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834A -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834A
KR20080064834A KR1020087008710A KR20087008710A KR20080064834A KR 20080064834 A KR20080064834 A KR 20080064834A KR 1020087008710 A KR1020087008710 A KR 1020087008710A KR 20087008710 A KR20087008710 A KR 20087008710A KR 20080064834 A KR20080064834 A KR 2008006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d chain
chain amino
sugar
isoleucine
brai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코 도이
잇뻬이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ublication of KR2008006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acids, e.g. alanine, edetic acids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되는 분기쇄 아미노산(Branched chain amino acid, BCAA),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은, 뇌세포내로의 당질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저혈당증을 억제할 수 있다.
분기쇄 아미노산, 저혈당증 억제용, 뇌세포내로의 당질의 유입 촉진

Description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on of hypoglycemic condition}
본 발명은, 분기쇄 아미노산(branched chain amino acid),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 내로의 당질의 유입을 향상시키는 조성물 또는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저혈당증이란, 혈액내의 포도당 수치의 감소에 따라 뇌의 포도당 수치가 저하되어, 그로 인해 일어나는 피로감, 전신 불쾌감, 불안감, 권태감, 신경 과민, 떨림, 두통, 탈진, 식은 땀, 심계항진증 등의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의식장애, 혼수상태가 일어나게 되고, 심한 경우는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저혈당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서는, 주로 이하의 경우를 들 수 있다.
(1)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 저하제(인슐린 등)를 과잉 투여했을 경우
(2) 의약품의 부작용에 의한 경우
(3) 당분을 다량으로 섭취하는 식생활을 오래 지속한 경우
(4) 과도한 알코올을 섭취했을 경우
(5) 가혹한 운동을 식사 부족 상태에서 장시간 지속한 경우
특히 상기 (1)이나 (2)의 경우는, 약제에 의해 혈당이 강제적으로 저하되므로, 증상이 위독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되어 극도로 위험하다.
종래에는 저혈당증을 간이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포도당이나 설탕, 혹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당질을 섭취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정상인에 있어서도 칼로리가 과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약제로서, 분기쇄 아미노산을 경구섭취하는 것에 의해 근육통ㆍ근육경직, 또는 근육당김을 해소하는 약제(특허 문헌 1 참조)나, 분기쇄 아미노산을 경구섭취하는 것에 의해 운동시의 순발 또는 지구력에 관련한 근력을 유지시키는 약제(특허 문헌 2 참조)가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 등의 분기쇄 아미노산이 근육을 주로 하여, 신장 등의 간 이외의 조직에서 이용되는 장기(臟器) 특이성을 지니는 것에 주목하여, 근육통이나 근육경직의 개선, 혹은 운동시의 순발 또는 지구력에 관련된 근력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해 낸 것이다.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신경계의 피로 회복제(특허 문헌 3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는, 중추 신경계의 피로 메카니즘을 밝히는 것과 동시에 분기쇄 아미노산 및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 상에서의 L-시스템 트랜스포터의 특이적 저해제인 2-aminobicyclo[2, 2, 1]heptane-2-carboxylic acid가 중추 신경계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고, 특히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 등의 분기쇄 아미노산과 병용할 경우에는 거의 완벽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억제가 가능함을 증명하 였다.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한 뇌세포 대사 개선 조성물(특허 문헌 7 참조) 및 항치매약(특허 문헌 8 참조)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에는, 분기쇄 아미노산이 저혈당증상, 특히 뇌세포 등의 세포로의 포도당의 유입을 촉진하는 것에 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제제로서는, 분기쇄 아미노산만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복용량이 소량화되어 풍미나 목에 넘어가는 느낌이 좋은 의약용 젤리제(특허 문헌 4 참조), 풍미나 맛이 개선되어 현탁되었을 때에 양호한 현탁성을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는 분기쇄 아미노산ㆍ현탁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의약용 드라이시럽제(특허 문헌 5 참조)나, 분기쇄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보존시에 착색되지 않는 보존 및 안정성이 양호한 츄어블제(특허 문헌 6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들도, 뇌세포 내로 당질의 유입을 촉진하거나 저혈당증을 억제한다고 하는 취지를 기재하고 있지는 않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0-26289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0-26290호 공보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 2002/034257호 팜플렛
(특허 문헌 4) 특개 2003-221330호 공보
(특허 문헌 5) 특개 2003-221329호 공보
(특허 문헌 6) 특개 2003221327호 공보
(특허 문헌 7) 특개평 2-172915호 공보
(특허 문헌 8) 특개평 3-275631호 공보
