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74B1 - 스팀 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74B1
KR101387474B1 KR1020060129481A KR20060129481A KR101387474B1 KR 101387474 B1 KR101387474 B1 KR 101387474B1 KR 1020060129481 A KR1020060129481 A KR 1020060129481A KR 20060129481 A KR20060129481 A KR 20060129481A KR 101387474 B1 KR101387474 B1 KR 10138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iner
water
stea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500A (ko
Inventor
배상훈
손창우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김흥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74B1/ko
Priority to US11/979,366 priority patent/US7895770B2/en
Priority to EP07023575A priority patent/EP1932963B1/en
Priority to AU2007240254A priority patent/AU2007240254B2/en
Priority to CN2007101993416A priority patent/CN101240498B/zh
Publication of KR2008005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팀건조기에 의하면,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 스팀발생기, 카트리지, 펌프, 누수, 건조

Description

스팀 건조기{Steam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물공급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4의 구성 요소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물공급원이 장착되는 컨테이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컨테이너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하는 컨테이너 가이드에 구비된 집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컨테이너 가이드를 배면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컨테이너 가이드에 구비된 집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건조기의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는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카트리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스팀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 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서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 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스팀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여기서,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또한,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후술하는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332)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310)에는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도 4 참조, 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에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한편,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를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를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금(NaCl)으로 재생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며,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펌프(400)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스팀발생기(200)의 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기어식(Gear Type), 맥동식(Pulsating Type), 다이어프램식(Diaphram Ty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맥동식 및 다이어프램식 펌프에서도 회로의 극성을 순간 순간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사용 가능한 펌프(400)의 일예로써 기어식 펌프(400)를 도시하였다. 기어식 펌프(40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 한 쌍의 기어(420)가 구비되며, 케이스(410)에는 인입구(430) 및 토출구(414)가 구비된다. 즉, 기어(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인입구(430)에서 토출구(414) 방향으로 또는 토출구(414)에서 인입구(430) 방향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팀건조기에서 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250)은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개구부(4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스팀이 드럼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분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럼의 내부에서 통상 공기는 배면부의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개구부(42)에서 유입되어 전면부에 위치하는 도어(104)의 아래에 있는 린트 덕트(도 1 참조, 50)로 빠져나가는 구조이므로, 공기의 유로는 대략 개구부(42)에서 린트 덕트(50)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250)이 배면부의 개구부(42)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전면부의 도어(104) 하부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분사된 스팀이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원할하게 흐르므로 드럼 내부의 옷감에 골고루 묻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노즐(250)은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을 가지는 건조기 이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공급원(300)으로서 외부 수도꼭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기를 위주로 하는 스팀 라인의 구성 요소의 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도 1 참조, 10)의 일측에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drawer)"라 함)(70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300)를 직접 펌프(400)에 연결하는 것보다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인입/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결합/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는 경우에, 카트리지(300)가 드로워(700)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기 가이드수단을 구비한 드로워(7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로워(700)는 대략적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카트리지(도 8 참조, 300)에 대응하는 내부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카트리지(300)에 대응하여 대략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드로워(700)는 베이스(720)와, 베이스(72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722)을 포함한다. 측벽(722)은 베이스(720)의 양측부 및 전방부(이하, 드로워(700)가 인출되는 방향 쪽 단부를 전방부, 반대쪽 단부를 후방부라 한다)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후방부에는 후술하는 제2 가이드부(732)가 형성된다.
한편, 드로워(700)의 전방부에는 드로워(700)를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경우에 드로워(7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커버부(7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7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는 경우에 드로워(700)의 내부 공간의 정위치에 카트리지(300)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드로워(7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730, 7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730)는 전방 측벽(722)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제2 가이드부(732)는 드로워(700)의 후방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732)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732)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7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700)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리브(rib) 형태로 형성되어, 카트리지(300)의 장착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드로워(700)의 강도를 보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제1 가이드부(730)와 제2 가이드부(732) 사이의 거리는 드로워(70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30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이드부(730)를 형성하는 돌출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731)가 드로워(70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가이드부(732)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도 그 상부(733)가 드로워(7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가이드부(730)와 제2 가이드부(732)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물을 채운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카트리지(300)를 정확하게 드로워(700)의 내부공간의 정위치, 즉, 베이스(720)의 중앙에 놓지 않더라도 드로워(700)의 정위치에 놓이게 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의 전방으로 치우쳐서 놓게 되는 경우, 카트리지(300)의 전방부가 드로워(700)의 제1 가이드부(730)의 상부(731) 경사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카트리지(300)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730, 73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의 후방으로 치우쳐서 놓게 되는 경우, 카트리지(300)의 후방부가 제2 가이드부(732)의 상부(733) 경사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카트리지(300)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730, 73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730)와 제2 가이드부(732)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30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 가이드부(730)와 제2 가이드부(732)는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움직임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300)가 위치한 경우에 진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함께 한다.
