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487Y1 -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 Google Patents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487Y1
KR200265487Y1 KR2020010034720U KR20010034720U KR200265487Y1 KR 200265487 Y1 KR200265487 Y1 KR 200265487Y1 KR 2020010034720 U KR2020010034720 U KR 2020010034720U KR 20010034720 U KR20010034720 U KR 20010034720U KR 200265487 Y1 KR200265487 Y1 KR 200265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crete
coating material
concrete wall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영산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산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산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48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의 배수로, 오수ㆍ폐수 등의 배수로, 화학공업단지 내의 배수로 또는 하천 배수로 등으로 적용할 있는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3)의 내부면에 다수의 요입돌기(3a)를 형성시키고, 합성수지 피복재(2)의 일면에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3)의 요입돌기(3a)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요입홈(2a)을 형성시켜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를 결합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1)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3)의 내부면에 다수의 요입홈(3b)을 형성시키고, 합성수지 피복재(2)의 일면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3)의 요입홈(3b)에 대응하는 요입돌기(2b)를 형성시켜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를 결합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배수관(1)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수관(1)은 합성수지 피복재(2)에 의해 콘크리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완전 방수 및 하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 및 결합 공정이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Concrete Drain-pipe Having inner Surface Coated with Synthetic Resin}
본 고안은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암거나 플륨관 등과 같은 콘크리트 배수관의 내부 벽에 합성수지로 성형된 피복재를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결합시켜 합성수지 피복재에 의한 매끄러운 내부 벽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완전 방수 및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ㆍ하수, 오수ㆍ폐수 및 농공업용수 등의 배수로를 형성하는데에는 땅속으로 완전히 매설되어 설치되는 암거를 사용하거나 상부가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명거(통상, 플륨관이라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암거는 인도 및 차도 등의 통행로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한편, 전기통신 및 통신설비 등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지하 공동구의 제작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암거나 플륨관은 시공 현장이나 공장에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철근을 조립하여 매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암거나 플륨관(이하 "배수관"이라 한다)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배수관(암거, 플륨관)은 콘크리트의 시공불량이나 균열 등에 의해 누수가 생기거나 지하수가 유입되는 등의 방수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균열되어 떨어진 콘크리트 박편에 의해 배수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콘트리트 배수관을 하수처리장 배수로, 오수ㆍ폐수 등의 배수로, 화학공업단지 내의 하수 배수로 또는 하천 배수로 등으로 적용할 경우 세제, 화학약품 등으로 인하거나 황화수소 가스 등의 부식가스 등으로 인하여 내부 벽이 부수러져 내구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배수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피복재를 콘크리트 벽체 내부면에 피복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고, 하수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완전 방수가 가능한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자는 내부 벽면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피복재와 외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를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구조에 기술적 주안점을 두고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에 맞물림 체결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를 결합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라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의 단면도.
도2는 상기 도1의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라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의 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의 합성수지 피복재에 요입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합성수지 피복재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4b는 상기 도4a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수관 2: 합성수지 피복재
2a, 3b: 요입홈 2b, 3a: 요입돌기
2c: 요입공 3: 콘크리트 벽체
4: 철근 6: 내측 몰드
8: 외측 몰드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배수관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 면에 다수의 요입돌기를 형성시키고, 합성수지 피복재의 일면에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요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요입홈을 형성시켜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를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일체로 결합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이 제공된다.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의 요입홈이 형성된 면은 이에 대응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요입돌기와 맞물림 체결구조로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이 형성된 면에 대향한 타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게 한 것으로 이는 하수의 배수면이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 면에 다수의 요입홈을 형성시키고, 합성수지 피복재의 일면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요입홈에 대응하는 요입돌기를 형성시켜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를 결합시킨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의 요입돌기에 요입공을 형성시켜 여기에 콘크리트가 인입되어 경화되게 함으로써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피복재에 의해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완전 방수 및 하수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가 맞물림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되어지므로 이에 따른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 및 결합 공정이 배제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1)은 내부면에 다수의 요입돌기(3a)가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3)와 일면에 상기 요입돌기(3a)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요입홈(2a)이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재(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에 형성된 요입홈(2a)은 옴(Ω)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게 하고, 콘크리트 벽체(3)에 형성된 요입돌기(3a)는 상기 요입홈(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하여 삽입, 결합되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가 맞물림 체결구조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또한, 합성수지 피복재(2)의 요입홈(2a)이 형성된 면에 대향한 타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게 한 것으로 이는 하수의 배수면이 되어 배수능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미리 성형된 것이며, 콘크리트 벽체(3)는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의 요입홈(2a)이 형성된 면에 미경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요입홈(2a)에 콘크리트가 삽입되게 함으로써 요입돌기(3a)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이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됨).