본 발명은, 뇌세포내로 당질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저혈당증을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검토하여,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가, 뇌세포내로 당질의 유입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짐으로써 저혈당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2) 분기쇄 아미노산이, L-발린, L-류신 및 L-이소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조성물,
(3) L-이소류신을 반드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의 조성물,
(4) L-이소류신, L-류신 및 L-발린의 함유 비율이, 몰비로 환산하여, 1:(0 내지 3):(0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의 조성물,
(5) 당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조성물,
(6) 당질이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의 조성물,
(7) 저혈당증이, 교감신경 자극 증상 및/또는 뇌증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8)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9) 분기쇄 아미노산이, L-발린, L-류신 및 L-이소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0) L-이소류신을 반드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1) L-이소류신, L-류신 및 L-발린의 함유 비율이 몰비로 환산하여, 1:(0 내지 3):(0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2) 당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내지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3) 당질이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4) 주사제 또는 과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조성물,
(15) 주사제 또는 과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내지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6)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혈당증상 억제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7) 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에 기재의 식품,
(18)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의 억제 방법,
(19)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 방법,
(20) 저혈당증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사용, 및
(21) 뇌세포내로 당질 유입의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사용,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뇌세포내로 당질의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뇌세포내의 당질 수치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그 결과로 저혈당에 수반하는 증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혈액내의 혈당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특히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인슐린 주사나 항당뇨약에 의해 저혈당증을 유발하는 환자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뇌세포의 에너지원인 포도당의 유입을 촉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저혈당에 기인하는 증상뿐만 아니라, 혈당치가 정상적이어도 뇌의 당수치가 저하됨으로써 일어나는 저혈당증과 같은 증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을 비교예로 하여, L-류신 또는 L-이소류신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의 래트(rat)의 뇌세포내로의 당질의 유입량을 나타낸 것이다. 세로축은 2DG-6P량, *는 대조군에 대해 유의차(p<0.05)가 있음을 나타낸다. 각 막대그래프의 값은 평균치(n=6)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도 2는, 대조군을 비교예로 하여 혼합 아미노산, L-류신, L-이소류신, 또는 L-발린을 정맥 투여하고 24시간 후에 래트의 뇌세포내로의 당질의 유입량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세로축은 2DG-6P량을 나타낸다. 막대그래프의 각 막대의 값은 평균치(n=4)±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 분기쇄 아미노산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분기쇄 아미노산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기쇄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일본약국방(日本藥局方, 일본 국내에 있어서의 의약품의 규격 기준서)의 규격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기쇄 아미노산인 한, L-아미노산, D-아미노산, α-아미노산,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 천연 아미노산, 합성 아미노산 등의 모든 아미노산을 포함하나, 천연 L-아미노산 또는 천연 α-아미노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기쇄 아미노산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L-류신 또는 L-이소류신, L-발린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프로테아제 등을 이용하여 작물이나 동물에서 유래한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거나, 미생물 발효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이어도 되고, 또 유기산에 아미노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합성 아미노산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는, 산 또는 염기와의 염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염산염 등의 무기산염 또는 초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이 있고, 그 중에서 염산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L-발린염산염, L-류신염산염 또는 L-이소류신염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기쇄 아미노산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도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스테르 또는 펩티드 유도체 등이 있다. 