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780B1 -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780B1
KR101560780B1 KR1020140067121A KR20140067121A KR101560780B1 KR 101560780 B1 KR101560780 B1 KR 101560780B1 KR 1020140067121 A KR1020140067121 A KR 1020140067121A KR 20140067121 A KR20140067121 A KR 20140067121A KR 101560780 B1 KR101560780 B1 KR 10156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ounting body
waterproof sheet
fitt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주)바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건설 filed Critical (주)바로건설
Priority to KR102014006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장착체에 설치하고 고정체를 끼워 넣는 추가 삽입의 형태로 결합을 지지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크랙(Carck)의 발생 염려가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내측 타설면과 접하는 노출면, 이 노출면 반대쪽의 양생 콘크리트 매립면,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제1끼움부를 구비한 장착체 상기 장착체의 끼움부에 배열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고정부가 장착체의 끼움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삽착부를 갖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SHEET ASSEMBLY FOR WATERPROOF METHOD}
본 발명은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방수시트를 장착체에 설치하고 고정체를 끼워 넣는 추가 삽입의 형태로 결합을 지지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크랙(Carck)의 발생 염려가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목재 등을 활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특히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등 침출수의 유입이 예상되는 콘크리트 벽체에는 방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다양한 방법의 방수수단이 제시되어 있고, 또한 실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래기술 중, 방수시트를 활용한 방수시공 방법 등은 건물 옥상, 건물 지하 벽체 등 완벽한 방수가 요구되는 건물 부분의 건물벽체와 방수층이 일체가 되어 기존 코팅방식의 문제점이었던 온도변화에 의한 크랙의 형성으로 인한 방수층의 균열로 우수나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수시트를 활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점은 방수시트를 건물의 콘크리트 면에 고정하는 방법인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343910호 (2004년02월25일) [방수시트 보호용 부직포 고정와셔]에는 터널이나 구조물 벽면체에 부직포 또는 부직포 일체형시트를 타정고정할 경우, 숏크리트면의 거친부위와 강재와샤의 외곽부로부터 부직포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타정 후에 돌출되어 있는 타정못의 머리부로 인한 방수시트의 손상을 예방하는 상부 요홈과 타정압력을 상쇄되게한 하부 요홈을 구성한 방수시트 보호용 부직포 고정와셔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625424호 (2006년09월11일) [철근 콘크리트 지하 저수조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에는 방수층인 PE시트를 벽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먼저 고정구와 고정편을 벽체에 고정하고, 그 위에 PE시트를 얹은 다음 상기 고정구에 기 부착된 붙임용 PE시트 조각과 고정구 위에 PE시트를 열접합기를 이용하여 녹여 일체로 부착하며, 열접합기의 열에 의해 PE시트 내측의 붙임용 PE시트조각 용융물이 고정편의 테이퍼진 다수개의 체결구멍으로 흘러 들어가 돌기형태로 응고되어, 붙임용PE시트조각과 겉의 PE시트를 일체로 고정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두 종래기술은 방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모두 타정못 또는 고정편과 같은 '못 유사 형상'의 고정부재를 사용하고 있고, 이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고정부재가 콘크리트 타설면에서 이탈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아, 별도의 고정 유지 수단이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예상된다.
아울러 등록실용신안 제20-0437043호 (2007년10월23일) [콘크리트수조의 방수시트 고정장치]에는 콘크리트수조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몸체의 중앙에 고정볼트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결합공이 함몰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 내측으로 지지편이 절곡되면서 몸체 내부에 냉각구멍이 관통되는 금속판의 일면에 핫멜트접착제가 응고된 열융착시트의 열융착면을 밀착한 후, 고정볼트와 칼블럭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열융착시트에 밀착되도록 방수시트를 콘크리트수조의 내벽면에 밀착하며, 상기 방수시트의 배면으로 투영된 금속판에 고주파를 조사시켜 용융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수조의 방수시트 고정부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 벽면에 머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작업성의 향상을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고정부재가 콘크리트 타설면에서 이탈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결합 유지력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세 가지 종래기술 모두 콘크리트 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에 수많은 구멍들이 콘크리트 벽체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균열, 누수, 방수시트와의 유격공간 형성 등으로 인해 건물의 내구도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나아가 등록특허 재10-0927399호 (2009년11월11일) [고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구조체]에는 판상의 고정부재를 이용하되,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콘크리트 못을 박음으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수많은 구멍들이 콘크리트 벽체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균열, 누수, 방수시트의 들뜸 등 여러 가지 시공 후의 하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시트 부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조의 방수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고정부재는 비론 콘크리트 벽체를 손상시키지는 않지만, 접착제와 용융을 통해서 결합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결합의 유지는 보장되지 않고, 또한 콘크리트 벽체면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재는 외관상의 미감을 떨어뜨리고 돌출된 부위에 걸려 넣어지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에 