팽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스프링 소자는 실제로 가능한 상태와 다르게 로킹용 슬라이드(163)와 겹쳐진다.
도 60은 재료 조인트(199)가 통합된 로킹 장치(197)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의 배면도를 보여준다.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62는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도 60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63은 도 60 내지 도 62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도 61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64는 도 60 내지 도 63에 도시된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도 65는 도 60 내지 도 64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정면도를 보여 준다. 도 66은 도 60 내지 도 65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재료 조인트(199)의 재료는 탄성 특성들을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1)의 베이스(17) 및 로킹 소자(201)에 일체형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도 60 및 도 6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재료 조인트가 L자형으로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인접하는 로킹 소자(201)와 함께 U자 형상이 나타난다. 연결된 재료 조인트(199)를 갖는 두 개의 로킹 소자(201)는 연결 부재(1)의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31)를 형성한다. 상기 로킹 소자(201)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었고, 연결 부재(1)를 도 60 내지 도 66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부품에 로킹 하기 위하여 상기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부품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로킹용 노우즈(31)의 로킹 결합하는 로킹 소자(201)의 복원력은 상기 재료 조인트(199)에 의해서 제공된다. 상기 통합 연결 부재(1)의 재료, 상기 재료 조인트(199)의 형상 및/또는 상기 재료 조인트(199)의 재료 두께는 상기 복원력 또는 상기 재료 조인트(199)의 탄성 특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변동될 수 있다.
도 60에서는 로킹 장치(197)의 로킹용 노우즈(31)를 정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상기 로킹용 노우즈는 직사각형 관통구(203) 내부에 있으며, 이 경우 재료 조인트(199)는 - 도 1에 따른 정렬 상태에서 볼 때 - 각각 아래에서 연결 부재(1)의 베이스(17)에 연결되어 있다. 로킹 소자(201)는 재료 조인트(199)를 통해 상기 관통구(203) 내부에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로킹 결합을 위해서는 (재료 조인트(199)의 복원력과 반대로) 도 1의 이미지 평면 안으로 움직이는 동작 그리고 이어서 다시 상기 이미지 평면으로부터 빼내지는 동작이 가능하다. 재료 조 인트(199)의 가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재료 조인트(199) 그리고 상기 재료 조인트에 연결된 로킹 소자(201)와 베이스(17) 사이의 간격은, U자 모양으로 둘러싸는 갭(205)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연결 부재(1)의 로킹 장치(197)는 총 두 개의 재료 조인트(199) 및 상기 재료 조인트에 연결된 로킹 소자(201)를 구비한다. 임의의 다른 개수의 재료 조인트(199), 예를 들어 단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재료 조인트(199) 및 상기 개수에 해당하는 로킹 소자(201)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62 및 도 63의 단면도 그리고 도 66의 저면도에서는, 전체 연결 부재(1)가 바람직하게 단 하나의 부분,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과정으로 생산될 수 있는 부분으로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7은 도 60 내지 도 66에 따른 도면과 유사하게, 재료 조인트(199)와 로킹 장치(197)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213)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를 3차원 도면으로 보여준다. 도 68 내지 도 72 그리고 도 79는 도 67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추가의 도면을 보여준다. 도 73 및 도 75는 도 67 내지 도 72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부분 섹션을 갖는 다양한 3차원 도면들을 보여준다. 도 74 및 도 76은 연결 부재(1)의 스토퍼(209)를 갖는 로킹용 노우즈(31)의 3차원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 77은 연결 부재(1)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도 78은 로킹용 노우즈(31)의 스토퍼(209)와 상호 작용하는 대응 스토퍼(211)의 3차원 상세도를 보여준다. 아래에서는 도 60 내지 도 66에 도시된 내용과 상이한 내용들이 기술된다.