에스테르 유도체로서는,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또는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저급 알킬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발린에틸에스테르, L-류신에틸에스테르 또는 L-이소류신에틸에스테르 등이 있다. 또한, 펩티드 유도체로서는, 디펩티드 또는 트리펩티드 등의 올리고펩티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펩티드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이소류실-L-류신, L-알라닐-L-류신, L-류실-L-알라닌, 글리실-L-류신 또는 L-알라닐-L글루타민 등이 있다. 따라서, 올리고 펩티드를 구성하는 분기쇄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은, 어떠한 것이어도 괜찮으며, L-아미노산, D-아미노산, α-아미노산,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 천연 아미노산, 합성 아미노산 등의 모든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쇄 아미노산, 혹은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적어도 L-이소류신 혹은 그 염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적어도 L-이소류신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이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해 이용할 때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L-이소류신, L-류신 또는 L-발린을 이용할 때, 이들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이용해도 되며, 해당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로 환산하여, L-이소류신:L-류신:L-발린= 약 1:(0-3):(0-2),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5):(0-1.5)이다. 또한, 예를 들어 L-이소류신, L-류신 또는 L-발린의 염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때는, 각각 L-이소류신, L-류신 또는 L-발린으로 환산하여, 상기의 몰비가 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저혈당증이란, 혈액내의 글루코오스(포도당)의 농도가 저하되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포도당은 모든 세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특히 뇌의 에너지는 포도당에만 의존하며, 또한 근육이나 다른 조직의 기능 수행에도 포도당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혈액내의 포도당의 농도가 저하되면, 뇌, 및 근육이나 다른 조직의 기능 수행에 바람직하지 않은 증상이 일어난다. 그 증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교감신경 자극 증상 또는 뇌증상(cerebral symptom) 등을 들 수 있다. 교감신경 자극 증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안감, 공복, 휘청거림, 현기증, 무기력, 탈진감, 나른함, 선하품, 초조, 떨림, 심계항진증, 안면 창백, 빈맥(tachycardia), 발한 또는 진전(tremor) 등을 들 수 있고, 뇌증상으로는 두통, 시력 장해, 복시(複視), 뿌옇게 보임, 집중력이나 계산능력의 감퇴, 건망증, 기면, 의식 장해, 경련, 정신 혹은 신체 이상 행동 또는 혼 수 등이 있다.
여기에서, 저혈당은 혈당치가 약 60mg/dL이하가 된 상태를 예로 들 수 있지만, 그 혈당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뇨병 등에 의해 혈당의 높은 사람이 인슐린 주사나 혈당 강하제의 복용에 의해 혈당치가 내려갈 때나, 정상인에서도 공복이나 급격한 격렬한 운동 등에 의해 갑자기 혈당치가 내려갈 때에는, 100mg/dL 정도에서도 저혈당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일이 있어, 이러한 저혈당증과 같은 증상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이란, 혈액중의 당수치가 낮은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서 일어나는 증상을 억제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은, 저혈당증에 빠졌을 때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혈당증이 아닌 상태에서도 예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특히 뇌의 유일한 에너지원인 포도당의 유입을 촉진하므로, 뇌로의 포도당의 유입이 억제된 증상, 예를 들면 상기 저혈당증이나, 저혈당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에 의하여 뇌의 포도당 수치가 저하되는 저혈당증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뇌 이외의 세포, 예를 들면 근육 세포나 신경세포, 그 외의 세포로의 당질의 유입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어, 상기의 근육 세포나 신경세포, 그 외의 세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에는, 추가적으로 당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되는 당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보오스, 디옥시리보오스, 포도당, 과당 또는 갈락토오스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 혹은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글리코겐 등의 다당류 등이 바람직하다. 당질 중에서도 단당류가 보다 바람직하고, 생체내에서 곧바로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포도당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 당질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분기쇄 아미노산 1 몰에 대해서, 포도당으로 환산해 약 0.1-50몰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과 함께 의약의 형태, 또는 식품위생법상 인정되고 있는 첨가물과 함께 식품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상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를 의약의 형태로 하는 경우, 경구투여를 위한 내복용 고형제, 내복용 액제 또는 비경구투여를 위한 주사제(피하,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주사 등) 등으로 해서 이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내복용 고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약, 캅셀제, 가루약 또는 과립제 등을 들 수 있다.
