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267A - 콤바인의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267A
KR20080065267A KR1020080062319A KR20080062319A KR20080065267A KR 20080065267 A KR20080065267 A KR 20080065267A KR 1020080062319 A KR1020080062319 A KR 1020080062319A KR 20080062319 A KR20080062319 A KR 20080062319A KR 20080065267 A KR20080065267 A KR 2008006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upper case
barrel
gra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302B1 (ko
Inventor
마사요시 나까따니
쥰이찌 미나미노
데쯔지 나가따
하지메 마쯔시따
신지 고따니
신 히라따
마사유끼 다까기
마사유끼 호리우찌
쥰이찌 마루야마
요시끼 히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24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432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2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162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2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88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57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888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6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7Vibratory thres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회전통(36) 및 그 주변의 구조를 고안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32)나 배진구(26)에 처리물을 균등하고 또한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고,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탈곡 장치(4)가 제공된다. 이 탈곡 장치(1)에서는 탈곡실(17)의 송진구(26)로부터의 처리물을 상기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하기 위해, 처리물 반송 방향에 직교한 축심(P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부착된 회전통(36)이 설치된다. 회전통(36)의 상방에 개구가 있는 안내 부재(121)가 설치되거나(도3, 도21, 도27, 도28 참조), 또는 제1 체 부재(122)가 요동 선별 장치(32)에 설치되어 이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회전통(36)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다(도3, 도19 참조).
Figure P1020080062319
탈곡 장치, 회전통, 요동 선별 장치, 피드 체인, 탈곡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 장치{THRESHING APPARATUS OF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탈곡실의 송진구(送塵口)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회전통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386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실의 송진구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확산 치를 구비한 회전통을 설치한 탈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탈곡 장치에서는 탈곡실의 송진구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확산 치를 구비한 회전통을 설치함으로써, 취급 잔재나, 걸림 손실(회전 탈곡통에 권취된 처리물의 근원이 겨에 박힌 상태에서, 탈곡실로부터 배출되게 되는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3861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225560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1524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5128호 공보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8호 공보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1375호 공보
그러나,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탈곡통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모인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쳐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 반송 하방측으로 공급되면, 확산 치를 구비한 회전통에는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 치우쳐 회전통에 공급된 처리물이 그대로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排塵口)에 치우쳐 공급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요동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나, 배진구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소위 3번 손실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통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이 회전통에 의해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 치우쳐 공급된 처리물을 풀어 처리하면서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되도록 구성하고,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처리물을 균등하게 공급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회전통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해도 회전통에 구비한 스크류 블레이드만으로는 회전통의 외주부에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저항이 되는 것이 없어, 반송 능력이 낮은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반송 능력을 높게 하기 위해, 통상의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이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외주부를 통형의 부재로 덮으면, 이 통형의 부재가 과도한 저항이 되고, 반송 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으로 지나치게 반송되는 등의 문제나, 처리 물이 회전통의 외주부에서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회전통 및 그 주변의 구조를 고안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처리물을 균등하고 또한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고,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통 및 그 주변의 구조를 고안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처리물을 균등하고 또한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고,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은, 처리물 반송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탈곡통을 갖는 탈곡실과, 상기 처리물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실의 횡일측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피드 체인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의 처리물을 상기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하기 위해, 상기 처리물 반송 방향에 직교한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부착된 회전통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통의 상방에 안내 부재가 설치되고, 이 안내 부재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회전통의 외주부 상측에 안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이 안내 부재가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에 의해 탈곡실의 배진구로부터의 처리물을 풀어 처리하면서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저항이 되고,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부재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안내 부재가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과도한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탈곡통에 의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을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공급할 수 있고, 요동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배진구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3번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안내 부재가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과도한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처리물이 회전통의 외주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처리물을 균등하고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예를 들어 복수의 봉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다공부를 갖는 판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탈곡통을 갖는 탈곡실과, 상기 탈곡통으로 처리물을 반송하기 위해 상기 탈곡실의 일횡측방에 연장 설치되는 피드 체인을 구비한 탈 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의 처리물을 상기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한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부착된 회전통이 설치되고, 또한
제1 체 부재가 상기 탈곡실의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에 설치되고, 이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통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탈곡실의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제1 체 부재를 회전통의 하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체 부재가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에 의해 탈곡실의 배진구로부터의 처리물을 풀어 처리하면서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저항이 되고,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 또는 간극에 의해, 체 부재가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과도한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탈곡통에 의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을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공급할 수 있고, 요동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배진구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3번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체 부재가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때의 과도한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주부에 스크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통의 반송 능력 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처리물이 회전통의 외주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처리물을 균등하고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부가하여, 이하의 특징 구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가 상기 탈곡실의 하방에 설치되어 탈곡실로부터 낙하하는 처리물을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하는 전방부 그레인 팬 및 후방부 그레인 팬과, 이들 그레인 팬으로부터의 처리물을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하는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부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상기 제1 체 부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부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제2 체 부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체 부재가 상기 전방부 그레인 팬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처리물 반송 방향의 하방측을 향해 외팔보형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종래의 선별부 구조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2255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제2 체 부재의 일 예인 체 선을 설치하고,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촉진하여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선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탈곡 장치의 선별부 구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1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설치한 제2 체 부재의 일 예인 체 선을 상하로 요동시킴으로 써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촉진하여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선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탈곡 장치의 선별부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2255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체 선을 설치하고, 이 체 선에 의해 그레인 팬으로부터 채프 시브로 낙하하는 처리물의 덩어리를 풀거나, 또는 처리물을 상방으로 도약시켜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1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설치한 체 선을 상하로 요동시키면, 체 선을 고정한 경우에 비해 처리물의 덩어리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거나, 또는 처리물을 상방으로 높게 도약시킬 수 있어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더 촉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1524호 공보에 기재된 체 선과 같이, 아암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요동 선별 장치와 체 선을 연동시킴으로써 체 선을 상하로 요동시키면, 롤러가 요동 선별 장치의 요동에 대해 규칙적으로 전후로 움직이고, 체 선이 일정한 속도로 요동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처리물의 양이 증감한 경우에는 체 선에 의한 선별 효율에 차이가 생겼던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체 선을 빠르고 불규칙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면, 처리물의 덩어리를 더 효율적으로 풀 수 있고, 처리물을 더 상방으로 높게 도약시킬 수 있어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상기 특징 구성에 따르면,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제2 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가 요동하고, 그레인 팬의 종단부에 처리물 이 공급되면 그 처리물이 제2 체 부재에 닿는다. 처리물이 이 체 부재에 닿으면, 처리물의 덩어리를 풀 수 있고, 또한 처리물을 상방으로 도약시킬 수 있어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2 체 부재를 그레인 팬의 종단부로부터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을 향해 외팔보형으로 연장하고, 이 체 부재를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가 요동하면,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을 향해 외팔보형으로 연장된 제2 체 부재는 그레인 팬의 종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부재로 구성한 체 부재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하로 요동한다. 그렇게 하면, 요동 선별 장치의 요동에 부가하여, 제2 체 부재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이 체 부재에 작용하여 체 부재를 빠르고 또한 불규칙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체 부재를 그레인 팬의 종단부로부터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을 향해 외팔보형으로 연장하고, 이 체 부재를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체 선과 같이 아암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요동시키는 구조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회전 팬으로부터 그레인 팬의 종단부를 향해 선별풍이 공급되면, 자중이 무거운 곡물 입자는 낙하하고, 자중이 가벼운 겨 부스러기는 이 선별풍을 타고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공급된다. 그로 인해,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체 부재를 빠르고 불규칙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물의 덩어리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고, 처리물을 상방으로 높게 도약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로 인해,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분리를 더 촉진할 수 있어,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아암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요동시키는 구조가 불필요해지므로, 체 부재를 요동시키는 구조를 간소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부품 개수가 적어져 제조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탈곡통이 전방부 탈곡통과, 이 전방부 탈곡통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후방부 탈곡통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과 상기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이 대략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고,
상기 탈곡통의 하방에 이 탈곡통에 의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을 흘려 내리는 수용망이 설치되고, 이 수용망의 반송 하방측 단부가 상기 전방부 탈곡통 및 후방부 탈곡통의 경계부 하방에 위치한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51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통을 전방부 탈곡통과 후방부 탈곡통으로 분할하고, 후방부 탈곡통을 전방부 탈곡통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탈곡 장치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실의 송진구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회전통을 설치한 탈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512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부 탈곡통을 전방부 탈곡통보다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회전통을 설치함으로써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탈곡통을 분할하여 후방부 탈곡통을 전방부 탈곡통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많이 모이고,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쳐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 반송 하방측으로 공급된다. 그렇게 하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실의 송진구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회전통을 설치해도 이 회전통에는 처리물을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쳐 탈곡실의 송진구로부터 회전통으로 공급된 처리물이 그대로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로 치우쳐 공급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요동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나, 배진구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소위 3번 손실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공급할 수 있으면, 상술한 요동 선별 장치나 탈곡실의 송진구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회전통의 구조를 고안함으로써,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탈곡통을, 후방부 탈곡통의 회전 속도를 전방부 탈곡통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반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은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많이 모인다. 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많이 모인 처리물은 탈곡실의 송진구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구비한 회전통에 공급되고, 이 회전통의 외주부에 구비한 스크류 블레이드에 의해 풀어 처리되면서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된다. 즉,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많이 모인 처리물을 회전통의 외주부에 구비한 스크류 블레이드에 의해 피드 체인측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공급할 수 있다.
