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682A -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682A
KR20080053682A KR1020060125523A KR20060125523A KR20080053682A KR 20080053682 A KR20080053682 A KR 20080053682A KR 1020060125523 A KR1020060125523 A KR 1020060125523A KR 20060125523 A KR20060125523 A KR 20060125523A KR 20080053682 A KR20080053682 A KR 2008005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
molded product
blow molding
primary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675B1 (ko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102006012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6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워 몰딩에 원료를 주입하여 1차 성형품을 성형하고 성형금형에 1차 성형품을 공급하여 벌림금형으로 원하는 형태의 완제품인 관 연결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며 수밀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양측으로 하수관(30, 31)을 삽입하여 고무링으로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브로워 몰딩(50)에서 1차 성형품(60)을 성형하고 성형금형(70)에서 벌림금형(71)으로 2차 성형하여 완제품(40)을 성형하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반원형으로 보강돌기(11)를 갖고 그 양측에 고무링(14)이 삽입되는 링홈(13)을 형성하며, 양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홈(12)을 갖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관 연결구, 연결관, 하수관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A watertight connection structure for drainpipe coupling and that production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브로워 몰딩에 대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브로워 몰딩에 원료를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브로워 몰딩에 에어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3 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1차 성형품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1차 성형품을 성형금형에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성형금형에 대한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성형금형에 벌림금형을 조립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벌림금형에 대한 삽입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벌림금형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벌림금형으로 완성한 연결구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관 연결구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관 연결구에 대한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관 연결구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관 연결구에 하수관을 삽입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 연결구 11 : 보강돌기
12 : 경사홈 13 : 링홈
14 : 고무링 15 : 테프론
16 : 고정돌기 17 : 밀폐돌기
18 : 요철돌기 40 : 완제품
50 : 보로워 몰딩 51 : 주입구
52 : 원료 60 : 1차 성형품
70 : 성형금형 71 : 벌림금형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워 몰딩에 원료를 주입하여 1차 성형품을 성형하고 성형금형에 1차 성형품을 공급하여 벌림금형으로 원하는 형태의 완제품인 관 연결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며 수밀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내부에 하나의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이중벽 하수관, 다수의 중공과 열십자형의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복층벽 하수관, 채워진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적층벽 하수관, 단일구조 또는 다양한 형상이나 이중 또는 삼중구조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하수관 등 다양한 하수관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하수관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어 하수나 오폐수 등 다양한 액체류를 공급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관 연결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관 연결구는 사출성형하는 것이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우 두꺼운 형태로 성형하게 되므로 사출 후 냉각하는 것이 어렵고, 냉각시간의 소모가 많아서 냉각되는 동안 수축이 발생하여 외부의 기온에 따라서 정확한 치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연결구의 내부에 고무링을 삽입하고 양측에서 하수관을 삽입하는 연결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법은 하수관을 삽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수관이 원료의 특성상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삽입한 후 많은 공간으로 수밀의 유지가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결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형상을 제대로 제공할 수 없으며, 