내복용 고형제에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또는 습윤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부형제로는, 특별히 한정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백설탕, 유당, 포도당, 전분 또는 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르멜로오스(carmellose), 젤라틴, 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포피돈 등이 있다. 붕괴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카르멜로오스, 전분, 결정셀룰로오스 또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활택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탈크(talc),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칼슘 또는 실리카(silica) 등이 있다. 안정제, 습윤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수 구연산, 라우린산나트륨 또는 글리세롤 등이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내복용 고형제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개정 제14판 일본약국방 제제 총칙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의 유도체와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립제는, 예를 들면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의 유도체에 상기의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등을 가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 예를 들면 압축조립(造粒, granulation), 전동조립, 분무 건조 조립, 압출조립, 파쇄조립, 유동층조립 또는 교반조립 등의 입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제는, 예를 들면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 유도체에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등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직접 압축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 유도체와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등으로 미리 제조한 과립을, 그대로, 또는 상기 첨가제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과립제 또는 정제(錠 劑)에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코팅제(젤라틴, 백설탕, 아라비아검, 카나우바 왁스 등) 또는 장용성(腸溶性) 코팅제(예를 들면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메타아크릴산코포리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등) 등으로 코팅하여도 된다. 또한, 캅셀제는, 예를 들면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 유도체에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등을 더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것, 또는 필요에 의해 입상으로 한 것, 혹은 입상으로 한 것에 코팅제로 코팅한 것을, 캅셀에 충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내복용 고형제의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량이, 고형 제제 전체에 대해서 약 1-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내복용 액제로는, 예를 들면 수제(水劑), 현탁제, 유제,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elixir)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복용 액제에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것들의 혼합 용제 등이 있다. 또한 이 내복용 액제에는, 현탁화제(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한천, 카르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 유화제(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80, 아라비아검 등), 감미료(예를 들면, 단미시럽, 꿀, 백설탕, 주석산 등), 방향제(예를 들면, 살리실산메틸, 회향, 오렌지유, 멘톨 등), 보존제(예를 들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등), 완충제(예를 들면, 구연산, 탄산수소 등)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주사제로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용제, 안정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무통화제(無痛化劑), 완충제 또는 보존제 등이 있다. 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참기름 등의 식물유,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다. 안정제, 용해보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이 있다. 현탁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혹은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트래거캔스(tragacanth) 혹은 아라비아검 등의 천연 고무류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수소첨가 피마자기름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또는 레시틴 등이 있다.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폴리옥실, 라우로마크로골, 폴리소르베이트 80 또는 아라비아검 등이 있다. 무통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미노안식향산에틸, 이노시톨, 염산메프릴카인, 염산리도카인, 클로로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벤질알코올 등이 있다. 완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구연산 혹은 그 염, 포도당,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초산 혹은 그 염 등이 있다. 보존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염화벤잘코니움 또는 소르비탄산염 등이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주사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무균조작법에 따라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 유도체와 첨가제 등을 적당히 용해하는 방법 등으로 하여 제조된다. 제조된 주사제는, 앰플, 바이알병, 또는 유리 혹은 폴리에틸렌 수액용기(백(bag)을 포함) 등에 충전되어 멸균된다. 폴리에틸렌제 수액 용기(백을 포함)는, 예를 들면 탈산소제 등과 함께 가스차단성 외장재로 포장될 수 있다. 또 주사제는, 무균의 고형제, 예를 들면 동결건조품을 제조하여, 사용 전에 무균화 또는 무균의 주사용 증류수 또는 다른 용제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액 제재의 경우, 주사제 전체에 대해서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량으로서 약 0.1-10w/v%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로는, 추가적으로 비타민(예를 들면,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6, B12,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나이아신, 판토텐산, 엽산, 비오틴, 비타민 F, 비타민 P, 비타민 Q, 비타민 U, 콜린, 이노시톨,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이나 분기쇄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리신,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레오닌, 발린, 히스티딘, 트립토판, 알라닌, 프롤린, 아르기닌, 글루타민산, 세린 등) 등의 영양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를 함유하는 상기 의약의 투여량은, 제재 형태,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체중, 질환 의 정도 등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성인체중 1kg당, 1일에 약 1-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500 mg의 범위의 양이 적당하며, 필요에 따라 적당히 증감할 수 있다. 또한, 1일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를 식품 형태로 하는 경우는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들 유도체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적어도 L-이소류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품위생법상 인정되고 있는 첨가물 또는 그 외의 식품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과 혼합해 음식물에 제조된다. 제조되는 식품의 형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가루약, 과립제, 내복용 액제, 고형식품, 크림형태 내지 잼형태의 반유동식품, 겔형태 식품, 음료 등의 모든 식품 형태로 가능하다.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청량 음료, 주스 혹은 유산균음료 등의 음료, 젤리, 캔디, 비스킷 또는 쿠키 등이 있다. 해당식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정제, 캅셀제, 가루약, 과립제 또는 내복용 액제는, 상기 의약에 있어서의 정제, 캅셀제, 가루약, 과립제 또는 내복용 액제에 대한 첨가물 대신에 식품위생법상 인정되고 있는 첨가물(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주석산, 만니톨,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아, 디메틸폴리실옥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등)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향료, 착색료, 천연 과즙, 과육, 치 즈 혹은 초콜릿 등의 풍미물질 또는 합성 감미료 등의 첨가물을 배합할 수 있다. 해당 첨가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또, 크림형태 내지 잼형태의 반유동식품, 겔형태 식품, 예를 들면 젤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의 성분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겔화제로서 한천, 젤라틴, 카라기난, 젤란검, 키산탄검,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펙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또는 그 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점 다당류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제의 배합 비율은, 젤리 100 질량부에 대해서 약 2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2-2 질량부 정도이다.
