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781A -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4781A
KR20080054781A KR1020060127342A KR20060127342A KR20080054781A KR 20080054781 A KR20080054781 A KR 20080054781A KR 1020060127342 A KR1020060127342 A KR 1020060127342A KR 20060127342 A KR20060127342 A KR 20060127342A KR 20080054781 A KR20080054781 A KR 2008005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ltage
period
during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804B1 (ko
Inventor
신성우
박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804B1/ko
Priority to GB0708233A priority patent/GB2444794B/en
Priority to CN2007101037380A priority patent/CN101201524B/zh
Priority to JP2007159695A priority patent/JP5182848B2/ja
Priority to US11/819,136 priority patent/US7868869B2/en
Publication of KR2008005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other tha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 G09G2310/0256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other tha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the purpose of reversing the voltage across a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within a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낮추도록 한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교차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패널;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다수의 프레임기간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기간 동안 1 프레임기간 주기로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을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ELECTROPHORESIS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 데이터 전압 파형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에 등재된 데이터 전압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셀의 마이크로 캡슐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타이밍 콘트롤러에서 디지털 데이터와 교류 공통전압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회로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전압과 교류 공통전압의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효전압의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전압과 교류 공통전압의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효전압의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회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타이밍 콘트롤러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4 : 전기영동 표시패널
15 : 공통전압 발생회로 111 : 룩업 테이블
112, 113, 114 : 메모리 115 : 프레임 카운터
101 : 쉬프트 레지스터 102 : 래치
10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104 : 출력버퍼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전압을 낮추도록 한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하를 갖는 물질이 직류전기장에 놓이면 그 물질들은 전하, 분자의 크기 및 모양 등에 따라 특유의 이동을 한다. 이와 같은 거동을 전기영동이라 하고, 이동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물질이 분리되는 현상을 전기영동이라 한다. 최근, 이러한 전기영동을 이용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종이 매체를 대신할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영동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미국특허 US 7,012,600, 미국특허 US 7,119,772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도 1과 같이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1), 다수의 메모리(2 내지 4), 및 프레임 카운터(5)를 이용하여 각 셀들 마다 현재 상태의 이미지와 그 다음 상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 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V1 내지 Vn)를 결정한다.
룩업 테이블(1)에서 출력된 데이터(V1 내지 Vn)는 '00', '01', '10', '11'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로써 각 셀의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세가지 상태의 전압 즉, Ve+, Ve-, Ve0으로 변환된다. '00'과 '11'은 0V, '01'은 Ve+(+15V), '10'은 Ve-(-15V)로 변환된다.
도 2는 현재 상태(Current state)에서 기입된 데이터와 그 다음 상태(Next state)에서 기입될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공급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서, 'W(11)'는 피크 화이트 계조, 'LG(10)'은 밝은 중간 계조, 'DG(01)'은 어두운 중간 계조, 'B(00)'은 피크 블랙 계조를 나타내고, 구동파형의 아래에 기재된 숫자는 프레임 수를 나타낸다.
화소전극과 대향하는 공통전극에는 직류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정극성 데이터전압(Ve+)은 직류 공통전압(Vcom)보다 높은 전압이고 부극성 데이터전압(Ve-)은 직류 공통전압(Vcom)보다 낮은 전압이다.