그때, 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과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을 동일한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을 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에 비해, 후방부 탈곡통의 외주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후방부 탈곡통의 외주에 많은 탈곡용 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이 소직경인 경우에는 후방부 탈곡통에 볏짚이 권취되기 쉽지만, 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과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을 동일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후방부 탈곡통의 통 직경을 크게 설정할 수 있어, 후방부 탈곡통으로의 볏짚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탈곡통에 의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을 흘려 내리는 수용망을 탈곡통의 하방에 구비하고, 수용망의 반송 하방측 단부가 전방부 탈곡통과 후방부 탈곡통의 경계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수용망을 구성함으로써, 후방부 탈곡통의 하방에 수용망이 없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피드 체인에 의해 공급된 곡간의 끝은 후방부 탈곡통의 하방에 형성된 수용망이 없는 공간에서 하방으로 드리워지고, 이 하방에 드리워진 상태의 곡간의 끝을 후방부 탈곡통에서 훑어 처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후방부 탈곡통에 의해 곡간의 끝을 크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요동 선별 장치나 배진구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후방부 탈곡통이나 회전통의 풀기 처리에 의해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요동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배진구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3번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탈곡통의 외주부에 많은 탈곡용 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탈곡용 치를 많이 설치하여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탈곡통에 의해 곡간의 끝을 크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탈곡실이 상기 탈곡통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와, 상기 탈곡통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망을 구비한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 상기 탈곡통이 상기 수용망에 근접하는 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통이 상기 수용망으로부터 이격되는 유지 보수 위치 사이에서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작업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저지하는 고정 상태와 상기 작업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수단과, 이 고정 수단을 절환 구동하는 절환 구동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 은,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종래의 탈곡 장치의 개폐 구조로서는, 상부 구조체(상부 케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장비한 한 쌍의 로크 레버나, 주구조체(하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한 한 쌍의 로크 핀 등으로부터 각 로크 레버의 훅부가 대응하는 로크 핀에 결합함으로써 상부 구조체를 하강 폐쇄 위치(작업 위치)에 로크하고, 각 로크 레버의 훅부가 대응하는 로크 핀과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부 구조체의 하강 폐쇄 위치에서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로크 기구(고정 수단)를 구비하고, 그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조작을, 한 쌍의 로크 레버를 연결하는 핸들 레버를 이용한 인위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0137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수용망과 탈곡통 사이에 형성되는 탈곡 경로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막힘이 발생하면, 그 막힘에 기인하여 훅부와 로크 핀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문제점이 파생되고, 이들 결합 해제를 인위 조작으로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 해제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 결과, 상부 케이스를 유지 보수 위치에 개방 조작한 경우에 가능해지고, 탈곡 경로에서의 곡간 막힘에 대한 대처가 지연되게 되어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탈곡 경로에서 곡간 막힘이 생긴 경우라도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탈곡 경로에서의 곡간 막힘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징 구성에 따르면, 수용망과 탈곡통 사이에 형성되는 탈곡 경로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막힘이 발생하고, 그 막힘에 기인하여 고정 수단에 의한 상 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이 견고해졌다고 해도, 고정 수단의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의 절환을 절환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의 개방 조작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경로에서의 곡간 막힘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방이며 상기 처리물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케이스보다도 하방 위치에 볏짚 배출 반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볏짚 배출 반송 경로를 우회하면서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서 연장하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상태와, 그 연결을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연결 수단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상기 연결 수단이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상기 연결 수단이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고정 수단을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절환하여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저지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연결 수단이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되어 하부 케이스의 지지 프레임과 상부 케이스의 프레임을 연결하고,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를 하부 케이스의 지지 프레임뿐만 아니라, 그 지지 프레임과 상부 케이스의 프레임으로 지지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 수단을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하여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허용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연결 수단이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되고, 하부 케이스의 지지 프레임과 상부 케이스의 프레임과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허용하게 된다.
즉, 고정 수단에 의해 상부 케이스를 작업 위치에 고정한 경우에는 연결 수단을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를 하부 케이스의 지지 프레임과 상부 케이스의 프레임에 의해 보다 높은 지지 강도로 보다 안정성 좋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허용한 경우에는 연결 수단을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아, 연결 수단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지지 프레임과 상부 케이스의 프레임과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고,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수단을 절환 구동하는 전용의 절환 구동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상부 케이스를 개폐 조작할 때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부 케이스를 작업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 시나 이동 시에 있어서의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지지 강도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1에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이, 도2에는 그 전체 평면이 도시되어 있고, 이 콤바인은 각진 파이프재 등에 의해 프레임형으로 형성한 차체 프레임(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를 배치하고, 차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예취 반송 장치(3)를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1)의 좌측 절반부에 탈곡 장치(4)를 탑재하고, 탈곡 장치(4)의 후방부에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와 볏짚 배출 세단 장치(6)를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1)의 우측 후방부에 곡물 입자 탱크(7)를 탑재하고, 곡물 입자 탱크(7)에 스크류 반송식 곡물 입자 배출 장치(8)를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의 우측 전방부에 엔진(9)을 탑재하는 동시에 탑승 운전부를 형성하는 캐빈(10)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좌우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엔진(9)으로부터 주변속 장치나 부변속 장치 등을 거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구동되고,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주변속 레버나 부변속 레버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변속되고, 그 구동 상태에서는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십자(十字) 요동식으로 중립 복귀형의 조종 레버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이들이 등속 구동되는 직진 상태와, 이들이 차동하는 선회 주행 상태로 절환된다.
예취 반송 장치(3)는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이 주변속 장치나 예취 클러치 등을 거쳐서 전달되고,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예취 클러치가 단속 조작됨으로써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절환되고, 그 작동 상태에서는 차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예취 대상이 되는 소정 조 수의 식립 곡간을 분초하여 일으키는 동시에, 이들 줄기 밑동측을 절단하여, 절단 후의 식립 곡간(처리물의 일 예)을 기립 자세로부터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의 탈곡 장치(4)를 향해 반송한다. 또한, 조종 레버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예취 승강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승강한다.
탈곡 장치(4)는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이 탈곡 클러치 등을 거쳐서 전달되고,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탈곡 클러치 레버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탈곡 클러치가 단속 조작됨으로써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절환되고, 그 작동 상태에서는 예취 반송 장치(3)로부터 예취 곡간을 수취하여 그 예취 곡간의 끝측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면서 후방의 볏짚 배출 반송 장치(5)를 향해 반송하고, 그 탈곡 처리에서 얻게 된 처리물에 대해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그 선별 처리에 의해 1번물로서 선별된 단립화 곡물 입자를 곡물 입자 탱크(6)에 공급하고, 2번물로서 선별된 지경(枝梗)이 달린 곡물 입자 등의 미탈곡물 입자에 대해서는 다시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3번물로서 선별된 절삭 볏짚이나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는 차 밖으로 배출한다.
볏짚 배출 반송 장치(5)는 탈곡 장치(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고, 그 구동 상태에서는 탈곡 장치(4)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볏짚 배출)을 수취하고, 볏짚 배출 세단 장치(6)의 상방을 향해 반송한다. 볏짚 배출 세단 장치(6)는 탈곡 장치(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어, 볏짚 배출 세단 장치(6)로부터의 볏짚 배출을 그대로 차체 후방으로 안내하여 차 밖으로 방출하는 긴 볏짚 방출 상태와, 세단 처리를 실시하여 차 밖으로 방출하는 세단 방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물 입자 배출 장치(8)는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이 배출 클러치 등을 거쳐서 전달되어,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배출 스위치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배출 클러치가 단속 조작됨으로써 곡물 입자 탱크(7)에 저류한 단립화 곡물 입자를 차 밖으로 배출하는 작동 상태와 정지 상태로 절환된다. 또한,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승강 스위치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배출 승강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배출통(8A)(도1 및 도2 참조)이 승강 요동하고,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선회 스위치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배출 선회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배출통(8A)이 선회하고, 따라서 곡물 입자 탱크(7)에 저류한 단립화 곡물 입자를 트랙의 짐받이 등의 원하는 배출 위치에 배출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는 차체 프레임(1)에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11)와, 그 하부 케이스(11)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12)로 형성되는 처리 공간에 탈곡부(13)와, 선별부(14)와, 회수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13)는 하부 케이스(11)의 좌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설한 수용망(16)과 상부 케이스(12)로 탈곡실(17)이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2)에 구비한 탈곡통(18)과 수용망(16) 사이에 탈곡 경로(19)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1)의 좌측 단부 상부에 배치한 피드 체인(하측 반송체의 일 예)(20)과, 상부 케이스(12)의 좌측 단부 하부에 배치한 끼움 지지 레일(상측 반송체의 일 예)(21)에서 예취 곡간의 끝측이 탈곡 경로(19)를 통하도록 예취 곡간의 줄기 밑동측을 후방을 향해 끼움 지지 반송하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가 구성되어 있다.
수용망(16)은 탈곡통(18)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탈곡통(18)의 주위 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구성된 격자형의 오목한 수용망이며, 그 전방 단부가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구비된 원호형의 지지 프레임(23)에 탈곡통(18)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후방 단부가 하부 케이스(11)의 보조 벽(11B)에 구비된 원호형의 지지 프레임(24)에 탈곡통(18)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 케이스(1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고 전후의 지지 프레임(23, 24)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케이스(11)에 대해 그 좌측 단부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은 상부 케이스(12)의 전방 벽(12A)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고, 하부 케이스(11)의 보조 벽(11B)은 상부 케이스(12)의 후방 벽(12B)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통(18)은 상부 케이스(12)의 전방 벽(12A)과 후방 벽(12B)에 걸쳐서 전 후 배향으로 가설한 지지축(25)에 전방부 탈곡통(18A)과 후방부 탈곡통(18B)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 구성한 전후 2분할 구조이고, 전방부 탈곡통(18A)과 후방부 탈곡통(18B)이 지지축(25)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이들 외주부에 구비한 복수의 탈곡용 치(18a, 18b)에서 탈곡 경로(19)로 반송된 예취 곡간의 끝측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면서 그 탈곡 처리에서 얻게 된 처리물을 수용망(16)으로부터 선별부(14)를 향해 흘려 내리고, 수용망(16)으로부터 흘려 내려가지 않았던 처리물을 후방측의 지지 프레임(24)의 바닥부에 형성한 송진구(26)로부터 선별부(14)를 향해 배출한다.