또, 식품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기쇄 아미노산의 합계량으로서 약 1-6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식품은, 저혈당증 억제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을 촉진하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식품에는, 그 포장 등에 저혈당증 억제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고 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은, 성인(약 60kg)이 1일당, 분기쇄 아미노산, 그 염, 또는 그 유도체로서 약 0.1-20 g정도의 양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및 시험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L-이소류신 300g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산화나트륨으로 용액의 pH를 6.50으로 조정한 후, 다시 주사용 증류수를 더하여 전량을 10L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막필터로 여과하여, 500mL씩 폴리에틸렌제 수액백에 채우고 밀봉하여, 105℃에서 40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였다. 이것을, 탈산소제(미츠비시가스화학 제품;상품명 에이지리스, Ageless)와 함께, 폴리비닐알코올 다층 필름의 가스차단 외장재로 포장하여 주사제를 얻었다.
<제조예 2>
L-이소류신 150g 및 L-발린 150g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산화나트륨으로 용액의 pH를 6.50에 조정한 후, 거기에 주사용 증류수를 더하여 전량을 10L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막필터로 여과하여, 500mL씩 폴리에틸렌제 수액백에 채우고, 밀봉하여, 105℃에서 40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였다. 이것을, 탈산소제(미츠비시가스화학 제품;상품명 에이지리스)와 함께, 폴리비닐알코올 다층필름의 가스차단 외장재로 포장하여 주사제를 얻었다.
<제조예 3>
L-이소류신 300g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산화나트륨으로 용액의 pH를 6.50로 조정한 후, 거기에 주사용 증류수를 더하여 전량을 10L로 조제하고, 막필터로 여과하였다.
한편, 포도당 1000g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주사용 증류수를 더하여 전량을 10 L로 조제하여, 막필터로 여과했다.
이 용액을 500mL씩, 폴리에틸렌제 2실 수액백의 각각의 실에 채우고, 밀봉하여, 105℃에서 40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였다. 이것을, 탈산소제(미츠비시가스화학 제품;상품명 에이지리스)와 함께, 폴리비닐 알코올 다층 필름제의 가스차단 외장재로 포장하여 주사제를 얻었다.
이 주사제는, 사용시에 2실중 1실 또는 2실을 동시에 압력을 가하여 밀어내고, 두 실을 연결하여 혼합액을 만들어, 주사액으로 사용한다.
<제조예 4>
L-알라닐-L-류신 1000g, L-이소류신 300g 및 L-발린 240g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산화나트륨으로 용액의 pH를 6.50에 조정한 후, 거기에 주사용 증류수를 더하여 전량을 10L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막필터로 여과시켜, 100mL씩을 폴리에틸렌제 수액백에 채우고, 밀봉하여, 105℃에서 40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였다. 이것을, 탈산소제(미츠비시가스화학 제품;상품명 에이지리스)와 함께, 폴리비닐알코올 다층 필름의 가스 차단 외장재로 포장해 주사제를 얻었다.
<제조예 5>
우선, 정제수 10L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20g 및 결정셀룰로오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0g를 가하여 분산시켰다. 그 다음, 이 분산액에 주석산 100g, 만니톨 1000g, 사카린나트륨 10g, 스테비아 5g, 디메틸폴리실옥산 40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2g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5g를 더해 용해시켰다. 계속하여, L-이소류신 950g, L-류신 1900g, L-발린 1150g를 더하여 호모지나이저로 현탁하고, 그 후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6.5에 조정한 다음, 다시 호모지나이저로 균일하게 저어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한편, 한천분말 40g를 정제수 2L에 넣어 약 80℃에 가온 용해시켜 조제하고, 거기에 상기 현탁액 6000g, 파인애플 향신료 40g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100g씩 용기에 채우고, 밀봉한 다음 냉장시켜 젤리를 조제하였다.
<제조예 6>
L-이소류신 500g, L-류신 1000g, 발린 600g, 무수 구연산 100g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g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증류수 300 g를 첨가하여 조립(造粒)하였다.
