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610A -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610A
KR20080066610A KR1020080003464A KR20080003464A KR20080066610A KR 20080066610 A KR20080066610 A KR 20080066610A KR 1020080003464 A KR1020080003464 A KR 1020080003464A KR 20080003464 A KR20080003464 A KR 20080003464A KR 20080066610 A KR20080066610 A KR 2008006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operating body
transmission member
holding ca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for staircase ligh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조작시에 신뢰성이 높은 검출을 실시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조작체 (1) 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유지 케이스 (6, 7) 와 로터리 엔코더 (3) 의 회전자부 (12) 가, 걸어 맞춤 돌기부 (7f) 를 오목 형상 노치 (14a) 에 끼워 넣음으로써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져 있다. 또, 조작체 (1) 회전축부 (1a) 의 비원주부와 걸어 맞추는 회전 전달 부재 (8) 가 유지 케이스 (7) 의 가이드벽 (7d) 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 있고, 회전축부 (1a) 가 회전하면 회전 전달 부재 (8) 가 가이드벽 (7d) 을 개재하여 유지 케이스 (7) 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조작시에는 조작체 (1) 와 유지 케이스 (6, 7) 와 회전자부 (12)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로터리 엔코더 (3) 에 의해 조작체 (1) 의 회전 동작이 검출된다. 단,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회전 전달 부재 (8) 는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가이드벽 (7d) 을 따라 이동할 뿐이다.

Description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MULTI OPERA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회전 조작과 다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을 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조작과 다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을 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종래예로서, 회전 조작시에는 코일 스프링을 개재하여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가 회전 구동되고,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로터리 엔코더의 주위에 배설된 복수의 푸쉬 스위치가 가로 방향으로부터 가압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 이러한 종래예에 있어서, 회전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실시되는 조작 부재는,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이 회전자부와 조작 부재의 천정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의 외주부에는 그 회전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고리형 슬라이더가 걸어 맞춰져 있고, 조작 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되면, 고리형 슬라이더가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엔코더가 실장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상에는, 이 로터리 엔코더의 고정자부 주위에 4 개의 푸쉬 스위치가 서로 등간격 배치 (둘레 방향으로 90 도씩 어긋난 위치 관계) 로 실장되어 있다. 이들 푸쉬 스위치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가압 가능한 작동부가 형성되어 있고, 로터리 엔코더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슬라이더 하단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필요한 클리어런스를 두고 각 푸쉬 스위치의 작동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형 슬라이더의 하단부에 각 작동부와 대향하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리형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의 작동부가 그 경사부에 맞닿아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되는 종래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조작 부재가 회전 조작되면 코일 스프링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가 조작 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므로, 고정자부에 대한 회전자부의 회전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 부재의 회전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된 경우에는, 고리형 슬라이더가 조작 부재와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의 작동부가 고리형 슬라이더의 경사부에 가압 구동되어 온 동작하고, 이로써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조작 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되면,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와 조작 부재의 천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이 가로로 어긋나도록 신장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조작력이 제거되면, 그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조작 부재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7377호 (4-7페이지, 도 5)
전술한 종래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 부재를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들 조작 부재와 회전자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개재하고 있어, 회전 조작시에는 그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조작 부재에 회전자부를 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되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회전자부가 조작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회전 조작시에 조작 부재의 회전 동작을 순간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사용이 어렵고, 또, 조작 부재의 회전량과 회전자부의 회전량이 반드시 합치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 조작시에 신뢰성이 높은 검출을 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회전 가능 또한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조작체와, 이 조작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킴과 함께 그 조작체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유지 케이스와,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동작을 검출하는 슬라이드 검출 기구 와, 회전자부와 그 회전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자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의 회전 동작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조작체를 유지하는 부위의 직경 방향 외측에 상기 회전자부와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작체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유지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부가 상기 걸어 맞춤부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조작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유지 케이스와 회전 검출 기구의 회전자부를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 회전 조작시에 조작체 및 유지 케이스와 회전자부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면, 조작체의 회전 동작을 회전 검출 기구에 의해 순간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양호해진다. 