연결 부재(1)는 로킹 장치(197)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2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작동 장치(213) 또는 연결 부재(1)의 상부면(45)은 제 2 부품(5)에 인접하면서 두 개의 작동 리세스(215)를 갖는다. 상기 작동 리세스(215)는 예를 들어 대략 4 x 4mm 크기의 홈으로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로킹용 노우즈(31)의 스토퍼(209)가 상기 작동 리세스(215)의 홈 내부에 결합된다. 도 67 및 도 68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오는 하나의 물체가 상기 작동 리세스(215)를 통해 연결 부재(1)의 내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물체로서는 예를 들어 U자 모양으로 형성된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체 또는 공구는 로킹용 노우즈(31)의 각각 하나의 리브(217) 또는 상기 로킹용 노우즈(31)의 스토퍼(209)와 결합되며, 이때 로킹용 노우즈(31)는 로킹 결합 위치로부터 로킹 작용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7에는 상기 이동 동작이 화살표(219)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과정 후에 로킹용 노우즈(31)는 더 이상 제 2 부품(5)과 결합 상태에 있지 않다. 연결 부재(1)는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재차 제 2 부품(5)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연결 부재는 조립 방향과 반대로, 회전에 의해 제 2 부품(5)의 리세스(11)로부터 빼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출 동작은 도 67에 구부러진 화살표(221)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구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 집게(plier), 플라스틱 링크 또는 그와 유사한 보조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가급적 간단한 작동을 얻기 위하여, 상기 리브(217)가 연결 부재(1)의 외부 방향으로 가급적 멀리 뻗을 수 있도록 확대될 수 있음으로써, 결국 상기 공구는 작동 리세스(215) 내부에 가급적 덜 깊게 삽입될 수밖에 없다. 상기 리브(217)가 바람직하게는 재료 조인트(199)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우수한 지레 동작을 가능케 함으로써, 로킹 장치(197)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적은 작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도 76, 도 77 및 도 78의 상세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리브(217) 또는 리브(217)를 구비한 상기 로킹용 노우즈(31)의 스토퍼(209)는 대응 스토퍼(211)에서 정지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로킹용 노우즈(31)의 동작은 로킹 작용 해제 위치까지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재료 조인트(199)는 원치 않는 과도한 스트레스 작용 또는 과도한 팽창 작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대응 스토퍼(211)는 핀(223)을 구비하며, 상기 핀은 리브(217)에 할당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리브에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다.
작동 리세스(215)를 통과하는 상기 공구의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핀(223)이 발생하는 정지력을 더 이상 수용할 수 없어서 변형되거나 또는 심지어 파괴될 정도까지, 해당 리브(217)를 갖는 로킹용 노우즈(31)의 진행 방향을 휘게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재료 조인트(199)도 파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1)도 마찬가지로 전술된 바와 같이 해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구를 작동 리세스(215)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해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로킹 장치(197)는 비가역적으로 파괴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1)를 더욱 간단히 해체하기 위하여 더 쉽게 그리고 더 신속하게 해체될 수 있다. 파괴 동작을 제어하고/제어하거나 조기에 실행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핀(223) 및/또는 재료 조인트(199)는 목표 파괴 지점을 가질 수 있다.
도 80은 도 67 내지 도 79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클램프(41)를 보여준다. 상기 클램프(41)는 두 개의 스프링 브리지(225)를 가지며, 도 67 내지 도 79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샤프트(43) 안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41)는 제 1 부품(3)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브리지(22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샤프트(43) 안에 지지 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스프링 브리지(225)의 형상에 적응된 상응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품(3)을 연결 부재(1)로부터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41)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집게 의하여 샤프트(43)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클램프(41)는 리세스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리세스는 클램프(41)를 파지하기 위한 집게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며, 이 경우 상기 집게는 클램프(41)를 파지하기 위하여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1 내지 도 86은 도 54 내지 도 59에 따른 연결 부재(1)와 유사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1)의 다양한 도면들을 보여준다. 도 87은 도 81 내지 도 86에 도시된 연결 부재(1)의 단면도를, 스프링 소자(161)와 로킹 장치(159)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227)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88은 도 81 내지 도 8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부분 단면도를, 상기 로킹 장치(159)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227)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81 내지 도 88에 도시된 연결 부재(1)도 마찬가지로 작동 장치(213)를 구비한다. 다른 도면들과 달리 본 도면에 도시된 작동 장치(213)는 중앙에 배치된 단 하나의 작동 리세스(215)를 갖는다. 도 87 및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27)은 상기 작동 리세스(213)를 관통하고, 제 2 부품(5)의 리세스(11)를 비스듬하게 관통하여, 로킹 장치(159)의 로킹용 슬라이드(163)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핀(227)의 삽입 동작은, 상기 핀이 로킹 장치(159)의 로킹용 슬라이드(163)의 접촉면(229)에서 정지함으로써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를 폐쇄 방향과 반대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87에 화살표(231)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핀(227)에 의하여, 로킹용 노우즈(231)는 로킹용 슬라이드(163)를 거쳐, 상기 로킹용 노우즈가 더 이상 제 2 부품(5)과 결합 상태에 있지 않을 때까지, 다시 말해 연결 부재(1)가 릴리스 될 정도까지 화살표(23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227)은 예를 들어 2mm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 후에 연결 부재(1)는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에 의해 제 2 부품(5)의 리세스(11)로부터 해체를 목적으로 빼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출 동작은 도 87에 구부러진 화살표(233)로 표시되어 있다.
