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098A - 인상체 인상용 잭 - Google Patents

인상체 인상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098A
KR20040069098A KR1020030005541A KR20030005541A KR20040069098A KR 20040069098 A KR20040069098 A KR 20040069098A KR 1020030005541 A KR1020030005541 A KR 1020030005541A KR 20030005541 A KR20030005541 A KR 20030005541A KR 20040069098 A KR20040069098 A KR 20040069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jack
support
bridge
incli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현
이종석
송상준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Priority to KR102003000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098A/ko
Publication of KR2004006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 등과 같은 인상체를 받쳐주는 교좌장치 교체시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가 안착 지지되는 그 지지면이 인상체와 항상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인상체에 집중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줌에 따라 인상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할 수 있는 인상체 인상용 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폭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판(20)과, 하부경사판(20)의 경사면에 포개어져 하부경사판(20)의 수평 이동시 상하 이동되는 상부경사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상체 인상용 잭에 있어서, 상부경사판(30)의 중심부에는 유동홈(30a)이 형성되고, 유동홈(30a)에는 상면에 인상체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체(40)의 하부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되어,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의 경사각만큼 지지체(40)가 경사짐에 따라 인상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상체 인상용 잭{STRUCTURE LIFTING JACK}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 등과 같은 인상체를 지지하는 교좌장치 교체시 인상체를 소정높이로 인상시켜 교좌장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인상체 인상용 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상시킬 수 있는 인상체 인상용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구조(교대나 교각)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상부구조의 하중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부구조 사이의 상대변위를 원활히 흡수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교량내에 발생하는 2차 응력을 최소화하는 기계적 장치이다.
이러한 교좌장치로는, 인상체의 변형(신축, 회전)을 고무의 전단변형 및 탄성변형에 의하여 흡수시키는 교량지지용 탄성받침과, 특수 교좌장치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하중지지 및 인상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상부구조의 회전량과 상,하부구조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는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과, 원형의 밀폐 용기에 고무를 넣고 그 위에 받침판을 얹어 고무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회전을 얻고 윗 판은 PTFE 판을 붙이고 윤활유를 주입하여 마찰 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동을 얻게 하는 포트베어링(Pot Bearing)과, 포트베어링등이 갖는 수직·수평 지진계수보다 큰 내진구조로 대수평력을 견딜 수 있는 스페리칼 베어링(Sperical Bearing), 그리고 가황처리된 방진고무층과 교대로 놓여진 얇은 강철판 및 단면의 중앙에 삽입된 납으로 구성된 납면진 받침(LRB)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의 하중뿐만 아니라 지진이나 풍우, 지반의 침하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서 설계수명 이하에서 파손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격 설계수명도 교량의 상,하부구조에 비해 짧은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교좌장치의 손상은 교량의 상하부 구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교량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손상된 교좌장치는 즉시 교체해야 한다.
손상된 교좌장치의 교체는 유압장치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상부구조에 손상이 없는 상태로 상부구조를 인상시키면서 교좌장치를 해체한 뒤 일정시간 지탱이 가능하고 차량 통행 등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웨지잭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에 교량용 교좌장치를 교체하기 위한 웨지잭이 한국특허등록 10-0349971호에 이미 선출원된 바 있다.
