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5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50A
KR20080056650A KR1020070130790A KR20070130790A KR20080056650A KR 20080056650 A KR20080056650 A KR 20080056650A KR 1020070130790 A KR1020070130790 A KR 1020070130790A KR 20070130790 A KR20070130790 A KR 20070130790A KR 20080056650 A KR20080056650 A KR 2008005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rotating member
contact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820B1 (ko
Inventor
마사토 다카키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각 단자를 가압 커버를 전개 위치까지 회동하면, 가압 커버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제1의 접촉부를 위쪽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플렉서블 회로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 커버를 폐쇄하면, 복원해서 제1의 접촉부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여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등에 설치되고 복수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접속대상물의 이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여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각 단자에 설치된 접촉부가 접속대상물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47271호 공보 참조).
이 커넥터는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각 단자가 회동부재로부터의 가압을 받아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각 단자의 접촉부가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커넥터에서는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회동부재가 각 단자를 가압함 으로써 각 단자의 접촉부가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데, 접속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 단자가 회동부재에 의해 항상 가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이 가압에 의해 각 단자가 소성 변형하고, 접속 신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적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단자를 회동부재를 소정의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면 회동부재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를 접속대상물과의 반대 접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복원해서 접촉부를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고, 접촉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해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각 단자에 설치된 접촉부가 접속대상물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재를 소정의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면 각 단자가 회동부재로부터의 가압을 받아서 탄성 변형하고,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복원해서 접촉부를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각 단자와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을 때에는 각 단자를 회동부재로 가압할 일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각 단자와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을 때에는 각 단자를 회동부재로 가압할 일이 없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 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플렉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5는 제1 및 제2의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록크 단자의 측면도,
도 7은 가압 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8은 가압 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B-B선 화살표방향 단면의 주요부 확대 도,
도 9는 플렉서블 케이블 삽입시에 있어서의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0은 가압 커버 폐쇄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접속대상물로서의 플렉서블 회로(1)의 일단을 삽입가능한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단자(20) 및 복수의 제2의 단자(30)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재로서의 가압 커버(40)와, 커넥터 본체(10)의 단자 배열방향 양단측에 각각 설치된 록크부재로서의 한 쌍의 록크 단자(5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회로(1)는 소위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측의 위쪽의 면에는 복수의 제1의 전기접점(1a)이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의 전기접점(1a) 간의 후단측에는 복수의 제2의 전기접점(1b)이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회로(1)의 양측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절결부(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대상물로서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어도 좋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앞면 및 상면 후단측을 개구하고 있다.
즉,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저면부(12) 및 좌우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앞면 개구부로부터 플렉서블 회로(1)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앞면측에는 복수의 제1의 단자홀(10a)이 서로 폭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제1의 단자홀(10a)에는 각 제1의 단자(2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의 배면측에는 복수의 제2의 단자홀(10b)이 각각 제1의 단자홀(1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각 제2의 단자홀(10b)에는 각 제2의 단자(3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측면부(13)의 앞단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홀(13a)이 설치되고 각 홀(13a)에는 각각 록크단자(50)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 제1의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1의 단자홀(10a)에 각각 앞면측으로부터 압입(壓入)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각 제1의 단자(20)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エ'자형상을 이루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부(21) 및 고정편부(2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22)의 앞단에는 기판(A)에 접속되는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21)의 선단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의 제1의 전기접점(1a)에 접촉하는 제1의 접촉부(21a)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접촉부(21a)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21)의 후단측 상부에는 오목형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부(21b)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부(21b)는 가압커버(40)의 소정의 개방위치에 있어서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21b)가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 했을 때에는 탄성편부(21)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편부(21)가 탄성 변형한다.
이 경우, 제1의 접촉부(21a)를 포함하는 탄성편부(21)의 앞단측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22)의 선단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가 그 상하면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2의 전기접점(1b)에 접촉하는 제2의 접촉부(22a)가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접촉부(22a)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접촉부(21a) 및 제2의 접촉부(22a)의 상하방향의 간극(G1)은 그 치수가 플렉서블 회로(1)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제2의 단자(3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2의 단자홀(10b)에 각각 배면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각 제2의 단자(30)는 도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エ'자형상을 이루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부(31) 및 고정편부(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32)의 후단에는 기판(A)에 접속되는 접속부(33)가 설치되 어 있다.