또, 조작체와 회전자부의 회전량이 어긋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전 검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작체의 회전축부에 형성된 비원주 형상부를 삽입 통과시켜 걸어 맞추는 긴 구멍이 형성된 회전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른 경우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그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슬라이드 구동력이 전달되게 됨과 함께,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긴 구멍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체의 슬라이드 구동력이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전달된 경우에는 그 회전 전달 부재가 상기 가이드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조작체의 회전 동작시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벽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그 회전 전달 부재 및 유지 케이스가 조작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조작체 및 유지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링크 부재로서 기능하는 회전 전달 부재가,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유지 케이스의 가이드벽을 따라서 이동할 뿐이 되기 때문에, 유지 케이스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이 저해될 우려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이 원활을 실시할 수 있는 간소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작체에는 회전축부의 주위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단측을 외측에 돌출시키는 제 1 개구와 타단측을 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개구의 주연 부분과 상기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시키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 중 그 제 2 개구를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공간을 향하는 벽면에 상기 가이드벽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상기 회전 전달 부재를 배치시키면,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체의 플랜지부를 제 1 및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에서 안내할 수 있어, 그 플랜지부와 회전 전달 부재의 간섭도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에 의해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지 케이스가, 제 1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지 케이스와, 제 2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지 케이스를 갖고, 이들 양 개구의 주위에서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가 고리형 공간을 두고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그 고리형 공간에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별체의 제 1 유지 케이스와 제 2 유지 케이스를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유지 케이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유지 케이스의 조립성이 양호한 것이 되어 저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드 검출 기구가,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접점 전환이 실시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조작체와 걸어 맞추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와, 이 슬라이드 전달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체에 의해 구동되어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 소자의 접점 전환이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체가 슬라이드 전달 부재를 통해서 스위치 소자의 접점 전환을 실시하게 되어, 슬라이드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드 전달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에 조작체의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그 회전축부가 상기 개구의 주연부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면, 그 회전축부의 회전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에 슬라이드 구동력을 확실하게 전달시킨다는 걸어 맞춤 관계를, 매우 간소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드 검출 기구의 구성 요소인 고정 부재에, 슬라이드 전달 부재에 형성된 슬릿 형상 또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에 걸어 맞춰져서 그 슬라이드 전달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를 돌출 형성해 두면,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슬라이드 전달 부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 라이드 이동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지 케이스와 회전 검출 기구의 고정자부 사이에 개재되어 그 유지 케이스를 승강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와, 슬라이드 검출 기구에 부설되며 상기 조작체의 회전축부 선단부와 대향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조작체를 가압시킴으로써 유지 케이스가 일체적으로 가압됨과 함께, 상기 푸쉬 스위치가 상기 회전축부의 선단부에 가압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장치 전체의 대형화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하면서,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에 추가로 가압 조작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그 때, 탄성 부재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또한, 유지 케이스에는 외주부에 그 압축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유지시키는 고리형 스프링 받이부가 상기 걸어 맞춤부와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가압 조작 후에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조작체 및 유지 케이스를 초기 위치까지 확실하게 밀어 올릴 수 있음과 함께, 그 압축 코일 스프링의 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부착 후의 탈락도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 고리형 스프링 받이부가 걸어 맞춤부에 의해 연결되어 유지 케이스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케이스와 스프링 받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걸어 맞춤부로 겸할 수 있음과 함께, 간단한 구성으로 스프링 받이부를 유지 케이스에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 검출 기구의 회전자부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회전자부 내측의 중공 부분에 상기 슬라이드 검출 기구를 배치시키면, 장치 전체가 콤팩트한 구성이 되어 소형화를 도모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조작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 시키는 유지 케이스와 회전 검출 기구의 회전자부를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 회전 조작시에 조작체 및 유지 케이스와 회전자부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회전 동작을 회전 검출 기구에 의해 순간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사용이 양호해진다. 