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780A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780A
KR20080058780A KR1020060132879A KR20060132879A KR20080058780A KR 20080058780 A KR20080058780 A KR 20080058780A KR 1020060132879 A KR1020060132879 A KR 1020060132879A KR 20060132879 A KR20060132879 A KR 20060132879A KR 20080058780 A KR20080058780 A KR 2008005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ime
unit
transfer
transf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979B1 (ko
Inventor
박수철
강범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979B1/ko
Priority to US11/954,122 priority patent/US20080152365A1/en
Priority to CN2007103062442A priority patent/CN101226352B/zh
Publication of KR2008005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24Document property detectors
    • G03G2215/00329Document size detectors
    • G03G2215/00333Document size detectors detecting feeding of docu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99Timing, synchronisation

Abstract

양면 인쇄 시 용지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급지 유닛과 상기 배지 유닛을 포함하여 현상, 전사, 및 정착하기 위한 제1이송 경로,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 경로, 급지 센서 및 배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및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이송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양면 인쇄, 용지 픽업, 잼, 미끄러짐, 이송 지연

Description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Duplex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구동 계통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가 정상으로 용지 이송하는 경우 픽업 롤러와 급지센서 및 배지센서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가 용지 이송을 지연시키는 경우 픽업 롤러와 급지센서 및 배지센서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91 : 급지센서
92 : 배지센서
93 : 카운터
94 : 제어부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인쇄 시 용지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지의 전면과 후면을 인쇄할 수 있는 양면 인쇄 장치는 용지 카세트에서 한 장씩 픽업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 롤러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이송 간격을 너무 짧게 하면 먼저 급지된 용지와 나중에 뒤따르는 용지가 겹쳐져서 이송되는 중송(multi feed)이 발생되고, 용지 이송 간격을 지나치게 길게 하면 인쇄 속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여러 장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한 장의 용지를 픽업하고 나서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타이밍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보통의 양면 인쇄 장치는 용지의 전면을 인쇄하기 위한 이송 경로와 전면 인쇄를 마친 용지의 후면을 인쇄하기 위한 이송 경로를 개별적으로 갖추고 있어서 단면(Simplex)인쇄 장치에 비하여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경로가 길고 복잡한데, 이로 인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동안 미끄러짐이나 이송 부재와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정해진 이송 시간보다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용지 이송 시간이 지연되면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타이밍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보통의 인쇄 장치는 용지가 이송하는 구간별로 잼 발생에 대비하여 용지 이송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나서, 인쇄 작업 시 세부 구간별로 용지의 이송 현황을 체크하고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잼 발생으로 인식하여 인쇄 작업의 중단과 함께 장치 외부로 잼 발생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용지 지연 시간이 잼 발생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지연 동작이 오래 지속되어 다음 용지의 픽업 동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용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 발생 여부만을 체크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에 적절하게 대비하지 못하여 중송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인쇄 작업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 인쇄하기 위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송 지연 시간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시켜 상기 용지의 전면과 후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양면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부; 상기 용지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이송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지 감지부는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급지 센서와 상기 배지 유닛에 설치되는 배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배지 유닛을 포함하여 현상, 전사, 및 정착하기 위한 제1이송 경로와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배지 유닛의 일측과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을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송경로를 통해 이송하는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가 잼 설정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상기 차이만큼 지연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가 잼 설정 시간보다 크면 잼 발생을 장치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용지의 픽업 타이밍은 앞서 양면 인쇄한 용지에 뒤따라서 양면 인쇄하기 위한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다.
