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367A -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 추출물을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 추출물을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367A
KR20080053367A KR1020087008425A KR20087008425A KR20080053367A KR 20080053367 A KR20080053367 A KR 20080053367A KR 1020087008425 A KR1020087008425 A KR 1020087008425A KR 20087008425 A KR20087008425 A KR 20087008425A KR 20080053367 A KR20080053367 A KR 2008005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
cosmetic composition
aqueou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769B1 (ko
Inventor
파트리스 앙뜨레
이자벨르 르니멜
낸시 소방
하니트리니아이나 라자피맘빔비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08005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택적으로 미용상 적합한 부형제 속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뛰어난 노화방지 작용을 나타낸다.
화장품 조성물,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롱고자, 노화방지, 추출, 미용, 유효성분

Description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in particular with anti-aging activity comprising an extract of Aframomum angustifolium or Longoza plant}
본 발명은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Aframomum angustifolium) 또는 롱고자(Longoza) 식물의 종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화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노화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 종자 추출물을 화장품 작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간략화를 위해 "롱고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겠지만, 이 용어는 예외 없이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1983년 1월 1일에 Revue francaise des Corps Graps 에서 발행한 E.M. Gaydou 등의 기사 [French review of fatty substances], 21-25 페이지에서는 아프 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을 포함한 마다가스카르의 일부 식물유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의 지방산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설명하고 있다(표 1, 속편 2, 24 페이지 참조). 이는 특히 헥산을 사용하여 비극성용매에 의한 식물종자를 추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Partie experimentale"[Experimental section] 24페이지 제 1 단락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노화방지 기능, 또는 이미 알려진 노화방지 화장품 작용제와 비교하여 향상된 노화방지 기능을 갖고/갖거나 특히 피부에 대한 미용상의 목적의 국소적용에서 매우 양호한 친화성을 갖고/갖거나 부작용이나 자극효과가 없거나 거의 없는 화장품 작용제로서 신규의 유효성분을 발견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거나 쉽게 재배 가능한 자연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분에 의해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업적 규모로 그리고 특히 화장품용 규모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유효성분을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업적 규모 특히 화장품용 규모로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한 방식으로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의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용으로 가능한 부형제 내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을 화장품 작용제(cosmetic agent)로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롱고자 추출물은 노화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작용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 및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은 특히 주름의 출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거나 늦추는 주름 방지 작용과, 특히 진피-상피 접합부에 존재하는 콜라겐 VII 등의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 및/또는 옥시탈란(oxytalan) 섬유 및/또는 엘라우닌(elaunin) 섬유에 대한 회복작용과, 피부의 탄력성 및/또는 견고성의 보호, 회복 또는 복원의 효과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자외선에 의한 화학선의 작용으로 생기는 노화에 대항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용으로 가능한 화장품 용매, 특히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종자추출 방법은 그라인딩된 종자를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라인딩은 미세한 파우더가 얻어질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파우더의 입자는 약 0.01 - 1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용매로서 탄소원자 1개 내지 4개의 모노알콜 또는 폴리올인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에서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상기 추출공정은 상온이나, 대기압, 심지어는 비등점이 약 120℃를 넘지 않는 고압하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 상승할 수 있는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알콜과 물 사이의 상대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100/0 의 부피비에서 선택된다.
추출할 재료가 상기 용매에 의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몇 번의 추출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추출재료를 완전히 소모하기 위해, 해당 용매, 온도 및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 압력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이 시간은 생산의 경제성을 위해 반시간 미만으로 제한될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30분 정도일 것이다.
