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042A - 스팀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042A
KR20080056042A KR1020060128474A KR20060128474A KR20080056042A KR 20080056042 A KR20080056042 A KR 20080056042A KR 1020060128474 A KR1020060128474 A KR 1020060128474A KR 20060128474 A KR20060128474 A KR 20060128474A KR 20080056042 A KR20080056042 A KR 2008005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pump
steam
stea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180B1 (ko
Inventor
배상훈
손창우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김흥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80B1/ko
Priority to US11/980,800 priority patent/US20080141550A1/en
Priority to AU2007242917A priority patent/AU2007242917B2/en
Priority to DE102007060259A priority patent/DE102007060259B4/de
Priority to CN200710199344XA priority patent/CN101205679B/zh
Publication of KR2008005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6Target humidity for the drying process, e.g. very-dry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팀건조기에 의하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스팀건조기의 내부에서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기, 스팀발생기, 카트리지, 펌프, 결빙, 잔수

Description

스팀건조기{Steam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물공급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 8은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서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의 형식으로 도시하였음),
도 9는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 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도 4에서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도 4에서 펌프에 의해 스팀발생기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에 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조절부재가 유로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조절부재가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16은 도 4의 구성 요소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스팀건조기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킨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물공급원과 스팀발생기 사이에 개재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호스 내부의 물이 결빙하여 상기 호스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스팀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스팀건조기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블로워 유닛(60)은 블 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서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42)가 연결되며, 스팀 호스(242)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42)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호스(220)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스팀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여기서,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또한,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42)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후술하는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322)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310)에는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도 4 참조, 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에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한편,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 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를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를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금(NaCl)으로 재생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며,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펌프(400)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스팀발생기(200)의 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기어식(Gear Type), 맥동식(Pulsating Type), 다이어프램식(Diaphram Ty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맥동식 및 다이어프램식 펌프에서도 회로의 극성을 순간 순간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사용 가능한 펌프(400)의 일예로써 기어식 펌프(400)를 도시하였다. 기어식 펌프(40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 한 쌍의 기어(420)가 구비되며, 케이스(410)에는 인입구(430) 및 토출구(414)가 구비된다. 즉, 기어(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인입구(430)에서 토출구(414) 방향으로 또는 토출구(414)에서 인입구(430) 방향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펌프(400)와 스팀발생기(200)는 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220)에 의해 연결되며, 펌프(400)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호스(220)를 통해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기에 용이하도록 스팀발생기(200)의 하부를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0)와 스팀발생기(20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220)는 대략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펌프(400)가 구동을 하지 않더라도 펌프(400)를 통해서 미량의 물 이 급수호스(220)로 유출되며, 유출된 물은 U자형 급수호스(220)에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호스(220)에 남아있는 물은 겨울철, 또는 극지방과 같이 건조기의 외부 온도가 매우 낮아지는 경우에 결빙하여 급수호스(220)를 막아서 스팀발생기(200)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온도가 낮아지더라도 스팀발생기(200)로 향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을 구비하는 바, 이하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외부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급수호스(220)가 막혀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도 7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유로차단방지수단은 급수호스(220)를 둘러싸는 단열부재(222)에 의해 구성된다. 단열부재(222)는 단열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호스(220)가 단열부재(222)에 의해 둘러싸여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며, 나아가 외부의 냉기가 급수호스(22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외부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급수호스(220) 내의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호스(220)를 단열부재에 의해 싸는 것과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에 의해 가열을 하게 되면, 급수호스(220) 내의 물이 결빙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서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의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히터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급수호스(220)는 히터(232)에 의해 가열되며, 히터(232)는 다시 단열부재(222)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232)에 의해 급수호스(220)를 가열함과 동시에 단열부재(222)에 의해 외부의 냉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급수호스(220) 내의 물이 결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히터(232)는 호스(220)와 단열부재(222) 사이에 위치하여, 히터(232)가 직접 물과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물속에 포함될 수 있는 석회수 및 기타 잔유물 등에 의해 히터(23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히터(23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설치가 용이한 필름 히터(film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2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온도는 스팀건조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0℃ 이상인 경우에 히터(232)를 동작시키지 않으며, 외부 온도가 0℃ 이하인 경우에 히터(232)를 동작시켜 급수 호스(220) 내의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에 의해 히터(232)를 구동시키는 기준 온도는 건조기가 설치되는 지역, 기후 및 날씨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급수호스를 따라 히터를 배치하는 경우, 단열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히터에 의해 급수호스 내의 물이 결빙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급수호스(220)를 따라 배치되는 히터(22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히터(226)는 호스(220)의 내부, 즉, 호스(220)의 내피(225)와 외피(227) 사이에 위치하여, 히터(226)가 직접 물과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물속에 포함될 수 있는 석회수 및 기타 잔유물 등에 의해 히터(226)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히터(226)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설치가 용이한 필름 히터(film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히터(2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400)와 스팀발생기(20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236)에 확관부(238)가 형성된다.