탄성편부(31)의 선단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의 제2의 전기접점(1b)에 접촉하는 제1의 접촉부(31a)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접촉부(31a)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31)의 후단측 상부에는 오목형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부(31b)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부(31b)는 가압커버(40)의 상기 개방위치에 있어서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31b)가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했을 때에는 탄성편부(31)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편부(31)가 탄성 변형한다.
이 경우, 제1의 접촉부(31a)를 포함하는 탄성편부(31)의 앞단측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32)의 선단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가 그 상하면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의 전기접점(1a)에 접촉하는 제2의 접촉부(32a)가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접촉부(32a)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32)의 후단측에는 가압커버(40)를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32b)가 설치되고, 베어링부(32b)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접촉부(31a) 및 제2의 접촉부(32a) 사이의 상하방향의 간극(G1) 은 제1의 단자(2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커버(4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상면후단측을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판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커버(40)의 앞단측에는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를 삽통(揷通)가능한 복수의 제1의 삽통공(41)과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를 삽통가능한 복수의 제2의 삽통공(4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제2의 삽통공(42)에는 각 제2의 단자(30)의 베어링부(32b)에 지지되는 회동축(4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의 삽통공(41)에는 가압커버(40)가 폐쇄했을 때에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의 하면후단측에 당접(當接)하는 제1의 당접부(41a)가 설치됨과 동시에 각 제2의 삽통공(42)에는 가압커버(40)가 폐쇄했을 때에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의 하면후단측에 당접하는 제2의 당접부(4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커버(40)의 후단측에는 각 단자(20, 30)의 탄성편부(21, 31)를 가압하는 가압부(43)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43)는 그 가압면이 앞쪽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커버(40)의 폭방향 양단측은 가압커버(40)가 폐쇄했을 때에 록크단자(50)의 하면에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록크단자(50)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의 공(13a)에 삽입되는 고정편(51)과, 고정편(51)의 앞단측 상부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연장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탄성편(52)을 가지고 있다.
탄성편(52)의 상면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걸림부(52a)가 설치되어 있고, 걸림부(52a)의 앞단부는 뒤쪽을 향해서 오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52)의 후단측에는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 가압커버(40)에 위쪽으로부터 당접하는 규제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A)에 설치되고 가압커버(40)를 개방하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빼고 꽂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에서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커버(40)를 전폐(全閉)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즉 앞쪽으로 회동하면 가압부(43)가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의 상면후단측에 접촉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걸어맞춤부(31b)의 일단(31b-1)부터 회동축(42a)의 중심까지의 거리(D1)는 가압부(43)의 가압면으로부터 회동축(42a)의 중심까지의 거리(D2)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가압커버(40)를 걸어맞춤부(31b)의 일단(31b-1)까지 회동하면 걸어맞춤부(31b)의 일단(31b-1)이 가압부(43)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탄성편부(31)의 앞단측{제1의 접촉부(31a)를 포함}이 상승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커버(40)를 더욱 앞쪽으로 회동하면 전개위치(전폐위치로부터 약 90°회동시킨 위치)에 있어서 가압커버(40)의 가압부(43)가 걸어맞춤부(31b)에 걸어맞춤한다.
그 때, 걸어맞춤부(31b)가 위쪽으로 복원하면서 가압부(43)에 걸어맞춤함으 로써 걸어맞춤부(31b)가 가압부(43)에 걸어맞춤하는 감촉이 가압커버(40)를 통하여 외부에 전달된다.
그리고, 가압커버(40)가 전개(全開)위치까지 회동한 경우라도 각 제2의 단자(30)는 걸어맞춤부(31b)가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있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2의 단자(30)의 제1의 접촉부(31a) 및 제2의 접촉부(32a) 사이의 상하방향의 간극(G2)이 플렉서블 회로(1)의 두께치수보다 크게 되고,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각 제1의 단자(20)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면 플렉서블 회로(1)의 선단의 폭방향 양단측이 각 록크단자(50)의 걸림부(52a)에 당접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서 삽입하면 각 록크단자(50)의 탄성편(52)이 아래쪽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경우 걸림부(52a)는 그 앞단부가 플렉서블 회로(1)의 하면에 당접하면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서 삽입하면 각 록크단자(50)의 걸림부(52a)는 위쪽으로 복원하면서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嵌合)한다.