이러한 전기영동 구동방법은 첫째, 각 셀들의 디지털 데이터들이 각각 2 비트이므로 메모리(4)의 저장용량이 그 만큼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기존 셀 상 태를 초기화한 후에 모든 셀들을 쌍안정 상태로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프레임기간 동안 리셋전압파형, 안정화전압파형 및 기입데이터전압파형을 화소전극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데이터 갱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데이터 갱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전압을 높일 수 있지만 이 경우,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ata Drive Integrated Circuit, D-IC) 내의 소자들이 고전압 소자들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D-IC의 크기가 커지고 코스트가 높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전압을 낮추도록 한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교차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패널;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다수의 프레임기간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기간 동안 1 프레임기간 주기로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을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상 기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셀들 각각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이 가능한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다음 프레임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상기 다음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셀 단위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1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함과 아울러 미리 정해진 상기 교류 구동전압의 구동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1 비트의 공통전압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 및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에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은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리셋기간 동안 발생되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초기화하는 리셋전압 파형; 상기 리셋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1 안정화전압 파형; 상기 제1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과 반대로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2 안정화전압 파형; 및 상기 제2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셀에서 계조를 표현하는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을 포함한다.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및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된다.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발생된다.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과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고,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한다.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다수의 프레임기간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기간 동안 1 프레임기간 주기로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을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셀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m ×n 개의 셀들(16)이 배열되는 표시패널(14), 데이터전압을 표시패널(14)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12), 표시패널(14)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13), 표시패널(14)의 공통전극(18)에 프레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Vcom2)을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15), 데이터/게이트 구동회로들(12, 13)과 공통전압 발생부(15)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4)은 도 4와 같은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들(20)이 두 장의 기판 사이에 주입된다. 마이크로 캡슐들(20) 각각은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들(21)과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들(22)을 포함한다. 이 표시패널(14)의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m 개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n 개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은 서로 교차한다.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의 교차부들에는 TFT들이 접속된다. TFT들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1 내지 Dm)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전극은 셀(16)의 화소전극(17)에 접속된다. 그리고 TFT들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1 내지 Gn)에 접속된다. TFT들은 게이트라인(G1 내지 Gn)으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됨으로써 표시하고자 하는 한 라인의 셀들(16)을 선택한다. 표시패널(14)의 상부 투명기판 상에는 모든 셀들에 교류 공통전압(Vcom2)을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극(18)이 형성된다.
한편, 마이크로 캡슐들(20)은 음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양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구동파형의 위상과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쉬프트 레지스터, 래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출력 버퍼 등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들로 구성된다. 이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디지털 데이터를 래치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의 스윙폭을 TFT의 구동에 적합한 스윙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레벨 쉬프터와 게이트라인(G1 내지 Gn) 사이에 접속되는 출력 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들로 구성된다. 이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H)와 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데이터/게이트 구동회로들(12, 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들과 공통전압 발생회로(15)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발생한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데이터전압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구동파형을 결정하는 룩업 테이블, 프레임 수를 카운터하는 프레임 카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전압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
공통전압 발생회로(15)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C1)에 응답하여 고전위전압(Vcom+)과 저전위전압(Vcom-) 사이에서 매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Vcom2)을 발생하고, 그 교류 공통전압(Vcom2)을 공통전극(18)에 공급한다. 한편, TFT의 기생용량으로 인한 킥백전압(Kick back voltage)은 교류 공통전압(Vcom2) 대비 데이터전압의 극성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킥백전압을 보상하기 위하여 교류 공통전압(Vcom2)의 고전위전압(Vcom+)과 저전위전압(Vcom-)은 공통전압 발생회로(15)에서 독립적으로 조정된다.
도 5는 타이밍 콘트롤러(11)에서 디지터 데이터와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회로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이밍 콘트롤러(11)는 현재 프레임(Fn)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 프레임 메모리(112), 다음 프레임(Fn+1)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 프레임 메모리(113), 프레임 메모리들(112, 113)에 접속된 룩업 테이블(111), 프레임 수를 계수하는 프레임 카운터(115), 룩업 테이블(11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114)를 구비한다. 데이터 메모리(114)는 후술하는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집적회로(IC)에 각각 포함된 래치이다.