상기 용지의 픽업 타이밍은 앞서 양면 인쇄한 용지가 상기 배지 롤러를 통과한 이후부터 상기 급지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지유닛,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한 양면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 유닛으로 진입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급지 센서; 상기 배지 유닛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용지를 감지하는 배지 센서;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배지 유닛을 포함하여 현상, 전사, 및 정착하기 위한 제1이송 경로;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 경로; 상기 급지 센서 및 상기 배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이송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만큼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지연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하고 용지의 전면과 후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지유닛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를 제1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2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제2단계; 상기 용지 이송 단계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3간계에서 측정된 이송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다음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 경로상에 상기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동안 상기 용지 전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이송되는 용지 전면에 이미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과 잼 설정 시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지연 시간이 상기 잼 설정 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지연 시간 만큼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지연하며, 상기 지연 시간이 상기 잼 설정 시간 보다 크면 잼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배지 유닛의 일측과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측정하는 이송 시간은 상기 제2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시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양면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구동 계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는 급지유닛(10), 노광유닛(20), 현상유닛(30), 전사유닛(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 및 양면인쇄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유닛(10)은 인쇄매체인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지(P)가 적재되는 용지트레이(11)와, 용지트레이(1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지트레이(11)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13)에 의해 한 장씩 픽업되어 현상유닛(30) 쪽으로 이동된다.
현상유닛(3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카트리지(30Y, 30M, 30C, 3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카트리지(30Y, 30M, 30C, 30K)에는 노광유닛(2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Y, 31M, 31C, 31K)가 구비된다. 각 노광유닛(20Y, 20M, 20C, 20K)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카트리지의 감광체(31Y, 31M, 31C, 31K)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카트리지(30Y, 30M, 30C, 30K)는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가 저장되는 현상토너 저장부(32)와, 각 감광체(31Y, 31M, 31C, 31K)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33), 각 감광체(31Y, 31M, 31C, 31K)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34) 및 현상롤러(34)에 토너를 부착하기 위한 공급롤러(35)를 가진다.
전사유닛(40)은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감광체(31Y, 31M, 31C, 31K)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41)와, 전사벨트(4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42)와, 전사벨트(41)의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43)와, 감광체(31Y, 31M, 31C, 31K)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유닛(50)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사되어 있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51)와, 가열롤러(5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가열롤러(5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지유닛(60)은 인쇄를 마친 용지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배지롤러(61)와, 배지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인쇄유닛(70)은 용지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인쇄된 용지를 다시 현상유닛(30)의 상류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면인쇄경로(71)를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72)과, 양면인쇄경로(71) 상에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양면인쇄롤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 센서(91)는 현상 유닛(30)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급지 유닛(10)의 픽업 롤러(13)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배지 센서(92)는 배지 유닛(60)에 인접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용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80)를 가진다. 구동부(80)는 제1구동모터(81)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부(80a), 제2구동모터(82)에 의해 구동되는 제2구동부(80b) 및 제3구동모터(83)에 의해 구동되는 제3구동부(80c)로 이루어진다.
제1구동모터(81)는 커플링 유닛이나 기어트레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급지유닛(10), 현상유닛(30)의 감광체들(31Y, 31M, 31C, 31K) 및 전사벨트(41)를 구동한다.
제2구동모터(82)는 블랙 색상을 제외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색상의 현상카 트리지(30Y, 30M, 30C)에 설치된 각종 롤러들을 구동한다.
제3구동모터(83)는 블랙 색상의 현상카트리지(30K)에 설치된 각종 롤러들,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 및 양면인쇄유닛(70)을 구동한다. 제3구동모터(83)와 블랙 색상의 현상카트리지(30K) 사이에는 제3구동모터(83)의 동력을 블랙 현상기(30K)에 단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 단속 기구(1)가 설치되고, 제3구동모터(83)와 정착유닛(50) 사이에는 한쪽 방향의 동력만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2)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인쇄 작업 시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모터(81)(82)(83)의 구동 동작은 제어부(94)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부(94)는 급지 유닛(10)에 의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용지의 전면을 인쇄하고 나서 양면인쇄경로(71)를 통하여 현상 유닛(30)의 상류로 이송시키고 그 용지 후면을 인쇄한 다음에는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를 위하여 급지 센서(91)와 배지 센서(92)의 감지신호를 제공받는다.
용지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이나 간섭으로 용지 이송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용지 지연 시간은 카운터(93)에 의해 카운트되어 제어부(94)에 제공된다.