조립물을 60℃에서 2시간 건조한 후, 24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과립을 얻었다. 얻어진 과립을 4.5g씩 알루미늄라미네이트 스틱백에 충전, 밀봉하여, 최종 제품화하였다.
<시험예 1> 뇌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 경구투여에 의한 당 유입 촉진 작용
(1) 시험액의 조제
류신군:L-류신 3g를 생리 식염액 100mL에 가하여 호모지나이저로 현탁시킨 L-류신 현탁액을 류신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이소류신이군:L-이소류신 3g를 생리 식염액 100mL에 가하여 호모지나이저로 현탁시킨 L-이소류신 현탁액을 이소류신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수컷 6주령 Wistar rat(일본 찰스리버사)를, 정제 사료 AIN-93G(일본농산공업주식회사 제품)을 자유롭게 먹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한 조건에서 14일간 사육한 후 8주령시에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3군(대조군, 류신이군, 이소류신이군)으로 나누었다. 군을 나눈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래트의 경부(脛部)를 절개한 다음, 경정맥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였다. 카테터의 다른 한쪽 끝은 피하(皮下)를 통해 뒤쪽에 노출시키고, 하네스를 통해 시벨(swivel)에 접속·고정하여, 래트를 개별 대사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카테터를 통해 생리식염액을 1mL/hr/body의 속도로 래트에게 지속적으로 주입하였다. 다음날, 대조군 래트에게는 15 mL/kg BW(체중)의 용량으로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고, 류신군 및 이소류신군 래트에게는 0.45g/15mL/kg BW의 용량으로 각각의 시험액, 즉 L-류신 현탁액 및 L-이소류신 현탁액을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험액를 투여하고 20분 후에 카테터를 통해 2-[1, 2-3H]-Deoxyglucose(2DG)를 30μCi/kg로 약 3초간 걸쳐 정맥내에 투여하였다. 정맥내에 투여 후 2, 10, 20, 30 및 40분에 카테터를 통해 300μL씩 채혈하고, 혈액을 헤파린 처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을 2DG량과 혈당치의 측정에 이용하였다. 혈장 20μL를 액체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카운터 측정용 바이알에 넣고 이것에 신틸레이터를 5mL 가하여 혼합한 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에서 혈장중의 트리튬량(카운트)을 측정해, 2DG량으로 계산하였다. 또, 혈당치는, 글루코스옥시다아제 색소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시험액 투여 1시간 후, 래트에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을 50mg/kg씩 주입되도록 약 3초간 걸쳐 정맥내에 투여하고, 마취하에서 복부 대동맥에서 헤파린 채혈에 의해 탈혈을 실시하였다. 탈혈 후 뇌조직을 적출하고, 뇌조직에 그 중량의 4배량의 1N NaOH를 가하여 항온수조로 6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뇌조직을 용해시켰다. 뇌조직의 용해액에 상기 1N NaOH와 동량의 1N HCl를 가하여 중화시켜, 뇌조직의 중화 호모지네이트로 하였다.
중화 호모지네이트 중의 2DG량:400μL의 0.15N ZnSO4 용액에 중화 호모지네이트를 400μL 더하고, 추가로 400μL의 0.15N Ba(OH)2 용액을 더하여 혼합한 다음, 원심분리기(6000rpm, 20분)로 상청(上淸)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청 900μL를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측정용의 바이알에 넣고 이것에 신틸레이터를 5mL 가하여 혼합한 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로 트리튬량(카운트)을 측정하여, 2DG량으로 계산하였다.
중화 호모지네이트 중의 2DG와 2-DG-6P(2-[1, 2-3H]-Deoxyglucose-6-phosphate)의 양:400μL의 중화 호모지네이트에 800μL의 6wt% PCA(과염소산)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원심분리기(6000rpm, 20분)로 상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청 900μL를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측정용의 바이알에 넣고 이것에 신틸레이터를 10mL 가하여 혼합한 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로 트리튬량(카운트)을 측정하여, 2 DG와 2 DG-6P의 양으로 계산하였다.
중화 호모지네이트 중의 2 DG-6P량:2DG와 2DG-6P의 양으로부터 2DG량을 공 제하여, 2DG-6P량을 산출하였다. 2DG-6P량을, 혈중 2DG량과 혈당치로 보정하여, 뇌에의 당질의 유입량으로 계산하였다.