고정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노출면 내부로 완전히 은폐되어 자리 잡는 장착체와 상기 장착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체로 방수시트를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 하고,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방수시트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결합력의 증대를 위해 장착체에 제1 및 제2끼움부를 구비하여 다중 끼움형식으로 보다 단단하게 방수시트를 결합 고정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콘크리트 면에서 방수시트가 이탈되지 않는 방수시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장착체 및 고정체를 바타입(bar type)구조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를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면에 손상을 최소화 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벽면의 균열, 이로 인한 누수, 침습 등을 막고, 나아가 건물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방수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추가로 상기 고정체의 제1삽착부 반대쪽에 결합홈을 구비하고 이에 경질 결합력 강화체를 도입하여 보다 뛰어난 수밀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결합의 유지 면에서 탁월한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내측 타설면과 접하는 노출면, 이 노출면 반대쪽의 양생 콘크리트 매립면,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제1끼움부를 구비한 장착체 상기 장착체의 끼움부에 배열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고정부가 장착체의 끼움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삽착부를 갖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체의 끼움부 외측에는 제1끼움부와 연결되고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2끼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2끼움부에 결합되는 제2삽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체 및 상기 고정체는 바타입(bar type)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체는 제1삽착부 반대쪽에 결합홈을 갖고, 이 결합홈에는 경질 결합력 강화체가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에 고정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노출면 내부로 완전히 은폐되어 자리 잡는 장착체와 상기 장착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체로 방수시트를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 하고,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방수시트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끔 하여 건물 콘크리트 벽면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특히 바닥면의 방수시공에 있어서 돌출된 부위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나아가 결합력의 증대를 위해 장착체에 제1 및 제2끼움부를 구비하여 다중 끼움형식으로 보다 단단하게 방수시트를 결합 고정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콘크리트 면에서 방수시트가 이탈되지 않아 내구성이 높은 방수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장착체 및 고정체를 바타입(bar type)구조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를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면에 손상을 최소화 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벽면의 균열, 이로 인한 누수, 침습 등을 막고, 나아가 건물의 붕괴 위험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고,
추가로 상기 고정체의 제1삽착부 반대쪽에 결합홈을 구비하고 이에 경질 결합력 강화체를 결합하는 구조를 도입하여 보다 뛰어난 수밀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결합의 유지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단면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1을 참고하여 방향을 특정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10)을 기준으로 건물 내부 방향을 내측으로, 건물 외부 방향을 외측으로 설정하고 건물 그대로를 기준으로 상, 하를 나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벽면에 설치된 시트 어셈블리(A)를 도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방향 설정을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시트 어셈블리(A)는 건물 천장 및 바닥에도 시공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의 방향성의 판단은 당업자라면 쉽게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A)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10)의 내측 타설면(11)과 접하는 노출면(13), 이 노출면(13) 반대쪽의 양생 콘크리트 매립면, 상기 노출면(13)에 구비된 제1끼움부(25)를 구비한 장착체(20)와
상기 장착체(20)의 끼움부에 배열되는 고정부(31)를 구비한 방수시트(30) 및
상기 방수시트(30)의 고정부(31)가 장착체(20)의 끼움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삽착부(45)를 갖는 고정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체(20)의 끼움부 외측에는 제1끼움부(25)와 연결되고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2끼움부(2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40)는 상기 제2끼움부(27)에 결합되는 제2삽착부(47)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장착체(20) 및 상기 고정체(40)는 바타입(bar type)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목재 등을 활용하여 거푸집(10)을 설치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A)와 같이 방수수단이 필요한데, 특히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등 침출수의 유입이 예상되는 콘크리트 벽체에는 더욱 방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방수수단을 구비할 때 옥상 또는 건물 지하 벽체 등의 방수수단에 있어서, 기존에는 방수코팅체를 벽체에 점착시켜 방수성을 도모하였는데, 장기간 사용 시 온도변화에 따른 크랙(crack)의 형성으로 인한 방수층의 균열로 우수나 침출수 등이 새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옥상 천장면의 경우 태양광에 의해 온도변화가 심하고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인해 상기 크랙의 발생 정도가 더욱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잦은 보수공사를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PVC, 이하 PVC) 소재의 방수시트(30)를 도입하여 상기와 같은 크랙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보장되어 유지 보수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갖는 방수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PVC 방수시트(30)에 대해 알아보면 표준두께는 1.2 ~ 1.5 mm 정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요 물성으로는 인장강도는 (HW-12E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78 N/mm 나비방향으로 82 N/mm, 신장율은 길이방향으로 53 % 나비방향으로 46 %, 인열성능은 125 N, 나비방향으로 129 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A)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1 [A]에서는 본 시트 어셈블리(A)의 장착체(20)가 거푸집(10)의 노출면(13)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콘크리타설 작업 시, 미리 설치된 거푸집(10)에 상기 장착체(20)를 고정부재(21)를 통해서 고정한다. 