고무링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없으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 하는 경우에도 하수관을 삽입할 때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제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관 연결구를 사출성형하지 않고 브로워 몰딩으로 성형하여 요구하는 다양한 형상을 성형하여 하수관의 삽입 후 고무링으로만 수밀이 유지되는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 연결구를 브로워 몰딩으로 성형할 때 정확한 형상과 모양으로 성형되지 않으므로 브로워 몰딩으로 1회 성형한 후 성형금형에 1차 성형품을 공급하여 벌림금형으로 한번 더 성형하는 작업을 통하여 원하는 형태의 안정되고 견고하며 정확한 관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브로워 몰딩(50)으로 1차 성형한 1차 성형품(60)은, 원통형으로 성형하며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며, 내부에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반원형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보강돌기(11)를 형성하여 충격에 강하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1차 성형품(60)은 보강돌기(11)의 외측으로 고무링(14)을 삽입하는 링홈(13)을 형성하되,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되다 선단에서 안쪽으로 경사가 심하게 형성되도록 설치하고, 이 링홈(13)에는 고무링(14)이 각각 독립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고무링(14)은 외측이 링홈(13)에 일치하도록 조립되며, 내경으로는 한 부분에 고정돌기(16)가 돌출되어 하수관(30, 31)의 외경을 감싸고 중심방향으로 그 안쪽에는 비교적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테프론(15)이 설치되어 견고하게 설치위치를 고수하도록 하며, 그 안쪽에는 밀폐돌기(17)가 중심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하되 고정돌기(16)보다 더 크게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링홈(13)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요철돌기(18)가 형성되어 보강하는 것이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벌어지는 경사홈(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1차 성형품(60)을 성형하는 브로워 몰딩(50)은, 양측으로 이등분되어 벌어지거나 결합하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주입구(51)가 형성되어 있어서 원료(52)의 공급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1차 성형품(60)은 관 연결구(10)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금형(70)을 구성하고 이 성형금형(70)의 내부에 1차 성형품(60)을 공급하여 벌림금형(71)의 삽입 후 벌림금형(71)을 벌려 1차 성형품(60)을 재 성형하여 완제품(40)인 관 연결구(10)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한 쌍의 금형으로 형성되며 벌어져 있 는 브로워 몰딩(50)을 도 2 와 같이 조합하여 주입구(51)에 용융수지인 원료(52)를 를 공급하고, 원료(52)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1차 성형품(60)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1차 성형품(60)은 성형금형(70)의 내부에 공급한 후 벌림금형(71)을 이용하여 완제품(40)이 관 연결구(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 연결구(10)는 보강돌기(11)와 링홈(13) 및 경사홈(12)을 동시에 성형하는 것으로 얇게 성형하지만 다양한 보강돌기(11)와 요철돌기(18)에 의해 견고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관 연결구(10)를 브로워 몰딩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한 후에는 링홈(13)에 테프론(15)이 삽입된 고무링(14)을 삽입하여 공급한다.
하수관(30, 31)을 연결하는 경우, 관 연결구(10)의 양측에서 하수관(30, 31)을 각각 강제로 삽입한다.
하수관(30, 31)이 삽입되면서 고무링(14)의 고정돌기(16)와 밀폐돌기(17)는 하수관(30, 31)의 진입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하수관(30, 31)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무링(14)은 강한 재질의 테프론(15)이 설치되어 있고, 링홈(13)이 비교적 깊게 성형되어 있으므로 하수관(30, 31)의 깊은 삽입에도 움직이지 않고 설치된 위치를 안정되게 고수할 수 있는 것이다.
밀폐돌기(17)는 고정돌기(16)에 비하여 높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수관(30, 31)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 연결구(10)의 양측으로 하수관(30, 31)을 강제로 밀어 넣어 조립함으로써 하수관(30, 31)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 연결구(10)의 제조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금형 설치과정
브로워 몰딩(50)을 성형하여 이등분한 상태로 설치하며, 이등분한 브로워 몰딩(50)을 결합하여 주입구(51)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막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원료의 공급과정
개방한 주입구(51)로 용융수지인 원료(52)를 소정량 공급하고, 주입구(51)를 통하여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면 원료(52)가 브로워 몰딩(50)의 내벽에 달라붙어서 금형의 형상대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원료(52)로 인하여 성형하는 1차 성형품(60)의 두께가 두꺼워서 한번에 원하는 형태가 성형되지 않게 되므로 완전하게 성형하지 않은 상태로 성형을 종료한다.
(3) 1차 성형품 분리과정
브로워 몰딩(50)에 의하여 1차 성형품(60)을 성형한 후에는 브로워 몰딩(50) 을 양측으로 벌린 후 1차 성형품(60)을 분리한다.
(4) 1차 성형품 결합과정
1차 성형품을 분리한 후 성형금형(70)에 공급하여 2차 성형을 준비하고, 벌림금형(71)을 공급한다.
