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522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522A
KR20080064522A KR1020070001517A KR20070001517A KR20080064522A KR 20080064522 A KR20080064522 A KR 20080064522A KR 1020070001517 A KR1020070001517 A KR 1020070001517A KR 20070001517 A KR20070001517 A KR 20070001517A KR 20080064522 A KR20080064522 A KR 2008006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crew
housing
setting block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162B1 (ko
Inventor
국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0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1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글래스를 창짝에 고정하기 위한 셋팅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련없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글래스 파손 우려 또한 불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취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팅 블록, 돌출부, 글래스 간격 조절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취부 방법{Height-variable setting block and glass fixing method by thereof}
도 1a 및 1b는 종래의 셋팅 블록에 대한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셋팅 블록에 대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경사면이 스크류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셋팅 블록을 사용하여 글래스를 취부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셋팅 블록 110 : 하우징
111 : 개방부 120 : 글래스 밀착부
121 : 본체 123 : 돌출부
123a : 스크류 삽입부 123b : 경사면
B : 스크류 L : 렌치
200 : 보강부재 210 : 보강 플레이트
220 : 보강리브
본 발명은 창호의 글래스를 창짝에 고정하기 위한 셋팅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글래스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작업자의 숙련 여부에 관련없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짝에 글래스를 취부하기 위해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셋팅 블록(10)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셋팅 블록(10)은 평판 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창짝의 창짝 프레임(SF)에 장치된 후 상기 셋팅 블록(10)상에 글래스가 취부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셋팅 블록(1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창짝 프레임(SF)과 상기 글래스의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종래의 셋팅 블록(10)을 장치한 후 글래스 취부전 유리 주걱과 우드 블록 예를 들어 1mm, 3mm, 5mm 높이를 가지는 우드 블록을 장치하여 상기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글래스를 취부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글래스 취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 차이가 발생하여 창호의 개폐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경우 유리 주적으로 글래스를 밀고 우드 블록을 간격에 맞게 일일이 셋팅 블록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해야 해서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글래스의 파손 우려가 있는 문제점 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련없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셋팅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중공의 박스형상이되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편 그 상면은 상기 함몰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크류 삽입부로 구성되는 글래스 밀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나사공에 삽입되는 한편 상기 글래스 밀착부의 스크류 삽입부에 삽입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며 상기 경사면을 밀어붙여 상기 글래스 밀착부의 돌출부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게 하여 상기 글래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취부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련없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셋팅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글래스를 밀어 고정시키는 글래스 밀착부(120)와 상기 글래스 밀착부(120)가 수용되는 하우징(110) 그리고 스크류(B)로 구성된다.
상기 글래스 밀착부(120)는 판체 형상의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상에 돌출되어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123)와, 상기 돌출부(123)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편 그 상면은 상기 함몰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23b)이 형성되는 스크류 삽입부(123a)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23)의 상면이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출부(123)의 일측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함몰되어 스크류 삽입부(123a)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 삽입부(123a)는 후술하는 스크류(B)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23)의 일측면 전부가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일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3) 일측면의 특정 부분만이 함몰되어 스크류(B)가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함은 당연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삽입부(12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경사면(123b)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23b)의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함돌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즉, 상기 경사면(123b)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스크류 삽입부(123a)에 후술하는 스크류(B)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글래스 밀착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중공의 박스형상이되 상면에 개방부(111)가 형성되고 측면에 나사공(1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112)을 통해 상기 스크류(B)가 삽입된 후 상기 스크류 삽입부(123a)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2b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부(111) 및 돌출부(123)의 형상은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개방부(111)를 통해 돌출되되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인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B)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돌출부(123)을 상승시켜 상기 돌출부(123)의 상면이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크류(B)가 회전하며 상기 돌출부(123)의 경사면(123b)를 밀어붙이게 되면 상기 돌출부가(123)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3)을 상승시키거나 혹은 상기 스크류(B)를 반대로 회전시켜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출부(123)의 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S)를 장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글래스 밀착부(120)의 본체(121) 양단에 장치되는 탄성부재(S)와,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S)가 삽입되는 탄성부재 삽입부(113)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스크류(B)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B)의 끝단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렌치 삽입부(B1)와, 상기 렌치 삽입부(B1)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B)를 회전시키는 렌치(L)를 구비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상기 스크류(B)를 회전시켜 상기 돌출부(123)을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상기 승하강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스크류(B)가 상기 경사면(123b)를 밀기 전의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B)를 상기 렌치(L)등을 이용하여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B)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게 되고 결국 상기 스크류(B)와 접촉하는 경사면(123b)이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의해 결국 상기 경사면(123b)이 형성되는 돌출부(123)가 상승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승되는 돌출부(123)의 상면이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은 창짝 프레임에 장치되어 상기 글래스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창틀 프레임의 단면 프로파일에 맞게 장치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의 강도 향상을 위해 보강 부 재(200)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210)와, 상기 하우징(110) 일측면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210)의 상면을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 리브(220)로 구성되어 강도 향상 및 상기 창짝 프레임에 안정적인 장착을 도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을 이용하여 창짝에 글래스를 취부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다수개의 셋팅 블록은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셋팅 블록으로서 장치되는 위치에 따라 도면부호가 100-1 내지 100-8로 기재되어 있다.