전방부 탈곡통(18A)은 그 전방 단부에 일체 장비한 입력 풀리(27)에 탈곡 클러치를 거쳐서 탈곡 장치(4)로 전달된 엔진 동력이 제1 전동 벨트(28) 등을 거쳐서 분배 공급됨으로써 지지축(25)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부 탈곡통(18B)보다도 느린 속도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방부 탈곡통(18B)은 그 후방 단부에 일체 장비한 입력 풀리(29)에 제1 전동 벨트(28)에서 분배된 엔진 동력이 전후 배향의 전동축(30)이나 제2 전동 벨트(31) 등을 거쳐서 전달됨으로써 지지축(25)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부 탈곡통(18A)보다도 빠른 속도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별부(14)는 조 선별부로서의 채프 시브(chaff sieve)(32A)와 그레인 시브(32B)로서의 그레인 시브(grain sieve)를 상하에 구비한 요동 선별 장치(32), 선별풍을 일으키는 주 키질 팬(main winnowing fan)(33)과 제1 부 키질 팬(34)과 제2 부 키질 팬(35), 송진구(26)로부터의 처리물 등에 작용하는 확산통으로서의 회전 통(36) 및 선별풍으로 흩뜨려진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흡인하여 차 밖으로 배출하는 배진 팬(3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에는 탈곡 클러치를 거쳐서 탈곡 장치(4)로 전달된 엔진 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전동 벨트 등을 거쳐서 분배 공급되어 있다.
요동 선별 장치(32)는 분배 동력으로 요동 구동됨으로써 채프 시브(32A)가 탈곡부(13)의 수용망(16)으로부터 흘려 내려진 처리물이나 송진구(26)로부터 반출된 처리물에 대해 체로 쳐서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이들 처리물 중 단립화 곡물 입자가나 미탈곡물 입자 등은 흘려 내리면서 절삭 볏짚이나 겨 부스러기 등을 하부 프레임(11)의 후방 벽(11C)에 형성한 배진구(11a)를 향해 이송하고, 배진구(11a)로부터 차 밖으로 배출한다. 또한, 그레인 시브(32B)가 채프 시브(32A)로부터 흘려 내려진 단립화 곡물 입자가나 미탈곡물 입자 등에 체로 쳐서 선별을 실시하고, 단립화 곡물 입자를 흘려 내리면서 미탈곡물 입자 등을 후방(선별 처리 방향 하방측)을 향해 이송한다.
주 키질 팬(33)은 분배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그레인 시브(32B)의 전방 하방으로부터 배진구(11a)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일으키고, 채프 시브(32A)로부터의 처리물에 포함된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배진구(11a)를 향해 풍력 반송한다.
제1 부 키질 팬(33)은 분배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채프 시브(32A)의 전방부 하방으로부터 배진구(11a)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일으키고, 수용망(16)으로부터의 처리물에 포함된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배진구(11a)를 향해 풍력 반 송한다.
제2 부 키질 팬(35)은 분배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그레인 시브(32B)의 후방부 하방으로부터 배진구(11a)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일으키고, 채프 시브(32A)의 후방부로부터의 처리물에 포함된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배진구(11a)를 향해 풍력 반송한다.
회전통(36)은 분배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송진구(26)로부터 채프 시브(32A)로 배출된 처리물 등을 풀고, 그 처리물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물 입자가나 미탈곡물 입자 등의 채프 시브(32A)로부터의 흘려 내림을 촉진시킨다.
배진 팬(37)은 분배 동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별풍으로 풍력 반송된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흡인하여 배진구(11a)로부터 차 밖으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탈곡부(13)로부터의 처리물을 그레인 시브(32B)로부터 흘려 내리는 1번물로서의 단립화 곡물 입자, 그레인 시브(32B)의 후방에 공급되는 2번물로서의 미탈곡물 입자 등을 포함하는 혼재물 및 배진구(11a)로부터 차 밖으로 배출되는 3번물로서의 절삭 볏짚이나 겨 부스러기 등의 진애 등에 정밀도 좋게 선별할 수 있다.
회수부(15)는 그레인 시브(32B)로부터 흘려 내려진 단립화 곡물 입자를 그레인 시프(32B)의 하방에 형성한 1번 회수부(38)에서 회수하고, 그레인 시브(32B)로부터 흘려 내려지지 않았던 미탈곡물 입자가나, 채프 시브(32A)의 후방부로부터 흘려 내린 미탈곡물 입자 등을 1번 회수부(38)의 후방에 형성한 2번 회수부(39)에서 회수한다.
회수부(15)에는 탈곡 클러치를 거쳐서 탈곡 장치(4)에 전달된 엔진 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전동 벨트 등을 거쳐서 분배 공급되어 있고, 이 동력으로 1번 회수부(38)의 바닥부에 구비한 1번 스크류(40)와, 그 우측 단부와 곡물 입자 탱크(7)의 상단부에 걸쳐서 수직 설치한 1번 종스크류(41)가 구동됨으로써 1번 회수부(38)에서 회수한 단립화 곡물 입자를 곡물 입자 탱크(7)를 향해 공급 반송한다. 또한, 2번 회수부(39)의 바닥부에 구비한 2번 스크류(42)와, 그 우측 단부와 선별부(14)의 상부에 걸쳐서 수직 설치한 2번 환원 스크류(43)가 구동됨으로써 2번 회수부(39)에서 회수한 혼재물을 2번 환원 스크류(43)의 상단부를 향해 반송하고, 그 상단부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32)의 전방부를 향해 방출 환원한다.
2번 환원 스크류(43)에는 2번 회수부(39)에서 회수한 혼재물에 대해 재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2번 처리 구리(도시하지 않음)가 장비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의 우측 상부에는 그 전방 벽(11A)과 보조 벽(11B)을 연결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1)의 상부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44)이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44)은 전동축(30)을 내장하는 전동 케이스로서의 기능과, 상부 케이스(12)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둥근 파이프재로 만든 통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는 그 전방 벽(12A) 및 후방 벽(12B)이 보강 프레임(44)의 전후 양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브래킷(45, 46)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보강 프레임(44)을 지지점으로 한 하부 케이스(11)에 대한 상하 요동이 허용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스(12)는 보강 프레임(44)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으로 하부 케이스(11)에 대해 개폐 조작되도록 하부 케이스(11)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는 전후 브래킷(45, 46)에 걸쳐서 가설한 각 파이프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47)에 의해 그 요동 지점부가 보강되어 있다.
도4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은 지령 수단(48)으로부터의 개폐 조작 지령과, 개폐 검출 수단(49)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 제어 장치(50)가, 상부 케이스(12)를 개폐 구동하는 개폐 구동 수단(5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지령 수단(48)은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자동 복귀형의 압박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개방 스위치(52)와 폐쇄 스위치(53)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 스위치(52)는 압박 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제어 장치(50)에 개방 조작 지령을 출력하고, 폐쇄 스위치(53)는 압박 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제어 장치(50)에 폐쇄 조작 지령을 출력한다(도12 참조).
개폐 검출 수단(49)은 회전식 전위차계로 이루어지고, 전방측의 브래킷(45)에 대한 상방으로부터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프링 압박된 연계 아암(54) 등을 거쳐서 보강 프레임(44)을 지지점으로 한 전방측의 브래킷(45)의 요동 각도를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 위치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3 내지 도15 참조).
제어 장치(50)에는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로부터의 지령 정 보와, 개폐 검출 수단(50)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부 케이스(12)가 미리 설정한 작업 위치와 제1 유지 보수 위치와 제2 유지 보수 위치의 3위치 중 지령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절환하여 유지되도록 개폐 구동 수단(5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50A)이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구비되어 있다(도12 참조).
작업 위치는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 및 보조 벽(11B)에 의해 상부 케이스(12)의 전방 벽(12A) 및 후방 벽(12B)이 받쳐져 지지되는 완전 폐쇄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에 의한 예취 곡간의 끼움 지지 반송이 가능해지도록 끼움 지지 레일(21)이 피드 체인(20)에 근접하고, 또한 탈곡통(18)에 의한 예취 곡간에 대한 탈곡 처리가 가능해지도록 탈곡통(18)이 수용망(16)에 근접한다(도5 내지 도9 및 도13 참조).
제1 유지 보수 위치는 개폐 구동 수단(51)의 작동으로 상부 케이스(12)가 하부 케이스(11)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완전 개방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는 수용망(16)과 탈곡통(18) 사이가 크게 개방되도록 탈곡통(18) 및 끼움 지지 레일(21)이 수용망(16) 및 피드 체인(20)으로부터 이격된다(도11 및 도15 참조).
제2 유지 보수 위치는 탈곡통(18)의 최하부가 끼움 지지 레일(21)에 대향하는 피드 체인(20)의 반송면측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개폐 도중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는 탈곡통(18) 및 끼움 지지 레일(21)이, 수용망(16) 및 피드 체인(20)으로부터 이들 사이의 탈곡 경로(19)에 막힌 예취 곡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할 정도로 비교적 작게 이격된다(도10 및 도14 참조).