(5) 완제품 성형과정
벌림금형(71)을 성형금형(70)의 내부에 공급하면 그 외측에 1차 성형품(60)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성형금형(70)을 외측으로 벌리게 되면 완제품(40)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성형금형(70)의 내부에는 나선형으로 파이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가열된 물이나 유류를 연속해서 공급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완제품(40)이 정확하게 성형되어 관 연결구(1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 연결구를 사출성형하지 않고 브로워 몰딩으로 1차 성형품을 성형한 후 성형금형에서 벌림금형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성형하므로 요구하는 다양한 형상을 성형하여 하수관의 삽입 후 고무링으로만 수밀이 유지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성형하여 공급하므로 얇은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 도 보강돌기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 얇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연결구의 양측으로 하수관(30, 31)을 삽입하여 고무링으로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브로워 몰딩(50)에서 1차 성형품(60)을 성형하고 성형금형(70)에서 벌림금형(71)으로 2차 성형하여 완제품(40)을 성형하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반원형으로 보강돌기(11)를 갖고 그 양측에 고무링(14)이 삽입되는 링홈(13)을 형성하며, 양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홈(12)을 갖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2. 연결구의 양측으로 하수관(30, 31)을 삽입하여 고무링으로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브로워 몰딩(50)을 성형하여 이등분한 상태로 설치하며, 이등분한 브로워 몰딩(50)을 결합하여 주입구(51)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막힌 상태를 유지하는 금형 설치과정과;
    개방한 주입구(51)로 용융수지인 원료(52)를 소정량 공급하고, 주입구(51)를 통하여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면 원료(52)가 브로워 몰딩(50)의 내벽에 달라붙어서 금형의 형상대로 성형하는 원료의 공급과정과;
    브로워 몰딩(50)에 의하여 1차 성형품(60)을 성형한 후에는 브로워 몰딩(50) 을 양측으로 벌린 후 1차 성형품(60)을 분리하는 과정과;
    1차 성형품(60)을 분리한 후 성형금형(70)에 공급하여 2차 성형을 준비하고, 벌림금형(71)을 공급하는 1차 성형품 결합과정과;
    벌림금형(71)을 성형금형(70)의 내부에 공급하면 그 외측에 1차 성형품(60)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성형금형(70)을 외측으로 벌려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반원형으로 보강돌기(11)를 갖고 그 양측에 고무링(14)이 삽입되는 링홈(13)을 형성하며, 양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홈(12)을 갖도록 완제품(40)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 제조방법.
KR1020060125523A 2006-12-11 2006-12-11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5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23A KR100851675B1 (ko) 2006-12-11 2006-12-11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23A KR100851675B1 (ko) 2006-12-11 2006-12-11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82A true KR20080053682A (ko) 2008-06-16
KR100851675B1 KR100851675B1 (ko) 2008-08-13

Family

ID=3980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523A KR100851675B1 (ko) 2006-12-11 2006-12-11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95B1 (ko) * 2020-12-14 2021-12-14 한국지역난방공사 배관 차수부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수용성 폴리머 배관 차수부 제작방법
CN115122577A (zh) * 2022-07-05 2022-09-30 王宏英 一种可自动出料连续生产的注塑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401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에어 호스의 강성 보강구조
JP3992791B2 (ja) 1997-07-24 2007-10-17 淡路マテリア株式会社 パイプの高強度接続方法及び接続装置
KR20040034656A (ko) * 2004-03-30 2004-04-28 이병상 배관 연결구
KR200357234Y1 (ko) 2004-04-30 2004-07-23 문원기 파이프 이음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95B1 (ko) * 2020-12-14 2021-12-14 한국지역난방공사 배관 차수부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수용성 폴리머 배관 차수부 제작방법
CN115122577A (zh) * 2022-07-05 2022-09-30 王宏英 一种可自动出料连续生产的注塑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675B1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675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01932417A (zh) 复合产品及其制造方法
CN107532761B (zh) 用于波纹管的双级联接
KR10071606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721938B1 (ko) 이중벽 하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65487Y1 (ko)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200311988Y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20040063615A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EP4253772A1 (en) Fixing assembly
KR100854411B1 (ko)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6645A (ko)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
KR100746555B1 (ko) 플라스틱제품 성형용 열팽창 완충 확장메니폴드
KR101183606B1 (ko) 후렌치 연결구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620562B1 (ko) 접속관을 이용한 맨홀의 제조방법
WO2023174741A1 (en) Fixing assembly
KR100435575B1 (ko) 나선형 합성수지관의 결합장치
EP1053428B1 (en) Pipe section and tool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11145708U (zh) 厨房卫浴用三通管
JP3762393B2 (ja) リブパイプ用継手の製法
KR100764842B1 (ko) 하수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KR200363329Y1 (ko) 콘크리트재질의 유공관
KR100425279B1 (ko) 원터치형 연결구용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