룩업 테이블(111)은 각 프레임별로 현재 프레임(Fn)의 이미지와 그 다음 프레임(Fn+1)의 이미지에 따라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각 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구동파형과 교류 공통전압(Vcom)의 구동파형에 대한 펄스폭변조 데이터가 등재된 다수의 룩업 테이블들을 저장한다. 이 룩업 테이블(111)은 프레임 카운터(115)로부터의 프레임 수 정보에 따라 각 프레임마다 현재 프레임(Fn)의 이미지 와 다음 프레임의 이미지를 셀 단위로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각 셀 단위로 1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선택한다. 룩업 테이블(111)로부터 선택된 각 셀의 디지털 데이터는 이전 셀의 상태를 초기화하기 위한 리셋 데이터, 셀 내의 쌍안정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 데이터, 계조(Gray scale)를 표현하기 위한 기입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룩업 테이블(111)은 미리 정해진 교류 공통전압(Vcom2)의 구동파형을 지시하는 1 비트의 제어 데이터(C1)를 선택하고, 그 제어 데이터(C1)를 공통전압 발생회로(15)에 공급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전압(Vdata), 교류 공통전압(Vcom2) 및 실효전압(Vrms)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캡슐(20)은 화소전극(17)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과 공통전극(18)에 공급되는 교류 공통전압(Vcom2)에 따라 리셋기간(P1), 제1 안정화기간(P2), 제2 안정화기간(P3) 및 데이터기입기간(P4)으로 나뉘어 시분할 구동된다.
리셋기간(P1)은 화소전극(17)에 고전위전압(Vh+)으로 데이터전압(Vdata)이 공급되고 공통전극(18)에 1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Vom2)이 공급되는 제1 구간(T1)과, 화소전극(17)과 공통전극(18)에 동일한 위상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는 제2 구간(T2)를 포함한다. 제1 구간(T1) 동안, 화소전극들(17)에 공급되는 고전위전압(Vh+)의 데이터전압(Vdata)은 도 2와 같이 각 셀 단위로 현재 상태의 이미지와 다음 상태의 이미지의 계조와 그 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구간(T2)은 리셋기간(P1) 내에서 제1 구간(T1)이 길면 상대적 으로 작아지고 제1 구간(T1)이 작으면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리셋기간(P1)의 제1 구간(T1)과 제2 구간(T2)은 각 셀에서 현재 상태의 이미지와 그 다음 상태의 이미지의 계조와 그 차에 따라 달라진다. 이전 상태에 따라 마이크로 캡슐(20) 내에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21)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22)가 셀 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리셋기간(P1)의 제1 구간(T1)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고전위 전압(Vh+)의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공통전압 발생회로(15)는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전압(Vcom2)을 공통전극(18)에 공급하여 모든 셀들에서 마이크로 캡슐(20) 내의 입자배열을 1차 초기화한다. 리셋기간(P1)의 제2 구간(T2)은 모든 셀들에서 화소전극(17)과 공통전극(18)에 공급되는 교류전압의 파형이 동위상이기 때문에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data)의 전위차가 거의 없다.
리셋기간(P1)의 제1 구간(T1) 동안, 모든 셀들(16)에서 마이크로 캡슐들(20)의 화소전극(17)과 공통전극(18)의 전위차 즉, 마이크로 캡슐들(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은 교류 공통전압(Vcom)과 데이터전압(Vcom)의 합에 해당하는
Figure 112006092425608-PAT00001
으로 높아진다. 이 제1 구간(T1) 내에서 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존재하고 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20)들에는 제1 구간(T1)에 포함된 전체 프레임기간 중 1/2 기간 동안 실효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1/2 기간 동안 0V가 공급된다.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 리셋기간(P1) 동안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의 진폭은 데이터전압에서 결정되는 +15V에 불과하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리셋기간(P1)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 각각이 +15V와 -15V 사이에서 스윙한다면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의 진폭을 2 배 이상 즉, 30V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도 실효전압을 더 높게 하여 마이크로 캡슐들(20)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하고 그 결과, 리셋기간(P1)을 종래의 리셋기간(P1)에 필요한 프레임 수보다 작은 수의 프레임기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안정화기간(P2)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은 저전위전압(Vh-)으로 발생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1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된다. 제2 안정화기간(P3)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은 고전위전압(Vh-)으로 발생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1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된다. 이 제1 및 제2 안정화기간(P2, P3) 동안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실효전압(Vrms)의 극성이 교대로 반전되어 마이크로 캡슐(20) 내에서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21)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22)를 분리시켜 마이크로 캡슐(20) 내의 대전 입자들을 쌍안정 상태로 2차 초기화한다. 제1 및 제2 안정화기간(P2, P3) 동안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구동파형은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이전 프레임 이미지에 관계없이 모들 마이크로 캡슐들(20)을 초기화시키므로 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의 모든 프레임기간에서 동일하다.