또, 조작체와 회전자부의 회전량이 어긋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전 검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련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외관도, 도 2 는 입력 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입력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외관도, 도 4 는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입력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 은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7 은 도 6 과 상이한 위치에서 절단한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8 은 입력 장치에 이용된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9 는 구동 유닛을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입력 장치에 이용된 스위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스위치 유닛을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2 는 스위치 유닛의 기대에 스위치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은 입력 장치에 이용된 로터리 엔코더의 분해 사시도, 도 14 는 로터리 엔코더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5 는 입력 장치가 비조작 상태에 있을 때의 내부 구조 설명도, 도 16 은 입력 장치가 슬라이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도 1 ∼ 도 7 에 나타내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조작체 (1) 에 대하여 회전 조작과 4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과 가압 조작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입력 장치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하여 사용된다. 이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구동 유닛 (2) 과 로터리 엔코더 (3) 와 스위치 유닛 (4) 과 압축 코일 스프링 (5) 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체 (1) 는 구동 유닛 (2) 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외관은 거의 원주 형상이며, 조작체 (1) 가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 과 도 9 에 상세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 유닛 (2) 은 회전축부 (1a) 및 플랜지부 (1b) 를 갖는 조작체 (1) 와, 조작체 (1) 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제 1 유지 케이스 (6) 및 제 2 유지 케이스 (7) 와, 긴 구멍 (8a) 이 형성된 회전 전달 부재 (8) 와, 회전 전달 부재 (8) 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판 (9) 과, 플랜지부 (1b) 주위에 배치된 고리형 복귀 스프링 (1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체 (1) 는 합성 수지제이며, 회전축부 (1a) 의 상부와 하부는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의 서로 평행한 외측면을 갖는 비원주 형상부로 되어 있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부 (1a) 길이 방향 (축선방향) 의 거의 중앙의 원주 부분에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 (1b) 가 원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체 (1) 는 회전축부 (1a) 의 축심을 회전축선 (회전 중심선) 으로서 회전 가능함과 함께,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회전축선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체 (1) 는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2) 전체로서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부 (1a) 상단측의 비원주 형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노브를 압입 등에 의해 씌워 부착할 수 있고,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는 회전 전달 부재 (8) 의 긴 구멍 (8a)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 (1b) 는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사이에 이들 유지 케이스 (6, 7) 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 1 유지 케이스 (6) 와 제 2 유지 케이스 (7) 는 합성 수지제이며, 양 유지 케이스 (6, 7) 는 저판 (9) 과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유지 케이스 (6) 에는, 회전축부 (1a) 상단측의 비원주 형상부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중앙 개구 (6a) 와, 이면측에서 중앙 개구 (6a) 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고리형 돌제(突堤)부 (6b) 와, 원통 형상의 외벽부 (6c) 와, 외벽부 (6c) 외측면의 복수 지점에 돌출 형성된 빠짐 방지 훅 (6d) 과, 외벽부 (6c) 저면의 복수 지점에 수직으로 형성된 코킹 돌기 (6e) 가 형성되어 있고, 각 코킹 돌기 (6e) 가 제 2 유지 케이스 (7) 및 저판 (9) 을 관통하여 그 저판 (9) 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 제 1 유지 케이스 (6) 보다 큰 직경의 제 2 유지 케이스 (7) 에는,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를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중앙 개구 (7a) 와, 상면측에서 중앙 개구 (7a) 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고리형 돌제부 (7b) 와, 이면측에서 중앙 개구 (7a) 를 노출시키고 있는 정사각 형상의 오목 부분 (7c) 과, 상기 코킹 돌기 (6e) 를 삽입 통과시키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 (7e) 과, 각 삽입 통과 구멍 (7e)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세워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각 걸어 맞춤 돌기부 (7f) 를 포위하는 원통 형상의 외벽부 (7g)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2 유지 케이스 (7) 는 오목 부분 (7c) 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평행한 내벽을, 회전 전달 부재 (8) 의 일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벽 (7d) 으로 이루고 있음과 함께, 각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외벽부 (7g)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압축 코일 스프링 (5) 의 상단부를 유지시키는 스프링 받이부 (7h) 가 이루고 있다. 즉, 고리형 스프링 받이부 (7h) 가 걸어 맞춤부가 되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연결된 상태로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양 유지 케이스 (6, 7) 는 제 1 유지 케이스 (6) 의 천판 부분과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저판 부분 사이에 고리형 공간 (S) 이 형성되도록 조합되어 있고, 이 고리형 공간 (S) 에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와 고리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 (10) 이 배치되어 있다 (도 6, 도 7 참조). 그리고, 고리형 돌제부 (6b) 와 고리형 돌제부 (7b) 에 의해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음과 함께, 복귀 스프링 (10) 이 고리형 돌제부 (6b, 7b) 에 의해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플랜지부 (1b) 의 외주면에 탄성 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양 유지 케이스 (6, 7) 사이에서 플랜지부 (1b) 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 플랜지부 (1b) 가 복귀 스프링 (10) 을 이동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 (10) 에 탄성 반발력이 발생되게 된다.