여기서, 확관부(238)는 단면적이 커지는 부분으로서, 급수호스(236)를 따라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U자형 급수호스(236)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급 수호스(236)에 단면적이 넓어지는 확관부(238)가 형성되면, 외부온도가 낮아져 급수호스(236) 내에 잔존하는 물이 결빙되더라도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236)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급수호스(236)에 형성된 확곽부(238)에 의해 단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급수호스(236) 내의 물이 결빙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호스(236)의 바닥을 따라 결빙되어 급수호스(236)의 전 단면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 내에 잔수가 존재하는 경우에 잔수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결빙되더라도 유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 이외에 유로 상에 잔수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유로 상에 잔수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로차단방지수단은 급수호스(220)에 설치되는 밸브(23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펌프(40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기어식 펌프가 채용될 수 있다. 기어식 펌프는 한 쌍의 기어(도 6 참조, 420)의 회전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기어(420) 사이의 미세한 틈을 따라 물이 소량씩 누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이 누수되면 급수호스(220)에 물이 남아있게 되어 외부온도가 낮아지는 경우에 결빙되어 급수호 스(220)를 막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호스(220) 상에 밸브(235)를 설치하여, 펌프(400)에서 누수되는 물이 급수호스(220)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밸브(235)는 급수호스(220)를 따라 설치되지만, 펌프(400)에 최대한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펌프(4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야, 펌프(400)에서 급수호스(220)로 누수되어 급수호스(220) 상에 잔존하는 물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2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펌프(400)는 카트리지(300)에서 물이 배출되는 개폐부재(360)에 비하여 인입구(430)가 높게 설치되도록 배치된다.
즉, 펌프(400)의 인입구(430)가 카트리지(300)에서 물이 배출되는 개폐부재(360)와 동일한 높이 상에 있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400)를 구동시키지 않더라도 미량의 물이 펌프(400)에서 흘러나와 급수호스(220) 상에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호스(220)에 잔존하는 물은 외부온도가 낮아지는 경우에 결빙되어 급수호스(220)를 막아 물이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4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인입구(430)의 높이를 카트리지(300)에서 물이 배출되는 개폐부재(360)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펌프(400)를 구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펌프(400)의 인입구(430)가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360)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되어, 개폐부재(360)와 인입구(430)의 수두차에 의해 펌프(400)를 통해서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번호 414는 펌프(400)에서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도시한다.
한편, 도 13은 펌프가 역회전을 하여 스팀발생기에 잔존하는 물을 배출하는 경우에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온도에 의해 펌프를 구동시키는 조절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펌프(400)와 스팀발생기(20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220)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펌프(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재(600)가 설치된다. 조절부재(600)는, 펌프(400)가 역회전을 하여 스팀발생기(20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급수호스(22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펌프(40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고온의 물에 의해 펌프(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조절부재(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절부재(600)는 바람직하게 급수호스(220)를 따라 설치되는 바이메탈 센서(610)로 이루어지며, 바이메탈 센서(610)는 물의 온도에 따라 전원부(6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바이메탈 센서(610)는 온도 팽창율이 다른 두 가지 금속(612, 614)을 구비하며, 물의 온도에 의해 가열되어 절곡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예를 들어 80℃ 이하에서는 상기 두 금속(612, 614)의 팽창 정도에 큰 차이가 없어 바이메탈 센서(610)가 절곡되지 않고 전원부(62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400)에도 계속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을 하게 된다.