도 81 내지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는 샤프트(43) 위에 있는 영역에 개구(235)를 갖는다. 상기 개구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상기 클램프(41)의 로킹용 후크를 위한 스토퍼로서 이용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결 부재 3: 제 1 부품
5: 제 2 부품 7: 걸쇠
9: 로킹 장치 11: 리세스
13: 경사부 15: 상부면
17: 베이스 19: 화살표
21: 가장자리 23: 슬라이딩 면
25: 하부면 27: 접촉면
29: 연결부 31: 로킹용 노우즈
33: 선회 베어링 35: 볼 소켓
37: 볼 39: 볼의 목 형상 부분
41: 클램프 43: 샤프트
45: 상부면 47: 리세스
49: 고정용 핀 51: 관통구
52: 리세스 53: 하부면
55: 정렬용 핀 57: 모서리를 떼어낸 사면
59: 확장 장치 61: 확장 소자
63: 화살표 65: 화살표
67: 화살표 69: 정렬 홀
71: 고정 홀 73: 모서리를 떼어낸 사면
75: 화살표 77: 가장자리
79: 슬라이딩 슈 81: 로킹용 핀
83: 덮개 85: 덮개
87: 캐리어 89: 리세스
91: 경사부 93: 슬롯
95: 협착부 97: 화살표
99: 화살표 101: 로킹 관통구
103: 슬라이딩 베어링 105: 클립
107: 클립 홀 109: 리브
111: 리세스 113: 스프링 소자
115: 확장용 핀 117: 확장 장치
119: 팩 홀 보어 121: 핀
123: 그립핑 슈 125: 클립
127: 정렬용 핀 129: 그립핑 리세스
131: 화살표 133: 클립 리세스
135: 정렬 리세스 137: 로킹용 노우즈
139: 핀 141: 로킹용 설형부
143: 로킹용 노우즈 145: 핀 리세스
147: 화살표 149: 리세스
151: 폐쇄용 빗장 153: 스프링 링
155: 화살표 157: 비스듬한 면
159: 로킹 장치 161: 스프링 소자
163: 로킹용 슬라이드 165: 리세스
167: 슬라이딩 베어링 169: 이중 화살표
171: 슬라이딩 리브 173: 슬라이딩 리세스
175: 제 2 스프링 블레이드
177: 제 1 스프링 블레이드
179: 고정용 리브 181: 고정 리세스
183: 고정용 리브 185: 이중 계단
187: 리세스 189: 고정용 핀
191: 고정 홀 193: 스톱핑 리브
195: 바닥면 197: 로킹 장치
199: 재료 조인트 201: 로킹 소자
203: 관통구 205: 갭
209: 스토퍼 211: 대응 스토퍼
213: 작동 장치 215: 작동 리세스
217: 리브 219: 화살표
221: 화살표 223: 핀
225: 스프링 브리지 227: 핀
229: 접촉면 231: 화살표
233: 화살표 235: 개구
도 1 내지 도 4는 평탄한 제 2 부품에 연결 부재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베이스를 구비한 연결 부재의 3차원적인 측면도를 네 가지 상이한 단계에서 보여주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고정된 걸쇠의 상세도고;
도 6은 제 2 부품과 결합 상태에 있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로킹 장치의 상세도며;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전방 측면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11은 확장용 핀 그리고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 1 부품을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1 부품이 없는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 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연결 부재에서 클램프와 볼-앤드-소켓 조인트를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조립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며;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평탄한 제 2 부품에 조립하기 위한 단계들을 보여주기 위한 상이한 사시도들로 이루어진 3차원 도면이고;
도 20은 두 개의 슬라이딩 슈 및 두 개의 로킹 핀을 구비한 연결 부재의 3차원 측면도며;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면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절반 덮개 및 제 2 부품과 함께 비스듬하게 후방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를 원 형태로 완전히 둘러싸는 커버를 함께 도시한 개략도고;
도 24는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과 함께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26은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과 함께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과 함께 비스듬하게 후방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28은 두 개의 센터링 핀 및 두 개의 클립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면 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면 후방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30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과 함께 비스듬하게 측면 후방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조립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32는 두 개의 확장 장치에 의해서 둘러싸인 두 개의 센터링 핀 및 두 개의 고정된 센터링 핀을 갖춘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별도의 확장 장치 없는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며;
도 35는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측면 전방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면 전방 위로부터 바라보 고 도시한, 그러나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37은 도 3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그러나 확장용 핀 위로 슬라이딩 되는 확장 장치와 함께 도시한 개략도고;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39는 연결 부재를 하나의 그립핑 슈, 두 개의 정렬용 핀 그리고 하나의 클립과 함께 측면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41 내지 도 43은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함께 다양한 조립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고;