한편, 제2 가이드부(732)는 드로워(700)의 후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 개구부(739)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739)는 카트리지(300)와 펌프(도 4 참조, 4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는 경우에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도 4 참조, 360)가 개구부(739)를 통하여 드로워(7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건조기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에, 드로워(700)의 외부로 돌출된 개폐부재(360)가 펌프(400)와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를 통하여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드로워(700)는 바람직하게 카트리지(300)의 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카트리지(3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및 제2 가이드부(730, 732) 이외에, 드로워(700)의 양측면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부(734, 73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및 제4 가이드부(734, 735)는 드로워(700)의 양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며, 제2 가이드부재(732)와 마찬가지로 리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 및 제4 가이드부(734, 735)도 전술한 제2 가이드부(732)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드로워(7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730, 732)와 유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제3 및 제4 가이드부(734, 735)의 상부 경사에 의해 카트리지(300)가 미끄러지면서 드로워(7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3 및 제4 가이드부(734, 735) 사이의 거리는 카트리지(300)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는 경우에 양측면 방향으로도 카트리지(300)를 고정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드로워(700)는 내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300)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로워(70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300)는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드로워(700)의 중앙부 정위치에 놓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드로워(700)의 베이스(720)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721)과, 카트리지(3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721)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721)은 카트리지(300)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카트리지(30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드로워(700)의 결합홈(721)에 삽입되도록 하여, 카트리지(300)가 정위치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드로워(700)는 스팀건조기의 전면,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82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서포터(820)는 탑 프레임(8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서포터(820) 및 탑 프레임(830)에 드로워(700)의 인출 및 인입을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또는 "컨테이너 가이드"라고 함)(7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를 덮는 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7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을 배면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드로워 가이드(710)는 베이스(712)와, 베이스(712)의 양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714)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가이드(710)는 스팀건조기의 전면 등에 설치되며, 베이스(712)와 측벽(714) 사이의 공간으로 드로워(700)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드로워 가이드(710)의 후방부에는 바람직하게 카트리지(도 8 참조, 300)와 연결되는 펌프(4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건조기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에,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360)가 펌프(400)와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를 통하여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펌프(360)에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경우에 개폐부재(360)에 의해 카트리지(300)와 펌프(400) 연결부의 물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지만, 완전하지는 않으며 소량의 물이 누수될 수가 있다. 누수된 물은 드로워(700)를 움직이는 경우에 드로워 가이드(710)의 베이스(712)를 따라 이동하 게 되어 미관상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드로워 가이드(710)에 카트리지(300)와 펌프(400)의 연결부, 정확히는 개폐부재(360)와 펌프(400)의 연결부에서 누수된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드로워 가이드(710)에 구비된 집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집수부(716)는 바람직하게 드로워 가이드(710)의 베이스(712)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오목부(716)는, 물공급원(300)의 개폐부재(도 4 참조, 360)와 펌프(400)의 인입구(430)에 연결된 연결구(432)를 연결하는 부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712)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716)가 형성되면, 물공급원(300)의 개폐부재(360)와 펌프(400)의 연결구(432)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오목부(716)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누수된 물은 드로워 가이드(710)의 베이스(712) 상면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오목부(716)에 모이게 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발하게 된다.
한편, 오목부(716)에 물이 고이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누수된 물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16)는 드로워 가이드(710)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 예를 들어 2°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목부(716)가 경사지게 되면, 누수된 물은 오목부(716)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결국, 드로워 가이드(710)의 배면에 인접한 오목부(716)의 후방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드로워 가이드(710)에서 인출하는 경우에도, 누수된 물은 오목부(716)의 후방부에 모이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716)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누수된 물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드로워(700)를 인출하더라도 오목부(716)의 후방부가 드로워 가이드(710)의 전방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플레이트(7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플레이트(711)는 펌프(400)에 인접하여 드로워 가이드(7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차폐플레이트(711)는 드로워 가이드(710)의 전방부에서 볼 때, 오목부(716)의 후방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오목부(716)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어야,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더라도 차폐플레이트(711)에 의해 오목부(716)의 후방부를 볼 수 없게 된다.
한편, 차폐플레이트(711)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되며, 홀 주위에 지지브라켓(713)이 설치되어, 상기 홀 및 지지브라켓(713)에 의해 펌프(400)의 인입구(430)와 연결구(432)가 연결된다. 따라서, 개폐부재(360)와 연결구(432)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누수된 물은 오목부(716)로 떨어지게 되며, 오목부(716)로 떨어진 물은 오목부(716)의 경사에 의해 차폐플레이트(711)를 아래쪽으로 가로질러 오목부(716)의 후방부에 모이게 된다.