회전 전달 부재 (8) 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 (8a) 이 개재되어 있음과 함께, 긴 구멍 (8a) 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돌조 (8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전달 부재 (8) 는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이면측에서 오목 부분 (7c) 내에 배치되어, 돌조 (8b) 를 저판 (9) 에 슬리이딩 접촉시킨 상태로 그 저판 (9) 상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 (8) 의 장변은 정사각 형상의 오목 부분 (7c) 의 한 변의 길이와 거의 동등하며, 단변은 가이드 벽 (7d)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이로써, 저판 (9) 상의 회전 전달 부재 (8) 가 오목 부분 (7c) 내에서 가이드 벽 (7d) 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 전달 부재 (8) 의 긴 구멍 (8a) 내에는,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가 회전 불가능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저판 (9) 은 개구 (9a) 를 갖는 거의 원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연부에는 복수 지점에 코킹 구멍 (9b) 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 (9a) 에는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가 헐겁게 삽입된다. 각 코킹 구멍 (9b) 에는 제 1 유지 케이스 (6) 의 코킹 돌기 (6e) 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저판 (9) 의 이면측에서 그 코킹 돌기 (6e) 를 코킹 고정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와 저판 (9) 이 위치 결정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 유닛 (2) 은 압축 코일 스프링 (5) 및 원 형상의 스프링 받이부재 (11) 를 개재하여 로터리 엔코더 (3) 에 유지되어 있다. 도 13 과 도 14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로터리 엔코더 (3) 는 통 형상체 (14) 의 이면측에 접동자 (15) 가 장착된 회전자부 (12) 와, 도전 패턴 (16) 이나 단자 (17) 가 형성되어 회전자부 (12)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고정자부 (13) 와, 원 형상의 클릭 스프링 (18) 과, 클릭 스프링 (18) 을 고정자부 (13) 에 고정시킨 고정 금구 (19)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가 회전자부 (12) 에 승강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자부 (12) 의 통 형상체 (14) 는 합성 수지제로서, 복수 지점에 오목 형상 노치 (14a) 나 세로 길이 슬릿 (14b) 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오목 형상 노치 (14a) 및 세로 길이 슬릿 (14b) 은, 구동 유닛 (2) 을 승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회전자부 (12) 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절결된 홈부 또는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체 (14) 의 하단부에는 플랜지 형상부 (1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 형상부 (14c) 의 상면측에는 전체 둘레 걸쳐 클릭 돌기 (12a) 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 형상부 (14c) 의 이면측에는 원 형상의 접동자 (15) 가 고착되어 있다. 고정자부 (13) 는 인서트 성형품으로서, 회전자부 (12) 의 통 형상체 (14) 내주면을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내측 원통부 (13a) 와, 단자 (17) 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외측 원통부 (13b) 와, 양 원통부 (13a, 13b) 사이에 노출되는 도전 패턴 (16) 과, 도전 패턴 (16) 으로부터 도출된 단자 (17) 를 갖고 있다. 또한, 내측 원통부 (13a) 는 중공 형상의 회전축인 통 형상체 (14) 를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베어링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 고정자부 (13) 의 양 원통부 (13a, 13b) 사이에 회전자부 (12) 의 플랜지 형상부 (14c) 가 삽입되어, 접동자 (15) 가 도전 패턴 (16) 에 탄성 접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자부 (13) 내측 원통부의 (13a) 내주면에는, 스위치 유닛 (4) 을 장착하기 위한 유지 돌기 (13c) 가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 원통부 (13b) 의 외주면에서부터 저면에 이르는 복수 지점에는, 고정 금구 (19) 의 레그 부재 (19a) 을 코킹시키기 위한 걸 어 맞춤 단부 (13d) 가 형성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 (18) 은 회전자부 (12) 의 통 형상체 (14) 에 외부 삽입되고, 그 플랜지 형상부 (14c) 상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금구 (19) 는 클릭 스프링 (18)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레그 부재 (19a) 을 걸어 맞춤 단부 (13d) 에 위치 맞춤시켜 코킹시킴으로써, 고정자부 (13) 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고정 금구 (19) 를 고정자부 (13) 에 코킹 고정시킴으로써, 외측 원통부 (13b) 상에 클릭 스프링 (18) 의 1 쌍의 이어부 (18a) 가 고정됨과 함께, 맞닿음부 (18b) 가 클릭 돌기 (12a) 와 이어지거나 떨어질 수 있게 탄성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엔코더 (3) 의 고정 금구 (19) 상에, 회전자부 (12) 의 통 형상체 (14) 에 외부 삽입된 스프링 받이부재 (11) 가 탑재되고, 이 스프링 받이부재 (11) 상에 통 형상체 (14) 에 외부 삽입된 압축 코일 스프링 (5) 이 탑재되어 있다. 또, 통 형상체 (14) 에 포위되는 공간을 덮개로 닫도록 구동 유닛 (2) 이 장착되어 있고, 압축 코일 스프링 (5) 의 상단부가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스프링 받이부 (7h) 에 유지되어 있다. 로터리 엔코더 (3) 에 대한 구동 유닛 (2) 의 장착 구조는,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각 걸어 맞춤 돌기부 (7f) 를 통 형상체 (14) 의 각 오목 형상 노치 (14a) 에 끼워 넣음과 함께, 제 1 유지 케이스 (6) 의 각 빠짐 방지 훅 (6d) 을 통 형상체 (14) 의 각 세로 길이 슬릿 (14b) 상단부에 거는 것이다. 이로써, 걸어 맞춤 돌기부 (7f) 가 오목 형상 노치 (14a) 에, 빠짐 방지 훅 (6d) 이 세로 길이 슬릿 (14b) 에 각각 안내되어,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는 회전자부 (12) 에 대해서 회전자부 (12) 의 회전축 선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해진다. 또,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인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오목 형상 노치 (14a) 는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는 회전자부 (12) 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 (2) 을 로터리 엔코더 (3) 에 장착할 때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5) 을 눌러 휘면서 각 걸어 맞춤 돌기부 (7f) 를 상방으로부터 각 오목 형상 노치 (14a) 내로 삽입해, 각 빠짐 방지 훅 (6d) 을 각 세로 길이 슬릿 (14b) 에 스냅인 시킬 수 있으면 된다. 이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 (5) 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빠짐 방지 훅 (6d) 이 대응하는 세로 길이 슬릿 (14b) 의 상단부에 걸어지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가 고정 상태로 통 형상체 (14) 에 장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 유닛 (4)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 도 12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 유닛 (4) 은 합성 수지제의 기대 (20) 와, 기대 (20) 상에 십자 형상의 배치로 4 개가 부착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인 푸쉬 스위치 (21) 와, 기대 (20) 상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 형상인 푸쉬 스위치 (22) 와, 이 푸쉬 스위치 (22) 상에 탑재된 스페이서 (23) 와, 기대 (20) 의 상부 평탄면 (20a) 상에 탑재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 (24) 와, 지지 부재 (24)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와,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외주부를 덮도록 하여 기대 (20) 에 장착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부착판 (2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 유닛 (4) 은 로터리 엔코더 (3) 의 내측 중공 부분에 배치 되고, 기대 (20) 가 고정자부 (13) 에 유지·고정되기 때문에, 스위치 유닛 (4) 의 바로 위에 구동 유닛 (2) 이 배치되게 된다.