또한, 콘크리트 벽체(3)의 내부에는 철근(4)을 조립하여 매입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 피복재(2)는 미리 성형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피복재(2)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섬유강화 플라스틱(FRP),ABS수지 또는 SMC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폐기되어지는 여러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폐플라스틱류를 수거하여 세정,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일 종류의 합성수지나 여러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사용하여, 일면에는 요입홈(2a)이 형성되게 하고 이에 대향하는 타면은 매끄러운 표면이 되도록 판상으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다.
성형 방법에 있어서는, 요입홈(2a)을 형성시키기 위한 압출기의 몰드를 요입홈(2a) 두개가 접목된 형상의 몰드가 되게 하고 압출기의 출구 중앙에 수평하게 칼을 장착시켜 압출시킴으로써 한번의 공정으로 두개의 합성수지 피복재(2)를 성형할 수 있는 압출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번의 공정으로 두개의 합성수지 피복재(2)를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피복재(2)를 U자 또는 자, 원형, 6각형, 8각형 등의 단면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합성수지 피복재(2)를 도2에 보인 바와 같이 내측 몰드(6)와 외측 몰드(8)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거푸집에 매끄러운 표면이 내측 몰드(6)와 맞닿게 놓는다. 이 때 상판, 하판 및 측판을 이루는 합성수지 피복재(2) 유니트 서로간의 맞닿는 부분을 융착시켜 견고히 한다(판상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피복재(2)의 경우). 후속하여, 합성수지 피복재(2)와 외측 몰드(8) 사이에는 철근(4)들을 서로 교착시켜 결선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때 교반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입자가 합성수지 피복재(2)의 요입홈(2a)에 충분히 삽입되도록 해주면 더욱 좋다. 양생 후 거푸집을 탈형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1)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도3에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3)의 내부 면에 다수의 요입홈(3b)를 형성시키고, 합성수지 피복재(2)의 일면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3)의 요입홈(3b)에 삽입될 수 있는 요입돌기(2b)를 형성시켜 배수관(1)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3)와 배수관(1)의 내벽을 이루는 합성수지 피복재(2)가 맞물림 체결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결합된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1)이 제공된다.
또한, 도4a 및 도4b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의 요입돌기(2b)에는 다수의 요입공(2c)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입공(2c)에 콘크리트를 인입되게 하여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배수관(1)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고안에 일 태양에 따른 배수관(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된다. 이에 더하여, 합성수지 피복재(2)에 요입돌기(2b)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 피복재 본체(2')와 요입돌기(2b)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 이들을 융착시키는 방법으로도 합성수지 피복재(2)에 요입돌기(2b)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및 도3에 보인 바와 같이 요입홈(2a, 3b)이 옴(Ω)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화살촉 등과 같은 형상을 갖게 하여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요입돌기(2b, 3a)와 맞물림 구조로 결합되게 하여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의 맞물림 구조는 전기설비, 통신설비를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지하 공동구(전력구, 통신구) 또는 맨홀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를 콘크리트 벽체(3) 외부면에 피복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배수관(1)은, 도1 및 도3에서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암거를 보이고 있으나 원형의 단면을 갖는 흄관 및 VR관, 6각형 또는 8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암거나 상판이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벤치 플륨관 또는 U형 플륨관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1 및 도3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배수관(1)의 합성수지 피복재(2)와 콘크리트 벽체(3)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배수관(1)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나, 배수관(1)의 전체적인 외형은 인접하는 배수관(1)과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관(1)의 일측 단부를 확개시켜 형성된 소켓부(도시하지 않음)에 인접하는 배수관(1)의 소켓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부를 끼워 연속적인 유로를 구축하거나, 콘크리트 벽체(3)의 양측 단부 외부에 결함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켜 볼트, 너트 쪼임 등으로 연속적인 유로를 구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배수관은 합성수지로 제조되어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합성수지 피복재가 배수관의 내부 벽면에 피복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박편이 생기지 않고, 하수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며, 완전 방수가 가능하다. 특히 오수, 폐수, 화학약품 등에서 발생하는 부식가스로 인한 콘크리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는 자체에 형성된 요입홈 및 요입돌기에 의해 제조 공정 단계에서 맞물림 구조에 의해 체결되어지므로,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와 콘크리트 벽체의 체결에 따른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 및 체결을 위한 부수적인 결합 공정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는 산업현장이나 일반 가정에서 폐기되는 폐플라스틱류를 수거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환경 보호 및 유용한 자원의 재활용에도 일조를 한다.