이 때,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하는 감촉이 플렉서블 회로(1)를 통해서 외부에 전달된다.
또한 각 록크단자(50)의 걸림부(52a)는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하면 플렉서블 회로(1)의 반대 삽입방향, 즉 앞쪽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한 후에 가압커버(40)를 폐쇄방향으로 회동하면 각 제1의 단자(20)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커버(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복원한다.
이 경우, 탄성편부(21)의 제1의 접촉부(21a)가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플렉서블 회로(1)의 제1의 전기접점(1a)에 접촉한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2의 단자(30)의 제1의 접촉부(31a)는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플렉서블 회로(1)의 제2의 전기접점(1b)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플레서블 회로(1)와 기판(A)이 각 단자(20, 3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각 단자(20, 30)는 가압커버(40)에 가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성 변형하는 일이 없다.
또한,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는 가압커버(40)의 각 제1의 당접부(41a)가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의 하면후단측에 당접함과 동시에, 각 제2의 당접부(42b)가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의 하면후단측에 당접한다.
이에 따라 탄성편부(21, 31)의 탄성 변형이 규제되는 것으로부터 각 단자(20, 30)의 제1의 접촉부(21a, 31a)가 플렉서블 회로(1)로부터 이간(離間)해서 접촉불량으로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록크 단자(50)의 규제부(52b)의 하면에는 가압커버(50)의 기단측이 당접하여 있는 것으로부터 규제부(52b)의 아래쪽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경우, 걸림부(52a)의 아래쪽에의 이동도 규제되는 것으로부터 가압커버(40)의 폐쇄시에는 단자(50)의 걸림부(52a)를 플렉서블 회로(1)의 절결부(1c)에 항상 감합시킬 수 있고 플레서블 회로(1)를 확실하게 걸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각 단자(20, 30)를 가압커버(40)를 전개위치까지 회동하면 가압커버(40)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해서 제1의 접촉부(21a, 31a)를 위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플렉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복원해서 제1의 접촉부(21a, 31a)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각 단자(20, 30)와 플렉서블 회로(1)를 전기적으로 접속했을 때에는 각 단자(20, 30)의 가압커버(40)로 가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상태에서의 각 단자(20, 3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20, 30)에 가압커버(40)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압커 버(40)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함과 동시에 가압커버(40)를 전개위치까지 회동하면 복원하면서 가압커버(40)의 가압부(43)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21b, 31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압커버(40)가 전개위치까지 회동한 것을 회동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록크단자(50)를 커넥터 본체(10)의 단자배열방향 양단측에 구비하고 록크단자(50)에는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서블 회로(1)의 하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하고 플렉서블 회로(1)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플렉서블 회로(1)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결부(1c)에 복원하면서 감합하여 플레서블 회로(1)를 앞쪽으로 걸림하는 걸림부(52a)와,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에 감합한 상태에서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가압커버(40)에 당접해서 걸림부(52a)의 아래쪽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52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플렉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삽입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커넥터 본체(10)가 미완전 삽입상태에서 접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는 록크단자(50)의 걸림부(52a)를 플렉서블 회로(1)의 절결부(1c)에 항상 감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회로(1)를 앞쪽에 걸림할 수 있고 플렉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위치가 어긋나서 접촉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52a)의 앞단부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서 오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했을 때에 플렉서블 회로(1)의 선단이 걸림부(52a)의 앞단부에 당접함으로써 삽입이 방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20, 30)를 가압커버(40)가 소정의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면 각 단자(20, 30)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가압됨으로써 각 단자(20, 30)의 앞단측이 위쪽으로 탄성 변형함과 동시에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각 단자(20, 30)의 앞단측이 아래쪽으로 복원해서 플렉서블 회로(1)에 접촉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압커버(40) 개방시에 있어서의 각 단자(20, 30)의 앞단측의 간극(D2)을 가압커버(40) 폐쇄시의 간극(D1)보다도 크게 형성할 수 있고, 플렉서블 회로(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20, 30)를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탄성편부(21, 31)의 하면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당접함으로써, 탄성편부(21, 31)의 앞단측의 위쪽에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 각 단자(20, 30)의 제1의 접촉부(21a, 31a)가 각 단자(20, 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플렉서블 회로(1)로부터 이간해서 접촉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기접점(1a, 1b)가 설치된 면을 상면으로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각 전기접점(1a, 1b)이 설치된 면을 하면으로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 체(10)에 삽입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전기접점(1a, 1b)은 각각 제2의 단자(30)의 제2의 접촉부(32a)와 제1의 단자(20)의 제2의 접촉부(22a)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는 각 단자(20, 30)의 제1의 접촉부(21a, 31a)는 플렉서블 회로(1)의 상면{각 전기접점(1a, 1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당접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회로(1)를 각 제2의 접촉부(22a, 32a)측에 가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적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플렉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5는 제1 및 제2의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록크 단자의 측면도