통계처리는 분산분석 후, 대조군을 대조로 한 Dunnett's의 다중 비교의 유의차 검정을 실시해, p<0.05를 유의차 있음으로 하였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결과로부터, L-류신 현탁액이나 L-이소류신 현탁액의 경구투여에 의해서, 시험액투여 1시간 후의 뇌세포로의 당질의 유입량은, 대조군의 유입량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이소류신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뇌세포에의 당질의 유입이 촉진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뇌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 경정맥투여에 의한 당 유입 촉진 작용
(1) 시험액의 조제
대조군:정제수에 포도당을 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대조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혼합 아미노산군:정제수에 포도당을 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에 아미파렌(등록상표;주식회사 오오츠카제약 공장 제품)을 1.5 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혼합 아미노산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류신군:정제수에 포도당을 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에, L-류신을 1.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류신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이소류신군:정제수에 포도당을 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에, L-이소류신을 1.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시험액으로 하였다.
발린군:정제수에 포도당을 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에 L-발린을, 1.5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발린군의 시험액으로 하였다.
(2) 시험 방법
수컷 7주령SD 래트(일본 쿠레아)를 정제 사료 AIN-93G(일본 농산공업 주식회사제)를 자유롭게 먹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한 조건에서 14일간 사육한 후, 8주령시에 체중을 기준으로 5군(대조군, 혼합 아미노산군, 류신군, 이소류신군, 발린군)으로 나누었다. 군을 나누고 난 후, 에테르 마취 하에 래트의 경부를 절개해, 경정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였다. 카테터의 다른 한쪽 끝은 피하를 통해 뒤쪽에 노출시키고, 하네스를 통해 시벨에 접속·고정하여, 래트를 개별 대사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카테터를 통해 대조군 래트에게는 5질량% 포도당액을, 혼합 아미노산군, 류신군, 이소류신군 및 발린군 래트에게는 각각의 시험액을 10mL/kg/hr의 속도로 투여하였다. 시험액투여 23시간 후에 카테터를 통해 2-[1, 2-3H]-Deoxyglucose(2DG)를 30μCi/kg로 약 3초간에 걸쳐 정맥내에 투여하였다. 정맥내에 투여 후 2, 10, 20, 30, 40 및 60분에 카테터를 통해 300μL씩 채혈해, 혈액을 헤파린 처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중의 2DG량과 혈당치를 시험예 1의 시험 방법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2-[1, 2-3H]-Deoxyglucose를 투여하고 1시간 후, 래트에게 펜토바르비탈나 트륨을 50mg/kg 주입되도록 약 3초간 걸쳐 정맥내에 투여하고, 마취하에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헤파린 채혈에 의해 탈혈을 실시하였다. 탈혈 후 뇌조직을 적출하고, 뇌조직에 그 중량의 4배량의 1N NaOH를 가하여 항온수조로 6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뇌조직을 용해시켰다. 뇌조직의 용해액에 상기 1N NaOH와 동량의 1N HCl를 가하여 중화시켜, 뇌조직의 중화호모지네이트로 하였다. 중화호모지네이트 중의 2DG-6P량을 시험예 1의 시험 방법과 같은 방법에서 측정해, 뇌세포로의 당질의 유입량을 구하였다.
통계 처리는 분산분석 후, 대조군을 대조로 한 Dunnett`s의 다중 비교 유의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결과에서 보듯이, L-류신, L-이소류신, L-발린의 투여에 의해, 투여 24시간 후의 뇌세포로의 당질의 유입량은, 대조군이나 혼합 아미노산군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고, 특히 이소류신군과 발린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뇌세포에의 당질의 유입을 촉진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뇌세포내로의 당질의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뇌세포내의 당질 수치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저혈당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의약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는, 혈액내의 당수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뇌세포내의 당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당뇨병 환 자 등의 인슐린 주사 후의 저혈당이나 항당뇨약 투여 후의 저혈당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쇄 아미노산이, L-발린, L-류신 및 L-이소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이소류신을 반드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L-이소류신, L-류신 및 L-발린의 함유 비율이, 몰비로 환산하여, 1:(0 내지 3):(0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질을 추가로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당질이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혈당증이, 교감신경 자극 증상 및/또는 뇌증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기쇄 아미노산이, L-발린, L-류신 및 L-이소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L-이소류신을 반드시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L-이소류신, L-류신 및 L-발린의 함유 비율이, 몰비로 환산하여, 1:(0 내지 3):(0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2.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당질이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4.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제 또는 과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청구항 8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는 주사제 또는 과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
  16.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저혈당증 억제 또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을 촉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8.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혈당증의 억제 방법.