즉, 탈곡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에 위치시킴 으로써 예취 곡간의 끝측이 수용망(16)과 탈곡통(18) 사이를 통하도록 예취 곡간의 줄기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할 수 있어, 그 끝측에 대해 탈곡통(18)에 의한 탈곡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망(16)이나 탈곡통(18)의 청소 혹은 수용망(16)의 교환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수용망(16)이나 탈곡통(18)의 청소, 수용망(16)의 교환, 혹은 탈곡용 치(18a, 18b)의 보정 등의 수용망(16)이나 탈곡통(18)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탈곡 경로(19)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막힘이 생긴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12)를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막힌 예취 곡간을 탈곡 경로(19)로부터 제거하여 피드 체인(20)의 반송 시단부에 적재하는 등의 막힘 곡간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그 제2 유지 보수 위치에서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에서 끼움 지지 반송되어 있던 예취 곡간이 긴 것이나, 예취 곡간의 줄기 밑동측에 진흙이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상부 케이스(12)의 제2 유지 보수 위치로의 개방 조작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이 그 피드 체인(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줄기 밑동측의 무게로, 피드 체인(20)을 지지점으로 하여 끝측이 부상하는 외측 하향 방향으로 자세 변경되어도 그 끝측이 탈곡통(18)에 의해 받쳐져 탈곡통(18)과 피드 체인(20)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끝측을 크게 부상시킨 외측 하향 경사 자세로의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이 저지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자세 변경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차체 외측으로의 미끄러 떨어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미끄러 떨어진 예취 곡간을 주 워 모으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도4 및 도7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구동 수단(51)은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에 걸쳐서 가설한 왕복 이동형의 유압 실린더(55), 유압 실린더(55)에 대한 작동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밸브(56) 및 전자 제어 밸브(56)를 향해 작동유를 압송하는 유압 펌프(57) 등에 의해 상부 케이스(12)를 유압으로 개폐 구동하는 유압 구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55)는 후방측의 지지 프레임(24)과, 그 우측 외측에 수직 설치한 2번 환원 스크류(43) 사이에 지지 프레임(24)의 전후 폭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유압 실린더(55)는 수용망(16)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32)로의 처리물의 흘려 내림, 지지 프레임(24)의 바닥부에 형성한 송진구(26)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32)로의 처리물의 배출 및 2번 환원 스크류(43)의 상단부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32)의 전방부측으로의 혼재물의 방출 환원 등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자 제어 밸브(56)는 3위치 절환식이고, 제1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유압 실린더(55)를 신장시켜 상부 케이스(12)를 상승 요동시키는 상승 위치와, 유압 실린더(55)를 수축시켜 상부 케이스(12)를 하강 요동시키는 하강 위치와, 유압 실린더(55)의 신축을 정지시켜 상부 케이스(12)의 승강 요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위치로 절환된다.
유압 펌프(57)는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도록 엔진(9)에 연동 연 결되어 있다(도12 참조). 즉, 상부 케이스(12)는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57)로부터의 작동유로 개폐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 내지 도8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에는 상부 케이스(12)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저지하는 고정 상태와, 상부 케이스(12)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수단(58)이 장비되고, 고정 수단(58)은 전후 한 쌍의 고정 기구(59, 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의 고정 기구(59)는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전후 배향의 지지축(61)을 거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비한 제1 훅(62)과, 상부 케이스(12)의 전방 벽(12A)으로부터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을 향해 연장 설치한 연장 부재(63)의 전방 배향으로 돌출 설치한 제1 핀(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의 고정 기구(60)는 하부 케이스(11)의 보조 벽(11B)에 후방 배향으로 돌출 설치한 제2 핀(65)과, 상부 케이스(12)의 후방 벽(12B)에 전후 배향의 지지축(66)을 거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비한 제2 훅(6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훅(62)은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구비한 제1 전동 모터(절환 구동 수단의 일 예)(68)로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69)와 맞물리는 섹터 기어(62A)가 일체 장비되고, 제1 전동 모터(68)의 작동으로, 제1 핀(64)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결합하는 결합 위치와, 제1 핀(64)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비결합 위치에 걸쳐서 지지축(61)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구동된다.
제2 훅(67)은 상부 케이스(12)의 후방 벽(12B)에 구비한 제2 전동 모터(절환 구동 수단의 일 예)(70)로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71)와 맞물리는 섹터 기어(67A)가 일체 장비되고, 제2 전동 모터(70)의 작동으로, 제2 핀(65)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결합하는 결합 위치와, 제2 핀(65)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비결합 위치에 걸쳐서 지지축(66)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구동된다.
즉, 고정 수단(58)은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의 작동으로, 제1 훅(62) 및 제2 훅(67)이 결합 위치를 향해 요동 구동됨으로써 고정 상태로 절환되고, 제1 훅(62) 및 제2 훅(67)이 비결합 위치를 향해 요동 구동됨으로써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탈곡 경로(19)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막힘이 생김으로써 제1 핀(64) 또는 제2 핀(65)에 대한 제1 훅(62) 또는 제2 훅(67)의 결합이 견고해진 경우라도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의 작동으로, 이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탈곡 경로(19)에서의 곡간 막힘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8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58)의 절환 조작은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로부터의 지령 정보와, 개폐 검출 수단(49)으로부터의 검출 정보와, 작동 검출 수단(72)에 의해 검출되는 고정 수단(58)의 작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개폐 제어 수단(50A)이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작동 검출 수단(72)은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구비한 제1 위치 센서(73)와, 상부 케이스(12)의 후방 벽(12B)에 구비한 제2 위치 센서(74)로 구성 되고, 제1 위치 센서(73)는 지지축(61)을 지지점으로 한 제1 훅(62)의 요동 조작 위치를, 연계 링크(75)를 거쳐서 검출하는 회전식 전위차계로 구성되고, 제2 위치 센서(74)는 지지축(66)을 지지점으로 한 제2 훅(67)의 요동 조작 위치를, 연계 링크(76)를 거쳐서 검출하는 회전식 전위차계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작동 검출 수단(72)은 제1 위치 센서(73)가 제1 훅(62)의 결합 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하고, 또한 제2 위치 센서(74)가 제2 훅(67)의 결합 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함으로써 고정 수단(58)의 고정 상태를 검출하고, 또한 제1 위치 센서(73)가 제1 훅(62)의 비결합 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하고, 또한 제2 위치 센서(74)가 제2 훅(67)의 비결합 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함으로써 고정 수단(58)의 해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 도7, 도8,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볏짚 배출 반송 장치(5)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에서 반송된 볏짚 배출을 수취하기 위해, 그 반송 시단부가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의 반송 종단부가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11)의 후방부 좌측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에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반송 시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7)이 장비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77)은 하부 케이스(11)의 좌측 후방 단부에 수직 설치된 후 프레임(78)의 상부로부터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반송 시단부를 향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볏짚 배출 반송 경로(곡간 반송 경로)(79)를 우회하면서 연장하도록 형성한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전후 배향의 제1 프레임(80) 및 하부 케이스(11)의 우측 상 부에 전후 배향으로 배치한 우측 상부 프레임(81)으로부터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반송 시단부를 향해 연장 설치한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좌우 배향의 제2 프레임(8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80)과 제2 프레임(82)은 이들의 연장 단부가 용접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에 있어서, 그 좌측 상부에 전후 배향으로 배치한 각진 파이프 재로 이루어지는 좌측 상부 프레임(프레임의 일 예)(83)은 그 연장 단부(후방 단부)가 제1 프레임(80)의 연장 단부(전방 단부)와 포개어지도록 제1 프레임(80)의 연장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포개어지는 좌측 상부 프레임(83)의 연장 단부와 제1 프레임(80)의 연장 단부 사이에 상부 케이스(12)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좌측 상부 프레임(83)을 제1 프레임(8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84)이 장비되어 있다.
즉, 연결 수단(84)에 의해 하부 케이스(11)의 지지 프레임(77)에 상부 케이스(12)의 좌측 상부 프레임(83)을 연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반송 시단부를 하부 케이스(11)의 지지 프레임(77)과 상부 케이스(12)의 좌측 상부 프레임(83)에 의해 보다 높은 지지 강도로 보다 안정성 좋게 지지할 수 있다.