이 추출방법의 변형예로서, 얻어진 상기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유기용매, 예를 들어 헥산 또는 n-헵탄으로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지질을 제거함으로써,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추출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은 그 자체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유효 성분 또는 활성 작용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은 목탄 등의 적절한 표백제로 여과하여 표백하고, 상기 목탄의 제거 후, 초기 추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의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추출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서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거나, 상기 유효 성분의 다른 변형을 얻기 위해 미용상 적합한 용매, 특히 알콜 또는 수성-알콜 혼합물에 다시 한번 용해될 수 있는 건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로서, 상기 추출에 사용된 알콜은 에탄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얻어진 추출물은 수성상에 혼합되는지 지방상에 혼합되는지에 관계없이 화장품 작용제로서 사용하기 쉽고 제조할 화장품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추출물을 미용상 효과적인 양만큼 원하는 사람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미용 관리 방법은 상기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추출물을 특히 화학작용선, 그 중에서도 자외선의 작용으로 생기는 노화의 영향에 대항하기 위해 노화 방지 치료가 필요한 피부의 부위에 적용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화 방지 기능은 주름의 출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거나 늦추기 위한 주름방지 작용을 특히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진피-상피 접합부에 존재하는 콜라겐 VII 등의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 및/또는 옥시탈란 섬유 및/또는 엘라우닌 섬유에 대한 회복작용과, 피부의 탄력성 및/또는 견고성의 보호, 회복 또는 복원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부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옥시탈란-엘라우닌 망상구조의 분석을 통한 컴퓨터 영상분석에 의한 탄성섬유의 조직학적 정량화에 의해, 자외선으로 인공적으로 노화시킨 활착상태에서 유지된 인간 피부 상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추출물을 적용하여 얻은 실험결과("UV+롱고자"라는 이름으로 표시한 결과)를, 대조피부를 구성하는 동일 인간 피부("대조 피부"라는 이름으로 표시한 결과), 또는 자외선으로 인공적으로 노화시킨 동일 인간 피부("+UV"라 한다)와 비교하여 x축을 따라서 표시하는데, 탄성섬유의 평균길이는 y축을 따라서 0 - 350㎛의 크기로 표시되어있다.
도 2A는 전자현미경으로 400배 확대하여 촬영한 대조 피부의 사진을 나타내고, 도 2B는 자외선으로 인공적으로 노화시킨 피부를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며, 도 2C는 이하의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종자의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의 존재하에서 자외선과 노화를 합성시킴으로써 얻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옥시탈란-엘라우닌 망상구조 및 성숙한 탄성섬유의 회복을 나타낸다.
도 3은 진피-상피 접합부에서 발견한 콜라겐 타입 VII의 면역조직화학적 평가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x축을 따라서는 각각 "대조 피부", 자외선 조사만 받은 피부("+UV"라고 함), 및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롱고자 추출물의 존재하에서 자외선 처리한 피부("UV+롱고자")를 나타내며, y축을 따라서는 0 - 3.5의 눈금범위로 얻어진 점수를 나타내는데, 이는 자외선 조사를 받은 실험적으로 노화된 피부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롱고자 추출물에 의해 콜라겐 VII에 대한 상당한 회복효과를 나타낸다.
도 4A는 진피-상피 접합부에서 피부의 절편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진피-상피 접합부에서 콜라겐 VII에 대한 표식 강도를 나타내며("대조 피부"), 도 4B는 자외선 조사를 받은 피부를 동일 조건하에서 나타내며("피부+UV"),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종자 추출물의 존재하에서 자외선 조사를 받은 동일 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피부+UV+롱고자"),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에 의해, 관찰 된 표식 강도는 UV가 없는 대조 피부에 가까운 것을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지시하지 않는 한 모든 퍼센트는 중량 퍼센트를 나타내며, 온도는 실온, 즉 25℃이거나 섭씨온도를 나타내며, 압력은 대기압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종자추출물의 제조예
프랑스의 SOTRAMEX사에서 구할 수 있는 여러 시판용 묶음의 롱고자 식물 종자 100kg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은 추출법을 실시하였다.
a) 먼저 시판용 건조 종자를 예를 들어 0.01mm 내지 1mm 사이의 평균분말입경이 얻어질 때까지 그라인딩한다.