한편 후술되겠지만 상기 각 셋팅 블록(100-1 내지 100-8)에 따라 그 높이 즉 글래스(G)와의 간격이 다르게 장치되는데 그 이유는 시스템 창호와 같이 글래스(G)의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 상기 글래스(G)가 처지는 경향이 있어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글래스(G)의 무게가 무거워 보다 용이하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하는 취부 방법은 상술한 바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되, 이때 상기 창짝은 좌측 창틀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시 말해서 핸들이 우측 창짝 프레임에 장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준이 필요한 이유는 후술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에서는 6개의 셋팅 블록(100-1 내지 100-6)을 장치하게 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셋팅 블록 내지 제6 셋팅 블록(100-1 내지 100-6)으로 호칭한다.
우선 상기 제1 셋팅 블록(100-1)을 상기 창짝의 하측 창짝 프레임(SF3) 좌측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5mm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창짝에 상기 글래스(G)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 셋팅 블록(100-2)를 상기 창짝의 우측 창짝 프레임(SF4) 하측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3mm 내지 5mm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제3 셋팅 블록(100-3)을 상기 창짝의 좌측 창짝 프레임 하측(SF2)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4 셋팅 블록(100-4)을 상기 창짝의 좌측 창짝 프레임(SF2) 상측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3mm 내지 5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5 셋팅 블록(100-5)을 상기 창짝의 우측 창짝 프레임(SF4) 상측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제6 셋팅 블록(100-6)을 상기 창짝의 상측 창짝 프레임(SF1) 좌측에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B)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3)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경우 상기 글래스(G)는 좌측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우측 하부는 약간 들리도록 장치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글래스(G)자중이 작용하여 상기 글래스(G) 우측이 약간 들려있으므로 처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글래스(G)의 자중이 우측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우측 창짝에 장치되는 핸들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창짝이 반대로 우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본 발명의 셋팅 블록(100)을 장치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셋팅 블록 내지 제6셋팅 블록(100-1 내지 100-6)을 장치한 후 나머지 부분에 제7셋팅 블록(100-7) 및 제8셋팅 블록(100-8)을 장치하면 되며, 이때 상기 제7 및 제8 셋팅블록(100-7,100-8)은 상기 글래스(G)를 밀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글래스 취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 차이가 발생하여 창호의 개폐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경우 유리 주적으로 글래스를 밀고 우드 블록을 간격에 맞게 일일이 셋팅 블록 위치에 정확하 게 삽입해야 해서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글래스의 파손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원발명은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글래스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작업자의 숙련 여부에 관련없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편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창짝 프레임에 장치되는 한편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셋팅 블록으로서,
    중공의 박스형상이되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상기 글래스를 밀어 고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편 그 상면은 상기 함몰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크류 삽입부로 구성되는 글래스 밀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나사공에 삽입되는 한편 상기 글래스 밀착부의 스크류 삽입부에 삽입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며 상기 경사면을 밀어붙여 상기 글래스 밀착부의 돌출부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게 하여 상기 글래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밀착부의 본체 양단에 장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부재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끝단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렌치 삽입부와,
    상기 렌치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렌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일측면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 리브;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셋팅 블록을, 좌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창짝 프레임에 장치하여 글래스를 취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창짝의 하측 창짝 프레임 좌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5mm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창짝에 상기 글래스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창짝의 우측 창짝 프레임 하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3mm 내지 5mm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창짝의 좌측 창짝 프레임 하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창짝의 좌측 창짝 프레임 상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3mm 내지 5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창짝의 우측 창짝 프레임 상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창짝의 상측 창짝 프레임 좌측에 상기 셋팅 블록을 장치하되,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5mm 내지 10mm 이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을 이용한 글래스 취부 방법.
KR1020070001517A 2007-01-05 2007-01-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KR10122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17A KR101228162B1 (ko) 2007-01-05 2007-01-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17A KR101228162B1 (ko) 2007-01-05 2007-01-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522A true KR20080064522A (ko) 2008-07-09
KR101228162B1 KR101228162B1 (ko) 2013-01-30

Family

ID=3981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517A KR101228162B1 (ko) 2007-01-05 2007-01-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15B1 (ko) * 2012-09-25 2015-04-07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유리 장착위치 설정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098A (ko) * 2003-01-28 2004-08-04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인상체 인상용 잭
JP4254594B2 (ja) * 2004-03-26 2009-04-15 三協立山アルミ株式会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15B1 (ko) * 2012-09-25 2015-04-07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유리 장착위치 설정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162B1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702B2 (ja) 改修用サッシ
KR1012281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KR102132968B1 (ko)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10124226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JP2007046252A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EP1377713B1 (en) Facade cladding frame
US6978515B2 (en) Balancing device of raising-lowering window
US5014465A (en) Adjusting device for use in work-well attachment mounted on stile
JP3634776B2 (ja) 既設ドア枠利用の簡易改装ドア
KR20220043819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도어
JP4308397B2 (ja) 建築物用開口部枠材
JP6792110B2 (ja) 窓ユニット取付構造
KR10083965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JP4860943B2 (ja) 扉装置
KR101508415B1 (ko) 창짝의 유리 장착위치 설정용 지그
JPH0139349Y2 (ko)
KR200302194Y1 (ko) 도어 슬라이딩 장치
KR200337275Y1 (ko) 창틀의 레벨 조절구조
JP4640829B2 (ja) 片開き窓
KR20170036383A (ko) 도어용 갭 차단장치
JPS6120228Y2 (ko)
JP4162257B2 (ja) 網戸装置
JP3156011U (ja) ステー部材
JP2003090175A (ja) 上げ下げ窓
KR920011033B1 (ko) 대문용 연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