제1 안정화기간(P2) 동안, 모든 셀들(16)에서 마이크로 캡슐들(20)의 화소전 극(17)과 공통전극(18)의 전위차 즉, 마이크로 캡슐들(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은 교류 공통전압(Vcom)과 데이터전압(Vcom)의 합에 해당하는
Figure 112006092425608-PAT00002
으로 높아진다. 이 제1 안정화기간(P2) 내에서 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존재하고 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20)들에는 제1 안정화기간(P2)에 포함된 전체 프레임기간 중 1/2 기간 동안 실효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1/2 기간 동안 0V가 공급된다.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 제1 안정화기간(P2) 동안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의 진폭은 데이터전압에서 결정되는 -15V에 불과하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제1 안정화기간(P2)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 각각이 +15V와 -15V 사이에서 스윙한다면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을 2 배 이상 즉, -30V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도 실효전압을 더 높게 하여 마이크로 캡슐들(20)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하고 그 결과, 제1 안정화기간(P2)을 종래의 제1 안정화기간(P2)에 필요한 프레임 수보다 작은 수의 프레임기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안정화기간(P3) 동안, 모든 셀들(16)에서 마이크로 캡슐들(20)의 화소전극(17)과 공통전극(18)의 전위차 즉, 마이크로 캡슐들(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은 교류 공통전압(Vcom)과 데이터전압(Vcom)의 합에 해당하는
Figure 112006092425608-PAT00003
으로 높아진다. 이 제2 안정화기간(P3) 내에서 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존재하고 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20)들에는 제2 안정화기간(P3)에 포함된 전체 프레임기간 중 1/2 기간 동안 실효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1/2 기간 동안 0V가 공급된다.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 제2 안정화기간(P3) 동안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의 진폭은 데이터전압에서 결정되는 +15V에 불과하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제2 안정화기간(P3)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 각각이 +15V와 -15V 사이에서 스윙한다면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을 2 배 이상 즉, -30V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도 실효전압을 더 높게 하여 마이크로 캡슐들(20)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하고 그 결과, 제2 안정화기간(P3)을 종래의 제2 안정화기간(P3)에 필요한 프레임 수보다 작은 수의 프레임기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은 백색표시전압인 고전위전압(Vh+) 또는 흑색표시전압인 저전위전압(Vh-)으로 발생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1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된다. 이 데이터기입기간(P4) 내에서 데이터전압(Vdata)이 화소전극들(17)에 공급되는 프레임 수는 도 2와 같이 현재 이미지 상태와 다음 이미지 상태의 계조 차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 대, 현재 상태의 이미지와 그 다음 상태의 이미지 사이에서 계조차가 클수록 데이터기입기간(P4) 내에서 데이터전압(Vdata)이 공급되는 프레임 수가 증가하고, 다음 상태의 이미지의 계조가 높을수록 데이터기입기간(P4) 내에서 데이터전압(Vdata)이 공급되는 프레임 수가 증가한다. 데이터기입기간(P4) 내에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프레임기간들 이외의 나머지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의 파형은 리셋기간(P1)의 제2 구간(T2)과 마찬가지로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모든 셀들(16)에서 마이크로 캡슐들(20)의 입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은 교류 공통전압(Vcom)과 데이터전압(Vcom)의 합에 해당하는
Figure 112006092425608-PAT00004
또는
Figure 112006092425608-PAT00005