제어부(94)는 카운터(93)로부터 제공받은 용지 지연 시간과 메모리(95)에 저장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다음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가 정상으로 용지 이송하는 경우 픽업 롤러와 급지센서 및 배지센서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가 용지 이송을 지연시키는 경우 픽업 롤러와 급지센서 및 배지센서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부(94)는 제1 내지 제3구동모터(81)(82)(83)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급지 유닛(10)의 픽업 롤러(13)가 용지를 픽업하고, 이 픽업 시점(tp)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t11)이 되면 용지가 현상 유닛(30)으로 진입함에 따라 급지 센서(91)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94)는 현상 유닛(30)과 전사 벨트(41) 사이로 용지를 이송시켜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 전면에 전사시킨다. 용지가 정착 유닛(50)을 거치면서 용지 전면에 전사되어 있는 가시 화상이 정착된다. 이렇게 용지 전면에 인쇄 작업을 마친 용지는 배지 유닛(60) 측으로 이송된다. 용지가 배지 유닛(60)를 통과함에 따라 배지 센서(92)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용지의 후단이 정착유닛(50)의 하류에 설치된 배지센서(92)를 지나는 시점에서 제어부(94)는 제3구동모터(83)를 역회전시킨다. 제3구동모터(83)를 역회전시키면 동력 단속 기구(1)는 블랙 색상의 현상카트리지(30K)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정착유닛 구동용 원웨이 클러치(2)는 정착유닛(50)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한다. 그러면 배지롤러(61)와 양면인쇄롤러(73)만이 역회전하면서 용지가 양면인쇄경로(71)를 거쳐 다시 현상유닛(30)의 상류로 이송된다. 용지가 양면인쇄경로(71)를 거쳐 이송되는 이송 시간(Ta)이 카운터(93)에 의해 측정된다.
양면인쇄경로(71)를 거친 용지의 선단이 감광체(31Y, 31M, 31C, 31K)와 전사 벨트(41) 사이로 진입하기 전의 특정 시점에서 제3구동모터(83)는 다시 역회전한다. 이 때 동력 단속 기구(1)는 블랙 현상기(30K)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및 제2구동모터(81)(82)를 구동시키면 현상 유닛(30)의 상류로 용지가 진입함에 따라 급지 센서(91)가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시점(t13)에서 제어부(94)는 현상 유닛(30)과 전사 벨트(41) 사이로 용지를 이송시켜 용지 후면에 현상, 전사, 정착 과정을 거치면서 용지 후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후면 인쇄 작업을 거친 용지는 배지유닛(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지가 배지 유닛(60)를 통과함에 따라 배지 센서(92)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시점(t14)부터 다음 용지 픽업 시간 동안 대기한다.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t21)에서 제어부(94)는 다음 용지의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구동모터(81)(82)(83)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픽업 롤러(13)는 용지를 픽업하여 현상 유닛(30)의 상류로 이송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을 거쳐 양면 인쇄 작업이 반복되도록 한다.
양면인쇄 작업을 위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동안 미끄러짐이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용지 이송을 지연시키면, 이후 뒤따르는 공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카운터(95)로 측정한 용지 이송 시간을 고려하여 다음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타이밍에서 용지를 픽업하여 전면 인쇄하는 과정은 생략하고, 이후 인쇄 작업의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지 전면에 인쇄를 마친 이후 용지가 배지 유닛(60)를 통과함에 따라 배지 센서(92)에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시점(t12)부터 제3구동모터(83)가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배지롤러(61)와 양면인쇄롤러(73)만이 역회전하면서 용지가 양면인쇄경로(71)를 거쳐 다시 현상유닛(30)의 상류로 이송된다.