고정 부재인 기대 (20) 에는, 슬라이드 검출용 각 푸쉬 스위치 (21) 및 가압 검출용 푸쉬 스위치 (22) 가 배치되는 십자 형상의 홈부 (20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20b) 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상부 평탄면 (20a) 에는, 기대 (20) 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 지점에 규제 돌기가 되는 규제 핀 (20c) 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기대 (20) 의 외주면에는 복수 지점에, 고정자부 (13) 의 유지 돌기 (13c) 를 끼워 넣기 위한 감입 오목부 (20d) 와, 장착판 (26) 의 레그 부재 (26a) 을 걸기 위한 걸기 돌기 (20e) 가 형성되어 있다. 기대 (20) 에 배설된 각 푸쉬 스위치 (21) 의 작동부 (21a) 는, 기대 (20)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가로 방향의 힘을 받으면 케이스체 (21b) 내로 몰입하여 접점 전환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고, 각 푸쉬 스위치 (21) 의 단자부 (21c) 는 기대 (20) 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기대 (20) 의 중앙부에 배설된 푸쉬 스위치 (22) 의 작동부 (22a) 는, 상방으로부터 스페이서 (23) 를 개재하여 가압됨으로써 접점 전환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고, 이 푸시 스위치 (22) 의 단자부 (22b) 나 기대 (20) 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 부재 (24) 에는, 스페이서 (23) 가 노출되는 중앙 개구 (24a) 와, 중앙 개구 (24a) 근방에 천공 형성되어 규제 핀 (20c) 이 삽입 통과되는 핀 삽입 통과 구멍 (24b) 과, 각 푸쉬 스위치 (21) 의 작동부 (21a) 와 대향하는 주연부의 4 지점을 절결하여 그 작동부 (21a) 를 노출시키는 절결 부분 (24c)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 (24) 의 중앙 개구 (24a) 에는 조작체 (1) 의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가 헐겁게 삽입되어, 그 회전축부 (1a) 의 하단부가 스페이서 (23) 를 개재하여 푸쉬 스위치 (22) 의 작동부 (22a) 를 가압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는 지지 부재 (24) 보다 작은 직경인 원판 형상의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서, 지지 부재 (24) 의 중앙 개구 (24a) 보다 작은 직경인 중앙 개구 (25a) 와, 중앙 개구 (25a) 의 직경 방향 양측에 천공 형성된 십자형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구멍 (25b) 과, 표리 양면 주연부의 복수 지점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 (25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 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중앙 개구 (25a) 에는 조작체 (1) 의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가이드부인 가이드 구멍 (25b) 에는 기대 (20) 의 규제 핀 (20c)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는 회전축부 (1a) 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함께, 그 이동 방향이 규제 핀 (20c) 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외주면은 4 개의 푸쉬 스위치 (21) 작동부 (21a) 와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되어 있고, 회전축부 (1a) 에 구동되어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 (21) 의 작동부 (21a) 가 그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외주면으로 눌려 그 푸쉬 스위치 (21) 가 온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단,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슬라이드 이동량은, 그 중앙 개구 (25a) 가 장착판 (26) 의 후술하는 중앙 개구 (26c) 로부 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6 과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는 표리 양면의 슬라이딩 돌기 (25c) 를 부착판 (26) 과 지지 부재 (24) 에 슬라이딩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덜커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히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착판 (26) 에는, 걸기 구멍 (26b) 이 천공 형성된 복수의 레그 부재 (26a) 과,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중앙 개구 (25a) 를 상시 노출시키는 중앙 개구 (26c) 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개구 (26c) 에는 조작체 (1) 의 회전축부 (1a) 하단측의 비원주 형상부가 헐겁게 삽입된다. 이 부착판 (26) 은 각 레그 부재 (26a) 의 걸기 구멍 (26b) 에 기대 (20) 의 걸기 돌기 (20e) 를 삽입하여 걺으로써,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높이 위치를 규정한 상태로 기대 (20) 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체 (1) 가 회전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전축부 (1a) 가 회전 전달 부재 (8) 의 긴 구멍 (8a) 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력이 부여된 조작체 (1) 와 일체적으로 회전 전달 부재 (8) 가 회전하고, 이 회전 전달 부재 (8) 가 가이드 벽 (7d) 을 개재하여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를 회전 구동시킨다. 또, 제 2 유지 케이스 (7) (걸어 맞춤 돌기부 (7f)) 는 로터리 엔코더 (3) 의 회전자부 (12) (오목 형상 노치 (14a)) 와 회전 불가능하게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결국, 회전자부 (12) 가 조작체 (1)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전 패턴 (16) 에 대한 접 동자 (15) 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체 (1) 의 회전 동작이 검출된다. 또한, 회전자부 (12) 의 회전시에는 클릭 스프링 (18) 의 맞닿음부 (18b) 가 클릭 돌기 (12a) 군과 이어지거나 떨어지기 때문에, 조작체 (1) 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자의 손가락에는 클릭감이 감지된다.
