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77A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77A
KR20080056677A KR20070133125A KR20070133125A KR20080056677A KR 20080056677 A KR20080056677 A KR 20080056677A KR 20070133125 A KR20070133125 A KR 20070133125A KR 20070133125 A KR20070133125 A KR 20070133125A KR 20080056677 A KR20080056677 A KR 20080056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quality
target value
measurement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583B1 (ko
Inventor
히로오 오모리
유키히코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5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speed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 SIR을 측정하고, 수신 SIR과 목표 SIR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106), 수신 BLER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목표 SIR을 갱신하는 목표값 갱신부(107), 및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고,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 SIR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10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나의 기지국에 접속 중인 복수 개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예컨대, CDMA 통신 시스템 등)에서는, 각 이동 통신 단말 간에 생길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는, 이너루프(inner-loop) 제어 방식과 아우터루프(outer-loop) 제어 방식을 포함하는 폐루프(closed loop) 송신 전력 제어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너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순간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순간 수신 품질과 그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순간 수신 품질로서는, 일반적으로, 희망파 신호 전력 대 간섭파 전력비(SIR: Signal to Interference power Ratio)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아우터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서는, 이너루프 제어 방식보다 긴 구간의 수신 품질인 긴 구간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긴 구간 수신 품질과 그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을 갱신한다. 긴 구간 수신 품질로서는, 일반적으로, 블록 에러율(BLER: Block Error Rate)이 사용되고 있다.
순간 수신 품질 및 긴 구간 수신 품질의 각 측정 구간 길이는, 통상적으로, 고정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이나, 건물 등에 의한 전파의 반사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페이딩(fading) 변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페이딩 변동에 따라, SIR을 측정하기 위한 희망파 전력(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 간섭파 전력(ISCP: Interference Signal Code Power)의 측정 구간 길이를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하라)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167710호 공보
아우터루프 제어 방식에서는, 긴 구간에 걸치는 수신 품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갱신 주기, 즉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을 갱신한 후 다음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을 갱신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 즉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에는,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갱신 주기가 길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무선 통신 환경이 계속해서 급격히 악화되는 등의 경우에, 아우터루프 제어 방식에 의해 순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을 증가시켜도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렵게 되어, 통신이 단절될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제1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제1 수신 품질과 제1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수신 신호의 품질인 제2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따라 목표값을 갱신하는 목표값 갱신부, 및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고 그 이동 상태 에 기초하여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제1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특징과 관련하여, 제1 수신 품질이 이너루프 제어 방식에서 사용되는 수신 품질이며, 제2 수신 품질이 아우터루프 제어 방식에서 사용되는 수신 품질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에 따라, 아우터루프 제어 방식에서 사용되는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이너루프 제어 방식에서 사용되는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제1 특징과 관련하여, 제1 수신 품질이 순간 수신 품질이고, 제2 수신 품질이 순간 수신 품질보다 긴 구간에서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긴 구간 수신 품질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에 따라, 순간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긴 구간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제1 특징과 관련하여, 측정 제어부가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이동 상태로서 취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제1 특징과 관련하여, 송신 전력 제어부가,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측정 제어부는 제1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제어 커맨드의 송신 주기를 또한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제1 특징과 관련하여, 측정 제어부가, 전회에 취득한 이동 상태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상태가 다른 경우에 한해서, 측정 구간 길이 및 갱신 주기를 변동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제1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제1 수신 품질과 제1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 수신 신호의 품질인 제2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따라 목표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의 기재와 관련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DMA 방식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1)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 기지국(2), 무선 회선 제어 장치(이하, "RNC"라고 한다)(3), 및 코어 네트워크(이하, "CN"이라고 한다)(4)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는, 기지국(2)의 무선 영역 내에 재권(在圈)해서, 기지국(2)과의 사이에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CN(4)을 통해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는, 앞서 설명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 의해, 다운링크(DL)의 수신 전력, 즉 기지국(2)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기지국(2)은, RNC(3)에 의해 무선 리소스를 관리받고, 이동 통신 단말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기지국(2)은, 앞서 설명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 의해, 업링크(UL)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RNC(3)는, 기지국(2)의 상위 장치로서 기능하며, 기지국(2)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의 관리 등을 행한다. RNC(3)는 이동 통신 단말기(1)가 실행하는 송신 전력 제어(아우터루프의 송신 전력 제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NC(3)는 이동 통신 단말기(1)에 설정된 목표 BLER을 제어한다. RNC(3)의 기능을 기지국(2)에 포함시켜서, 기지국(2)이 RNC(3)의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CN(4)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 내에서, 위치 제어, 호 제어, 및 서비스 제어를 행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며, ATM 교환망, 패킷 교환망 또는 라우터망 등으로 구성된다.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2.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이동 통신 단말기(1)는, 안테나(101), RF부(102), 역확산부(103), 레이크(RAKE) 수신부(104), 측정 제어부(105), 송신 전력 제어부(106), 목표값 갱신부(107), 및 송신 신호 생성부(108)를 포함한다.
