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863B1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863B1
KR100755863B1 KR1020060052574A KR20060052574A KR100755863B1 KR 100755863 B1 KR100755863 B1 KR 100755863B1 KR 1020060052574 A KR1020060052574 A KR 1020060052574A KR 20060052574 A KR20060052574 A KR 20060052574A KR 100755863 B1 KR100755863 B1 KR 10075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team generator
drum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진
양대봉
유정
위재혁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63B1/ko
Priority to PCT/KR2007/002510 priority patent/WO2007145432A1/en
Priority to CN2007800230459A priority patent/CN101473086B/zh
Priority to DE112007001116T priority patent/DE112007001116B4/de
Priority to US12/227,134 priority patent/US8365438B2/en
Priority to DE112007003791.1T priority patent/DE112007003791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06F39/40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 스팀발생기, 카트리지, 펌프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물공급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물공급원과 펌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물공급원의 탈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는 도 9의 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4의 물공급원과 펌프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4의 펌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4의 노즐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 4의 노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도 4의 노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8은 도 4의 노즐의 설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4의 안전밸브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4의 구성 요소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4의 물공급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펌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 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 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은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 에는 설치가 복잡하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상기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300)과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 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여,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의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부재(35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352)과, 상기 하부 하우징(352)에 탈부착 가능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353) 및 하부 하우징(35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이온교환수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 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를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금(NaCl)으로 재생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며,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2필터(340)와 개폐부재(360)의 탈부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리지(300)의 하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유로(362)와, 상기 유로(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3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362)는 내측 유로(362a)와 외측 유로(362b)로 구성되며, 내측 유로(362a)의 외면에는 걸림돌기(3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필터(340)는 상기 내측 유로(36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341)와, 상기 케이스(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링부(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41)의 일측에는 상기 내측 유로(362a)의 걸림돌기(361)에 대응하는 홈부(342)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342)는 대략 "L"형상 즉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진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필터(340)의 홈부(342) 정확히는 수평부를 내측 유로(362a)의 걸림돌기(361) 방향으로 넣은 후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필터(340)를 돌리면 상기 제2필터(340)와 개폐부재(36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제2필터(340)를 분리하는 것을 이에 반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와 펌프(400) 사이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와 펌프(400)는 중간 호스(490)를 매개로 연결된다. 다만, 중간 호스(490)의 일측은 펌프(400)의 인입구(430)에 직결되지만, 중간 호스(490)의 타측은 접속구(480)를 매개로 카트리지(300)와 연결된다. 펌프(400)의 인입구(430)/접속구(480)와 중간 호스(490)는 클램프(492)에 의하여 누설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와 접속구(480)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유로(362)와, 상기 유로(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3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362)는 내측 유로(362a)와 외측 유로(362b)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유로(362b)의 외면에는 기밀을 위하여 오링(O-ring)(369)이 구비된다.
한편, 핀(365)의 몸통부(365b)의 일측에는 오목부(366)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유동부(365a)가 구비된다.(도 10 참조) 상기 오목부(366)에는 개폐부(367)가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365a)는 대략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십자날개의 사이로 물이 흐르게 된다. 상기 개폐부(367)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362)를 설명하면, 유로의 내부에는 핀(365)의 몸통부(365b)를 지지하며 다수의 통공(363a)이 형성되는 지지부(36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363) 및 핀(365)의 유동부(365a)의 사이에는 스프링(364)이 구비된다. 