Claims (3)

  1. 합성수지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배수관에 있어서,
    내부면에 다수의 요입돌기(3a)가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3)와, 일면에 상기 요입돌기(3a)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요입홈(2a)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한 타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피복재(2)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벽체(3)에는 요입홈(3b)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피복재(2)에는 요입돌기(2b)가 형성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2)의 요입돌기(2b)에 요입공(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KR2020010034720U 2001-11-12 2001-11-12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KR200265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20U KR200265487Y1 (ko) 2001-11-12 2001-11-12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20U KR200265487Y1 (ko) 2001-11-12 2001-11-12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487Y1 true KR200265487Y1 (ko) 2002-02-25

Family

ID=7311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20U KR200265487Y1 (ko) 2001-11-12 2001-11-12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48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406A1 (en) * 2004-12-23 2006-06-29 Hwapyeong Industry Co., Ltd Manhole having resin junction part using reinforced seat
KR100777036B1 (ko) * 2006-06-28 2007-11-16 최승선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KR100789171B1 (ko) 2007-03-07 2008-01-02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KR100859294B1 (ko) 2006-12-01 2008-09-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031261B1 (ko) * 2010-07-13 2011-04-29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KR101298985B1 (ko) * 2013-02-26 2013-08-23 (주)에코청진 내열 및 내염기능의 피복재가 부착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관
KR101560780B1 (ko) * 2014-06-02 2015-10-15 (주)바로건설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KR102292000B1 (ko) * 2021-02-23 2021-08-19 박민영 하수맨홀 제작용 부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406A1 (en) * 2004-12-23 2006-06-29 Hwapyeong Industry Co., Ltd Manhole having resin junction part using reinforced seat
KR100777036B1 (ko) * 2006-06-28 2007-11-16 최승선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KR100859294B1 (ko) 2006-12-01 2008-09-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0789171B1 (ko) 2007-03-07 2008-01-02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KR101031261B1 (ko) * 2010-07-13 2011-04-29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KR101298985B1 (ko) * 2013-02-26 2013-08-23 (주)에코청진 내열 및 내염기능의 피복재가 부착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관
KR101560780B1 (ko) * 2014-06-02 2015-10-15 (주)바로건설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KR102292000B1 (ko) * 2021-02-23 2021-08-19 박민영 하수맨홀 제작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004B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KR200265487Y1 (ko)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KR100500913B1 (ko) Grp 맨홀구조 및 grp 맨홀의 본체와 연결관의제조공정
EP3088617B1 (en) Wall with a passageway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3492640A (zh) 轻质组合式路缘排水元件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0383565Y1 (ko)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KR200275760Y1 (ko) 조립식 암거
KR200378341Y1 (ko) Grp 맨홀구조
KR101129676B1 (ko) 다중 복합구조용 다각형 맨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231021Y1 (ko)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557419B1 (ko) 아파트 건축용 콘크리트 거푸집 스페이서
KR200321891Y1 (ko) 하수용 맨홀
CN215759445U (zh) 一种预应力卵蛋形预制排水涵
KR200191063Y1 (ko) 폐비닐을 이용한 조립식 맨홀용품
KR101090298B1 (ko) 다중 복합구조용 다각형 맨홀
KR200420489Y1 (ko) 빗물받이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1129673B1 (ko) 다중 복합구조용 맨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777036B1 (ko)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KR20090037646A (ko) 상, 하수도용 맨홀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1090295B1 (ko) 다중 복합구조용 맨홀
JP2006161481A (ja) プラスチック構造体、u字型側溝、トラフ又はマンホ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