안테나(101)가 수신한 수신 신호는, RF부(102)로 입력되어 다운컨버트(down-convert)된다. 역확산부(103)는, 다운컨버트된 수신 신호에 대해, 기지국(2)으로부터 할당된 스크램블 코드(scrambling code) 또는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에 의해 역확산 처리를 실행한다.
레이크 수신부(104)는, 역확산 처리 후의 수신 신호를 레이크 합성하고 에러 정정 및 부호화한다. 레이크 수신부(104)가 출력하는 데이터 계열은, 측정 제어 부(105), 송신 전력 제어부(106) 및 목표값 갱신부(107)에 입력된다.
송신 전력 제어부(106)는, 레이크 수신부(104)가 출력하는 데이터 계열로부터 수신 SIR(순간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수신 SIR과 목표 SIR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지국(2)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즉, 송신 전력 제어부(106)는, 앞서 설명한 이너루프 제어를 실행한다.
목표값 갱신부(107)는, 레이크 수신부(104)가 출력하는 데이터 계열로부터 수신 BLER(긴 구간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수신 BLER과 목표 BLER의 비교 결과에 따라 목표 SIR을 갱신한다. 즉, 목표값 갱신부(107)는, 앞서 설명한 아우터루프 제어를 실행한다.
측정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동 속도에 기초해서, 수신 BLER 및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를 제어한다. 송신 전력 제어부(106), 목표값 갱신부(107) 및 측정 제어부(105)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레이크 수신부(104)로부터의 데이터 계열은, 직교 복조, 복호 처리 및 에러 정정 복호 등을 수행한 후, 음성 신호 또는 화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한, 송신 신호 생성부(108)는, 송신 신호를 생성해서 RF부(102)에 공급한다. RF부(102)에서는, 송신 신호가 변조 처리 및 스펙트럼 확산 처리된 후, 업컨버트(up-convert)되어, 안테나(101)로부터 기지국(2)으로 송신된다.
(2.2) 송신 전력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
이하, 송신 전력 제어부(10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송신 전력 제어 부(106)는, 수신 SIR 측정부(1061), SIR 비교부(1062), 및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를 포함한다.
수신 SIR 측정부(1061)는, 레이크 수신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전력값과 간섭 전력값에 기초하여, 수신 SIR을 측정한다. 일례로서, 수신 SIR을 얻기 위한 희망파 전력으로서는, 파일럿 심볼의 실부(real part)와 허부(imaginary part)의 평균 제곱합(mean square)으로서 구해질 수 있다. 수신 SIR을 얻기 위한 간섭파 전력으로서는, 파일럿 심볼의 실부 및 허부의 평균값과 파일럿 심볼의 실부 및 허부의 분산(variance)으로서 구해질 수 있다.
SIR 비교부(1062)는, 수신 SIR 측정부(1061)가 측정한 수신 SIR과, 목표 SIR 설정부가 설정한 목표 SIR을 비교하고, 수신 SIR 값이 목표 SIR 값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한다. SIR 비교부(1062)는, 판정한 결과를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에 통지한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는, SIR 비교부(1062)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SIR이 목표 SIR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 커맨드("UP" 커맨드)를 생성하고, 수신 SIR이 목표 SIR 값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제어 커맨드("DOWN" 커맨드)를 생성한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가 생성한 제어 커맨드는, 송신 신호 생성부(108)에 공급되고, 송신 신호에 다중화된다.
(2.3) 목표값 갱신부의 상세한 구성
이하, 목표값 갱신부(107)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목표값 갱신 부(107)는, 수신 BLER 측정부(1071), 목표 BLER 기억부(1073), BLER 비교부(1072), 및 목표 SIR 설정부(1074)를 포함한다.