도 44는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부품과 함께 비스듬하게 전방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45는 두 개의 로킹 설형부를 갖는 하나의 핀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면 후방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47은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조립된 상태에서 함께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후방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49는 두 개의 걸쇠를 갖는 하나의 스프링 링 그리고 하나의 핀을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후방 측면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50은 도 49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51은 두 개의 걸쇠를 갖는 스프링 링 그리고 핀을 구비한 추가의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52는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함께 비스듬하게 후방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제 2 부품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54는 스프링 소자가 삽입된 로킹 장치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의 평면도며;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정면도고;
도 56은 도 54 및 도 55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저면도며;
도 57은 도 54 내지 도 5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도 55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고;
도 58 및 도 59는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다양한 3차원 도면이며;
도 60은 재료 조인트가 통합된 로킹 장치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의 배면도고;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평면도며;
도 62는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도 60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고;
도 63은 도 60 내지 도 62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도 61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며;
도 64는 도 60 내지 도 6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고;
도 65는 도 60 내지 도 6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정면도며;
도 66은 도 60 내지 도 65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저면도고;
도 67은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의 3차원 도면이며;
도 68은 도 67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배면도고;
도 69는 도 67 및 도 68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측면도며;
도 70은 도 67 내지 도 69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정면도고;
도 71은 도 67 내지 도 70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저면도며;
도 72는 도 67 내지 도 71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평면도고;
도 73 및 도 75는 도 67 내지 도 72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한 부분 섹션을 도시한 다양한 3차원 도면이며;
도 74 및 도 76은 도 73 및 도 75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스토퍼를 구비한 로킹용 노우즈를 도시한 3차원 상세도고;
도 77은 도 67 내지 도 7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78은 로킹용 노우즈의 스토퍼와 상호 작용하는 대응 스토퍼를 도시한 3차원 상세도고;
도 79는 도 67 내지 도 78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비스듬하게 후방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3차원 도면이며;
도 80은 도 67 내지 도 78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클램프를 도시한 개략도고;
도 81은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구비한 추가의 한 연결 부재의 3차원 도면이며;
도 82는 도 81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배면도고;
도 83은 도 81 및 도 82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측면도며;
도 84는 도 81 내지 도 83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정면도고;
도 85는 도 81 내지 도 8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저면도며;
도 86은 도 81 내지 도 85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평면도고;
도 87은 도 81 내지 도 86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며;
도 88은 도 81 내지 도 87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로킹 장치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과 함께 도시한 3차원 부분 단면도다.