도1 [A]에서는 거푸집(1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1)로는 못을 활용하였다.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장착체(20)는 콘크리트 타설면(11)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은폐되고 상기 고정부재(21)만이 노출면(13) 바깥으로 돌출되는데, 이를 웨지(Wedge)나 노치(notch)의 형태로 구비하여 절단하거나 절곡시켜 콘크리트 벽면으로 돌출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체(20)는 제1끼움부(25)를 구비하고 있고, 추가로 타설면(11) 내측으로 설치된 부분에 리세스(23)를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 상기 리세스(23)에 콘크리트가 침투하여 양생되므로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본 시트 어셈블리(A)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어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도1 [B]에 도시된 장착체(20)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장착체(20)는 결합력 강화를 위한 제2끼움부(27)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끼움부(27) 주변에는 기 결합된 방수시트(30)와 고정체(40)의 결합유지를 지지하는 제1걸림턱(29)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체(20)의 제1 및 제2끼움부(27)는 방수시트(30)와 접촉한 채로 결합이 되는데, 방수시트(30)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슬릿(미도시)이 끼움부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수시트(30)의 고정부(31)는 방수시트(30)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31)가 상기 장착체(20)와 상기 고정체(40) 사이에 위치하여 둘 사이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접착부재를 활용하는 방법이 도입될 수 있으며, 추가로 발열부재를 도입하여 열융착 하는 방법도 가능한데, 이는 시공 후 결합의 분리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시공자의 판단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30)는 콘크리트 벽면과 바닥면, 또는 벽면과 천장면이 만나는 곳에서는 중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모서리에서는 완전한 벽면과의 밀착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로 열융착 수단을 도입하여 완전한 밀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정체(40)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체(40)는 도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체(20)의 제1끼움부(25)에 삽입되는 제1삽착부(45)를 갖고, 노출면(13)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가압부(4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시트 어셈블리(A)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가압부(41)를 가압하여 결합의 견고함을 보강할 수 있고,
나아가 고정체(40)도 상기 장착체(20)와 마찬가지로 결합슬릿(미도시)이 상기 방수시트(30)와의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끼움부(27)를 갖는 장착체(20)와 더불어 제2끼움부(27)와 대응되는 제2삽착부(47)를 갖는 형태의 고정체(40)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와 같은 고정체(40)는 결합력의 강화를 위해 제1삽착부(45) 반대 측(보다 내측)으로 결합홈(43)을 구비하고 있고, 이에 경질 결합력 강화체(50)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삽착부(47)를 갖는 형태의 고정체(40)는 도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력 강화체(5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걸림턱(49)이 상기 결합홈(43)의 일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력 강화체(50)는 상기 제2걸림턱(49)에 대응되는 결합돌기(51)를 가지고 있고, 외측으로는 상기 고정체(40)와 장착체(20)를 관통하여 결합을 지지하는 미늘(531)을 갖는 체결핀(5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력 강화체(50)는 상기 고정체(40)의 결함홈에 완전히 수용되어 노출면(1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은폐되고 상기 제2걸림턱(49)에 결합력 강화체(50)의 결합돌기(51)가 걸려 결합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결합력 강화체(50)의 체결핀(53)은 관통 삽입되기는 쉬우나 한 번 삽입되면 쉽게 빠지지 않는 미늘(531)(낚시 바늘)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고정체(40)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체(20)에까지 관통 삽입되어 상기 미늘(531)이 장착체(20)의 몸체에 자리 잡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체(40)는 고무 등의 소재로 되어 있어 신축 가능한 연질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질 강화체(50)의 결합돌기(51)의 체적은 상기 고정체(40)의 결합홈(43)의 체적 보다 커서
경질 강화체(50)를 고정체(40)에 결합하는 경우 연질 고정체(40)가 외측으로 팽창하여
장착체(20)의 제2끼움부(27)에 결합된 고정체(40)의 제2삽착부(47)가 꽉 끼는 형태가 되어 방수시트(30) 및 장착체(20)와 고정체(40)의 결합력 강화에 일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체(20)의 제1끼움부(25), 제2끼움부(27)나 고정체(40)의 결합홈(43)은 초협후광(初狹後廣) 또는 도브테일(dove-tail) 타입의 구조를 갖고,
이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체(40)의 제1삽착부(45), 제2삽착부(47)나 강화체(50)의 결합돌기(51)는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방수시트(30)의 고정력 강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1 및 도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A)의 장착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전기한 바 있는 과정으로 거푸집(10) 설치 후 거푸집(10)에 장착체(20)를 고정부재(21)를 활용하여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후 노출된 고정부재(21)의 단부를 제거하고, 상기 장착체(20)의 제1끼움부(25) 또는 제1 및 제2끼움부(27)에 방수시트(30)를 삽입한다.