  19.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 방법.
  20. 저혈당증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용.
  21. 뇌세포내로의 당질 유입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분기쇄 아미노산,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용.
KR1020087008710A 2005-10-12 2006-09-29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KR20080064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8089 2005-10-12
JP2005298089 2005-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834A true KR20080064834A (ko) 2008-07-09

Family

ID=379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710A KR20080064834A (ko) 2005-10-12 2006-09-29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97787A1 (ko)
EP (1) EP1935417A4 (ko)
JP (1) JPWO2007043363A1 (ko)
KR (1) KR20080064834A (ko)
CN (1) CN101287458A (ko)
TW (1) TW200800153A (ko)
WO (1) WO20070433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972A (ko) * 2011-01-17 2014-01-15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분기쇄 아미노산 함유 젤리
KR101352422B1 (ko) * 2011-11-23 2014-01-2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저혈당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3128B (zh) 2007-07-31 2015-10-11 Ajinomoto Kk A granule preparation containing an amino acid with excellent taste
DK2098125T3 (da) * 2008-03-03 2011-12-05 Nestec Sa Geleret fødemiddelprodukt med høj virkningsgrad for kulhydratindtag
EP2098124A1 (en) * 2008-03-03 2009-09-09 Nestec S.A. Carbohydrate gel
GB201108343D0 (en) * 2011-05-18 2011-06-29 Hibernation Honey Ltd Honey composition
CN102908337B (zh) * 2012-10-12 2014-03-05 大连医诺生物有限公司 微囊化氨基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854077B2 (ja) * 2014-04-14 2016-02-09 味の素株式会社 経口摂取用ゲル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4957A4 (en) 1984-03-01 1987-11-09 Vernon Erk METHOD FOR THE TREATMENT OF MEMORY DISORDERS IN ELDERLY PEOPLE.
JPS61501561A (ja) 1984-03-01 1986-07-31 ア−ク,バ−ノン 脊椎動物における低血糖症を治療する方法
JPH02172915A (ja) 1988-12-23 1990-07-04 Ajinomoto Co Inc 脳細胞代謝改善組成物
JPH03275631A (ja) 1990-03-19 1991-12-06 Ajinomoto Co Inc 抗痴呆薬
JP3341769B1 (ja) * 2002-01-25 2002-11-05 味の素株式会社 分岐鎖アミノ酸含有チュアブル剤
JP4281281B2 (ja) 2002-01-30 2009-06-17 味の素株式会社 分岐鎖アミノ酸を含有するドライシロップ剤
JP3341770B1 (ja) * 2002-01-30 2002-11-05 味の素株式会社 分岐鎖アミノ酸を含有するゼリー剤
WO2004069236A1 (ja) * 2003-02-06 2004-08-19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周術期血糖値上昇抑制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972A (ko) * 2011-01-17 2014-01-15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분기쇄 아미노산 함유 젤리
KR101352422B1 (ko) * 2011-11-23 2014-01-2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저혈당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43363A1 (ja) 2009-04-16
US20100197787A1 (en) 2010-08-05
TW200800153A (en) 2008-01-01
EP1935417A4 (en) 2009-06-10
EP1935417A1 (en) 2008-06-25
WO2007043363A1 (ja) 2007-04-19
CN101287458A (zh)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4834A (ko) 저혈당증 억제용 조성물
US783405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gout
JP3906716B2 (ja) 耐糖能異常用薬剤
JP5266058B2 (ja) 抗うつ剤
JP6044667B2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US2011019598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5187935B2 (ja) 羅漢果エキスを含有する創傷治癒促進組成物と適用方法
JP4715423B2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3968347B2 (ja) 糖尿病性神経障害用医薬組成物
JPH1017478A (ja) 潰瘍性大腸炎の予防又は治療剤
JP5410152B2 (ja) 貧血予防用組成物
KR20200140103A (ko) 틱장애, 뚜렛증후군 또는 강박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95813A1 (en) Gaba complex composition
US10639328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yperglycemia and treating diabetes
JPH0759507B2 (ja) 骨髄異形成症候群治療剤
KR20120039121A (ko) Nadh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 피로 회복 또는 근육강화용 조성물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