b) 다음으로, 그라인딩된 종자를 연속적으로 3회 추출하는데, 매회 500리터(ℓ)의 수성-알콜 혼합물(예를 들어, 부피비 70/30의 에탄올/물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간 교반하면서 예를 들어 50℃까지 약하게 가열하여 추출한다. 알콜은 생체친화성으로 잘 알려진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추출은 순수 알콜로 쉽게 실시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각 추출 후에 세정과 함께 추출케이크를 여과한다. 이 여과는 예를 들어 기공직경이 0.70㎛인 필터를 통해 실시하는데, 상기 세정은 부피비 70/30의 수성-알 콜 혼합물 30ℓ로 실시한다.
c) 이후 여과물들을 혼합하면 대략 1500ℓ의 총 여과물이 얻어지며, 얻어진 용액은 흐리다.
d) 이후에 비극성 유기용매, 예를 들어 n-헵탄으로 액-액 추출하여 지질제거단계 또는 탈지단계를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3회의 추출을 실시하는데, 각 추출시마다 격렬히 교반하면서 약 500ℓ의 n-헵탄을 사용한다.
상기 수성-알콜상(aqueous-alcoholic phase)으로부터 헵탄상(heptane phase)을 분리하기 위하여 침강분리를 실시하고, 헵탄상을 폐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탈지된 수성-알콜상은 투명하며 대략 1500ℓ의 부피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지된 수성-알콜상 자체는 이하의 실시예들(추출물 1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에 화장품 작용제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또는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종자 추출물을 구성한다. 이 수성-알콜 용액은 0.47중량%의 건조 추출물을 함유한다. 사용하는 추출용매의 양 및 수성-알콜 혼합물에서 알콜의 비율 등의 추출변수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함량, 예를 들어 높은 함량, 특히 약 1중량%의 건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건조추출물의 중량농도는 특정 한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e) 변형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감압하에서(선택사항) 수성-알콜상을 최대온도 50℃까지 가열하여 증류함으로써 n-헵탄 등의 사용된 미량의 비극성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f) 더 이상 어떤 비극성용매도 함유하지 않는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액을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용액을 첨가하여 1500ℓ의 부피가 얻어질 때까지 희석시킨다.
g) 또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목탄으로 처리함으로써, 탈지용액의 표백을 실시할 수 있다(교반과 함께).
이후 기공직경이 0.45㎛인 필터를 통해 목탄 여과를 실시한 다음에 여과된 목탄을 3ℓ의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액으로 세정한다.
탈지 및 표백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액은 투명하며 약 1500ℓ의 부피를 가진다.
h) 이후 수상을 얻기 위해 감압하에서(선택사항) 알콜을 증발시키고, 특히 최대 50℃의 중간온도까지 가열시켜서 상기 용액을 농축시킬 수 있다. 이 수성용액은 또한 그 용액에 맞는 유효 성분으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i)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으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 추출물을 얻기 위해 상기 수성용액을 동결 건조시킬 수 있다.
j) 상기 조성물을 제조할 당시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상기 건조 추출물을 혼합하기 위한 용액으로, 미용에 적합한 용매 특히 물, 알콜 또는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건조추출물 용액을 원하는 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k) 마지막으로, 상기의 다양한 추출물 용액을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부피의 병 속에 포장하기 전에 미리 기공직경이 0.22㎛인 필터를 통해 살균 여과한 후에 예를 들어 4℃의 냉실 속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활착상태(survival condition)에서 유지하고 인공적으로 자외선으로 노화시킨 인간 피부의 실험모델에 대한 롱고자(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추출물의 노화방지 기능의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의 노화방지 효과을 측정하기 위해, 활착상태에서 유지하고 인공적으로 자외선(UV)으로 노화시킨 피부의 실험모델을 사용하여 노화방지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실험은 콜라겐 VII의 면역조직화학적 평가에 의해 진피-상피 접합부의 복원 정도를 평가하고, 옥시탈란-엘라우닌 망상조직(oxytalan-elaunin network)의 연구에 의해 표피의 탄성섬유의 복원 정도를 평가하고, 영상분석에 의한 형태계측 정량화에 의해 중간 깊이의 피부의 복원 정도를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다른 기증자를 통해 성형수술 후의 여성으로부터 피부단편을 취하였다. 이들 단편은 배양액 웰 위에 부유상태로 놓여진 삽입체 속에 넣었다.