수신 BLER 측정부(1071)는, 레이크 수신부(104)가 출력하는 데이터 계열에서, 예컨대 전송 블록(transport block)마다 CRC 에러 검출을 행하고, CRC 에러 검출 결과에 따라 수신 BLER을 측정한다.
BLER 비교부(1072)는, 수신 BLER과, 목표 BLER 기억부(1073)에 기억되어 있는 목표 BLER의 차에 비례한 값으로서 목표 SIR의 보정값을 구한다.
목표 SIR 설정부(1074)는, BLER 비교부(1072)가 구한 목표 SIR의 보정값에 따라, 목표 SIR을 SIR 비교부(1062)에 설정한다.
(2.4) 측정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
이하, 측정 제어부(10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 제어부(105)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 및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를 포함한다.
이동 속도 취득부(1051)는, 다음의 (a)~(c)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해당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취득한다.
(a) 레일리 페이딩(Rayleigh fading)의 변동(페이딩 피치)으로부터, 도플러 주파수 fd를 계산하고, 도플러 주파수 fd에 의해 이동 속도를 구하는 방법.
(b) 단위 시간당 셀간 전환(핸드오버/핸드오프)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러한 카운트 값에 의해 이동 속도를 구하는 방법. 이 경우, 이동 속도를 이동 통신 단말기(1)에서 측정하는 경우로 제한하지 않고, 기지국(2)에서 이동 속도를 측정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1)에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c) GPS 또는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해 이동 속도를 구하는 방법.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수신 SIR 측정부(1061)에서의 수신 SIR의 측정 구간 길이를 제어한다.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에 기초해서,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에서의 제어 커맨드의 생성 주기를 제어한다.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수신 BLER 측정부(1071)에서의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를 제어한다. 또한,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에 기초해서, 목표 SIR 설정부(1074)에서의 목표 SIR의 갱신 주기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수신 SIR의 측정 구간 길이, 제어 커맨드의 생성 주기,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 SIR의 갱신 주기를 총칭해서 "설정 파라미터"라고 한다.
(3) 설정 파라미터의 제어 동작
다음으로,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 및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에 의한 설정 파라미터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 취득부(1051)가 취득한 이동 속도로부터, 설정 파라미터(수신 SIR의 측정 구간 길 이 및 제어 커맨드의 생성 주기)를 선형(일차 함수)적으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가 취득한 이동 속도로부터, 설정 파라미터(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 SIR의 갱신 주기)를 선형적으로 산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파라미터의 주기(시간)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가 취득한 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지는 값이 된다. 도 3에서는,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 파라미터 주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심볼 수 또는 슬롯 수 등을 기준으로 해도 된다.
(4)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앞서 설명한 이동 통신 단말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이동 속도 취득부(10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Vt)를 취득한다.
단계 S102에서, 이동 속도 취득부(1051)는, 전회에 취득한 이동 속도(Vt -1)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속도(Vt)가 일치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회에 취득한 이동 속도(Vt -1)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속도(Vt)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103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103에서,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 및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는, 단계 S101에서 취득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 파라미터를, 도 3에 나타낸 원리로 산출한다.
단계 S104에서,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는, 단계 S103에서 산출한 설정 파라미터(SIR 측정 구간 길이 및 제어 커맨드 생성 주기)를 수신 SIR 측정부(1061) 및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에 설정한다. 또한,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는, 단계 S103에서 산출한 설정 파라미터(BLER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 SIR 갱신 주기)를 수신 BLER 측정부(1071) 및 목표 SIR 설정부(1074)에 설정한다.
그 결과, 수신 SIR 측정부(1061)는,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에 의해 설정된 SIR 측정 구간 길이에서 수신 SIR을 측정한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063)는,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2)에 의해 설정된 제어 커맨드 생성 주기에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또한, 수신 BLER 측정부(1071)는,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에 의해 설정된 BLER 측정 구간 길이에서 수신 BLER을 측정한다. 목표 SIR 설정부(1074)는,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1053)에 의해 설정된 목표 SIR 갱신 주기에서 목표 SIR을 갱신한다.