으로 높아진다. 이 데이터기입기간(P4) 내에서 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존재하고 우수 프레임기간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의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20)들에는 데이터기입기간(P4)에 포함된 전체 프레임기간 중 1/2 기간 동안 실효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1/2 기간 동안 0V가 공급된다.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의 진폭은 데이터전압에서 결정되는 +15V 또는 -15V에 불과하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데이터전압(Vdata)과 교류 공통전압(Vcom2) 각각이 +15V와 -15V 사이에서 스윙한다면 마이크로 캡슐(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을 2 배 이상 즉, -30V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도 실효전압을 더 높게 하여 마이크로 캡슐들(20)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하고 그 결과, 데이터기입기간(P4)을 종래의 데이터기입기간(P4)에 필요한 프레임 수보다 작은 수의 프레임기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프레임기간 예를 들면 128 개의 프레임기간 동안, 초기화, 안정화, 데이터 기입 과정을 포함하여 각 셀 단위로 하나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전압(Vdata), 교류 공통전압(Vcom2) 및 실효전압(Vrms)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캡슐(20)은 화소전극(17)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과 공통전극(18)에 공급되는 교류 공통전압(Vcom2)에 따라 리셋기간(P1), 제1 안정화기간(P2), 제2 안정화기간(P3) 및 데이터기입기간(P4)으로 나뉘어 시분할 구동된다.
리셋기간(P1)과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전압(Vdata)은 고전위 전압(Vh+)과 저전위 전압(Vh-) 사이에서 스윙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1 프레임기간 단위로 전위와 극성이 반전된다.
제1 안정화기간(P2)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은 저전위 전압(Vh-)으로 유지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고전위 전압(Vcom+)으로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안정화기간(P3) 동안 데이터전압(Vdata)은 고전위 전압(Vh+)으로 유지되고, 교류 공통전압(Vcom2)은 저전위 전압(Vcom-)으로 유지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리셋기간(P1), 제1 안정화기간(P2), 제2 안정 화기간(P3) 및 데이터기입기간(P4) 동안 마이크로 캡슐들(20)을 구동하기 위한 실효전압(Vrms)을 도 9와 같이 종래 기술보다 2 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도 마이크로 캡슐들(20)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하여 리셋기간(P1), 제1 안정화기간(P2), 제2 안정화기간(P3) 및 데이터기입기간(P4) 각각에 필요한 프레임기간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교류 공통전압(Vcom2)의 극성 반전 횟수를 줄여 공통전압 발생회로(15)의 소비전류와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다수의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집적회로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1 비트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는 레지스터(106), 순차적으로 샘플링 신호를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101), 레지스터(106)와 데이터라인(D1 내지 Dm) 사이에 종속적으로 접속된 래치(10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or : 이하, "DAC"라 한다)(103), 및 출력버퍼(104)를 구비한다.
레지스터(106)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직렬로 입력되는 1 비트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병렬로 래치(102)에 공급한다.
쉬프트 레지스터(101)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를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쉬프트 레지스터(101)는 소스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시켜 다음 단의 집적회로에 캐리신호를 전달한다.
래치(102)는 쉬프트 레지스터(101)로부터 입력되는 샘플링신호에 따라 1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한 후, 래치된 1 비트 디지털 데이터들을 동시에 DAC(104)에 공급한다.
DAC(103)는 래치(102)로부터의 1 비트 디지털 데이터들을 감마보상전압인 고전위전압(Vh+)과 저전위전압(Vh-)으로 변환한다.