도 7은 가압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8은 가압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의 주요부 확대도
도 9는 플렉서블 케이블 삽입시에 있어서의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0은 가압커버 폐쇄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Claims (5)

  1.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단자를, 회동부재를 소정의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면 회동부재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를 접속대상물과의 반대 접촉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복원해서 접촉부를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고,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해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각 단자에 설치된 접촉부가 접속대상물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에 회동부재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부재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함과 동시에 회동부재를 상기 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면 복원하면서 회동부재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측에 설치된 록크부재를 구비하고,
    록크부재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의 한 쪽의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하고, 접속대상물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대상물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복원하면서 감합하여 접속대상물을 반대 삽입방향으로 걸림하는 걸림부와,
    걸림부가 접속대상물에 감합한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회동부재에 당접해서 걸림부의 반대 감합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앞단부를 커넥터 본체의 뒤쪽을 향해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를 회동부재를 폐쇄하면 회동부재에 당접해서 접속대상물과의 반대 접촉방향에의 접촉부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한 커넥터.
KR1020070130790A 2006-12-18 2007-12-14 커넥터 KR10131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9817 2006-12-18
JP2006339817A JP5084244B2 (ja) 2006-12-18 2006-12-1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50A true KR20080056650A (ko) 2008-06-23
KR101310820B1 KR101310820B1 (ko) 2013-09-25

Family

ID=3965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790A KR101310820B1 (ko) 2006-12-18 2007-12-14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84244B2 (ko)
KR (1) KR101310820B1 (ko)
CN (1) CN1012522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8990B2 (ja) * 2008-09-16 2013-05-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001888B1 (ko) 2008-09-17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410306B1 (ja) * 2009-06-03 2010-02-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1121446A1 (en) * 2010-03-31 2011-10-06 Fci Connector having secured locking mechanism
JP5630365B2 (ja) * 2011-04-13 2014-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856685A (zh) * 2011-06-30 2013-01-02 上海乐深电子有限公司 软性电路板连接器
JP5862386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987209B8 (en) * 2013-04-18 2019-05-22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CN104124572B (zh) * 2013-04-26 2017-02-08 合兴集团苏州合一电子有限公司 Fpc精密连接器
JP5809343B1 (ja)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8101910A1 (en) * 2016-11-29 2018-06-07 Molex, Llc Low profile edge connector and system using same
JP7182065B2 (ja) * 2019-06-17 2022-12-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661A (ja) * 1997-01-29 1998-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3045526A (ja) * 2001-07-27 2003-02-1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884721B2 (ja) * 2003-04-03 2007-02-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479989B2 (ja) *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708001B2 (ja) * 2004-11-18 2011-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19172B2 (ja) * 2005-05-24 2010-08-04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2231A (zh) 2008-08-27
JP2008153059A (ja) 2008-07-03
JP5084244B2 (ja) 2012-11-28
KR101310820B1 (ko) 2013-09-25
CN101252231B (zh)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20B1 (ko) 커넥터
KR101310819B1 (ko) 커넥터
KR100783419B1 (ko) 커넥터
US20110104936A1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834331A (zh) 連接器裝置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US11043764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KR20130103349A (ko) 커넥터 장치
KR20070004764A (ko) 커넥터
KR101450736B1 (ko) 커넥터
KR20120014551A (ko) 커넥터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JP4603501B2 (ja) コネクタ
JP2008004340A (ja) コネクタ
KR20080086824A (ko) 전기 커넥터
JP4397736B2 (ja) コネクタ
JP2017059352A (ja) コネクタ装置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4748674B2 (ja) コネクタ
TWI474564B (zh) Connector device
JP577689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4011099A (ja) コネクタ装置
JP5862858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