다음으로, 조작체 (1) 가 슬라이드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는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1a) 와 스위치 유닛 (4) 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 생략된 회전 전달 부재 (8) 의 긴 구멍 (8a) 은 같은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체 (1) 가 긴 구멍 (8a)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되면, 회전축부 (1a) 는 긴 구멍 (8a) 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 전달 부재 (8) 에는 슬라이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지만,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중앙 개구 (25a) 의 주연부가 회전축부 (1a) 에 구동되기 때문에, 이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가 조작체 (1) 와 동일한 방향 (도 15 의 상방 또는 하방) 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결과,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 (21) 의 작동부 (21a) 가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에 가압 구동되어, 그 푸쉬 스위치 (21) 가 온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체 (1) 가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는지가 검출된다. 또, 조작체 (1) 가 긴 구멍 (8a) 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전달 부재 (8) 는 회전축부 (1a) 에 구동되기 때문에, 제 2 유지 케이스 (7) 에 저해되지 않고 가이드 벽 (7d)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러므로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가 회전축부 (1a) 에 구동되어 조작체 (1) 와 동일한 방향 (도 15 의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 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 (21) 의 작동부 (21a) 가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에 가압 구동되고, 그 푸쉬 스위치 (21) 가 온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체 (1) 가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는지가 검출된다. 도, 이러한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가 고리형 복귀 스프링 (10) 을 신장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드 조작력이 제거되면, 복귀 스프링 (10)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조작체 (1) 는 원래의 위치까지 자동 복귀한다. 또한,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가이드 구멍 (25b) 을 따라 규제 핀 (20c) 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이동 방향을 규제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체 (1) 나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우려는 없다. 또한,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위치 규제하기 위해서, 슬릿 형상의 가이드 구멍 (25b) 대신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형상인 유저(有底)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에 기대 (20) 등의 고정 부재로 돌출 형성된 적절한 형상의 규제 핀을 걸어 맞추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조작체 (1) 가 가압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과 도 7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가압 조작된 조작체 (1) 는 압축 코일 스프링 (5) 을 눌러 휘면서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와 일체적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회전축부 (1a) 의 하단부가 스페이서 (23) 를 개재하여 중앙의 푸쉬 스위치 (22) 의 작동부 (22a) 를 가압 구동시킨다. 그 결과, 푸쉬 스위치 (22) 가 온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체 (1) 에 대한 가압 조작이 검출된다. 또, 이러 한 가압 조작력이 제거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 (5)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조작체 (1) 와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는 원래의 높이 위치까지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련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조작체 (1) 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와 로터리 엔코더 (3) 의 회전자부 (12) 가, 걸어 맞춤 돌기부 (7f) 를 오목 형상 노치 (14a) 에 끼워 넣음으로써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춰져 있어, 회전 조작시에 조작체 (1) 와 양 유지 케이스 (6, 7) 와 회전자부 (12)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 (1) 의 회전 동작을 로터리 엔코더 (3) 에 의해 순간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그러므로 사용이 양호해진다. 또, 조작체 (1) 와 회전자부 (12) 의 회전량이 어긋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전 검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양 유지 케이스 (6, 7) 와 회전자부 (12) 의 걸어 맞춤 구조는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여, 예를 들어, 회전자부 (12) 측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유지 케이스 (6, 7) 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요철 관계가 본 실시형태예와는 반대이어도 된다.
또, 이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구동 유닛 (2) 에는, 회전축부 (1a) 및 가이드 벽 (7d) 과 걸어 맞춰 회전 조작시에 조작체 (1) 와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전달 부재 (8) 가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 전달 부재 (8) 는 조작체 (1)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가이드 벽 (7d) 을 따라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양 유지 케이스 (6, 7) 에 의해 슬 라이드 조작이 저해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조작체 (1) 및 양 유지 케이스 (6, 7) 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링크 부재로서 회전 전달 부재 (8) 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간소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조가 실현되어 있다.
또, 이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가 고리형 돌제부 (6b, 7b) 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음과 함께, 고리형 돌제부 (7b) 이면측의 오목 부분 (7c) 에 회전 전달 부재 (8) 를 배치시키고 플랜지 (1b) 와의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 (1) 를 원활히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와 같이, 별체의 제 1 유지 케이스 (6) 와 제 2 유지 케이스 (7) 를 조합하여, 양 유지 케이스 (6, 7) 사이의 고리형 공간 (S) 에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와 고리형 복귀 스프링 (10) 을 배치시킨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조작체 (1) 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복귀 스프링 (10) 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원하는 유지 케이스를 저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련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 (6, 7)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부 (12) 내측의 중공 부분에 스위치 유닛 (4) 을 배치시키고, 그 기대 (20) 를 고정자부 (13) 에서 유지·고정시킨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유닛 (2) 을 유지시키는 로터리 엔코더 (3) 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드 조작이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유닛 (4) 이 장착되어 있으면,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 조작형 입 력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기 쉬워진다. 또, 장치 전체를 모듈품으로서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실장 전의 취급성 및 실장시의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 이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체 (1) 의 회전축부 (1a) 가 스위치 유닛 (4) 의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중앙 개구 (25a) 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어,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체 (1) 와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에 의해 푸쉬 스위치 (21) 의 접점 전환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간소화할 수 있고, 슬라이드 검출의 신뢰성을 높이기 쉽다.