출력버퍼(104)는 DAC(10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Vdata)을 손실없이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프레임기간 단위로 공통전압의 전위와 극성을 반전시켜 데이터전압과 공통전압의 차로 결정되는 실효전압을 높여 데이터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효전압을 높여 마이크로 캡슐들 내의 입자 움직임을 고속화함으로써 데이터의 갱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전압을 고전위전압과 저전위전압의 2 가지 전압으로만 발생하기 때문에 그 데이터전압들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1 비트로 줄일 수 있으므로 디지털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의 저장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전압을 낮추어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의 크기를 줄이고 회로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 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8)

  1.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교차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패널;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다수의 프레임기간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기간 동안 1 프레임기간 주기로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을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각각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이 가능한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다음 프레임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상기 다음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셀 단위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1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함과 아울러 미리 정해진 상기 교류 구동전압의 구동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1 비트의 공통전압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 및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에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은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리셋기간 동안 발생되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초기화하는 리셋전압 파형;
    상기 리셋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1 안정화전압 파형;
    상기 제1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과 반대로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2 안정화전압 파형; 및
    상기 제2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셀에서 계조를 표현하는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및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과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고,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각각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이 가능한 음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양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10.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교차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셀들을 각각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패널을 가지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다수의 프레임기간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기간 동안 1 프레임기간 주기로 극성이 반전되는 교류 공통전압을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각각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이 가능한 양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음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 이미지와 다음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셀 단위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1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교류 구동전압의 구동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1 비트의 공통전압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류 공통전압의 극성은 상기 공통전압 제어 데이터에 따라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구동파형은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리셋기간 동안 발생되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초기화하는 리셋전압 파형;
    상기 리셋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1 안정화전압 파형;
    상기 제1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과 반대로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대전된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2 안정화전압 파형; 및
    상기 제2 안정화기간에 이어지는 다수의 프레임기간을 포함한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셀에서 계조를 표현하는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제1 안정화기간,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및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공통전압은
    상기 리셋기간 동안과 상기 데이터기입기간 동안 상기 1 프레임기간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고,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데이터전압 파형은
    상기 제1 안정화기간 동안 저전위전압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안정화기간 동안 고전위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각각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이 가능한 음으로 대전된 백색입자와 양으로 대전된 흑색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60127342A 2006-12-13 2006-12-13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43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42A KR101432804B1 (ko) 2006-12-13 2006-12-13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GB0708233A GB2444794B (en) 2006-12-13 2007-04-27 Electrophoresis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07101037380A CN101201524B (zh) 2006-12-13 2007-05-22 电泳显示器及其驱动方法
JP2007159695A JP5182848B2 (ja) 2006-12-13 2007-06-18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US11/819,136 US7868869B2 (en) 2006-12-13 2007-06-25 Electrophoresis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42A KR101432804B1 (ko) 2006-12-13 2006-12-13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781A true KR20080054781A (ko) 2008-06-19
KR101432804B1 KR101432804B1 (ko) 2014-08-27

Family

ID=3817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342A KR101432804B1 (ko) 2006-12-13 2006-12-13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68869B2 (ko)
JP (1) JP5182848B2 (ko)
KR (1) KR101432804B1 (ko)
CN (1) CN101201524B (ko)
GB (1) GB24447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60A (ko) * 2009-12-09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140028884A (ko) * 2012-08-31 2014-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7322B2 (ja) 2007-08-30 2013-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5071000B2 (ja) * 2007-08-31 2012-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624832B2 (en) 2007-11-02 2014-01-07 Seiko Epson Corporation Drive method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2009175492A (ja) * 2008-01-25 2009-08-0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623184B2 (ja) * 2008-09-26 2011-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媒体の駆動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89640B1 (ko) * 2008-12-03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1577220B1 (ko) * 2008-12-17 2015-1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97327A (ko) * 2009-02-26 201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을 위한 공통 전압 생성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5376129B2 (ja) * 2009-03-13 2013-1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10217282A (ja) * 2009-03-13 2010-09-30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10231064A (ja) * 2009-03-27 2010-10-14 Oki Semiconductor Co Ltd 表示駆動装置