연결 수단(84)은 제1 프레임(80)의 연장 단부에 전후 배향으로 구비한 고정 핀(85)과, 좌측 상부 프레임(83)에 구비한 전후 배향의 회전축(86)의 후방 단부에 일체 장비한 훅(8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86)은 제2 훅(67)의 결합 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훅(87)이 고정 핀(85)에 결합하고, 제2 훅(67)의 비결합 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훅(87)이 고정 핀(85)과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그 전방 단부가 굴곡 링크(88)를 거쳐서 제2 훅(67)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수단(84)은 제2 전동 모터(70)의 작동으로 후방측의 고정 기구(60)가 고정 상태로 절환되는 것에도 수반하여 지지 프레임(77)에 좌측 상부 프레임(83)을 연결하는 연결 상태로 절환되고, 후방측의 고정 기구(60)가 해제 상태로 절환되는 것에도 수반하여 지지 프레임(77)에 대한 좌측 상부 프레임(83)의 연결을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수단(84)을 인위 조작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연결 수단(84)을 절환 구동하는 전용의 절환 구동 수단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게 되고, 또한 연결 수단(84)의 조작을 독립하여 행하는 경우가 초래될 우려가 있는 연결 수단(84)의 조작 망각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볏짚 배출 반송 경로(79)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12)에 고정 수단(58)의 제2 훅(67), 제2 전동 모터(70) 및 연결 수단(84)의 훅(87)을 장비함으로써, 이들의 연계를 이들 하부 케이스(11)에 장비하는 경우와 같이 볏짚 배출 반송 경로(79)를 우회하면서 행하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행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 도12 내지 도15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에는 상부 케이스(12)의 제1 유지 보수 위치 및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 기구(89)가 장비되어 있다. 낙하 방지 기구(89)는 전방측의 브래킷(45), 그 브래킷(45)에 형성한 제1 오목부(45a) 및 제2 오목부(45b)에 대한 전방으로부터의 결합이 가능해지도록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전후 방향으로 출퇴(出退) 가능하게 장비한 결합 핀(90) 및 결합 핀(90)에 형성한 너트부(90A)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91)을 거쳐서 결합 핀(90)을 출퇴 조작하는 전동 모터(9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45a)는 전방측의 브래킷(45)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스(12)가 제1 유지 보수 위치까지 개방 조작된 경우에 결합 핀(9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45b)는 전방측의 브래킷(45)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스(12)가 제2 유지 보수 위치까지 개방 조작된 경우에 결합 핀(9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낙하 방지 기구(89)는 결합 핀(90)을 제1 오목부(45a)에 결합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2)의 제1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하고, 결합 핀(90)을 제2 오목부(45b)에 결합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2)의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에 작동유의 리크가 생겨도 이들의 위치에 상부 케이스(12)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결합 핀(90)의 출퇴 조작은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로부터의 지령 정보와, 개폐 검출 수단(50)으로부터의 검출 정보와, 결합 핀(90)의 출퇴 위치를 검출하는 출퇴 검출 수단(99)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개폐 제어 수단(50A)이 전동 모터(9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출퇴 검출 수단(99)은 연계 링크(100) 등을 거쳐서 결합 핀(90)의 미리 설정된 돌출 한계 위치 및 퇴피 한계 위치로의 도달을 검출하는 회전식 전위차계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 한계 위치는 결합 핀(90)이 브래킷(45)의 제1 오목부(45a) 또는 제2 오목부(45b)와 확실하게 결합하는 위치이고, 퇴피 한계 위치는 결합 핀(90)이 브래킷(45)의 제1 오목부(45a) 또는 제2 오목부(45b)와의 결합을 확실하게 해제하는 위치이다.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개폐 제어 수단(50A)은 개방 스위치(52)로부터 상부 케이스(12)의 개방 조작이 지령되면, 개폐 검출 수단(49)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를 판별한다.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가 작업 위치인 경우에는 그때의 개방 스위치(52)로부터의 개방 조작 지령이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로부터 제2 유지 보수 위치로 개방 조작하기 위한 것이라 판단하고, 그 판단을 기초로 하여 고정 수단(58)이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를 역전 작동시킨다. 그 역전 작동으로 고정 수단(58)이 해제 상태로 절환된 것을 작동 검출 수단(72)이 검출되면,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를 정지시키고, 그 후, 상부 케이스(12)가 작업 위치로부터 제2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 개방 조작(상승 구동)되도록 개폐 구동 수단(51)의 유압 실린더(55)를 신장 작동시킨다. 그 신장 작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12)가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개폐 검출 수단(50)이 검출하면,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유압 실린더(55)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전동 모터(91)를 정회전 작동시켜 결합 핀(90)을 제2 오목부(45b)를 향해 돌출시킨다. 이 돌출 조작으로 결합 핀(90)이 돌출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것을 출퇴 검출 수단(99)이 검출하면, 전동 모터(91)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제1 통지등(93)을 점등시켜 상부 케이스(12)의 제2 유지 보수 위치로의 도달을 운전자에게 통지한다(도14 참조).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가 제2 유지 보수 위치인 경우에는 그때의 개방 스위치(52)로부터의 개방 조작 지령이 상부 케이스(12)를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제1 유지 보수 위치로 개방 조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그 판단을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91)를 역전 작동시켜 결합 핀(90)을 제2 오목부(45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시킨다. 이 퇴피 조작으로 결합 핀(90)이 퇴피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것을 출퇴 검출 수단(99)이 검출하면 전동 모터(91)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12)가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제1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 개방 조작(상승 구동)되도록 개폐 구동 수단(51)의 유압 실린더(55)를 신장 작동시킨다. 그 신장 작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12)가 제1 유지 보수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개폐 검출 수단(50)이 검출하면,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유압 실린더(55)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전동 모터(91)를 정회전 작동시켜 결합 핀(90)을 제1 오목부(45a)를 향해 돌출시킨다. 이 돌출 조작으로 결합 핀(90)이 돌출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것을 출퇴 검출 수단(99)이 검출하면 전동 모터(91)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제1 통지등(93)을 소등시키고, 또한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제2 통지등(94)을 점등시켜 상부 케이 스(12)의 제1 유지 보수 위치로의 도달을 운전자에게 통지한다(도15 참조).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가 제1 유지 보수 위치인 경우에는 그 개방 조작 지령이 오류 조작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폐쇄 스위치(53)로부터 상부 케이스(12)의 폐쇄 조작이 지령되면, 개폐 검출 수단(50)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를 판별한다.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가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인 경우에는 그때의 폐쇄 스위치(53)로부터의 폐쇄 조작 지령이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폐쇄 조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그 판단을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91)를 역전 작동시켜 결합 핀(90)을 제1 오목부(45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시킨다. 이 퇴피 조작으로 결합 핀(90)이 퇴피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것을 출퇴 검출 수단(99)이 검출하면 전동 모터(91)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12)가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 폐쇄 조작(하강 구동)되도록 개폐 구동 수단(51)의 유압 실린더(55)를 수축 작동시킨다. 그 수축 작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12)가 작업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개폐 검출 수단(50)이 검출하면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유압 실린더(55)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고정 수단(58)이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절환하도록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를 정회전 작동시킨다. 그 정회전 작동으로 고정 수단(58)이 고정 상태로 절환된 것을 작동 검출 수단(72)이 검출하면,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제1 전동 모터(68) 및 제2 전동 모터(70)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제2 통지등(94) 또는 제1 통지등(93)을 소등시켜 상부 케이스(12)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 지지를 운전자에게 통지한다(도13 참조).
상부 케이스(12)의 현재 위치가 작업 위치인 경우에는 그 폐쇄 조작 지령이 오류 조작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에 유지한다.
즉,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탑승 운전부로부터의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이라도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의 조작을 기초로 하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으로 상부 케이스(12)를 미리 설정한 작업 위치와 제1 유지 보수 위치와 제2 유지 보수 위치의 3위치 중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로부터의 지령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위치에 상부 케이스(12)가 도달할 때까지 개방 스위치(52) 또는 폐쇄 스위치(53)의 조작을 계속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고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2)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개방 스위치(52)로부터의 개방 조작 지령을 기초로 하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12)가 반드시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상부 케이스(12)의 제1 유지 보수 위치로의 개방 조작을 지령하는 전용의 스위치와, 제2 유지 보수 위치로의 개방 조작을 지령하는 전용의 스위치를 장비한 경우가 초래될 우려가 있는, 작업 중에 발생한 탈곡 경로(19)에서의 곡간 막힘에 대한 처치를 행하고자 하였을 때의 스위치의 오류 조작으로 상부 케이스(12)가 작업 위치로부터 제1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한번에 개방 조작되고, 끼움 지지 반송 기구(22)에서 끼움 지지 반송되어 있던 예취 곡간이 그 줄기 밑동측의 무게로, 피드 체인(20)을 지점으로 하여 끝측을 크게 부상시킨 외측 하향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차체 외측으로 미끄러 떨어지는 문제점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개방 스위치(52) 및 폐쇄 스위치(53)를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탈곡 장치(4)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유압에 의한 상부 케이스(12)의 개방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엔진(9)의 시동 조작과, 고정 수단(58)의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의 절환과, 연결 수단(84)의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의 절환과, 상부 케이스(12)의 작업 위치로부터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로의 개방 조작과, 개방 조작 후의 엔진(9)의 정지 조작을 탑승 운전부에 앉은 상태에서의 일련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곡 장치(4)에 대한 유지 보수를 종료한 경우에는 유압에 의한 상부 케이스(12)의 폐쇄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엔진(9)의 시동 조작과, 상부 케이스(12)의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의 폐쇄 조작과, 고정 수단(58)의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의 절환과, 연결 수단(84)의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절환과,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 후의 엔진(9)의 정지 조작을 탑승 운전부에 앉은 상태에서의 일련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부 케이스(12)를 개폐 조작할 때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수용망(16)이나 탈곡통(18)의 청소 또는 수용망(16)의 교환, 혹은 막힌 예취 곡간을 탈곡 경로(19)로부터 제거하여 피드 체인(20)의 반송 시단부에 적재하는 등의 탈곡 장치(4)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때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에는, 탈곡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탈곡 클러치 센서(95)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탈곡 클러치의 온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한 고정 수단(58) 및 연결 수단(84)의 절환 조작과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을 저지하는 동시에,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제3 통지등(96)을 점등시켜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인 것을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의 오프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한 고정 수단(58) 및 연결 수단(84)의 절환 조작과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을 허용하는 견제 수단(50B)이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나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개방 조작하는 경우에는 탈곡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절환할 필요가 생기게 되고, 그 결과,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개방 조작하고, 탈곡 장치(4)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개폐 구동 수단(51)의 구성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2)의 개방 조작을 행할 때에 엔진(9)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어도, 또한 그 개방 조작 후에 엔진(9)의 정지 조작을 잊었다고 해도, 상부 케이스(12)를 개방 조작하기 전의 단계로부터 탈곡통(18)이나 피드 체인(20) 등이 정지한 탈곡 장치(4)의 작동 정지 상태가 현출되게 되어, 탈곡 장치(4)에 대한 유지 보수를 탈곡 장치(4)의 작동 정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탈곡 클러치 센서(95)는 탈곡 클러치 레버의 한정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압 박 조작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견제 수단(50B)은 곡물 입자 배출 장치(8)의 배출통(8A)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배출 위치 검출 수단(97)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배출통(8A)이 미리 설정된 상부 케이스 개방 조작용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한 고정 수단(58) 및 연결 수단(84)의 절환 조작과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을 저지하는 동시에,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제4 통지등(98)을 점등시켜 배출통(8A)이 퇴피 위치에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폐 제어 수단(50A)의 제어 작동에 의한 고정 수단(58) 및 연결 수단(84)의 절환 조작과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12)를 제1 유지 보수 위치나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개방 조작할 때에 상부 케이스(12)와 배출통(8A)이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배출 위치 검출 수단(97)은 배출통(8A)의 승강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식 전위차계와, 배출통(8A)의 선회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식 전위차계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3 및 도19 내지 도26을 참조하면서 탈곡 장치(4)의 요동 선별 장치(3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1에 있어서의 좌측이 처리물의 반송 상방측에 상당하고, 우측이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에 상당하고, 전방측이 피드 체인(20)측에 상당한다 (도19 내지 도24, 도27 내지 도2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처리물의 반송 상방측을 전방과, 처리물의 반송 하방측을 후방으로 표시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는 그 상부측에 탈곡실(17), 중간부측에 요동 선별 장치(32), 하부측에 회수부(15)를 배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4)에는 예취 처리된 곡간을 피드 체인(20)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취급 처리하는 탈곡통(18)을 탈곡실(17)에 저어널하는 동시에, 취급 처리된 처리물을 흘려 내리는 수용망(16)을 탈곡통(18)의 하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32)에는 수용망(16)으로부터 흘려 내려진 처리물을 받치는 제1 그레인 팬(전방부 그레인 팬의 일 예)(106)과, 이 제1 그레인 팬(106)의 후방에 차례로 위치시킨 채프 시브(32A) 및 스트로 래크(108)와, 채프 시브(32A)의 하방에 위치하는 그레인 시브(32B)를 구비하고, 전후 요동 구동되는 시브 케이스(116)에 가설되어 있고, 탈곡통(18)의 후방 단부 하방이고, 채프 시브(32A)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그레인 팬(후방부 그레인 팬의 일 예)(119)이 시브 케이스(116)에 가설되어 있다.