도 13은 전술한 집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집수부(916)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베이스(912)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드로워 가이드(710)의 베이스(912)는 전체적으로 후방을 경사진 형태, 예를 들어 2°로 경사진 형태를 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개폐부재(360)와 연결구(432) 사이에서 누수된 물은 경사진 베이스(912)를 따라 후방부로 흘러가서 모이게 된다. 한편, 드로워 가이드(710)의 후방부에는 집수된 물이 드로워 가이드(7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정 높이의 방지벽(920)이 형성된다. 상기 방지벽(920)에 의해 드로워 가이드(710)의 후방부로 흘러온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드로워 가이드(710)에 차폐플레이트(9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플레이트(911)는 드로워 가이드(710)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경사진 베이스(912)의 후방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차폐플레이트(911)는 도 10의 실시예와 달리, 베이스(91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되어야, 차폐플레이트(911)와 베이스(912)의 틈을 따라 물이 흐르게 되어 베이스(912)의 후방부에 누수된 물이 모이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폐플레이트는 베이스(912)에 밀착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물이 드로워 가이드(710)의 후방부를 향하여 흐를 수 있도록 베이스(912)에 접하여 차폐플레이트(911)에 하나 이상의 유동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면, 카트리지(300)도 같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한다.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 물 유입부(322)로 물을 공급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상태의 카트리지(300)를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360)가 펌프(400)에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 방향으로 유출된다.
스팀건조기의 사용 완료 후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300)가 상부 하우징(320) 및 하부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된 카트리지(300)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 예를 들어 옷감의 종류, 흡습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 제거 및 방지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일 예로써 세탁기에서 탈수 완료된 세탁물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루 정도 입은 의류 즉 이미 건조된 상태이며 구김이 적은 의류를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즉, 일종의 구김제거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 의 다림질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세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건조기의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보이지 않게 하면서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물공급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양측면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원의 양측면과 선택적으로 각각 접촉하는 제3 및 제4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 4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물공급원의 너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양측면 내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0.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홈; 및
    상기 물공급원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2.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상기 컨테이너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컨테이너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이드는 상기 물공급원와 상기 펌프의 연결부에서 누수된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이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펌프와 물공급원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오목부의 후방부가 상기 컨테이너가이드의 전방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컨테이너가이드에 설치되는 차폐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펌프는 상기 차폐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이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컨테이너가이드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베이스의 후방부가 상기 컨테이너가이드의 전방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베이스를 가로질러 상기 컨테이너가이드에 설치되는 차폐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KR1020060129481A 2006-12-15 2006-12-18 스팀 건조기 KR101387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81A KR101387474B1 (ko) 2006-12-18 2006-12-18 스팀 건조기
US11/979,366 US7895770B2 (en) 2006-12-15 2007-11-01 Laundry machine
EP07023575A EP1932963B1 (en) 2006-12-15 2007-12-05 Laundry machine
AU2007240254A AU2007240254B2 (en) 2006-12-15 2007-12-11 Laundry machine
CN2007101993416A CN101240498B (zh) 2006-12-15 2007-12-17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81A KR101387474B1 (ko) 2006-12-18 2006-12-18 스팀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00A KR20080056500A (ko) 2008-06-23
KR101387474B1 true KR101387474B1 (ko) 2014-04-22

Family

ID=3980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81A KR101387474B1 (ko) 2006-12-15 2006-12-18 스팀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63A (ko)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11648A (ko) 2020-03-03 2021-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KR20210111984A (ko)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KR20210112138A (ko)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593A (ko) * 1992-01-10 1993-08-26 최창선 의류건조기
KR930016592A (ko) * 1992-01-10 1993-08-26 최창선 의류건조기
KR20040006237A (ko) * 2002-07-11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KR20040050488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593A (ko) * 1992-01-10 1993-08-26 최창선 의류건조기
KR930016592A (ko) * 1992-01-10 1993-08-26 최창선 의류건조기
KR20040006237A (ko) * 2002-07-11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KR20040050488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00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461B1 (ko) 스팀 건조기
US7895770B2 (en) Laundry machine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051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2B1 (ko) 건조기
US897341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80000098A1 (en) Dry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21459B1 (ko) 스팀 건조기
KR10073570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1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98133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1341463B1 (ko) 스팀건조기
KR100774219B1 (ko) 건조기
KR101341460B1 (ko) 스팀건조기
KR10069813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75586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0698224B1 (ko) 건조기
KR100698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2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80010921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