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05B1 -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05B1
KR101834205B1 KR1020170081965A KR20170081965A KR101834205B1 KR 101834205 B1 KR101834205 B1 KR 101834205B1 KR 1020170081965 A KR1020170081965 A KR 1020170081965A KR 20170081965 A KR20170081965 A KR 20170081965A KR 101834205 B1 KR101834205 B1 KR 10183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mold
fixing member
insulating mater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환
Original Assignee
(주)도영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6889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342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영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도영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7008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다수 개의 관통슬롯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보강프레임이 결합되는 외부거푸집;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거푸집;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거푸집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슬롯에 삽입되어, 외측단이 상기 보강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덮도록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열재; 끝단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관통슬롯에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시키고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단열재를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핀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단열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를 탈거시킨 후 상기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을 탈거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Apparatus for constructing outside insulation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푸집 내부에 단열재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하는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측면에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거푸집 내부에 단열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주택의 경우, 벽체 시공은 유로폼 또는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대상 벽체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내벽쪽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외벽쪽 거푸집을 체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슬러리를 채워 넣어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유가상승으로 인한 난방에너지 비용인상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의 건축물 에너지 설계기준 변경에 따른 단열규제가 강화되면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 벽체구조물 시공 후 내외단열을 별도로 시공하는 추세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높은 내구성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의 장점이 있으나, 단열보다는 축열성능이 강해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외단열 공법으로 단열성능을 높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건축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문기능공들의 노령화와 인력부족, 시공자마다 표준시방서에 의한 시공보다는 경험에 의한 시공으로 부실시공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한 후, 별도로 외단열을 시공하는 방식은 그 공정이 번거롭고 추가분의 시공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고, 대부분 명확한 기준 없이 시공자의 경험에 의존하다 보니 접착제의 함량미달로 인해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규정된 화스너를 부착하지 아니하여 준공 후 단열재 이탈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보다 발전된 시공방법으로 벽체 형틀 작업 시, 외부거푸집 내면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외단열 일체형으로 시공되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외부거푸집의 내면에 단열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면 이웃하는 단열재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거푸집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거푸집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단열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4437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상기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은 내부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과정이 난해하여 시공비용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8443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푸집 내부에 단열재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 시공과 단열재 시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거푸집의 외측면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거푸집 내에 단열재를 장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단열재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단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다수 개의 관통슬롯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보강프레임이 결합되는 외부거푸집;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거푸집;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거푸집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슬롯에 삽입되어, 외측단이 상기 보강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덮도록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열재; 끝단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 중 상기 관통슬롯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관통슬롯이 형성된 부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로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한 외측단이 상기 세로프레임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은, 창호 설치를 위한 외측개구부와 내측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개구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개구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창틀거푸집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관통슬롯의 내측입구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슬롯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관통슬롯의 단턱에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가 상기 단턱에 최대한 밀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단은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 중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지점에 안착되는 보강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끝단이 상기 보강스트랩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외벽과 단열재를 일체로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관통슬롯에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시키고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단열재를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핀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단열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를 탈거시킨 후 상기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을 탈거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 중 상기 단열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절단시키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거푸집 내부에 단열재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 시공과 단열재 시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거푸집의 외측면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거푸집 내에 단열재를 장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단열재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단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고정부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고정핀 결합부위에 보강스트랩이 추가된 형상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방식으로 외벽을 시공할 때 외벽의 외측면에 단열재가 일체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를 외벽에 설치하는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 단열재가 보다 견고하게 외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는 외부거푸집(100) 및 내부거푸집(200)과,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열재(5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외벽은 상기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600)(도 6 참조)를 타설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데,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미리 안착시켜 둔 상태에서 콘크리트(600)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600)와 단열재(50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단순히 접촉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600)를 타설하면 상기 단열재(500)가 임의로 움직여 이웃하는 두 개의 단열재(500)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단열재(500) 사이로 열이 유출입되는 현상 즉, 단열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600) 타설 압력이 단열재(5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단열재(500)는 더욱 쉽게 움직이게 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단열재(500) 사이 이격거리가 매우 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안착된 단열재(500)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기 외부거푸집(100)이 철판이나 알루미늄판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면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에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물론, 강도가 높은 앙카를 외부거푸집(100)에 체결시켜 외부거푸집(100)과 단열재(50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거푸집(100)이 손상되므로 재사용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외부거푸집(100)을 손상시키지 아니하면서도 단열재(500)를 외부거부집(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거푸집(100)에는 다수 개의 관통슬롯(1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슬롯(120)에는 고정부재(300)가 삽입되며,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열재(500)는 못이나 체결나사, 고정핀(이하 '고정핀(310)'이라 약칭한다)(도 4 참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0)와 일체로 결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는 고정핀(310)이 삽입될 수 있다면 각목과 같이 목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1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프레임(130) 중 일부는 관통슬롯(1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므로, 외부거푸집(100)의 바깥쪽에서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에 삽입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에 삽입시킬 때에는 외부거푸집(100)의 내부에서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으로 밀어 넣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300)가 외부거푸집(100)의 관통슬롯(1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면, 작업자는 외부거푸집(100)의 내측에 단열재(500)를 설치한 후 고정핀(310)의 끝단이 단열재(50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300)에 삽입될 때까지 고정핀(310)을 박아 넣음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0)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600)를 타설하더라도 각 단열재(500)들은 움직이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단열재(500)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 즉, 단열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건축물을 축조할 때에는 벽면에 창호를 설치해야 하는바, 상기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에는 창호 설치를 위한 외측개구부(110)와 내측개구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개구부(110)와 내측개구부(21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측개구부(110)와 내측개구부(210) 사이로 콘크리트(600)가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외측개구부(110)의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개구부(21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창틀거푸집(4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틀거푸집(400)은 종래의 외벽시공용 거푸집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거푸집(100)을 세워 설치한다. 이때 외부거푸집(10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본원발명의 특징이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생략한다.