(5) 작용 및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는, 해당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 및 목표 SIR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수신 BLER의 측정 구간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신 BLER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목표 SIR 갱신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환경에 대한 추종성(追從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는, 해당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수신 SIR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제어 커맨드의 생성 주기(송신 주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환경이 변동하기 쉬운 상황하에서 통신이 단절될 가능성을 더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수신 SIR의 측정 구간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신 SIR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제어 커맨드의 생성 주기(송신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환경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회에 취득한 이동 속도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속도가 다른 경우에 한해, 설정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즉, 전회에 취득한 이동 속도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속도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설정 파라미터의 변동 처리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처리 부하 또는 소비 전력이 커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변형예]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설정 파라미터를 선형(일차 함수)적으로 산출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제1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파라미터를 비선형적으로 산출한다.
제1 변형예에 의하면, 설정 파라미터를 비선형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설정 파라미터의 주기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의 속도(시간당 60km)에서의 설정 파라미터의 주기(y1)보다, 도 5의 속도(시간당 60km)에서의 설정 파라미터의 주기(y2)가 훨씬 더 작은 값으로 된다.
따라서, 설정 파라미터를 비선형적으로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수신 SIR 및 수신 BLER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 환경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로부터 설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구성이 아니라, 미리 준비한 표를 사용해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이동 속도와 설정 파라미터를 대응시킨 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표에는, "이동 상태", "속도 판정 함수", 및 "설정 파라미터"의 각 항목이 있다.
이동 상태는, 정지, 저속, 중간 속도, 고속 및 초고속의 다섯 단계로 된 상태가 규정되어 있다. 각 이동 상태는, 속도 판정 함수에 의해 구분되어, 이동 상태마다 다른 설정 파라미터(여기서는, SIR 측정 구간 길이, BLER 측정 구간 길이) 가 규정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1)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는, 단계 S203에서, 단계 S201에서 취득한 이동 속도(Vt)에 대응하는 설정 파라미터를 앞서 설명한 표로부터 취득한다는 점에서, 도 4와 다르다.
제2 변형예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속도로부터 설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구성이 아니라, 미리 준비한 표를 사용해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해,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외 다른 실시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 및 변형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설명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기재로부터, 당업자라면,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속도 취득부(1051)가,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이동 상태로서 이동 속도를 취득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동 속도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1)가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 중 어느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처리 부하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긴 구간의 수신 품질로서 수신 BLER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수신 BLER에 한정하지 않고, 수신 비트 에러율(수신 BER)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CDMA 방식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CDMA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앞서 설명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다른 통신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설정 파라미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설정 파라미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설정 파라미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 통신 단말기, 2: 기지국, 3: RNC, 4: CN, 101: 안테나, 102: RF부, 103: 역확산부, 104: 레이크 수신부, 105: 측정 제어부, 106: 송신 전력 제어부, 107: 목표값 갱신부, 108: 송신 신호 생성부, 1051: 이동 속도 취득부, 1052: SI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 1053: BLER 측정 구간 길이 제어부, 1061: 수신 SIR 측정 부, 1062: SIR 비교부, 1063: 제어 커맨드 생성부, 1071: 수신 BLER 측정부, 1072: BLER 비교부, 1073: 목표 BLER 기억부, 1074: 목표 SIR 설정부

Claims (7)

  1.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제1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수신 품질과 상기 제1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인 제2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값을 갱신하는 목표값 갱신부; 및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상기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품질은 이너루프 제어에서 사용하는 수신 품질이며,
    상기 제2 수신 품질은 아우터루프 제어에서 사용하는 수신 품질인,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품질은 순간 수신 품질이며,
    상기 제2 수신 품질은, 상기 순간 수신 품질보다 긴 구간에서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긴 구간 수신 품질인,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자신의 이동 속도를 상기 이동 상태로서 취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측정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상기 제어 커맨드의 송신 주기를 또한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전회에 취득한 이동 상태와 새롭게 취득한 이동 상태가 다른 경우에 한해, 상기 측정 구간 길이 및 상기 갱신 주기를 변경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제1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수신 품질과 상기 제1 수신 품질의 목표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인 제2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자신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수신 품질의 측정 구간 길이 및 상기 목표값의 갱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20070133125A 2006-12-18 2007-12-18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0953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0504 2006-12-18
JP2006340504A JP4326561B2 (ja) 2006-12-18 2006-12-18 移動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77A true KR20080056677A (ko) 2008-06-23