Claims (56)

  1. 제 2 부품(5)과 제 1 부품(3)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부재(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는 상기 제 1 부품(3)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선회 베어링(33)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를 상기 제 2 부품(5)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제 2 부품(5)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고정 장치(7, 9; 59; 79, 81; 105; 117; 123; 125; 141; 151; 159)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 2 부품(5)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연결 부재(1)를 상기 제 2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 장치(17; 55; 103; 127; 1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 소켓(35)을 구비한 상기 선회 베어링(33)은 상기 제 1 부품(3) 및/또는 상기 연결 부재(1)의 볼(37)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볼-앤드-소켓 조인트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베어링(33)은 상기 연결 부재(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상기 볼(37)을 상기 볼 소켓(35) 안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는 상기 제 2 부품(5)에 평탄하게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베이스(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7)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었고, 상기 제 2 부품(5)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리세스(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를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7)는 상기 직사각형 리세스(11)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7)는 제 1 측면에는 고정된 걸쇠(7)를 구비하고, 상기 걸쇠(7)에 마주 놓인 측면에는 로킹 장치(9; 159; 19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9; 159; 197)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31), 상기 두 개의 로킹용 노우즈(31)를 갖는 하나의 로킹용 슬라이드(163),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를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167) 및/또는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에 할당된, 상기 로킹용 슬라이드(163)를 복원하기 위한 스프링 소자(1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7)에 마주 놓인 상기 베이스(17)의 측면에는 구부러진 슬라이딩 면(23)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연결 부재(1)를 상기 제 2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용 핀(55)을 구비하며, 상기 정렬용 핀(55)은 상기 제 2 부품(5)의 정렬 홀(69)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장치(59) 및 상기 확장 장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핀(49)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장치(59)는 상기 제 2 부품(5)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71)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홀 안에서 상기 고정용 핀(49)에 의하여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연결 부재(1)를 상기 제 2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1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03)은 두 개의 슬라이딩 슈(shoe)(79)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슈는 각각 상기 제 2 부품(5)의 좁아지는 슬롯(93)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용 핀(81)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용 핀은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03)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부품(5)의 로킹 관통구(101) 내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제 2 부품(5)의 클립 홀(107)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105), 특히 두 개의 클립(105) 그리고 두 개의 정렬용 핀(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105)은 상기 연결 부재(1)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확장용 핀(115)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용 핀은 별도의 확장 장치(117)를 통해 상기 제 2 부품(5)에 상응하는 고정 홀(71)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제 2 부품(5)의 그립핑 리세스(129)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그립핑 슈(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그립핑 슈(123)에 마주하여 배치된, 상기 제 2 부품(5)을 클립 리세스(133) 내부에 클립 결합하기 위한 클립(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연결 부재(1)를 상기 제 2 부품(5)에 상응하는 정렬 리세스(135) 내부에 정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용 핀(1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는 상기 제 2 부품(5)의 핀 리세스(145)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핀(1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핀(139)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용 설형부(1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핀(139)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용 빗장(151)을 갖는 스프링 링(1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97)는 나머지 연결 부재(1)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97)는 상기 베이스(17)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용 노우즈(31)는 나머지 연결 부재(1)와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97)의 로킹용 노우즈(31)는 각각 하나의 탄성적인 재료 조인트(199)를 구비하고, 각각 상기 재료 조인트(199)를 통해 나머지 연결 부재(1)에 통합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97)는 압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9)는 각각 하나의 리브(2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는 상기 스토퍼(209)를 위한 대응 스토퍼(2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스토퍼(211)는 각각 하나의 핀(223)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스토퍼(209)에는 핀(223)이 각각 하나씩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의 로킹용 노우즈(31)의 압축 동작 중에는, 상기 리브(217)가 상기 핀(223)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97)의 재료 조인트(199)는 상기 로킹용 노우즈(31)의 파괴적인 과도한 스트레스 작용을 가능케 하는 목표 파괴 지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는 상기 로킹 장치(159; 197)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2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213)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리세스(215)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로킹 장치(159; 197)의 로킹 작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213)는 중앙 작동 리세스(215)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장치(159)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핀(227)이 상기 중앙 작동 리세스(215)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41. 막대 모양의 제 1 부품(3) 및 평탄한 제 2 부품(5)이 결합된 부품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3, 5)은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부재(1)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3)은 피스톤-실린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공기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4. 제 4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5)은 자동차의 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5)은 뚜껑, 특히 엔진 보닛, 강판부 및/또는 자동차 차체(car bod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5)은 자동차 차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7. 제 4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3)은 두 개의 연결 부재(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결합체.
  48. 제 4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품 결합체를 가지는,
    자동차.
  49. 연결 부재(1), 특히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부재(1)와 두 개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연결 부재(1)의 연결부(29)를 상기 제 2 부품(5)의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부(29)를 상기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3)을 상기 연결 부재(1)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방법.