그리고, 접속구(480)는 개폐부재(360)의 외측 유로(362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외측부(482)와, 상기 외측 유로(362b)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내측부(484)로 구성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가 접속구(48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64)에 의하여 핀(365)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부(367)가 내측 유로(362a)의 선단을 막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300)의 물이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접속구(480)에 끼우면 접속구(480)의 내측부(484)에 의하여 핀(365)이 스프링(364)의 탄성력을 이기고 내측 유로(362a)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핀(365)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부(367)가 내측 유로(362a)의 선단에서 분리되어 그 틈으로 물이 흐르게 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즉 펌프(400) 방향으로 유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364) 및 오링(369)을 이용한 2중 실링 구조이므로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365)의 일단 즉 유동부(365a)의 내부(365)는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단순 원통형에 비하여, 물의 유동하는 통로의 면적이 커지므로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호스(490)를 사용하지 않고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직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펌프(400)의 인입구(430a)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 즉 외측부(432)와 내측부(434)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펌프(400)의 인입구(430a)의 형상을 도 9의 접속구(480)와 유사하게 구성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연결 구조에 비하여, 이렇게 구성하면 중간 호스(490), 실링을 위한 클램프(492)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가 탈부착 가능한 카트리지(300)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공급원(300)으로 외부 꼭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팀발생기(200)로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에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도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를 하나의 용기에 구비하여, 상기 용기 자체도 급수 유로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펌프(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400)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스팀발생기(200)의 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기어식(Gear Type), 맥동식(Pulsating Type), 다이어프램식(Diaphram Ty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맥동식 및 다이어프램식 펌프에서도 회로의 극성을 순간 순간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서는 사용 가능한 펌프(400)의 일예로서 기어식 펌프(400)를 도시하였다. 기어식 펌프(40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 한 쌍의 기어(4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410)에는 인입구(430, 430a) 및 토출구(414)가 구비된다. 즉, 기어(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인입구(430, 430a)에서 토출구(414) 방향으로 또는 토출구(414)에서 인입구(430, 430a) 방향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노즐(25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250)을 일반적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노즐(250)을 확대축소관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노즐(250)의 선단(251)에 형성된 분사공(251a)을 통하여 스팀을 드럼에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즐(250)에는 상기 노즐(250)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부(25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과 같이, 스팀이 단순히 노즐(250)의 선단의 분사공(251a)으로 분출되면, 스팀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드럼의 협소한 부분 만으로 스팀이 분출되게 되어, 주름 제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250)의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노즐(2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연결되는 스팀을 상기 드럼으로 제공하는 노즐(250)의 내부에는 보조노즐(25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노즐(250)은 직경이 변화하지 않은 형상이거나 축소확대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250)이 축소확대관 형상인 경우에는 선단부(251)에서 약간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노즐(253)은 축소확대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250)의 외측으로의 경사각보다 보조노즐(253)의 외측으로의 경사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노즐(250)은 외측으로 30도 경사지며, 보조노즐(253)(250)은 외측으로 15도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스팀의 확산각을 크게 하여 스팀을 옷감에 골고루 묻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름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노즐(250) 및 보조노즐(253)을 연결하는 연결부(255)가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노즐(250), 보조노즐(253) 및 연결부(255)를 일체 성형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성형, 양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259a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노즐(2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즐(250)의 내부에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노즐(250)은 직경이 변화하지 않은 형상이거나 축소확대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250)이 축소확대관 형상인 경우에는 선단부(2541)에서 약간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발생부재는 블레이드(257)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257)는 노즐(250)의 내벽에서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의 블레이드(257)가 노즐(250)의 중심에서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노즐(250)의 내부에는 중심부재(258)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250)의 내벽과 상 기 중심부재(258)의 사이에 블레이드(257)가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재(258)에 유로(258a)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금형의 성형, 양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스팀 유동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운동에너지 및 확산각을 크게 하여 스팀을 옷감에 골고루 묻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름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50)은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개구부(4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스팀이 드럼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분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럼의 내부에서 통상 공기는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개구부(42)에서 유입되어 도어(104)의 아래에 있는 린트 덕트(미도시, 도 1 참조)로 빠져나가는 구조이므로, 공기의 유로가 대략 개구부(42)에서 린트 덕트가 된다. 