웰의 바닥에는 겐타마이신(gentamycin) 항생제, 소의 하수체 추출물, 소의 태아혈청 및 하이드로코르티존(hydrocortisone)을 보충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MEM배지를 부가하였다. 이 배지를 웰의 바닥으로부터 두께 12㎛의 다공질막을 통해 확산으로 통과하도록 하였다. 이 배지를 3일마다 제거하였다. 노화중에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피부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1일 후("D1")와 3일 후("D3")에 UVA성분(8 J/㎠) 및 UVB성분(2 J/㎠)의 자외선을 각각 조사하여 실험적 노화모델을 실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d)단계의 종료시에 얻어진 롱고자 추출물(추출물 1d)을 5% 함유하는 용액의 배지를 준비하였다. 첫째날("D0")부터 10일째날("D10")까지 이 5%용액을 일주일에 3번씩 피부단편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이 시험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 피부간의 비교를 행하였다.
a) 단지 활착상태하에 있던 대조 피부
b) 자외선 A 및 B 조사로 실험적으로 노화시킨 활착상태 하에 유지한 피부(참조 대조 피부)
c) 전술한 롱고자 추출물을 적용하고 자외선 A/B 조사로 인공적으로 노화시킨 활착상태 하에 유지한 피부
일부 피부배양은 콜라겐 VI의 면역조직화학분석을 위해 넷째날("D4")에 중지하고 다른 피부배양은 탄성섬유의 형태계측분석을 위해 10일째날("D10")에 중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탄성섬유의 조직학적 정량화
탄성섬유를 카테킨(catechin) 염색으로 눈에 보이게 하고 컴퓨터지원의 Leitz XC-75CE 카메라로 제공한 컴퓨터 영상분석으로 형태계측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이 컴퓨터는 카메라 제조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표피의 옥시탈란 및 엘라우닌 섬유의 평균길이(㎛)를 평균표면적(㎛2)처럼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를 통해, 대조 피부(길이 64㎛, 및 표면적 2808.9㎛2)에 비하여 사용한 피부노화 모델에서옥시탈란 섬유의 평균길이가 통계적으로 상당히 감소하고(42.7㎛) 진피의 옥시탈란 및 엘라우닌 섬유의 평균면적이 통계적으로 상당히 감소함(2339㎛2)을 입증할 수 있었는데, 이는 편차치가 p < 0.05 인 통계적으로 상당한 값을 구성한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나 있고 Leitz XC-75CE 카메라를 구비한 Leitz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은 도 2A (대조 피부), 2B (피부 + 자외선) 및 2C (피부+자외선+롱고자)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에서 얻은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에 의해 옥시탈란 및 엘라우닌 섬유의 회복효과가 상당함을 알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로 처리된 피부의 옥시탈란 섬유의 평균길이는 75㎛ (p<0.05)이다. 엘라우닌 섬유의 평균 길이는 200㎛까지 감소한 실험적으로 노화시킨 피부와 비교하여 267.4㎛까지 증가하였다. 마찬가지로, 엘라우닌 섬 유의 평균표면적은 편차 p<0.05를 가지고 3397.2㎛2까지 상당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간 진피 및 깊은 진피의 성숙한 탄성섬유의 회복효과도 대조군 + 자외선에 비교하여 상당하였다(중간 진피에서 +7.7%, 및 깊은 진피에서 +8.4%).