  51. 제 49 항 또는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3)의 볼(37)을 상기 선회 베어링(33)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클램프(41)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방법.
  52. 제 49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를 상기 제 2 부품(5)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9)를 회전 삽입 및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또는 상기 연결부(29)를 제 2 부품(5)과 로킹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방법.
  54. 하나의 연결 부재(1), 특히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부재로부터 두 개의 부품을 해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5)의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에 있는 상기 연결 부재(1)의 연결부(29)를 해체하기 위한 작동 장치(213)를 작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부(29)를 상기 리세스(11; 69, 71; 93, 101; 107; 129, 133, 135; 145)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59; 197)의 로킹 작용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 장치(213)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핀(227)을 사용하여 상기 작동 장치(213)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방법.
KR1020080003634A 2007-01-12 2008-01-11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KR101165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1945 2007-01-12
DE102007001945.0 2007-01-12
DE102007023478A DE102007023478A1 (de) 2007-01-12 2007-05-19 Anschlusselement zum Verbinden von Bauteilen
DE102007023478.5 2007-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17A true KR20080066617A (ko) 2008-07-16
KR101165493B1 KR101165493B1 (ko) 2012-07-13

Family

ID=3950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634A KR101165493B1 (ko) 2007-01-12 2008-01-11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0293B2 (ko)
JP (1) JP5137017B2 (ko)
KR (1) KR101165493B1 (ko)
CN (1) CN101285498B (ko)
DE (1) DE102007023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2582A1 (de) * 2009-03-27 2010-10-14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nanordnung mit einer Spreizbefestigung
CN101858375B (zh) * 2009-04-08 2013-06-19 施耐德电器工业公司 锁定机构及具有锁定机构的模块产品
DE102009021120B4 (de) 2009-05-13 2012-05-10 Stabilus Gmbh Gelenkverbindung
EP2325718A1 (en) * 2009-11-24 2011-05-25 F. Hoffmann-La Roche AG Exchangeable Transparent Cover
DE102010029410A1 (de) * 2010-05-27 2011-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der- und Dämpfer-Baueinheit
DE102010025778B4 (de) * 2010-07-01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Bauteile
PL224050B1 (pl) * 2011-11-02 2016-11-30 Valeo Autosystemy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Pantograf wycieraczek, zwłaszcza samochodowych, oraz adapter do pantografu
CN102808820A (zh) * 2012-07-26 2012-12-05 苏州柏德纳科技有限公司 带中间凸耳轴用机械连接件
CN104141657A (zh) * 2014-07-12 2014-11-12 汤荣民 一种汽车卡槽型连接件及其热处理工艺
EP2977624B1 (en) * 2014-07-22 2019-09-18 Aktiebolaget SKF Identification system with electronic tag for identifying a rolling bearing and hub bearing unit equipped therewith
DE102016216022A1 (de) * 2016-01-29 2017-08-03 Robert Bosch Gmbh Kugelschale
US11464499B2 (en) 2016-09-01 2022-10-11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Device for anatomical sensing system-guided endorectal prostate biopsy
DE102017123424A1 (de) * 2017-10-09 2019-04-11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Winkelkupplung
DE102018111505A1 (de) * 2018-05-14 2019-11-1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chließsystems
DE102020101072B3 (de) * 2020-01-17 2021-05-06 Illinois Tool Works Inc.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 Kolben-Zylinder Einheit
US11920396B2 (en) 2021-01-08 2024-03-05 Snap-On Incorporated Access door for a storage unit
JP2022112672A (ja) * 2021-01-22 2022-08-03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6649A (en) * 1972-08-23 1973-12-04 Barnes Eng Co Locking ball joint
US3856422A (en) * 1973-05-29 1974-12-24 W Trefry Retention clip for ball and socket joint
USRE31635E (en) * 1979-06-18 1984-07-24 Gas Spring Corporation Socket assembly for a ball and socket coupling