특허등록 10-0349971호에 개시된 웨지잭은, 채널형으로 된 일정규격의 하우징(1)에 상,하부경사판(2,3)이 폭방향으로는 이동 규제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원활히 슬라이딩되도록 포개어져 삽입되고, 하부경사판(3)의 수평이동에 대하여 상부경사판(2)이 상하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압상지지체에 있어서, 하부경사판(3)의 후단부 중앙에는 키(42)가 슬라이드되게 삽착되는 키홈(32)이 요설되고, 하우징(1)의 후벽(13)에는 삽지슬리트(131)가 형성되며, 하부경사판(3)의 소정거리 전진후에는 하부경사판(3)의 되밀림을 저지하도록 하우징(1)의 내부인 하부경사판(3)의 후면과 하우징(1)의 후벽(13) 간에 스토퍼부재(5)를 삽입하고, 하우징(1)의내부 바닥면에는 하부경사판(3)의 전후진을 원활하게 하도록 활판(15)을 설치하고, 실린더(4)의 실린더로드(41) 종단에 키홈(32)에 삽입되는 키(42)가 부착되는 실린더(4)가 그 본체(40)의 선단에서 하우징(1)의 후벽(13)에 형성되는 삽지슬리트(131)에 삽착되는 안내돌기(43)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지잭에 따르면, 실린더의 착탈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경사판의 미끄러짐을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보장하며, 상부구조과의 접속을 부드럽고도 확실히 하며, 특히 열악한 환경하에서도 압상시 쇄기의 미끄러짐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웨지잭은, 교량의 상부구조를 안착 지지하는 상부경사판의 상면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교량의 상부구조가 수평인 경우에는 상부경사판의 상면이 교량의 상부구조에 균일하게 접촉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시킬 수 있으나, 교량의 상부구조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우에는 상부경사판의 일부분만이 교량의 상부구조와 접촉되므로 상부구조의 일부분에 집중응력이 발생되어 그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교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역시 상부경사판의 일 부분에만 집중되므로, 웨지잭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웨지잭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상부구조 등과 같은 인상체를 받쳐주는 교좌장치 교체시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가 안착 지지되는 그 지지면이 인상체와 항상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인상체에 집중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줌에 따라 인상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할 수 있는 인상체 인상용 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사시도.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을 이용해 교량의 상부구조를 인상시키는 시공상태를 보인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20 : 하부경사판
30 : 상부경사판 40 : 지지체
50 : 유압실린더 60 : 이탈방지판
70 : 완충부재
본 발명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폭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판과, 하부경사판의 경사면에 포개어져 하부경사판의 수평 이동시 상하 이동되는 상부경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상체 인상용 잭에 있어서, 상부경사판의 중심부에는 유동홈이 형성되고, 유동홈에는 상면에 인상체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체의 하부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되어,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의 경사각만큼 지지체가 경사짐에 따라 인상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상부경사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지지체의 하부가 상기 유동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지지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인상체로부터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을 이용해 교량의 상부구조를 인상시키는 시공상태를 보인 시공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채널형으로 된 일정규격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폭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판(20)과, 하부경사판(20)의 경사면에 포개어져 하부경사판(20)의 수평 이동시 상하 이동되는 상부경사판(30), 그리고 상부경사판(30)에 전후좌우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고 그 상면에 교량의 상부구조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부경사판(20)의 폭방향 이동을 규제하게 되며,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하부경사판(20)의 후단부를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부경사판(20)의 후단부 중앙에는 실린더로드(51)의 단부에 장착된 키(52)가 슬라이딩되어 탈거 가능하게 삽착되는 키홈(20a)이 형성되므로, 키홈(20a)의 상하방향에서 키(52)를 밀어 끼워 넣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하부경사판(20)은 실린더로드(51)의 단부와 키(52)에 의해 결합되므로, 실린더로드(51)의 전후진에 의해 진퇴된다.
상기 상부경사판(30)의 상부 중심에는 지지체(40)의 하부가 상하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유동홈(30a)이 형성되고, 상부경사판(30)의 상면에는 지지체(40)가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며 지지체(40)가 유동홈(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6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체(40)는 상부경사판(30)의 유동홈(30a)에 전후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면에 교량의 상부구조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유동홈(30a)에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부(40a)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교량의 상부구조가 안착되는 안착판부(40b)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체(40)는 유동시 그 하부에 형성된 유동부(40a)의 턱이 이탈방지판(60)에 걸림에 따라 유동홈(30a)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유동홈(30a)의 내측면은 지지체(40)의 반구형 유동부(40a)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교량의 상부구조가 임의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더라도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체(40)가 상부구조의 경사각만큼 저절로 경사짐으로써, 지지체(40)의 안착판부(40b)가 상부구조에 항상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로 상부구조를 지지하므로 상부구조에 집중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부구조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안착판부(40b)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교량의 상부구조와 지지체(40)의 파손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체(40)의 안착판부(40b) 상면에는 교량의 상부구조 안착시 상부구조로부터 지지체(4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줌으로써 기기들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재(70)가 부착되는데, 이 완충부재(70)는 신축성을 갖고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므로 잭을 여러개 설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를 인상할 경우 각 잭에 작용하는 응력을 균일하게 분포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을 이용해 교좌장치를 교체하는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하고자 하는 교좌장치에 인접하여 상부구조의 하부에 웨지잭을 위치시킨 다음 유압실린더(50)를 작동하여 실린더로드(51)를 전진시키면, 하부경사판(20)이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경사판(30)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상부경사판(30)이 상승하게 되면, 지지체(40)가 교량의 상부구조에 밀착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를 소정높이로 인상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교량의 상부구조가 원하는 높이로 인상되면 유압실린더(50)의 작동을 멈추고, 교좌장치를 분리하여 교체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인상체 인상용 잭은, 하부경사판(20)의 하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8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인상체의 높이에 따라 잭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상체 인상용 잭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인상체 인상용 잭에 따르면, 상부경사판에 교량의 상부구조등과 같은 인상체를 안착 지지하는 지지체를 상하좌우로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체의 안착판부가 인상체에 항상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로 인상체를 지지하므로 인상체에 집중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반대로 인상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안착판부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인상체와 지지체의 파손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폭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판과, 상기 하부경사판의 경사면에 포개어져 하부경사판의 수평 이동시 상하 이동되는 상부경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상체 인상용 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사판의 중심부에는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에는 상면에 인상체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체의 하부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되어, 인상체가 경사지더라도 인상체의 경사각만큼 상기 지지체가 경사짐에 따라 인상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상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체 인상용 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사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의 하부가 상기 유동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체 인상용 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인상체로부터 상기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체 인상용 잭.