이후 현상 유닛(30)과 전사 벨트(41) 사이로 용지를 이송시켜 용지 후면에 현상, 전사, 정착 과정을 거치면서 용지 후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후면 인쇄 작업을 거친 용지는 배지유닛(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용지가 양면인쇄 경로(71)를 거치는 동안 이송 지연이 발생하면 용지가 현상유닛(30)의 상류측에 진입하는 시점(t13a)까지 카운터(93)로 측정한 이송 시간(Tb)이 정상적으로 이송하는데 걸린 기준 시간(ta)보다 커지게 된다. 그 차이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D)만큼 후속 공정이 지연되기 때문에, 후면 인쇄를 마치는 시점(t14a)부터 다음 용지 픽업 시간을 대기하게 되며, 그 대기 시간이 종료되는 시간은 당초 미리 설정한 시점(t21)보다 지연 시간(D)만큼 지연된 시점(t21a)이 된다.
이송 지연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초 정해진 시점(t21)에서 다음 용지를 픽업하면 앞장의 용지와 뒤따르는 용지의 간격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아서 중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4)는 용지 지연 시간(D)만큼 지연된 시점(t21a)에서 픽업 롤러(13)를 이용하여 다음 용지를 픽업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제어부(94)는 제1구동모터(81)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급지 유닛(10)에서 한 장의 용지가 현상 유닛(30)으로 공급된다(101).
급지 센서(91)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으면, 제어부(94)는 제2 및 제3구동모터(82)(83)를 구동하여 용지의 전면에 화상을 형성한다(105). 전면 인쇄 작업을 마친 용지가 배지 유닛(60)를 거치게 되고 이때 배지 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으면 제어부(94)는 제1 및 제2구동모터(81)(82)는 구동 정지하고 제3구동모터(83)는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용지가 양면인쇄경로(71)를 거쳐 다시 현상유닛(30)의 상류로 이송된다(109). 이때 카운터(93)는 용지 이송 시간을 카운트한다(111).
용지가 현상 유닛(30)의 상류측으로 진입하고, 이에 따라 급지센서(91)로부터 감지신호의 제공여부를 판단하고(113), 감지신호를 제공받으면 제어부(94)는 카운터(93)에 의해 측정한 이송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고(115), 그 판단 결과 이송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즉 정상적으로 용지 이송하는 경우로 인식하여 제어부(94)가 제3구동모터(83)를 다시 역회전하고 또한 제1 및 제2구동모터(81)(82)를 구동하여 용지 후면에 화상을 형성한다(116). 후면 인쇄 작업 시 배지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의 제공여부를 판단하고(118), 그 감지신호를 제공받으면 초기 설정한 다음 용지의 픽업 시간(t21) 까지 대기하고(120), 그 다음 동작 125로 진행하여 제어부(94)에 의해 다음 용지를 픽업한다.
한편 동작 115의 판단 결과 이송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제어부(94)는 이송 지연이 발생한 경우로 인식하고, 이송 시간과 기준 시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잼 설정 시간 보다 큰지 판단한다(117). 그 판단 결과 지 연 시간이 잼 설정시간 보다 크면 잼 발생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장치 외부로 표시하고 나서 인쇄 작업을 중단한다(119).
동작 117의 판단 결과 지연 시간이 잼 설정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94)가 제3구동모터(83)를 다시 역회전하고 또한 제1 및 제2구동모터(81)(82)를 구동하여 용지 후면에 화상을 형성한다(123). 후면 인쇄 작업 시 배지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의 제공여부를 판단하고(125), 그 감지신호를 제공받으면 이송 시간과 기준 시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재 설정한 다음 용지의 픽업 시간(t21a) 까지 대기한다(127).
동작 120 또는 동작 127에서 대기 시간이 종료된 후에 제어부(94)는 용지 카세트에서 다음 용지를 픽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12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작업을 위해 용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이나 간섭 등으로 이송 지연이 발생하여도 그 이송 지연에 의해 후속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다음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할 수 있다.