따라서, 노즐(250)이 개구부(42)에 인접하여 설치되면, 분사된 스팀이 이러한 공기 유로를 따라 원할히 흐르므로 옷감에 골고루 묻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노즐(250)은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을 가지는 건조기 이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공급원(300)으로서 외부 수도꼭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9를 참조하여, 안전밸브(5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스팀발생기가 정상 가동되는 경우에는 스팀은 스팀 호스(230) 및 노즐(250)을 통하여 드럼으로 분사된다. 하지만, 옷감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린트나 이물질 등의 미세한 섬유상 입자들이 노즐(250)의 분사공(251a)에 부착되어 쌓이게 되어 상기 분사공(251a)을 막으면 스팀은 드럼으로 원할히 배출되지 못하고 역으로 압력이 작용하여 스팀발생기(200) 자체의 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스팀발생기 등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통가열 방식의 스팀발생기에서 워터 탱크는 통상 고압 용기 내압 설계를 하지 않으므로 더욱 이러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밸브(500)는 스팀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유동하는 스팀 유로가 막히면, 상기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안전밸브(500)는 스팀 유로 예를 들어 스팀 호스(2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팀호스(230)의 선단 부근 예를 들어 노즐(250) 인접부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안전밸브(500)는 일측은 상기 스팀 호스(230)에 연통하며 타측은 외부와 연통하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510)와 스팀 호스(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510)의 스팀유로 연통부(513)에는 개폐부(530)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530)는 스프링(5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물론, 상기 스프링(520)의 일측은 개폐부(53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은 케이스(510)에 소정 방식으로 고정된 고정부(54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호스(230)가 막히지 않아서, 상기 스팀호스(230)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하이면, 스팀은 스프링(520)을 탄성력을 이기지 못한다. 따라서, 개폐부(530)는 스팀유로 연통부(513)를 막으며, 이에 따라 스팀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호스(230)가 막 혀서 상기 스팀호스(230)의 압력이 소정 압력 예를 들어 1kgf/cm2 보다 커지면, 스팀은 스프링(520)을 탄성력을 이기게 된다. 따라서, 스팀유로 연통부(513)를 막은 개폐부(530)가 이동하여, 스팀은 스팀유로 연통부(513) 및 외부 연통부(5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기를 위주로 하는 스팀 라인의 구성 요소의 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기의 소정 위치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drawer)"라 함)(700)가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리지(300)를 직접 접속구(480)에 연결하는 것 보다 상기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상기 드로워(700)를 인입/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카트리지(300)를 상기 접속구(480)에 결합/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700)는 건조기의 전면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820)가 설치된다. 즉, 서포터(820)는 탑 프레임(8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820) 및 상기 탑 프레임(830)에 드로워(7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7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 일부에는 탑 가이드(81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 및 일측면(건조기의 전면 방향)은 개방되며, 상 기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드로워(700)가 인입/인출되게 되며, 접속구(480)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710)에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는 건조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20에서는 프런트 커버에 컨트롤 패널(19)이 설치되는 건조기를 도시하였으므로, 드로워(700)가 컨트롤 패널(19)에서 인입/인출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이 탑 커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드로워(700)를 프런트 커버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서 장착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300)의 최소한 양측면 형상은 드로워(700)의 양측면 형상과 대응하여, 서로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트리지(300)의 탈부착을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의 양측면에는 오목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301)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700)를 탈부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면, 카트리지(300)도 같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한다.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 물공급구 예를 들어 제1필터(330)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상태의 카트리지(300)를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상기 드로워(700)를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300)와 접속구(480)가 겹합되어 카 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 방향으로 개방된다.
건조기의 사용 완료 후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300)가 상부 하우징(320) 및 하부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된 카트리지(300)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를 직접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드로워(700)를 직접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로워(700)에 급수 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이 넘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면 이러한 점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드로워(700)를 직접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다. 도 21에서는 편의상 드로워(700)에 연수부재(350)만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설치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드럼을 히팅하는 드럼히팅 단계(SS3)와, 스팀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드럼에 공급하는 스팀공급 단계(SS5)와,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 단계(SS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럼히팅 단계(SS3) 전에 물공급 단계(SS1)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열풍공급 단계(SS7) 후에 상기 드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SS9)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팀공급 단계 완료(SS5) 후 상기 스팀발생기에 잔류하고 있는 물 즉 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물회수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세한 물회수 단계는 후술함.) 드럼을 히팅하는 것은 별도의 히터를 드럼내부에 장착하여 수행할 수도 있지만, 열풍히터를 이용하는 것이 간단하다.