이들 모든 결과는 도 1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2) 콜라겐 타입 VII 의 면역조직화학분석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수술 후의 여성으로부터 취하여 냉동시킨 피부 단편을 사용하여, 기저막의 수준에 위치하는 콜라겐 타입 VII을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 면역검출은 미국 Vector Laboratories 사에서 판매하는 ABC 퍼록시다제(ABC peroxidase)라고 불리는 시판용 키트를 사용하여 3층 간접산소면역화학법(three-layer indirect immunoperoxidase technique)에 의해 실시하고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 DAB)으로 눈에 보이게 한다.
표식화 정도와 형태, 즉 진피상피 접합부에서의 다소의 연장부를 규정하는 0 내지 3의 반정량적 점수로 평가하였다.
피부를 자외선으로 노화시킨 전술한 실험모델은 진피-상피 접합부(DEJ)에서 콜라겐 VII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실제로 대조 피부의 2.4와 비교하여 1.67의 점수를 얻었다.
이런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중요한 것이며, 편차는 p<0.05이다.
전술한 조건하에서 자외선으로 실험적으로 노화시킨 피부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콜라겐 VII의 상당한 회복효과가 관찰되며, 편차는 p<0.05이다.
이렇게 얻어진 콜라겐 타입 VII의 면역조직화학적 평가의 결과는 첨부하는 도 3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도 4A는 대조 피부의 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고, 도 4B는 자외선으로 인공 노화시킨 피부를 동일한 조건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며, 도 4C는 자외선으로 인공 노화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로 처리한 피부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자외선의 존재하에서 콜라겐 VII 표식의 강도감소는 진피-상피 접합부(DEJ)에서 관찰된다.
한편, 피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로 처리하는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구와 유사한 표식 강도가 관찰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에 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에 대한 결론으로서, 활착상태 하에서 유지한 사람 피부에서 사용한 실험적 노화모델과 비교할 때, 표피의 옥시탈란 및 엘라우닌 섬유, 중간 및 깊은 진피의 탄성망, 및 진피-상피 접합부의 콜라겐 VII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롱고자 추출물의 상당한 회복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구조단백질을 보존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소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및 진피상피 접합부 의 보강용의 화장품 작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 제조예들을 제시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제조예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제조예에서, 모든 퍼센티지는 별도로 지시가 없는 한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안면피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미용겔
-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롱고자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2%
- 글리콜 3%
- 시판하는 AMPS 폴리머(상표 Sepigel 305®) 3%
- 수소화 피마자유(Cremophor CO-60) 2%
- 폴리에틸렌 글리콜 1.5%
- 보존제 0.5%
- 향료농축물 0.3%
- 자외선 차단제(벤조페논-4) 1%
- 물 충분량 100%
이 겔은 안면피부의 견고성을 개량하기 위해 안면에, 특히 주름진 부위에 수 주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적용하여, 치료 후의 피부를 확실하게 다시 젊어지게 하는 효과와 이들 주름을 감소 또는 소멸시키는 확실한 효과를 가지고 유연하게 회복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에멀션 형태의 주름방지 데이크림( day cream )
-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롱고자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2%
- 스테아레스(steareth)-21 (Brij 721) 2.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Tegrin) 1.1%
- 스테아릴 알콜 5%
- 글리세롤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12.5%
- 부틸렌 글리콜 3%
- 글리세롤 2%
- 보존제 0.5%
- 향료 농축물 0.5%
- 자외선 차단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7.5%
- 물 충분량 10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주름-방지 토닉로션
-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롱고자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2%
- 부틸렌 글리콜 3%
- EDTA 0.1%
- 가용화제 1%
- 향료 농축물 0.3%
- 에탄올 5%
- 자외선 차단제 (벤조페논-4) 0.13%
- 물 충분량 10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
자외선 보호용 페이셜 메이컵 파우더
-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롱고자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0.25%
- 탈크 (talc) 17%