외부거푸집(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롯(120)에 고정부재(300)를 삽입시킨다. 이때, 외부거푸집(100)의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130) 즉, 외부거푸집(100)의 외측면에는 관통슬롯(120)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132)과, 상기 관통슬롯(120)이 형성된 부위를 가로지르도록 가로프레임(132)의 외측으로 다수 개의 세로프레임(134)이 결합되는바, 외부거푸집(100)의 외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서는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에 삽입시킬 수 없고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서만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00) 삽입이 완료되면, 각 고정부재(300)를 덮도록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단열재(500)를 안착시킨 후, 고정핀(310)으로 상기 고정부재(300)와 단열재(50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핀(310)은 끝단이 단열재(500)를 완전히 관통한 후 고정부재(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할 것이다.
고정부재(300) 및 고정핀(310)을 이용하여 단열재(500)를 외부거푸집(1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거푸집(200)을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내부거푸집(200)은 시공하고자 하는 외벽의 두께에 맞춰 단열재(500)의 내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과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거푸집(200)에도 다수 개의 내부프레임(220)이 보강될 수 있는데, 상기 내부프레임(220)은 내부거푸집(200)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거푸집(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600)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600)의 양생이 완료되면 고정부재(300)와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을 탈거시킨다. 이때, 고정부재(300)와 외부거푸집(100)을 탈거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10)의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고정핀(310) 중 상기 단열재(5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절단시키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내부거푸집(200)까지 모두 제거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500)와 콘크리트(600)가 일체로 결합된 외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외벽을 시공하면, 콘크리트(600)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단열재(500)와 일체로 결합되므로, 단열재(500)를 외벽에 부착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단열재(500)를 외벽에 부착시키는 경우 단열재(500)의 내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 중 일부에만 점착모르타르를 도포시키므로 단열재(500)와 외벽 간의 결합력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500)의 내측면 전체가 외벽에 완벽하게 밀착 결합되므로 단열재(500)와 외벽 간의 결합력이 현저히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재(500)와 외벽 사이가 이격되면, 단열재(500)와 외벽 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곰팡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단열재(500)가 부식하게 되는 현상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단열재(500)의 내측면 전체가 외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므로, 단열재(500)와 외벽 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열재(500)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재(500)의 외측면 중 고정핀(310)이 관통한 부위에는 미세하게나마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은 단열재(500) 중 고정핀(310)이 삽입된 부위의 틈새를 통해 열기가 유출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재(500)의 외측면 중 상기 고정핀(310)이 삽입된 부위에 단열폼을 충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열폼은 종래의 건축현장에서 널리 상용화된 제품이므로, 상기 단열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은 고정부재(3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안착된 단열재(500)를 고정부재(3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핀(310)을 고정부재(300)에 박아야 하는데, 상기 고정부재(300)가 관통슬롯(120)에 완전히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고정핀(310)을 고정부재(300)에 박는 타격력에 의해 고정부재(300)가 전방으로 밀려 고정부재(300)의 후단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과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 사이에 단층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후단면과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지 못하면 고정부재(300)와 단열재(500)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이와 같은 고정부재(30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300)가 관통슬롯(120)을 완전히 관통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관통슬롯(120)을 완전히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삽입부(302)와, 상기 관통슬롯(120)의 단턱(122)에 안착되는 안착부(30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0)가 삽입부(302)와 안착부(304)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면, 고정부재(300)에 고정핀(310)을 박기 위해 타격을 할 때 상기 안착부(304)가 관통슬롯(120)의 단턱(122)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300)가 과도하게 압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04)가 상기 단턱(122)에 최대한 밀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재(300)의 내측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단)은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므로, 상기 단열재(500)는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입부(302)가 관통슬롯(120)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부재(300)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삽입부(302)는 관통슬롯(1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1은 고정핀 결합부위에 보강스트랩이 추가된 형상을 도시한다.