KR100953583B1 KR100953583B1 (ko) 2010-04-21

Family

ID=3914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3125A KR100953583B1 (ko) 2006-12-18 2007-12-18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0733B2 (ko)
EP (1) EP1936830B1 (ko)
JP (1) JP4326561B2 (ko)
KR (1) KR100953583B1 (ko)
CN (1) CN101207421B (ko)
DE (1) DE60200701071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5019B2 (ja) * 2008-06-04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EP2290676A4 (en) 2008-06-12 2012-01-11 Mitsubishi Materials Corp METHOD FOR CONNECTING A SUBSTRATE AND MOUNTING OBJECT WITH SOLDERING PASTE
US8644408B2 (en) * 2008-10-10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8865B2 (ja) * 2009-11-30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1067841A1 (ja) * 2009-12-02 2011-06-09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信号品質測定方法
CN102291765B (zh) * 2010-06-21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外环功率控制方法和装置
KR101777874B1 (ko) * 2011-04-12 201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대체주파수 제공 방법
JP5881818B2 (ja) 2011-05-27 2016-03-0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音声信号処理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026415B2 (ja) * 2011-08-05 2016-11-1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送信装置、受信品質報告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6424515B2 (ja) * 2014-08-26 2018-11-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19013053A (ja) * 2018-10-25 2019-0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065B2 (ja) 1989-07-03 1999-12-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方式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US5778030A (en) * 1996-03-15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03555B1 (fi) * 1996-06-17 1999-07-15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ystehon säätö langattomassa pakettidatasiirrossa
CN1102308C (zh) * 1996-06-27 2003-02-26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发送功率控制器
JP3397677B2 (ja) * 1998-02-10 2003-04-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3358565B2 (ja) * 1998-11-02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送信電力制御装置、移動局、基地局及び制御局
JP3346332B2 (ja) * 1999-04-16 2002-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
GB2355366B (en) * 1999-10-11 2003-08-20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 transceiver
JP2003198443A (ja) * 2001-12-26 2003-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3318818A (ja) 2002-04-23 2003-11-07 Nec Corp 携帯電話装置と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7075905B2 (en) * 2002-09-11 2006-07-11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indicator bit (QIB) gen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162262B2 (en) * 2002-09-23 2007-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questing received power levels based on received block error rates utilizing an anti-windup and/or emergency procedure
JP4613822B2 (ja) * 2003-01-31 2011-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のための目標値制御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制御装置並びに移動局
JP4230288B2 (ja) 2003-06-13 2009-02-25 富士通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
EP1635483B1 (en) * 2003-06-19 2012-08-01 Fujitsu Limited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5167710A (ja)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06157467A (ja) * 2004-11-30 2006-06-15 Nec Corp 無線通信装置、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77501B2 (ja) 2005-03-03 2010-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
JP4651446B2 (ja) 2005-04-27 2011-03-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619192B2 (ja) * 2005-05-10 2011-0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789705B2 (ja) 2006-06-08 2011-10-12 富士通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アウターループ制御方法及び移動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83B1 (ko) 2010-04-21
EP1936830B1 (en) 2010-11-24
DE602007010717D1 (de) 2011-01-05
CN101207421A (zh) 2008-06-25
JP2008154003A (ja) 2008-07-03
US20080146162A1 (en) 2008-06-19
JP4326561B2 (ja) 2009-09-09
EP1936830A1 (en) 2008-06-25
US8000733B2 (en) 2011-08-16
CN101207421B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58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713368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53917B2 (en) Downlink power control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0559805B1 (ko) 폐루프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준값의 갱신을 송수신기지국에서 실현하는 cdma 이동 통신 시스템
US20060084459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0601180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에서의 목표 신호대 잡음 비의 조정
US20020183086A1 (en) Technique for improving open loop power control in spread spectrum telecommunications systems
EP10968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DMA-TDD based transmission/reception
EP113968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EP191246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control method
WO2006121089A1 (ja)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78835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온오프 제어 임계값 결정방법
US8160633B2 (en) Transmitted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070104901A (ko) 간섭 레벨 추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8442444B2 (en) Method of transmit power control and device thereof
JP2004208177A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014465B1 (ko) 이동국 신호에 의해 제 2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추정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이동국과 제 1 기지국 사이의 통신 적응
US2008017657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Program Thereof,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271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변 폐쇄루프 전력제어 방법
KR20040061801A (ko)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121126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