US8446421B2 (en) * 2009-04-24 2013-05-21 Seiko Epson Corporation Allocation and efficient use of display memory bandwidth
WO2011033914A1 (en) * 2009-09-16 2011-03-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2044217B (zh) * 2009-10-15 2013-03-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电泳显示装置
TWI534773B (zh) * 2010-04-23 2016-05-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的驅動方法
TWI428879B (zh) * 2010-06-21 2014-03-01 Au Optronics Corp 分離式之電泳顯示裝置及其資料傳輸方法
JP5830276B2 (ja) * 2010-06-25 2015-12-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5712534B2 (ja) * 2010-09-15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514213B2 (en) * 2010-10-13 2013-08-20 Creator Technology B.V. Common driving of displays
KR101289648B1 (ko) 2010-11-10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터치 스크린 구동방법
US9349327B2 (en) 2010-12-06 2016-05-24 Lg Display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same, and method for measuring image stability thereof
KR2012007640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TWI433101B (zh) * 2011-04-21 2014-04-01 Au Optronics Corp 電泳顯示裝置及其畫面更新方法
TWI544268B (zh) * 2011-11-16 2016-08-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泳顯示器的查找表的建立方法及其裝置
CN103137076B (zh) * 2011-12-05 2016-02-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双稳态显示装置及其驱动电路和驱动方法
TW201337425A (zh) * 2012-03-13 2013-09-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電泳式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102654714A (zh) * 2012-03-23 2012-09-05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电泳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I469121B (zh) * 2012-11-07 2015-01-11 Au Optronics Corp 操作電泳顯示器之方法
JP2014157306A (ja) * 2013-02-18 2014-08-28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の制御回路、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30040997A (ko) * 2013-03-13 2013-04-24 주식회사 나노브릭 입자를 이용한 투과도 및 반사도 조절 방법 및 장치
US9761188B2 (en) * 2015-03-06 2017-09-12 Apple Inc. Content-based VCOM driving
CN105575336B (zh) * 2016-01-15 2018-04-24 深圳市国华光电研究院 一种电泳显示设备驱动波形自生成方法
RU2721481C2 (ru) * 2016-03-09 2020-05-19 Е Инк Корпорэйшн Способы возбуждения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их дисплеев
US10593272B2 (en) 2016-03-09 2020-03-17 E Ink Corporation Drivers providing DC-balanced refresh sequences for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s
CN109754758B (zh) * 2017-11-01 2020-11-03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
TWI709955B (zh) * 2018-01-22 2020-11-11 矽創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紙顯示驅動電路
TWI719391B (zh) * 2018-01-22 2021-02-21 矽創電子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的參考電壓產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2744B2 (en) * 2000-06-22 2004-07-13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 electrophoretic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3719172B2 (ja) * 2000-08-31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574512B (en) * 2001-03-14 2004-02-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WO2002086612A1 (en) * 2001-04-25 2002-10-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color display device
US7528822B2 (en) * 2001-11-20 2009-05-05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7050040B2 (en) * 2002-12-18 2006-05-23 Xerox Corporation Switching of two-particle electrophoretic display media with a combination of AC and DC electric field for contrast enhancement
KR100932379B1 (ko) * 2002-12-30 2009-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300006B2 (en) * 2003-10-03 2012-10-30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 unit
US20070008278A1 (en) 2003-10-03 2007-0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display unit
JP4483639B2 (ja) 2005-03-18 2010-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60A (ko) * 2009-12-09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140028884A (ko) * 2012-08-31 2014-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1524A (zh) 2008-06-18
US7868869B2 (en) 2011-01-11
KR101432804B1 (ko) 2014-08-27
GB2444794A (en) 2008-06-18
JP2008152228A (ja) 2008-07-03
GB2444794B (en) 2009-06-24
US20080143668A1 (en) 2008-06-19
CN101201524B (zh) 2012-09-05
GB0708233D0 (en) 2007-06-06
JP5182848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804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37104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577220B1 (ko) 전기 영동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89640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JP5710894B2 (ja) 表示装置
KR2007002309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40989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90105486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1296646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1123256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4895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회로
KR101174783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10102151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KR10088093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1265480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105682A (ko) 저속 구동이 가능한 표시장치
KR2005005515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71676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110057956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파워 시퀀스 제어방법
KR2007000248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81711A (ko) 크로스토크가 감소된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7354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5036749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