단열재(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310)은 헤드부가 단열재(500)의 표면에 위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치 등과 같은 공구로 고정핀(310)의 헤드부를 타격하였을 때 상기 단열재(500)의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는 단열재(50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500)의 내측면 중 상기 고정부재(300)와 대응되는 지점에 안착되는 보강스트랩(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10)의 끝단은 상기 보강스트랩(320)과 단열재(5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므로, 고정핀(310)의 헤드부는 보강스트랩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치로 고정핀(310)의 헤드부를 타격하더라도 단열재(500)가 손상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스트랩(320)은 망치의 타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외부거푸집 110 : 외측개구부
120 : 관통슬롯 130 : 보강프레임
132 : 가로프레임 134 : 세로프레임
200 : 내부거푸집 210 : 내측개구부
220 : 내부프레임 300 : 고정부재
302 : 삽입부 304 : 안착부
310 : 고정핀 320 : 보강스트랩
400 : 창틀거푸집 500 : 단열재
600 : 콘크리트

Claims (7)

  1. 내측입구에 단턱(122)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슬롯(120)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보강프레임(130)이 결합되는 외부거푸집(100);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거푸집(200);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으로부터 관통슬롯(12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02)와 관통슬롯(120)의 단턱(122)에 안착되는 안착부(304)로서 구비되면서 안착부(304)가 상기 단턱(122)에 최대한 밀착되게 삽입되면 내측단이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과 평면을 이루고, 외측단은 상기 보강프레임(130)에 안착되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고정부재(300);
    상기 고정부재(300)를 덮도록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열재(500);
    끝단이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와 단열재(500)를 결합시키는 고정핀(3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130)은,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 중 상기 관통슬롯(120)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132)과, 상기 관통슬롯(120)이 형성된 부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로프레임(1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134)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관통슬롯(120)을 관통한 외측단이 상기 세로프레임(134)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은, 창호 설치를 위한 외측개구부(110)와 내측개구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개구부(110)의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개구부(21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창틀거푸집(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0)의 내측면 중 상기 고정부재(300)와 대응되는 지점에 안착되는 보강스트랩(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310)은, 끝단이 상기 보강스트랩(320)과 단열재(5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외벽과 단열재(500)를 일체로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측면에는 관통슬롯(120)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132)과, 상기 관통슬롯(120)이 형성된 부위를 가로지르도록 가로프레임(132)의 외측으로 다수 개의 세로프레임(134)이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거푸집(100)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으로부터 관통슬롯(12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02)와 관통슬롯(120)의 단턱(122)에 안착되는 안착부(304)로서 구비되는 고정부재(300)를 관통슬롯(120)에 삽입시키고, 상기 외부거푸집(100)의 내측면에는 단열재(500)를 안착시킨 후, 고정핀(310)이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3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300)와 단열재(50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내부거푸집(200)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내부거푸집(200)과 상기 단열재(500)의 사이로 콘크리트(600)를 타설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600)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거푸집(100)과 내부거푸집(200)을 탈거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를 탈거시키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10) 중 상기 단열재(5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절단시키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20170081965A 2017-06-28 2017-06-28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83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65A KR101834205B1 (ko) 2017-06-28 2017-06-28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65A KR101834205B1 (ko) 2017-06-28 2017-06-28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205B1 true KR101834205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65A KR101834205B1 (ko) 2017-06-28 2017-06-28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45Y1 (ko) * 2019-07-26 2020-01-28 미래테크(주) 알루미늄제 형틀의 단열재 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80B1 (ko) *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342077B1 (ko) * 2013-05-15 2013-12-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외단열 기능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80B1 (ko) *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342077B1 (ko) * 2013-05-15 2013-12-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외단열 기능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45Y1 (ko) * 2019-07-26 2020-01-28 미래테크(주) 알루미늄제 형틀의 단열재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89276A (ja) 門柱,門袖,塀等の屋外構築物及びその生産方法
KR101551256B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100850801B1 (ko) 거푸집 연결구조
KR101348379B1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7152378B2 (en) Panel forming system and components
US20100269433A1 (en) Buck system
JP3272839B2 (ja) 接合用治具
KR101679316B1 (ko) 단열재폼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KR101834205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803072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CN109016089A (zh) 一种小型门垛的模具、制作工艺及安装方法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500685B1 (ko)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CN108425474B (zh) 先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101679321B1 (ko) 타이 수평 직조립형 단열재폼 패널
KR102144337B1 (ko) 건축물 외벽용 열교차단재 고정구조
CN115405001B (zh) 混凝土外墙保温层的施工方法及混凝土外墙体
JP4286213B2 (ja) 型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体
CN218911858U (zh) 一种预制墙体结构
US20080190063A1 (en) Prefabricated reinforced insulating element for a wall insulated on one si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JP3831069B2 (ja) 雄抜型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型および雄抜型の取付方法
KR101560780B1 (ko)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308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920

Effective date: 20181116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