회수부(15)에는 제1 그레인 팬(106)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주 키질 팬(33)과, 그레인 시브(32B)의 하방에 설치된 그레인 시브(32B)로부터의 누화물(漏化物)(1번물)을 회수하여 횡일측으로 가로 이송(전후 이송)하는 1번 스크류(40)와, 그레인 시브(32B)나 채프 시브(32A) 등으로부터의 누화물(2번물)을 회수하여 횡일측으로 가로 이송(전후 이송)하는 2번 스크류(42)와, 1번 스크류(40)와 2번 스크류(42) 사이에 위치하여 2번 스크류(42)의 상방을 향해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2 부 키질 팬(35)이 배치되어 있다.
탈곡통(18)의 후방 하방에 회전통(36)을 구비하고, 탈곡통(18)의 송진구(26)로부터 공급되는 처리물을 이 회전통(36)에 의해 풀어 처리하여 진애로부터 곡물 입자를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통(36)의 후방에는 제1 부 키질 팬(37)이 배치되어 있고, 상측 팬 가이드(117)와 하측 팬 가이드(118)로 안내되어 겨 부스러기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통(36)의 외주부 상측에는 후술하는 안내 부재(121)를 구비하고,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에 후술하는 체 부재(제1 체 부재의 일 예)(122)를 구비한다.
*도19 내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36)은 탈곡 장치(4)의 측판(측벽)(125)에, 전후 방향(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통(36)의 외주부에는 피드 체인(20)측을 향해 처리물이 반송되도록 나선형의 스크류 블레이드(123)가 고착되어 있고, 이 스크류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돌기편(124)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등간격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편(124)을 스크류 블레이드(123)의 외주부에 설치한 것은 스크류 블레이드(123)에 부가하여, 이 돌기편(124)에 의해 효율적으로 풀어 처리하기 위해서이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36)의 피드 체인(20)측의 단부에는 상술한 스크류 블레이드(123) 대신에 좌우 방향으로 긴 띠판형의 배출판(129)이 고착되어 있다. 이는, 피드 체인(20)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스크류 블레이드(123)에 의해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되어 피드 체인(20)측의 단부에 도달한 처리물을,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32)나 배진구(11a)로 무리없이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19 내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36)의 외주부 상측이고, 제1 부 키질 팬(37)과 회전통(36) 사이에 위치하도록 안내 부재(121)가 배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21)는 복수의 좌우 방향에 긴 로드(봉재의 일 예)(121a)와, 이 로드(121a)의 양단부에 설치된 부착판(121c)과, 로드(121a)의 중간부에 고정된 좌우 2매의 보강용 중간판(121b)을 구비하고, 개구를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121)는 탈곡 장치(4)의 측판(125)에 착탈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로드(121a)는 좌우 중간판(121b)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다른 로드(121a)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회전통(36)의 좌우 중앙부에 있어서, 가장 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안내 부재(121)를 구성하여 탈곡통(18)을 회전시키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20)측과는 반대측에 많이 모이고, 피드 체인(20)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쳐 처리물이 송진구(26)로부터 후방으로 공급된다. 그렇게 하면, 회전통(36)의 외주부에 구비한 스크류 블레이드(123)에 의해 피드 체인(20)측에 처리물을 풀어 처리하면서 안내 부재(121)와의 협동으로 처리물을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스크류 블레이드(123)와 안내 부재(121)에 의해 회전통(36)의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32)나, 회전통(36)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진구(11a)에 처리물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요동 선별 장 치(32)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배진구(11a)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3번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안내 부재(121)를 구성하는 로드(121a)와 로드(121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통(36)에 설치한 스크류 블레이드(123)와의 협동으로 송진구(26)로부터 공급된 처리물을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할 때에 이 안내 부재(121)가 과도한 저항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반송 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처리물이 피드 체인(20)측으로 지나치게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송진구(26)로부터 공급된 처리물이 안내 부재(121)와 회전통(36) 사이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 상면에는 이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로부터 회전통(36)의 하방을 향하는 복수의 체 부재(제1 체 부재의 일 예)(122)가 설치되어 있다. 체 부재(122)는 평면에서 볼 때 후방 배향으로 U자형으로 절곡되어 성형되고, 측면에서 볼 때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로부터 경사 후방 상방을 향해 절곡 성형된 피아노 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에 설치 부재(126)에 의해 착탈 및 전후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그레인 팬(119)에 대해, 체 부재(122)를 설치 부재(126)로 착탈 및 전후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체 부재(122)를 다른 형상의 체 부재(122)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체 부재(122)의 제2 그레인 팬(119)에 대한 전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체 부재(122)를 구성하여 탈곡통(18)을 회전시키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피드 체인(20)측과는 반대측으로 많이 모이고, 피드 체인(20)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쳐 처리물이 송진구(26)로부터 후방으로 공급된다. 그렇게 하면, 회전통(36)의 외주부에 구비한 스크류 블레이드(123)에 의해 피드 체인(20)측에 처리물을 풀어 처리하면서 체 부재(122)와의 협동으로 처리물을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스크류 블레이드(123)와 체 부재(122)에 의해 회전통(36)의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32)나, 회전통(36)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진구(11a)에 처리물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요동 선별 장치(32)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배진구(11a)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3번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U자형으로 성형한 체 부재(122) 및 체 부재(122)와 체 부재(12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통(36)에 설치한 스크류 블레이드(123)와의 협동으로 송진구(26)로부터 공급된 처리물을 피드 체인(20)측으로 반송할 때에, 이 체 부재(122)가 과도한 저항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반송 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처리물이 피드 체인(20)측으로 지나치게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송진구(26)로부터 공급된 처리물이 체 부재(122)와 회전통(36) 사이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체 부재(122)는 탈곡 장치(4)의 측판(125)에 고정된 안내 부재(121)와는 달리, 전후 요동 구동되는 요동 선별 장치(32)의 제2 그레인 팬(119)에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체 부재(122)가 요동 선별 장치(32)와 함께 요동함으로써 회전통(36)과 체 부재(122) 사이의 간극이 변화되므로, 처리물의 풀기 처리가 촉진되는 것이라 사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 부재(122)와 안내 부재(121)는 각각 회전통(36)에 의한 처리물의 피드 체인(20)측으로의 반송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라 사료되지만, 체 부재(122)와 안내 부재(121)를 병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즉, 체 부재(122)와 안내 부재(121)는 각각 설치되어 있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체 부재(122)는 송진구(26)로부터 회전통(36)의 하방을 향해 공급되는 처리물에 대해, 상술한 효과가 크고, 한편, 안내 부재(121)는 회전통(36)에 의해 상방으로 권취된 처리물이나 송진구(26)로부터 회전통(36)의 상방을 향해 공급되는 처리물에 대해 상술한 효과가 크다고 사료된다.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통(18)은 전방부 탈곡통(18A)과, 이 전방부 탈곡통(18A)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부 탈곡통(18A)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후방부 탈곡통(18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 탈곡통(18A)은 탈곡실(17)의 전방 벽(11A)과 후방 벽(11C)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 지지축(25)에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후방부 탈곡통(18B)은 상기 지지축(25)의 후방 단부에 상대 회전하도록 지지된 통 지지축(131)에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전방부 탈곡통(18A)의 통 직경(D1)과 후방부 탈곡통(18B)의 통 직경(D2)은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후방부 탈곡통(18B)의 탈곡용 치(18b) 선단부에서의 외부 직경이 전방부 탈곡통(18A)의 탈곡용 치(18a) 선단부에서의 외부 직경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후방부 탈곡통(18B)의 탈곡용 치(18b)의 길이와, 전방부 탈곡통(18A)의 탈곡용 치(18a)의 길이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부 탈곡통(18A)의 통 직경(D1)과 후방부 탈곡통(18B)의 통 직경(D2)을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후방부 탈곡통(18B)의 외주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후방부 탈곡통(18B)의 외주에 많은 탈곡용 치(18b)를 무리없이 설치할 수 있어,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후방부 탈곡통(18B)의 통 직경(D2)을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후방부 탈곡통(18B)으로의 볏짚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다.