또, 본 실시형태예와 같이 슬라이드 조작이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기구가 유닛화되어 있고, 그 유닛품 (스위치 유닛 (4)) 이 로터리 엔코더 (3) 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면, 그 유닛품의 버라이어티를 증가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스위치 유닛 (4) 에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대신에 도 17 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 (30) 를 장착해 두면, 조작체 (1) 의 슬라이드 검출 방향을 증가시켜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즉, 조작체 (1) 의 회전축부 (1a) 를 도 17 의 상하 좌우 어느 하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경우에는, 전술한 슬라이드 조작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푸쉬 스위치 (21) 가 슬라이드 전달 부재 (30) 를 개재하여 개별적으로 온 동작되지만, 회전축부 (1a) 를 도 17 의 비스듬히 상방 또는 비스듬한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도 18 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방향 근방에 위치하 는 2 개의 푸쉬 스위치 (21) 가 슬라이드 전달 부재 (30) 를 개재하여 모두 온 동작된다. 따라서, 4 개의 푸쉬 스위치 (21) 중, 어느 1 개 또는 2 개가 온 동작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조작체 (1) 의 8 방향 슬라이드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7 과 도 18에 있어서, 부호 30a 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 (30) 의 중앙 개구, 30b 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 (30) 의 표리 양면의 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고리형의 슬라이딩 돌기부로서, 도 15 와 도 16 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구동 유닛 (2) 과 로터리 엔코더 (3)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5) 이 개재되어 있음과 함께, 스위치 유닛 (4) 의 기대 (20) 에 회전축부 (1a) 에 의해 가압 구동 가능한 푸쉬 스위치 (22)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대형화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하면서, 회전 조작과 슬라이드 조작에 추가로 가압 조작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게다가, 가압 조작시에 복귀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5) 은 제 2 유지 케이스 (7) 의 스프링 받이부 (7h) 와 고정자부 (13) 상의 스프링 받이부재 (11)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부착 후의 탈락도 방지하기 쉽다. 또한, 고리형 스프링 받이부 (7h) 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 케이스 (7) 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케이스 (7) 에 스프링 받이부 (7h) 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를 걸어 맞춤 돌기부 (7f) 와 겸할 수 있음과 함께, 양자가 동일 부재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밀도로 스프링 받이부 (7h) 를 유지 케이스 (7) 에 형성할 수 있다. 또, 푸쉬 스위치 (22) 가 슬라이드 검출용 각 푸쉬 스위치 (21) 의 장착 위치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도 없다.
단, 조작체의 가압 조작이 불필요한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조작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유지 케이스를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자부에 승강 불가능하게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춤과 함께,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가압 검출용 푸쉬 스위치 등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 때, 조작체 (1) 와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걸어 맞춤 관계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의 상면 중앙부에 비원주 형상의 돌기를 돌출시켜, 조작체 (1) 의 플랜지부 (1b) 중앙부에 그 돌기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조작체 (1) 의 슬라이드 이동을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 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검출 기구로서, 복수의 스위치 소자 (푸쉬 스위치 (21)) 를 구비한 스위치 유닛 (4) 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유닛 대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1 쌍의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고, 이로써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자기식이나 광학식의 슬라이드 검출 기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련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 는, 그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그 입력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4 는, 그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그 입력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그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과 상이한 위치에서 단면한 그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그 입력 장치에 이용된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그 구동 유닛을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그 입력 장치에 이용된 스위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그 스위치 유닛을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그 스위치 유닛의 기대에 스위치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그 입력 장치에 이용된 로터리 엔코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는, 그 로터리 엔코더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는, 그 입력 장치가 비조작 상태에 있을 때의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도 16 은, 그 입력 장치가 슬라이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도 17 은, 스위치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비조작 상태의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조작 상태의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작체
1a 회전축부
1b 플랜지부
2 구동 유닛
3 로터리 엔코더
4 스위치 유닛
5 압축 코일 스프링
6 제 1 유지 케이스
6a 중앙 개구 (제 1 개구)
6b 고리형 돌제부
6d 빠짐 방지 훅
7 제 2 유지 케이스
7a 중앙 개구 (제 2 개구)
7b 고리형 돌제부
7c 오목 부분 (공간)
7d 가이드벽
7f 걸어 맞춤 돌기부 (걸어 맞춤부)
7h 스프링 받이부
8 회전 전달 부재
8a 긴 구멍
9 저판
10 복귀 스프링
11 스프링 받이부재
12 회전자부
13 고정자부
14 통 형상체
14a 오목 형상 노치
14b 세로 길이 슬릿
15 접동자
18 클릭 스프링
19 고정 금구
20 기대 (고정 부재)
20c 규제 핀 (규제 돌기)
21 (슬라이드 검출용) 푸쉬 스위치
22 (가압 검출용) 푸쉬 스위치
24 지지 부재
25, 30 슬라이드 전달 부재
25a 중앙 개구
25b 가이드 구멍 (가이드부)
26 부착판
S 고리형 공간

Claims (11)

  1. 회전 가능하고, 또한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킴과 함께 상기 조작체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유지 케이스와,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동작을 검출하는 슬라이드 검출 기구와, 회전자부와 이 회전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자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의 회전 동작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조작체를 유지시키는 부위의 직경 방향 외측에 상기 회전자부와 요철 형상으로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체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유지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부가 상기 걸어 맞춤부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회전축부에 형성된 비원주 형상부를 삽입 통과시켜 걸어 맞추는 긴 구멍이 형성된 회전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른 경우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그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슬라이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긴 