한편, 급수호스(22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온도가 소정온도, 예를 들어 80℃ 이상이 되면, 바이메탈 센서(610)의 두 금속(612, 614)의 팽창 정도에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율이 작은 금속(도면에서 상부 금속, 612)을 향하여 바이메탈 센서(610)가 전체적으로 절곡되며, 이에 의해 전원부(620)와 바이메탈 센서(610)가 이격된다. 바이메탈 센서(610)가 전원부(620)와 이격됨에 따라, 펌프(4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펌프(400)의 구동이 멈추게 되어 고온의 물에 의해 펌프(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메탈 센서(61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경우, 물의 온도가 내려가서 소정온도 이하가 되면, 바이메탈 센서(610)는 다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지 않고 펴지게 되며, 이에 의해 전원이 다시 인가되어 펌프(400)가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이메탈 센서는 물의 온도에 의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되어 다양한 센서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기를 위주로 하는 스팀 라인의 구성 요소의 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건조기의 소정 위치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drawer)"라 함)(700)가 설치되고,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리지(300)를 직접 펌프(400)에 연결하는 것 보다 카트 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인입/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결합/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700)는 스팀건조기의 전면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820)가 설치된다. 서포터(820)는 탑 프레임(8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서포터(820) 및 탑 프레임(830)에 드로워(7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7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 일부에 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 및 일측면(스팀건조기의 전면 방향)은 개방되며, 상기 스팀건조기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드로워(700)가 인입/인출되게 되며, 펌프(400)는 드로워 가이드(710)에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는 건조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16에서는 프런트 커버에 컨트롤 패널(19)이 설치되는 건조기를 도시하였으므로, 드로워(700)가 컨트롤 패널(19)에서 인입/인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이 탑 커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드로워(700)를 프런트 커버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서 장착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300)의 최소한 양측면 형상은 드로워(700)의 양측면 형상과 대응하여, 서로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탈부착을 위하여 카트리지(300) 의 양측면에는 오목부(301)가 형성되어, 오목부(301)를 이용하여 카트리지(700)를 탈부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면, 카트리지(300)도 같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한다.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 물 유입부(322)로 물을 공급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상태의 카트리지(300)를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360)가 펌프(400)에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 방향으로 유출된다.
스팀건조기의 사용 완료 후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300)가 상부 하우징(320) 및 하부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된 카트리지(300)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 예를 들어 옷감의 종류, 흡습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 제거 및 방지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일 예로써 세탁기에서 탈수 완료된 세탁물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루 정도 입은 의류 즉 이미 건조된 상태이며 구김이 적은 의류를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즉, 일종의 구김제거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온도가 낮아지더라도 스팀건조기 내부에 물이 결빙되어 스팀발생기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건조기의 잔수를 회수하는 경우에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건조기 내부의 고온의 물에 의해 펌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스팀발생기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로차단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유로를 둘러싸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유로를 가열하는 히터(hea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필름 히터(film heat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 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유로와 상기 단열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유로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호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를 따라 유동하는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유로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확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유로를 따라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에 인접하여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방지수단은,
    상기 펌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높이가 상기 물공급원에서 물이 배출되는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는 상기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4.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거나, 상기 스팀발생기의 물을 상기 물공급원으로 배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의 물을 상기 물공급원으로 배출하는 경우에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물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바이메탈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KR1020060128474A 2006-12-15 2006-12-15 스팀건조기 KR10125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74A KR101253180B1 (ko) 2006-12-15 2006-12-15 스팀건조기
US11/980,800 US20080141550A1 (en) 2006-12-15 2007-10-31 Laundry machine
AU2007242917A AU2007242917B2 (en) 2006-12-15 2007-12-11 Laundry machine