JPS585202U (ja) * 1981-07-01 1983-01-13 株式会社ニフコ 車輛用ランプハウジングの取付構造
DE3702277A1 (de) * 1987-01-27 1988-08-04 Trw Ehrenreich Gmbh Kugelgelenk
FR2655394B1 (fr) * 1989-12-01 1992-04-10 Valeo Vision Capsule, notamment pour le montage d'une tete de vis de reglage d'orientation sur un reflecteur d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2757934B2 (ja) * 1993-12-28 1998-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エイミング機構
JPH08330A (ja) 1994-06-20 1996-01-09 Parisu:Kk スキーバッグ
JP3128616B2 (ja) * 1996-07-02 2001-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US6206604B1 (en) * 1997-09-12 2001-03-27 Bollhoff Gmbh Plug-in coupling
DE29804345U1 (de) * 1998-03-13 1998-05-14 Springfix Befestigungstechnik Kugelgelenk mit Schnappverriegelung
US6305725B1 (en) * 1998-11-05 2001-10-23 Southco, Inc. One-piece slam-action pawl latch
CN2377742Y (zh) * 1999-03-23 2000-05-10 蔡周旋 电连接器的卡扣板
JP2002357257A (ja) * 2001-06-01 2002-12-13 Nsk Ltd ボールねじナット装置
DE10156987A1 (de) 2001-11-21 2003-06-05 Fico Cables Sa Verbindungselement
JP2003175763A (ja) * 2001-12-13 2003-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DE10214695B4 (de) * 2002-04-03 2005-09-22 Küster Automotive Control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lösbaren Anbindung eines Kugelkörpers oder Kugelzapfens an einen den Kugelkörper aufnehmenden Pfannenkörper, insbesondere zur Anwendung in Kraftfahrzeugen
DE10233217A1 (de) 2002-07-22 2004-0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festigungselement und -anordnung
US6837716B1 (en) * 2003-07-02 2005-01-04 Illinois Tool Works Inc. Push-in ball socket
US7351001B1 (en) * 2003-07-17 2008-04-01 Yazaki North America, Inc. Pillar shield for securing a wire harness
DE102004042906B4 (de) 2004-09-01 2008-04-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Bauteils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Befestigungsplatte
US20060251471A1 (en) 2005-05-06 2006-11-09 Wei-Gen Chen Manual adjustment device for headlamps
DE202005007586U1 (de) * 2005-05-13 2005-08-04 Rösler, Peter Behälter mit Rastverschluss
DE202005011420U1 (de) 2005-07-20 2005-10-13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Steckkupplung mit dreidimensionaler Ausgleichsbewegung in Plattenmon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0006A (ja) 2008-07-24
CN101285498B (zh) 2014-02-05
JP5137017B2 (ja) 2013-02-06
US9140293B2 (en) 2015-09-22
US20080175654A1 (en) 2008-07-24
KR101165493B1 (ko) 2012-07-13
DE102007023478A1 (de) 2008-07-17
CN101285498A (zh)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493B1 (ko) 부품 결합용 연결 부재
JP5079679B2 (ja) 付加要素をキャリア要素上に締結する接続組立体
MX2007005596A (es) Pieza de fijacion para un acoplamiento rapido.
US9534620B2 (en)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panel to a wall with a high resistance to pulling off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device
US20110314642A1 (en) Fastening device
US20220090652A1 (en) Transverse bar and chain link with transverse bar
US9062806B2 (en) Coupling element and unlocking element for the coupling element
KR20060016094A (ko) 퀵-커넥트 엔드 피팅
KR20190126151A (ko) 스위치기어 캐비닛 하우징용 힌지와 대응 스위치기어 캐비닛 하우징 및 장착 방법
US8257105B2 (en) Locking system for multipart housings
CZ305291B6 (cs) Uvolnitelná zástrčná spojka
US20110025042A1 (en) Removal Tool
US20060123943A1 (en) Gear knob
JP3219310B2 (ja) 止め具
JPH10315762A (ja) 車両のサンバイザのための支承ブロック
US20130264832A1 (en) Temporary closure device of an opening element on a support element
CN107206946B (zh) 用于可解开地连接第一构件与第二构件的组件
US20090260201A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US8602674B2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JP2010144830A (ja) 固定具
US20050152764A1 (en) Fastener
US20150176740A1 (en) Connecting device and connecting system with same
US20220282745A1 (en) Releasable fastening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releasable fastening device
KR101819577B1 (ko) 체결 조립체
CN111824041A (zh) 用于固定两个元件以允许其预组装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