구멍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체 의 슬라이드 구동력이 상기 회전 전달 부재에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가 상기 가이드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작체의 회전 동작시에는, 상기 회전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벽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 됨으로써, 상기 회전 전달 부재 및 상기 유지 케이스가 상기 조작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주위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단측을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제 1 개구와 타단측을 반대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개구의 주연 부분과 상기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시키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개구의 주연 부분 중 제 2 개구를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공간을 향하는 벽면에 상기 가이드벽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상기 회전 전달 부재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케이스가, 상기 제 1 개구가 형성된 제 1 유지 케이스와, 상기 제 2 개구가 형성된 제 2 유지 케이스를 갖고, 상기 양 개구의 주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케이스가 고리형 공간을 가지며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고리형 공 간에 상기 플랜지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검출 기구가,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접점 전환이 실시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조작체와 걸어 맞추는 슬라이드 전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체로 구동되어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 소자의 접점 전환이 실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조작체의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개구의 주연부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검출 기구의 구성 요소인 고정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에 형성된 슬릿 형상 또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에 걸어 맞춰져서 상기 슬라이드 전달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케이스와 상기 고정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지 케이스를 승강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검출 기구에 부설되며 상기 조작체의 회전축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를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유지 케이스가 일체적으로 가압됨과 함께, 상기 푸쉬 스위치가 상기 회전축부의 선단부에 가압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또한, 상기 유지 케이스에는 외주부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유지시키는 고리형 스프링 받이부가 상기 걸어 맞춤부와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자부 내측의 중공 부분에 상기 슬라이드 검출 기구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와 상기 고정자부는, 어느 일방에 접동자를 형성하고, 어느 타방에 그 접동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전 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1020080003464A 2007-01-11 2008-01-11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20080066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3718 2007-01-11
JP2007003718A JP4832317B2 (ja) 2007-01-11 2007-01-11 複合操作型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10A true KR20080066610A (ko) 2008-07-16

Family

ID=3969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464A KR20080066610A (ko) 2007-01-11 2008-01-11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32317B2 (ko)
KR (1) KR20080066610A (ko)
CN (1) CN101236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7742A1 (en) * 2009-06-25 2010-12-29 Delphi Technologies, Inc. Roof switch assembly
CN101728111B (zh) * 2009-12-04 2012-06-20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多功能控制器、控制系统及汽车
JP5394315B2 (ja) * 2010-05-11 2014-0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CN106935430B (zh) * 2017-03-06 2019-02-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按键模组及应用该按键模组的电子装置
CN111668057A (zh) * 2020-06-29 2020-09-15 深圳市致尚科技股份有限公司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CN111668056A (zh) 2020-06-29 2020-09-15 深圳市致尚科技股份有限公司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098B2 (ja) * 1993-06-23 1999-08-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3219353B2 (ja) * 1994-08-26 2001-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スイッチ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JP3744643B2 (ja) * 1997-03-27 2006-0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3725389B2 (ja) * 2000-02-10 2005-12-07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07599A (ja) * 2000-02-15 2001-11-02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1325859A (ja) *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4144242B2 (ja) * 2002-04-16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814280B2 (ja) * 2004-04-23 2006-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5317377A (ja) * 2004-04-28 2005-11-10 Calsonic Kansei Corp 複合操作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1679A (ja) 2008-07-24
CN101236853A (zh) 2008-08-06
CN101236853B (zh) 2011-01-05
JP4832317B2 (ja)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6601A (ko)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20080066610A (ko)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100392822B1 (ko) 복합 조작스위치
JP4353964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883945B1 (ko) 회전 조작형 전기 부품
EP2676283B1 (en) Rotary switch with push function
JP200628645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219988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62430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8027843A (ja) スイッチ装置
KR100453998B1 (ko) 스위치장치
JP2000260264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CN1476030A (zh) 多方向输入装置
JP3296673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507290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JP2002170461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2001184980A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JP2005056766A (ja) 操作つまみのロック機構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10157388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9117209A (ja) 複合スイッチ
JP2005183135A (ja) 複合型回転式電子部品及び二段押圧型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0260262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3920567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4325727B1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