DE102007060259A DE102007060259B4 (de) 2006-12-15 2007-12-14 Bekleidungstrockner
CN200710199344XA CN101205679B (zh) 2006-12-15 2007-12-17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74A KR101253180B1 (ko) 2006-12-15 2006-12-15 스팀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42A true KR20080056042A (ko) 2008-06-20
KR101253180B1 KR101253180B1 (ko) 2013-04-10

Family

ID=3943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474A KR101253180B1 (ko) 2006-12-15 2006-12-15 스팀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41550A1 (ko)
KR (1) KR101253180B1 (ko)
CN (1) CN101205679B (ko)
AU (1) AU2007242917B2 (ko)
DE (1) DE10200706025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US20050278983A1 (en) * 2004-03-01 2005-12-22 Maytag Corporation Filter vent for drying cabinet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CN100560847C (zh) * 2004-12-06 2009-11-18 Lg电子株式会社 干衣机
DE102005013051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76815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KR101341461B1 (ko) *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2125B1 (ko) * 2007-03-20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857801B1 (ko) 2007-05-09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의 제어방법
EP2113595B1 (en) * 2008-04-30 2011-11-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113596B1 (en) * 2008-04-30 2011-11-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8104191B2 (en)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KR101485850B1 (ko) * 2008-09-10 2015-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DE102008043760B3 (de) * 2008-11-14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von Betriebsbedingungen eines Hausgeräts
CN110974109B (zh) * 2019-11-25 2022-01-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0600A (en) * 1962-07-02 1964-02-04 Cecil W True Freezeless water supply
US3378673A (en) * 1965-10-18 1968-04-16 Thomas O. Hopper Electrically heated hose assembly
GB1578125A (en) * 1976-03-05 1980-11-05 Raychem Corp Sample line tube
US4192988A (en) * 1977-07-11 1980-03-11 Foto-Mark, Inc. Electrically heated thermal microbial drain barrier
US4429213A (en) * 1978-10-20 1984-01-31 Dayco Corporation Electrically heated fluid conduit
DE8713072U1 (ko) * 1987-09-29 1989-01-26 Verwaltungsgesellschaft Geiger Plastic Gmbh & Co Kg, 8100 Garmisch-Partenkirchen, De
FR2662229B1 (fr) * 1990-05-17 1992-07-31 Coflexip Conduite tubulaire flexible comportant des moyens de chauffage incorpores.
JPH04129597A (ja) * 1990-09-19 1992-04-30 Sanyo Electric Co Ltd 全自動洗濯機
US5714738A (en) * 1995-07-10 1998-02-03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heater apparatus for heating an object hav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curvature
US5632919A (en) * 1996-01-25 1997-05-27 T.G.M., Inc. Temperature controlled insulation system
KR100707355B1 (ko) * 1999-08-18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 제어방법
CN2426057Y (zh) * 2000-03-28 2001-04-04 李天洪 隔热保温玻璃钢管
CN2527928Y (zh) * 2002-01-15 2002-12-25 黄永立 一种防冻副水箱
KR100629333B1 (ko) * 2004-04-09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가열장치 및 세탁방법
KR100739155B1 (ko) * 2004-07-13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AU2006225449B2 (en) * 2005-03-25 2009-05-21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nd laundr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08176B1 (ko) * 2005-03-25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1235193B1 (ko) * 2005-06-13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2B1 (ko) *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0698133B1 (ko) * 2006-06-1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65615B1 (ko) * 2006-07-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20080040869A1 (en) * 2006-08-15 2008-02-21 Nyik Siong Wong Determining Fabric Temperature in a Fabric Treating Appliance
KR100774219B1 (ko) 2006-09-28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42917B2 (en) 2010-04-22
KR101253180B1 (ko) 2013-04-10
US20080141550A1 (en) 2008-06-19
AU2007242917A1 (en) 2008-07-03
CN101205679B (zh) 2010-12-08
DE102007060259B4 (de) 2013-02-21
DE102007060259A1 (de) 2008-06-26
CN101205679A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KR101341461B1 (ko) 스팀 건조기
KR10083051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U2007240254B2 (en) Laundry machine
KR100698132B1 (ko) 건조기
KR20080025519A (ko) 건조기
KR10073570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1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921459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133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341463B1 (ko) 스팀건조기
KR10096469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4219B1 (ko) 건조기
KR10069813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0B1 (ko) 스팀건조기
KR10075586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0698224B1 (ko) 건조기
KR101341464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2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98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