- 마이카 (mica) 20%
- 세리사이트 (sericite) 20%
- 색소 8%
- 유기 파우더 (나이론) 20%
- 실리카 8.75%
- 실리콘 또는 광물유 3%
- 자외선 차단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
주름-방지 처리 파운데이션
-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롱고자의 탈지된 알콜 또는 수성-알콜 추출물
2%
-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헥실 라우레이트 5.1%
-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시클로헥산실록산 5.0%
- 세틸 디메티콘 1.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레세라이드 2.2%
- 옥틸 스테아레이트 1.4%
- 광물유 3.5%
- 수소화 피마자유 1.2%
- 밀납 0.8%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1%
- 산화철 0.45%
- 산화티탄 5.2%
- NaCl 0.6%
- 향료 농출물 0.1%
- 자외선 차단제(옥틸 신나메이트) 3%
- 물 충분량 100%

Claims (16)

  1. 미용으로 가능한 부형제 내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Aframomum angustifolium) 또는 롱고자(Longoza)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미용으로 가능한 용매, 특히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그라인딩된 종자를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얻어진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성의 추출물은 비극성 유기용매, 예를 들어 헥산 또는 n-헵탄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지질을 제거함으로써 탈지된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성의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지된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 성의 추출물은 그 자체로서 유효 성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탈지된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성의 추출물은 목탄 등의 적절한 표백제로 여과하여 표백하고, 상기 목탄의 제거 후, 초기 추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다른 알콜 또는 수성-알콜 용매의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서 추출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건조된 추출물을 얻음으로써, 이를 유효 성분으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미용으로 가능한 용매, 특히 알콜 또는 수성-알콜 혼합물에 다시 한번 용해시켜 유효 성분의 다른 변형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 또는 수성-알콜에 사용된 알콜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모노알콜 또는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롱고자 종자의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을 기준으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의 농도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2.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Aframomum angustifolium) 또는 롱고자(Longoza)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을 화장품 작용제로서 사용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롱고자의 추출물은 노화 방지 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4.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Aframomum angustifolium) 또는 롱고자(Longoza)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추출물을 미용상 유효량만큼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또는 롱고자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은 노화 방지 관리가 필요한 피부의 부위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는 특히 화학작용선, 그 중에서도 자외선의 작용으로 생기는 노화의 영향에 대항하기 위함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주름의 출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거나 늦추는 주름 방지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노화 방지 작용을 특징으로 하며;
    콜라겐 특히 콜라겐 VII 그 중에서도 진피-상피 접합부(DEJ)에 존재하는 콜라겐 VII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 및/또는 옥시탈란(oxytalan) 섬유 및/또는 엘라우닌(elaunin) 섬유에 대한 회복 작용에 의해, 피부 구조에 대한 보존 또는 회복 작용을 하여, 피부의 탄력성 및/또는 견고성의 보호, 회복 또는 복원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KR1020087008425A 2005-10-04 2006-10-02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KR101460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0147 2005-10-04
FR0510147A FR2891458B1 (fr) 2005-10-04 2005-10-04 Compositions cosmetiques notamment a activite anti-vieillissement comprenant un extrait de la plante aframomum angustifolium ou longoza.