지지축(25)의 전방 벽(11A)으로부터 탈곡실(17) 밖으로 돌출되는 전방 단부에 입력 풀리(27)가 지지축(25)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입력 풀리(27)와, 후술하는 입력 풀리(143)와, 자체 주행 기기 본체의 원동부(E)에 설치한 풀리(147)(도24 참조)에 걸쳐서 제1 전동 벨트(28)가 권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체 주행 기기 본체의 원동부(E)로부터 제1 전동 벨트(28)를 거쳐서 입력 풀리(27)로 전달된 동력이 지지축(25)으로 전달되어 전방부 탈곡통(18A)이 지지축(25)의 전후 방향의 축심(P1)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방부 탈곡통(18A)의 횡측방에는 지지축(25)과 평행한 전동축(30)이 전방 벽(11A)과 후방 벽(11C)에 걸쳐서 설치한 보강 프레임(44)을 관통한 상태에서 전방 벽(11A)과 후방 벽(11C)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전동축(30)의 전방 단부에 입력 풀리(143)가 전동축(3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동축(30)의 후방 단부에는 이 전동축(30)과 일체 회전 가능한 전동 풀리(144)를 구비하고, 이 전동 풀리(144)와, 후방부 탈곡통(18B)의 통 지지축(13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입력 풀리(29)에 걸쳐서 전동 벨트(145)가 권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 함으로써 자체 주행 기기 본체의 원동부(E)로부터 제1 전동 벨트(28)를 거쳐서 입력 풀리(143)로 전달된 동력이 전동축(30), 전동 풀리(144), 전동 벨트(145) 및 입력 풀리(29)를 거쳐서 통 지지축(131)으로 전달되어 후방부 탈곡통(18B)이 전후 방향의 축심(P1)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22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30)의 후방 단부에는 이 전동축(3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출력 풀리(148)가 연결되어 있고, 이 출력 풀리(148)와, 볏짚 배출 반송 체인(15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켓(151)에 연계된 볏짚 배출 풀리(152)에 걸쳐서 전동 벨트(153)가 권취되어 있다. 또한, 볏짚 배출 반송 체인(150)의 전동 하류측에는 구동 스프로켓(151)을 거쳐서 끝 체인(154)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체 주행 기기 본체의 원동부(E)로부터 전동축(30)을 거쳐서 볏짚 배출 반송 체인(150)을 구동시키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지지축(25)에 가해지는 부하를, 전방부 탈곡통(18A)을 구동시키는 부하만으로 한정함으로써 지지축(25)의 축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통 지지축(131) 주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탈곡통(18A)의 지지축(25)에 베어링(34)을 거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통 지지축(131)이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 통 지지축(131)에 원판형의 림 부재(35)가 고정되고, 림 부재(35)의 외주부에 플랜지(37)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7)에 후방부 탈곡통(18B)의 회전 축심 방향 및 주위 방향에 배열하는 복수개의 탈곡용 치(18b)가 설치된 드럼판(33)을 고정함으로써 후 방부 탈곡통(18B)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후방부 탈곡통(18B)의 회전 속도는 전방부 탈곡통(18A)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1 및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통(18)의 하방에 구비한 수용망(5)은 전방부 탈곡통(18A)의 전방 단부 하방으로부터 전방부 탈곡통(18A)과 후방부 탈곡통(18B)의 경계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방부 탈곡통(18B)의 하방 전체 영역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으로부터 수용망(5)과 전방부 탈곡통(18A) 사이에서 취급 처리되면서 피드 체인(2)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온 곡간은 후방부 탈곡통(18B)의 위치에서 수용망(5)이 없어지므로, 그 끝의 하방으로의 규제가 없어지고, 곡간의 끝이 아래로 드리워진 상태에서 후방부 탈곡통(18B)에 의해 취급 처리된다. 그렇게 하면, 곡간의 끝을 크게 움직일 수 있고, 게다가 후방부 탈곡통(18B)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끝의 사이에 끼워진 곡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취급 처리할 수 있어, 취급 잔재나 탈곡 불완전 현상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요동 선별 장치(32)의 전방부 하방에서 주 키질 팬(33)의 전방에는 제1 부 키질 팬(34)을 구비하고, 상측 팬 케이스(34A)와 하측 팬 케이스(34B)로 안내되어 제1 그레인 팬(106)의 종단부에 설치한 체 부재(115)를 향해 선별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통(18)의 후방 하방에 회전통(36)을 구비하고, 탈곡통(18)의 후방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이 회전통(36)에 의해 풀어 처리하고, 진애로부터 곡물 입자를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회전통(36)의 후방에는 겨 부스러기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진 팬(34)이 배치되어 있다.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레인 팬(106)의 종단부에는 이 제1 그레인 팬(106)의 종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체 부재(제2 체 부재의 일 예)(115)가 외팔보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체 부재(115)는 제1 그레인 팬(106)의 종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수평부(115a)와, 이 수평부(115a)의 후방 단부로부터 경사 후방 상방을 향해 연장된 경사부(11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15b)에 후방을 향해 개방된 복수의 오목부(115c)를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경사부(115b)가 평면에서 볼 때에 소정의 횡폭을 구비한 평면 판형(스트립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115b)가 스트립형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처리물이 체 부재(115)에 닿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처리물을 많이 도약시킬 수 있고, 처리물을 많이 확산할 수 있다.
체 부재(115)는 판 두께가 얇은 스프링 강판을 상술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이 체 부재(115)의 판 두께는 요동 선별 장치(32)가 요동하면, 이 스프링 강판으로 구성한 체 부재(115)의 스트립형으로 구성한 경사부(115b)가 탄성 변형되고, 요동 선별 장치(32)의 움직임에 대해 빠르고 또한 불규칙하게, 그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 부재(115)를 스프링 강판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체 부재(115)를 요동시키는 구조를 간소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부품 개수가 적어져 제조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도25는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제1 그레인 팬(106)으로부터 채프 시브(32A)를 향해 공급되는 상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통(18)에 의해 취급 처리된 처리물이 제1 그레인 팬(106)에 낙하하면, 요동 선별 장치(32)의 요동에 의해 이 처리물이 제1 그레인 팬(106)의 상부를, 후방을 향해 서서히 이동하고, 제1 그레인 팬(106)의 종단부에 설치한 체 부재(115)의 위치에 공급된다. 이 체 부재(115)의 위치에 공급된 처리물의 일부는 체 부재(115)에 마련한 오목부(115c)로부터 채프 시브(32A)를 향해 낙하한다. 이 처리물이 낙하하는 위치에 제1 부 키질 팬(34)으로부터 선별풍이 공급되면, 자중이 무거운 곡물 입자는 채프 시브(32A)를 향해 낙하하고, 자중이 가벼운 처리물에 포함되는 겨 부스러기는 선별풍을 타고 후방으로 반송된다.
체 부재(115)의 스트립형으로 형성한 경사부(115b)는 요동 선별 장치(32)의 요동에 의해 도25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체 부재(115)의 수평부(115a)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체 부재(115)의 위치에 공급된 처리물이 이 경사부(115b)에 닿으면, 경사부(115b)에 닿은 처리물은 경사 전방 상방을 향해 도약하고, 제1 그레인 팬(106) 또는 체 부재(115)로 다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체 부재(115)의 경사부(115b)에 의해 처리물의 덩어리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고, 처리물을 상방으로 높게 도약시킬 수 있고, 처리물을 많이 확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체 부재(115)의 경사부(115b)에 의해 확산된 처리물이 다시 체 부재(115)에 공급되고, 체 부재(115)에 마련한 오목부(115c)를 통과하면, 이 처리물이 낙하하는 위치에 제1 부 키질 팬(34)으로부터 선별풍이 공급되어, 자중이 무거운 곡물 입자 는 채프 시브(32A)를 향해 낙하하고, 자중이 가벼운 처리물에 포함되는 겨 부스러기는 선별풍을 타고 후방으로 반송됨으로써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물 입자와 겨 부스러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모든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다른 형태도 채용 가능하다.
[발명의 다른 제1 실시 형태]
이미, 안내 부재(121)를 복수의 로드(121a)(둥근 막대)에 의해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로드(121a)(둥근 막대)로 한정되지 않고,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바(127)나 각진 봉(도시하지 않음) 등의 다른 형상의 봉재를 채용하여 개구가 있는 안내 부재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봉재로 한정되지 않고,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 메탈(128)이나 익스팬드 메탈(도시하지 않음)(모두 다공부를 갖는 판재의 일 예) 등을 회전통(36)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시켜 회전통(36)의 외주부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개구가 있는 안내 부재(121)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미, 안내 부재(121)를 제1 부 키질 팬(37)과 회전통(36)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21)를 회전통(36)의 외주부 상측의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발명의 다른 제2 실시 형태]
이미, 체 부재(122)를 U자형으로 절곡 성형한 피아노 선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U자형으로 절곡 성형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피아노 선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의 다른 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이미, 체 부재(122)를 측면에서 볼 때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로부터 경사 후방 상방을 향해 절곡 성형한 예를 나타냈지만, 회전통(36)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면, 다른 형상이라도 좋고, 예를 들어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레인 팬(119)의 후방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체 부재(122)를 채용해도 좋다.
[발명의 다른 제3 실시 형태]
이미, 전방부 탈곡통(18A)의 통 직경(D1)과 후방부 탈곡통(18B)의 통 직경(D2)을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정도의 치수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다른 치수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미 수용망(5)을 전방부 탈곡통(18A)의 전방 단부 하방으로부터 전방부 탈곡통(18A)과 후방부 탈곡통(18B)의 경계부 하방으로 연장하고, 후방부 탈곡통(18B)의 하방 전체 영역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후방부 탈곡통(18B)의 하방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수용망(5)의 후단부의 위치가 전후해도 좋다.
[발명의 다른 제4 실시 형태]
이미, 회전통(36)의 주변에 안내 부재(121) 및 체 부재(제1 체 부재)(122)를 설치하고, 스크류 블레이드(123)를 구비한 회전통(36)의 반송 능력을 높이는 구성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안내 부재(121) 및 체 부재(122)는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안내 부재(121) 및 체 부재(122)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탈곡 장 치(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체 부재(122)는 제2 그레인 팬(후방부 그레인 팬)(119)으로부터 회전통(36)을 향해(즉, 처리물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배향)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통(36)에 의해 처리물을 피드 체인(2)측으로 반송할 때에 적절한 저항을 부여하는 것이면, 요동 선별 장치(32)의 후단부측으로부터 회전통(36)으로(즉, 처리물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배향) 연장하는 것이라도 좋다.
[발명의 다른 제5 실시 형태]
이미, 체 부재(제1 체 부재)(115)를 절곡 성형한 스프링 강판으로 구성한 예로 나타냈지만, 체 부재(115)의 재료로서는, 탄성 부재이면 스프링 강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지판이나 플라스틱판, 경질의 고무판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이미 판재에 의해 체 부재(115)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탄성 부재이면, 판재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막대형의 체 부재(115)를 구성해도 좋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상부 케이스(12)로서는, 하부 케이스(11)에 대한 상하 미끄럼 이동에 의해 개폐 조작 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그 개폐 조작을 인위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2] 수용망(16)으로서 수지망이나 크림프망 등을 채용해도 좋다.
[3] 탈곡통(18)으로서, 단일의 처리통으로 구성된 것을 채용해도 좋고, 또한 나선 치를 구비한 것을 채용해도 좋다.