KR1020030005541A 2003-01-28 2003-01-28 인상체 인상용 잭 KR20040069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41A KR20040069098A (ko) 2003-01-28 2003-01-28 인상체 인상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41A KR20040069098A (ko) 2003-01-28 2003-01-28 인상체 인상용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98A true KR20040069098A (ko) 2004-08-04

Family

ID=3735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41A KR20040069098A (ko) 2003-01-28 2003-01-28 인상체 인상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0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62B1 (ko) * 2007-01-05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KR101888146B1 (ko) * 2018-01-12 2018-08-13 두산미래기술(주) 교량의 안전 동시인상공법
IT202100005075A1 (it) * 2021-03-04 2022-09-04 Next Innovation In Eng S R L Martinetto, atto ad essere inserito nello spessore di un elemento strutturale, e procedimento per l’inserimento di tale martinetto in tale elemento struttura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62B1 (ko) * 2007-01-05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KR101888146B1 (ko) * 2018-01-12 2018-08-13 두산미래기술(주) 교량의 안전 동시인상공법
IT202100005075A1 (it) * 2021-03-04 2022-09-04 Next Innovation In Eng S R L Martinetto, atto ad essere inserito nello spessore di un elemento strutturale, e procedimento per l’inserimento di tale martinetto in tale elemento strutturale
EP4053359A1 (en) 2021-03-04 2022-09-07 Next Innovation in Engineering S.r.l. Jack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ickness of a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for inserting said jack in said structural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392B1 (ko) 분할형 교량받침
KR102280308B1 (ko) 교량 인상용 받침판
KR20180033117A (ko) 하부구조 설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89820B1 (ko) 이중패드 면진장치
KR20040069098A (ko) 인상체 인상용 잭
KR100783245B1 (ko)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KR101383506B1 (ko) 미복원 영역을 제거한 면진장치
KR101766440B1 (ko) 내진용 교좌장치의 안전한 교체가 가능한 높이 조절용 교량 인상 장치
KR101289819B1 (ko)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CN109930494A (zh) 适用于曲线和纵横坡的桥梁施工顶推装置
KR20070115837A (ko) 유지보수용 받침
KR101194307B1 (ko) 보수교체가 용이한 디스크받침
KR102133128B1 (ko) 다변형 변위 편향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CN209760008U (zh) 一种路桥减震用支座组件
US11053107B2 (en) Jack pad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jacking an aircraft
US11913492B2 (en) Uni-directional and multi-directional mechanical structural bearing
KR101293331B1 (ko)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KR101731896B1 (ko) 거동식 일체형 유압잭
CN114411537A (zh) 一种可快速更换滑板的耐久型桥梁支座及调节方法
KR100773879B1 (ko) 교좌장치
JP5119383B1 (ja) 不陸調整機能を有する構造物用滑り支承装置。
JP4259991B2 (ja) 墨出し装置
CN218373397U (zh) 一种用于支撑千斤顶的垫高装置
KR20040085997A (ko) 포트베어링
CN215048402U (zh) 升降支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