Claims (17)

  1.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시켜 상기 용지의 전면과 후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양면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부;
    상기 용지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이송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감지부는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급지 센서와 상기 배지 유닛에 설치되는 배지 센서를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배지 유닛을 포함하여 현상, 전사, 및 정착하기 위한 제1이송 경로와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 경로를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배지 유닛의 일측과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양면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송경로를 통해 이송하는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양면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가 잼 설정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상기 차이만큼 지연하는 양면 인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가 잼 설정 시간보다 크면 잼 발생을 장치 외부로 표시하는 양면 인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픽업 타이밍은 앞서 양면 인쇄한 용지에 뒤따라서 양면 인쇄하기 위한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인 양면 인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픽업 타이밍은 앞서 양면 인쇄한 용지가 상기 배지 롤러를 통과한 이후부터 상기 급지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다음 용지를 픽업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인 양면 인쇄 장치.
  10. 급지유닛,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한 양면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 유닛으로 진입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급지 센서;
    상기 배지 유닛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용지를 감지하는 배지 센서;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배지 유닛을 포함하여 현상, 전사, 및 정착하기 위한 제1이송 경로;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 경로;
    상기 급지 센서 및 상기 배지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측정되는 이송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에 따라 양면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만큼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지연하는 양면 인쇄 장치.
  12.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유닛을 구비하고 용지의 전면과 후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지유닛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를 제1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이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2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제2단계;
    상기 용지 이송 단계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3간계에서 측정된 이송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다음 용지의 픽업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경로상에 상기 급지유닛과 현상유닛 및 배지 유닛이 설치되는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동안 상기 용지 전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이송되는 용지 전면에 이미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인쇄 장치의 인쇄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이송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과 잼 설정 시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지연 시간이 상기 잼 설정 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지연 시간 만큼 초기 설정한 픽업 타이밍을 지연하며, 상기 지연 시간이 상기 잼 설정 시간 보다 크면 잼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배지 유닛의 일측과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측정하는 이송 시간은 상기 제2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시간인 양면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132879A 2006-12-22 2006-1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5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79A KR101305979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54,122 US20080152365A1 (en) 2006-12-22 2007-12-1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7103062442A CN101226352B (zh) 2006-12-22 2007-12-20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79A KR101305979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780A true KR20080058780A (ko) 2008-06-26
KR101305979B1 KR101305979B1 (ko) 2013-09-26

Family

ID=3954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879A KR101305979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52365A1 (ko)
KR (1) KR101305979B1 (ko)
CN (1) CN1012263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147B2 (ja) * 2010-01-07 2014-09-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9239557B2 (en) 2013-11-29 2016-01-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682338B2 (ja) * 2016-04-28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3199873A (zh) * 2021-05-21 2021-08-03 曲阜市玉樵夫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双面打印功能的热敏打印机及打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046A (en) * 1995-01-31 1996-12-03 Hewlett-Packard Company Selective ejection of sensed paper jams in single sheet paper processing equipment
JP3219707B2 (ja) * 1996-12-24 2001-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341323B1 (ko) * 1999-11-20 2002-06-21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용지 이송 제어방법
JP2004099246A (ja) * 2002-09-10 2004-04-02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83800B2 (en) * 2003-02-20 2005-04-26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convey method and devic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4246014B2 (ja) * 2003-08-20 2009-04-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67698A (ja) * 2005-03-24 2006-10-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81924B2 (ja) * 2005-04-01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識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30420A (ja) * 2005-05-27 2006-12-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001388A1 (en) * 2005-06-17 2007-0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feeding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6352A (zh) 2008-07-23
US20080152365A1 (en) 2008-06-26
KR101305979B1 (ko) 2013-09-26
CN101226352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995B2 (en) Duplex printing system
US8757618B2 (en) Recording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566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에러 처리방법
JP20201839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71916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05979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07721B2 (ja) 手差し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手差し給紙方法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201401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8841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77210B2 (en) Image formation device
KR101595612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031828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26916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2036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105208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060269301A1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ing method
JP5812594B2 (ja) 画像形成装置
EP167955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ntroller of the transport speed of a recording medium
JP63088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118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58082A (ja) 画像形成装置
JP388934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065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21548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異常判断方法
JP2014038144A (ja) 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