[4] 하측 반송체(20)로서 끼움 지지 레일을 채용하고, 상측 반송체(21)로서 피드 체인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5] 개폐 구동 수단(51)으로서는, 단동형의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 전동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등의 작동으로 상부 케이스(12)를 개폐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6] 개폐 구동 수단(51)으로서는,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와 제1 유지 보수 위치에 걸쳐서 개폐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고, 또한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와, 제1 유지 보수 위치와, 이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의 개폐 구동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7] 고정 수단(58)을 전방측의 고정 기구(59) 또는 후방측의 고정 기구(60)만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8] 고정 수단(58)으로서는, 전방측의 고정 기구(59)에 있어서의 제1 훅(62)을 상부 케이스(12)의 전방 벽(12A)에 장비하고, 또한 제1 핀(64)을 하부 케이스(11)의 전방 벽(11A)에 돌출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후방측의 고정 기구(60)에 있어서의 제2 핀(65)을 상부 케이스(12)의 후방 벽(12B)에 돌출 설치하고, 제2 훅(67)을 하부 케이스(11)의 보조 벽(11B)에 장비한 것이라도 좋다.
[9] 고정 수단(58)으로서는,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 중 어느 한쪽에 출퇴 조작 가능하게 장비한 삽입 관통 핀과,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 중 다른 한쪽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삽입 관통 핀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 관통으로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저지하고, 삽입 관통 핀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 관통 해제로 상부 케이스(12)를 작업 위치로부터의 개방 조작을 허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10] 절환 구동 수단(68, 70)으로서, 전동 실린더 등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절환 구동 수단(68, 70)을 유압 실린더 또는 유압 모터 등의 유압 작동기나, 그 유압 작동기에 대한 작동유의 유동을 절환하는 절환 밸브 등을 구비하는 유압식으로 구성해도 좋다.
[11] 절환 구동 수단(68, 70)의 작동으로 상부 케이스(12)의 개폐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2] 단일의 절환 구동 수단(68)[또는 절환 구동 수단(70)]으로 고정 수단(58)에 있어서의 전후의 고정 기구(59, 60)를 고정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3] 연결 수단(84)으로서는, 그 연결 상태와 해제 상태의 절환을 인위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고, 또한 전용의 절환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전용의 절환 구동 수단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고정 수단(58)과의 연동을 제어 장치(50)의 제어 작동 등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4] 본 발명은 이미 나타낸 콤바인에 탑재하는 탈곡 장치(4)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예취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수확기(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하는 탈곡 장치(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는 도면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기입에 의해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3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4는 탈곡부의 횡단 평면도.
도5는 고정 수단으로 상부 케이스를 작업 위치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정면도.
도6은 고정 수단에 의한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정면도.
도7은 고정 수단으로 상부 케이스를 작업 위치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
도8은 고정 수단에 의한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
도9는 상부 케이스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0은 상부 케이스가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1은 상부 케이스가 제1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2는 상부 케이스의 개폐 조작에 관한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13은 상부 케이스의 작업 위치에서의 개폐 검출 수단과 낙하 방지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4는 상부 케이스의 제2 유지 보수 위치에서의 개폐 검출 수단과 낙하 방지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5는 상부 케이스의 제1 유지 보수 위치에서의 개폐 검출 수단과 낙하 방지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16은 연결 수단의 구성 및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7은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와 연결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18은 낙하 방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9는 안내 부재 및 제1 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0은 안내 부재 및 제1 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21은 안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2는 탈곡실의 횡단 평면도.
도23은 후방부 탈곡통의 종단 배면도.
도24는 후방부 탈곡통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5는 제2 체 부재의 구조 및 처리물의 선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26은 제2 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27은 발명의 다른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 및 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8은 발명의 다른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 및 체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프레임
2 : 크롤러식 주행 장치
3 : 예취 반송 장치
4 : 탈곡 장치
5 : 볏짚 배출 반송 장치
6 : 볏짚 배출 세단 장치
7 : 곡물 입자 탱크
9 : 엔진
10 : 캐빈
20 : 피드 체인

Claims (10)

  1. 탈곡통(18)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12)와, 상기 탈곡통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망(16)을 구비한 하부 케이스(11)로 구성된 탈곡실(17)을 갖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이며,
    상기 탈곡통(18)이 상기 수용망(16)에 근접하는 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통(18)이 상기 수용망(16)으로부터 이격되는 유지 보수 위치에 걸쳐 상기 상부 케이스(12)가 상기 하부 케이스(11)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상기 작업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저지하는 고정 상태와 이 변위를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수단(58)과, 상기 고정 수단을 절환 구동하는 절환 구동 수단(68, 7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8)이 상기 하부 케이스(11)에 설치한 훅(62, 67)과 상기 상부 케이스(12)에 설치한 핀(64, 65)을 구비하고, 상기 절환 구동 수단(68, 70)에 의해 상기 훅이 상기 핀과 결합·결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구동 수단(68, 70)이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에 설치한 지령 수단(48)으로부터의 지령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전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4. 탈곡통(18)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12)와, 상기 탈곡통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망(16)을 구비한 하부 케이스(11)로 구성된 탈곡실(17)을 갖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이며,
    상기 탈곡통(18)이 상기 수용망(16)에 근접하는 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통(18)이 상기 수용망(16)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유지 보수 위치와, 상기 작업 위치와 제1 유지 보수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걸쳐, 상기 상부 케이스(12)가 상기 하부 케이스(11)에 대해 변위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를 상기 제1 유지 보수 위치 또는 제2 유지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낙하 방지 기구(8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상기 변위 조작을 행하는 개폐 구동 수단(51)과, 이 개폐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50A)과, 이 개폐 제어 수단에 상기 제어를 지령하는 지령 수단(48)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수단(51)이 상기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에 걸쳐 가설한 유압 실린더(55)를 구비하고, 이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l2)의 상기 변위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상기 작업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저지하는 고정 상태와 이 변위를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수단(58)과, 이 고정 수단을 절환 구동하는 절환 구동 수단(68, 7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9. 제1항, 제2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볏짚 배출 반송 장치(5)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에는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5)의 반송 시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7)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77)을 향해 연장되는 프레임(8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수단(58)이 상기 절환 구동 수단(68, 70)에 의해 상기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77)과 상기 프레임(83)이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고정 수단(58)이 상기 절환 구동 수단(68, 70)에 의해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77)과 상기 프레임(83)이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의 탈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7)과 프레임(83)을 상기 연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절환 가능한 연결 수단(84)이 마련되고, 이 연결 수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77)에 설치한 핀(85)과, 상기 프레임(83)에 설치되고 상기 핀에 결합 가능한 훅(8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 장치.
KR1020080062319A 2006-08-17 2008-06-30 콤바인의 탈곡 장치 KR101157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2473 2006-08-17
JPJP-P-2006-00222472 2006-08-17
JP2006222471A JP2008043262A (ja) 2006-08-17 2006-08-17 脱穀装置
JP2006222473A JP5016273B2 (ja) 2006-08-17 2006-08-17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6222472A JP4638848B2 (ja) 2006-08-17 2006-08-17 脱穀装置
JPJP-P-2006-00222471 2006-08-17
JPJP-P-2006-00257868 2006-09-22
JP2006257868A JP4658886B2 (ja) 2006-09-22 2006-09-22 脱穀装置の開閉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80A Division KR100871942B1 (ko) 2006-08-17 2007-03-20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267A true KR20080065267A (ko) 2008-07-11
KR101157302B1 KR101157302B1 (ko) 2012-06-18

Family

ID=393845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80A KR100871942B1 (ko) 2006-08-17 2007-03-20 탈곡 장치
KR1020080062319A KR101157302B1 (ko) 2006-08-17 2008-06-30 콤바인의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80A KR100871942B1 (ko) 2006-08-17 2007-03-20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71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944B1 (ko) * 2014-09-11 2022-06-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10366959A (zh) * 2019-08-22 2019-10-25 山西省农业科学院谷子研究所 一种用于干燥谷物的弹性辊筒挤压脱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06B2 (ja) * 1995-03-27 2000-07-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0131877Y1 (ko) * 1996-09-04 1998-12-01 김상수 자탈형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0325474B1 (ko) * 1997-08-04 2002-08-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의탈곡기
KR100383319B1 (ko) * 1997-08-14 2003-07-22 미쯔비시노끼 가부시끼가이샤 탈곡기에서의 요동선별 장치
JP2000139180A (ja) * 1998-11-17 2000-05-23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制御装置
JP3683148B2 (ja) * 2000-01-07 2005-08-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KR20020036899A (ko) * 2000-11-11 2002-05-17 이영문 콤바인의 탈곡장치
JP2006325476A (ja) * 2005-05-26 2006-12-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302B1 (ko) 2012-06-18
KR100871942B1 (ko) 2008-12-08
KR20080016425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6622B (zh) 用于农业收割机凹板的闩锁机构
CN101124872B (zh) 脱粒装置
JP4659010B2 (ja) 脱穀装置の開閉操作装置
JP4658886B2 (ja) 脱穀装置の開閉構造
JP6793534B2 (ja) 汎用コンバイン
KR101157302B1 (ko) 콤바인의 탈곡 장치
JP2009077692A (ja) 脱穀装置の開閉操作装置及びコンバイン
KR101368559B1 (ko) 탈곡 급동
JP4824988B2 (ja)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JP2007061003A (ja) 脱穀装置
JP2008072990A (ja) 脱穀装置の開閉操作構造
JP4704988B2 (ja) 脱穀装置の開閉操作構造
JP5894510B2 (ja) コンバイン
WO2008040921A2 (fr)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la menue paille sur une moissonneuse batteuse
JP6067598B2 (ja) 走行車両
JP4138450B2 (ja) コンバイン
JP2005160383A (ja) コンバインの穀稈引起装置
JP5056170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KR20110044137A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JP2022097216A (ja) コンバイン
JP2015142544A (ja) 走行車両
JP2007228805A (ja) コンバイン
JP2003000036A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2002159214A (ja) コンバインの穀粒移送装置
JP2007117038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