각각의 제어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드럼히팅 단계(SS3)는 드럼을 소정 온도로 히팅하여, 다음 단계인 스팀공급 단계(SS5)에서 주로 수행되는 구김제거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단계이다. 드럼히팅 단계(SS3)는 소정 시간(T_pre - T_pump) 동안 수행된다. 이때, 드럼을 텀블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헐적으로 텀블링시킬 수도 있다. 텀블링은 약 50rpm 이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말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드럼히팅 단계(SS3)는 스팀발생기에 소정 시간(T_pump) 동안 물이 공급되어 고수위가 된 시점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럼히팅 단계(SS3)의 시작 시점에서 스팀히터가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팀히터의 동작이 시작되어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야 스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드럼히팅 단계(SS3)의 종료는 대략 히터 발생 시점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공급 단계(SS5)는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여 주로 구김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스팀공급 단계(SS5)는 소정 시간(T_steam) 동안 수행된다. 이때 드럼을 텀블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헐적으로 텀블링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팀공급 단계(SS5)의 지속 시간(T_steam)은 피건조물의 양 등과 같은 인자를 기초로 하여 실험 등에 의하여 결정하여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팀공급 단계(SS5)에서 스팀발생기의 수위는 감소하게 되므로, 저수위가 감지되면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경우에 고수위 감지 시까지 계속 물을 공급하여도 되지만, 히팅 효율을 위하여 고수위 되기 전의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약 3초 동안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팀공급 단계(SS5)에서의 텀블링은 간헐적으로 주기적으로 반복 예를 들어 1분에 약 3초씩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공급 단계(SS7)는 열풍히터에 의하여 발생된 열풍을 드럼에 공급하여 스팀에 의하여 약간 젖을 수 있는 옷감을 다시 건조하는 단계이다. 열풍공급 단계(SS7)는 소정 시간(T_dry) 동안 수행되며, 드럼을 텀블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공급 단계(SS7)의 시간(T_dry)도 피건조물의 양 등과 같은 인자를 기초로 하여 실험 등에 의하여 결정하여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풍공급 단계(SS7) 완료 후에는 스팀발생기에 남아 있는 잔수를 다시 카트리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팀발생기의 잔수는 고온이므로 바로 배출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T_delay) 지연시키고, 또한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소정 온도(Temp_crit) 이하가 되면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냉각 단계(SS9)는 열풍공급 단계(SS7)에서 온도가 상승한 피건조물을 다시 냉각하는 단계이다. 냉각 단계(SS9)는 소정 시간(T_cooling) 동안 수행되며, 드럼을 텀블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단계(SS9)의 시간(T_cooling)도 피건조물의 양 등과 같은 인자를 기초로 하여 실험 등에 의하여 결정하여 미리 설정하 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단계(SS9)에서 냉풍을 드럼에 공급할 수도 있지만, 피건조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은 아니므로 소정 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여 두는 것이 간단한 방식이며 바람직하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펌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제어 방법은 드럼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 단계(S100, S200)와, 상기 스팀발생기의 남아 있는 잔수를 회수하는 물을 물회수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물공급 단계(S100, S200)는 초기 공급단계(S100)와 스팀발생기의 수위를 유지하는 수위유지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회수 단계(S300)는 펌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팀발생기에 연결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으로 물이 회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성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 단계(S100, S200)는 초기 공급단계(S100)와 스팀발생기의 수위를 유지하는 수위유지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가 정회전하여 물을 스팀발생기로 공급한다(S1). 스팀발생기의 수위가 고수위가 되면(S3), 펌프가 정지되고 스팀히터가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
스팀히터가 작동하여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하고,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면 스팀발생기의 물이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스팀발생기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수위가 되면 다시 펌프를 정회전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한다.(S9, S11)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 고수위 감지시까지 물을 계속 공급하여도 되지 만, 히팅 효율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약 3초 동안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설정된 스팀공급 시간(T_steam)이 지나면(S7), 스팀히터를 정지시키고(S13), 일정 시간(T-delay)을 지연시킨다(S15). 일정 시간(T-delay)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스팀발생기의 잔수의 온도를 최대한 낮추기 위함이다. 그 다음에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안전온도(Temp_crit)보다 낮으면(S17), 펌프를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약 30초 역회전시켜 스팀발생기의 잔수를 회수한다(S25). 그러나,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안전온도(Temp_crit)보다 높으면 스팀발생기의 잔수를 바로 회수하지 않고 안전 조치를 취한다. 예를 들어, 스팀발생기의 수위가 고수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여(S19), 고수위보다 낮으면 펌프를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약 5초 정회전시켜 스팀발생기에 다시 물을 공급한다(S21). 스팀발생기의 수위가 고수위보다 낮지 않으면, 스팀발생기의 온도와 안전온도를 비교한다(S23).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안전온도(Temp_crit)보다 낮으면(S23), 펌프를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약 30초 역회전시켜 스팀발생기의 잔수를 회수한다(S25). 그러나,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안전온도(Temp_crit)보다 높으면, 펌프를 역회전시켜 스팀발생기의 잔수를 회수하지 않고 종료한다(S27). 