PCT/FR2006/050982 WO2007042709A1 (fr) 2005-10-04 2006-10-02 Compositions cosmetiques notamment a activite anti-vieillissement comprenant un extrait de la plante aframomum angustifolium ou longoz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367A true KR20080053367A (ko) 2008-06-12
KR101460769B1 KR101460769B1 (ko) 2014-11-26

Family

ID=3659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425A KR101460769B1 (ko) 2005-10-04 2006-10-02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81436B2 (ko)
EP (1) EP1933808B1 (ko)
JP (1) JP5247454B2 (ko)
KR (1) KR101460769B1 (ko)
CN (1) CN101282711B (ko)
FR (1) FR2891458B1 (ko)
RU (1) RU2394555C2 (ko)
WO (1) WO20070427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32A (ko) 2014-11-21 2016-05-31 ㈜엠알이노베이션 산호초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2581A1 (en) * 2008-02-12 2009-08-13 Nathalie Schlemer Cosmetic formulation
FR2934491B1 (fr) * 2008-08-01 2010-09-17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association de lipochroman-6 et d'un extrait de logoza et son utilisation
US8685472B2 (en) 2010-03-01 2014-04-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chia seed extract
WO2012050763A2 (en) 2010-09-29 2012-04-19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hia seed extract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2012117827A (ja) * 2010-11-29 2012-06-21 Shiseido Co Ltd オキシタラン線維を指標とした肌理評価法
DE102014225432A1 (de) * 2014-12-10 2016-06-16 Henkel Ag & Co. Kgaa Mittel und Verfahren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ES2808777T3 (es) 2016-09-22 2021-03-01 Dr Willmar Schwabe Gmbh & Co Kg Extractos de semillas de especies de amomo y su uso
FR3075638B1 (fr) * 2017-12-22 2020-03-13 Lvmh Recherche Compositions cosmetiques notamment a activite anti-vieillissement comprenant un extrait vert de la plante aframomum angustifolium ou longoza
FR3100983B1 (fr) 2019-09-24 2023-01-20 Lvmh Rech Bouquet floral anti-âge
CN110711160A (zh) * 2019-11-03 2020-01-21 上海悦目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拉紧致抗皱作用的植物组方及其应用
FR3118422B1 (fr) * 2020-12-30 2023-01-20 Lvmh Rech Extrait fermenté de graines de Longoza
CN116139060B (zh) * 2023-03-02 2023-10-31 佐登妮丝(广州)美容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和抗衰老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682A (en) * 1995-11-24 1999-03-09 Peya Biotech Inc Aframonum seeds for improving penile activity
KR100467081B1 (ko) 2002-12-16 2005-0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6025307A1 (ja) * 2004-08-30 2006-03-09 Kao Corporation シワ改善剤、脂肪分解促進剤、皮膚外用組成物及び飲食物組成物
KR100702330B1 (ko) 2005-04-29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31B1 (ko) * 2005-05-27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32A (ko) 2014-11-21 2016-05-31 ㈜엠알이노베이션 산호초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0155A (ja) 2009-03-12
FR2891458A1 (fr) 2007-04-06
CN101282711B (zh) 2012-10-10
CN101282711A (zh) 2008-10-08
EP1933808A1 (fr) 2008-06-25
US7381436B2 (en) 2008-06-03
JP5247454B2 (ja) 2013-07-24
EP1933808B1 (fr) 2017-01-11
RU2008117398A (ru) 2009-11-10
RU2394555C2 (ru) 2010-07-20
US20070122500A1 (en) 2007-05-31
FR2891458B1 (fr) 2008-01-18
WO2007042709A1 (fr) 2007-04-19
KR101460769B1 (ko)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69B1 (ko)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KR100955389B1 (ko) 천연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168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JP7071357B2 (ja) トリュフ抽出物およびネオヘスペリジンジヒドロカルコンを含む組成物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3583108B2 (ja) 皮膚外用剤
KR101833062B1 (ko) 화장품 활성 제제로서 난초과 반다 코에룰렐라
JP7075177B2 (ja) 化粧料
KR102288066B1 (ko) 천연식물 화장품소재 핑거루트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395B1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29835A (ja) くすみ改善用の化粧料
JP4696107B2 (ja) ブクホルジア属に属する植物の抽出物の化粧品および医薬品における使用
WO2002051374A1 (fr) Inhibiteurs de croissance capillaire et compositions contenant ces inhibiteurs
JPH08175954A (ja) 皮膚化粧料
JP2006199611A (ja) 化粧料
KR20210095341A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JP2004307437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2363038A (ja) 化粧料
JP2011001300A (ja) 皮膚老化防止剤、表皮細胞分裂回数減少に対する抑制剤、及び表皮厚減少に対する抑制剤
JP2006282536A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消去剤、ラジカル消去剤、過酸化水素消去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3822517B2 (ja) 皮膚外用剤
US20020041908A1 (en) Iridacea extracts for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CN114040749B (zh) 蔷薇丛提取物
KR102206094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