삽입이 이루어진 후, 상기 고정체(40)의 제1삽착부(45) 또는 제1 및 제2삽착부(47)를 상기 제1끼움부(25) 또는 제1 및 제2끼움부(27)에 삽입하여 상기 방수시트(30)의 고정부(31)를 가압하는 형태로 강하게 밀어 넣는다.
도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체(20)와 고정체(40)는 모두 바타입(bar type)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균일한 방수시공이 보장되고, 나아가 결합부위가 적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성이 좋은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A)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모두 끝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시트 어셈블리(A)가 건물 벽체(천장 및 바닥면 포함, 이하에서도 천장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개념)에 밀착 되고 열융착 장치 또는 압착 장치 등을 활용하여 벽체 면에 밀착시켜주면 시공이 완성된다.
전기한 바와 같이 벽체의 모서리 부분, 즉 중첩부(33)의 열융착 또는 압착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체(40)나 강화체(50)의 조립상태는 건축물의 구조와 같은 형상,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와 같은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이 추후의 도색, 타일 시공, 미장, 벽돌쌓기 시공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공 과정에서 방수시트(30)를 코팅처리 하는 것도 방수성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수시트를 열융착 하는 과정 등에 관한 공지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A)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노출면 20: 장착체
21: 고정부재 23: 리세스
25: 제1끼움부 27: 제2끼움부
29: 제1걸림턱 30: 방수시트
31: 고정부 33: 중첩부
40: 고정체 41: 가압부
43: 결합홈 45: 제1삽착부
47: 제2삽착부 50: 경질 결합력 강화체
51: 결합돌기 53: 체결핀
531: 미늘

Claims (4)

  1.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내측 타설면과 접하는 노출면, 이 노출면 반대쪽의 양생 콘크리트 매립면,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제1끼움부를 구비한 장착체;
    상기 장착체의 끼움부에 배열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고정부가 장착체의 끼움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삽착부를 갖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체 및 상기 고정체는 바타입(bar type) 구조를 갖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삽착부 반대쪽에 결합홈을 갖고, 이 결합홈에는 경질 결합력 강화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체의 끼움부 외측에는 제1끼움부와 연결되고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2끼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2끼움부에 결합되는 제2삽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체는 타설면 내측으로 설치된 부분에 구비된 리세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결합홈의 일부에 구비된 제2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력 강화체는 상기 제2걸림턱에 상응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KR1020140067121A 2014-06-02 2014-06-02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KR101560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21A KR101560780B1 (ko) 2014-06-02 2014-06-02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21A KR101560780B1 (ko) 2014-06-02 2014-06-02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780B1 true KR101560780B1 (ko) 2015-10-15

Family

ID=5435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21A KR101560780B1 (ko) 2014-06-02 2014-06-02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7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87Y1 (ko) * 2001-11-12 2002-02-25 영산개발 주식회사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87Y1 (ko) * 2001-11-12 2002-02-25 영산개발 주식회사 내부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콘크리트 배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987B1 (ko) 콘크리트 접합형 지수판 및 그 시공방법
JP2009084886A (ja) 出隅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出隅部施工構造、出隅部施工方法
KR100909880B1 (ko) 방수시트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조
JP4931509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33310A (ko) 외벽 시공 구조
KR101644961B1 (ko) 형틀작업, 단열작업, 방수작업 일체화를 위한 철근콘크리트용 일체화 모듈
KR101560780B1 (ko)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KR101384738B1 (ko) 프리캐스트 터널구조물의 방수방법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4859624B2 (ja) コンクリートの誘発目地部の化粧目地材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102008627B1 (ko)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JP6057325B2 (ja) 既設水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KR101834205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326185B1 (ko) 터널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CN108425474B (zh) 先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KR100667695B1 (ko)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KR101842941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벽체패널 조립체
KR101803072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JP2008106598A (ja) 防水構造物の改修方法
KR100769664B1 (ko) 터널용 방수시트와 라이닝 콘크리트층의 누수방지구조
JP5034981B2 (ja) 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目地部材付き型枠
CN215253006U (zh) 一种地下室顶板保温结构
KR101301033B1 (ko)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탄성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