물론, 소정 시간 지연후에 다시 온도를 비교하여 요건이 만족하면 잔수를 회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전온도(Temp_crit)는 펌프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온도를 의미하여, 예를 들어 약 60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물공급시간(T_pump), 스팀발생 준비 시간(T_pre), 스팀공급시간(T_steam), 건조시간(T_dry), 냉각시간(T-cooling), 지연시 간(T_delay), 텀블링 시간, 펌프 가동 시간 등은 일예이며, 건조기의 용량, 피건조물의 양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 예를 들어 옷감의 종류, 흡습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 제거 및 방지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일 예로써 세탁기에서 탈수 완료된 세탁물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루 정도 입은 의류 즉 이미 건조된 상태이며 구김이 적은 의류를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즉, 일종의 구김제거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림질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캐비넷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공급원을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발생부의 사이에는 펌프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하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스팀발생부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은 상기 캐비넷에 인입 인출 가능한 드로워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일측에는 스팀을 상기 드럼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스팀발생기의 스팀 유로가 막히면 상기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노즐의 사이에는 안전밸브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에는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물공급원과 연통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핀의 일단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유로의 일측 선단의 외면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일측에는 스팀을 상기 드럼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개구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60052574A 2006-06-12 2006-06-12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74A KR100755863B1 (ko) 2006-06-12 2006-06-12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7/002510 WO2007145432A1 (en) 2006-06-12 2007-05-23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07800230459A CN101473086B (zh) 2006-06-12 2007-05-23 衣物烘干机以及用于控制该烘干机的方法
DE112007001116T DE112007001116B4 (de) 2006-06-12 2007-05-23 Bekleidungstrockn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US12/227,134 US8365438B2 (en) 2006-06-12 2007-05-23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12007003791.1T DE112007003791B4 (de) 2006-06-12 2007-05-23 Bekleidungstrock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74A KR100755863B1 (ko) 2006-06-12 2006-06-12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863B1 true KR100755863B1 (ko) 2007-09-05

Family

ID=3873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74A KR100755863B1 (ko) 2006-06-12 2006-06-12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5863B1 (ko)
CN (1) CN101473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2897B (zh) * 2013-08-08 2016-11-2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干衣机蒸汽喷头的安装结构以及干衣机
CN107090687B (zh) * 2017-06-05 2023-02-17 上海谦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体式缩绒机
KR102504659B1 (ko) * 2019-11-18 2023-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원심 탈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386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4532A1 (de) * 1993-02-16 1994-08-18 Planeta Haus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Wasserzufuhr zu einem Dampferzeuger
KR970010232B1 (en) * 1994-05-31 1997-06-23 Daewoo Electronics Co Ltd Applying water valve of a washing machine
CN2252823Y (zh) * 1995-10-04 1997-04-23 李昕 蒸汽灭菌烘干机
IT1307228B1 (it) * 1999-03-30 2001-10-30 T & P Spa Dispositivo per l'abbattimento della durezza dell'acqua(dolcificatore) dotato di sensore di esaurimento resine e relativo
KR101003358B1 (ko) * 2003-12-16 201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575674B1 (ko) * 2004-04-0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공기 여과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JP4030523B2 (ja) *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386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3538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3086B (zh) 2012-08-15
CN101473086A (zh)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51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2B1 (ko) 건조기
US8931186B2 (en) Dry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41461B1 (ko) 스팀 건조기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US20090307921A1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7145432A1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698133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73570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1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921459B1 (ko) 스팀 건조기
KR101341463B1 (ko) 스팀건조기
KR10069813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86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220554A (zh) 衣物机及其控制方法
KR100774219B1 (ko) 건조기
KR100698224B1 (ko) 건조기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0B1 (ko) 스팀건조기
KR10069822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1341464B1 (ko) 스팀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28B1 (ko) 의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