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35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352A
KR20080053352A KR1020087008176A KR20087008176A KR20080053352A KR 20080053352 A KR20080053352 A KR 20080053352A KR 1020087008176 A KR1020087008176 A KR 1020087008176A KR 20087008176 A KR20087008176 A KR 20087008176A KR 20080053352 A KR20080053352 A KR 20080053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sheet
absorber
absorbent article
body fluid
apparen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010B1 (ko
Inventor
유카 토쿠라
유키히로 이토
토시히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표면특성을 구비하며 또한 흡수성능이 향상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10)와, 착용 의류측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20)와, 이들 탑 시트(10)와 백 시트(20)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30)를 구비한다.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는,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70% 이상 95% 이하이다. 흡수체(30)의 클렘(Klemm) 흡수높이(h2)는, 탑 시트(10)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10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30911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 것이다.
종래,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와, 착용 의류측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이들 탑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체액을 흡수체로 신속히 이행시키는 흡수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면이 유연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은 표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탑 시트, 백 시트, 흡수체 등의 구조나 재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공보 제3611838호에는, 피부측에 배치되는 제 1층과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제 2층이 적층된다. 더욱이, 이들 제 1층 및 제 2층은 전역에 걸쳐 접촉되며 또한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탑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탑 시트에 있어서, 제 1층의 겉보기 두께는 제 2층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50% 이상 80% 이하이다. 또, 제 2층의 밀도는 제 1층의 밀도보다 높다.
제 1층의 겉보기 두께가 제 2층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지나치게 작으면, 제 1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강직한 피부 접촉감을 착용자에게 주게 된다. 한편, 제 1층의 겉보기 두께가 제 2층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지나치게 크면,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제 2층으로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체액이 제 2층으로 신속하게 이행되지 못하여 피부 접촉면에 잔류한 체액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일본특허공보 제3611838호에 개시되어 있는 탑 시트에 따르면, 제 1층의 겉보기 두께를 제 2층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50%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 1층이 충분히 형성되어 유연한 피부 접촉감을 착용자에게 줄 수가 있다. 또한, 80%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제 2층에 조밀한 구조가 충분히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제 2층으로 신속하게 거두어 들일 수가 있다. 더욱이, 제 2층의 밀도를 제 1층의 밀도보다 높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제 2층으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일본특허공보 제3611838호에 기재된 탑 시트를 흡수성 물품에 적용하면, 우수한 표면특성을 얻을 수는 있지만, 흡수체의 구조 등이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 2층으로 이행된 체액이 흡수체로 이행하는 것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없거나, 흡수체로 이행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역행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가 없어, 우수한 흡수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표면특성을 구비하며 흡수성능이 향상된 흡수성 물 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탑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상기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70% 이상 95% 이하이고, 상기 흡수체의 클렘(Klemm) 흡수높이(h2)는, 상기 탑 시트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가 지나치게 작으면,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간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에 의해 피부 접촉면의 습도가 크게 상승한다. 또한, 탑 시트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흡수체에 부하되는 압력이 감소 또는 분산되지 않아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역행한다.
이에, (1)의 발명에 따르면, t2를 t1에 대하여 70% 이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가 충분히 격리되어,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로 인해 피부 접촉면의 습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충분히 형성된 탑 시트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흡수체에 부하되는 압력이 감소 또는 분산되므로,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역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가 지나치게 크면, 탑 시트 이외의 부재(흡수체나 착용 의류측에 배치되는 백 시트 등)를 충분히 설치할 수 없어, 체액의 흡수량이나 착용 의류측에 대한 체액의 차폐성 등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1)의 발명에 따르면, t2를 t1에 대하여 95% 이하로 하였다. 이에 따라 흡수체나 백 시트 등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고 착용 의류측으로 체액이 침윤하는 것을 차폐할 수가 있다.
또한, 흡수체의 클렘 흡수높이(h2)를 탑 시트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탑 시트에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측으로 유입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흡수체에 유입된 체액이 흡수체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체액을 흡수 및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2) 상기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는 0.5mm 이상 5mm 이하인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가 지나치게 작으면, 각 구성부재(탑 시트, 흡수체, 백 시트 등)를 충분히 설치할 수 없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없다. 한편, t1이 지나치게 크면 착용자에게 커다란 위화감을 주게 된다.
이에, (2)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를 0.5mm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 구성부재를 보다 충분히 설치할 수 있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다(흡수성능이 우수함). 또한, t1을 5mm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 등의 슬림형 흡수성 물품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3) 상기 탑 시트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의 발명에 따르면, 탑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탑 시트의 피부측 표면과 흡수체가 근접한 부위를 통해, 배출된 체액은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한다. 이에 따라,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4)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에 대하여 50% 이상 95% 이하인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가 지나치게 작으면,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간의 거리가 충분히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4)의 발명에 따르면, t2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를 50%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들 오목부가 형성된 부위에서 탑 시트 피부측 표면과 흡수체가 근접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위를 통해,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하기 때문에,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t2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가 지나치게 크면, 오목부가 형성된 부위에서의 탑 시트의 두께가 작기 때문에,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상기 부위를 통해 피부측으로 역행하게 된다.
이에, (4)의 발명에 따르면, t2에 대하여 오목부의 깊이를 95%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오목부가 형성된 부위에서의 탑 시트의 두께는 충분히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들 부위를 통해,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역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5) 상기 오목부는 엠보싱 압축부로 형성되어 있는 (3) 또는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의 발명에 따르면, 엠보싱 압축부로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엠보싱 압축부가 설치되는 탑 시트의 부위에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 영역이 형성된다. 배출된 체액은 밀도 구배에 따른 모세관력에 의해 고밀도 영역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6) 상기 흡수체는 친수화 유제(油劑)를 도포한 섬유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체는 친수화 유제를 도포한 섬유를 포함하므로, 흡수체의 친수도를 탑 시트의 친수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7) 상기 흡수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체는 그 친수도를 탑 시트의 친수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기 위해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함유한다. 이로써,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8) 상기 흡수체의 밀도는 상기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은,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체의 밀도는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배출된 체액은 밀도구배에 따른 모세관력에 의해 흡수체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9) 상기 흡수체의 밀도는 0.05g/㎤ 이상 0.25/㎤ 이하인,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체의 밀도를 0.05g/㎤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흡수체의 밀도를 0.25/㎤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체액을 보다 많이 흡수 및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9)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10) 상기 탑 시트의 밀도는 0.0125g/㎤ 이상 0.150g/㎤ 이하인,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의 발명에 따르면, 탑 시트의 밀도를 0.0125g/㎤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를 충분히 형성할 수가 있어, 유연한 피부 접촉감을 착용자에게 줄 수가 있다.
한편, 탑 시트의 밀도는 0.150g/㎤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체액이 탑 시트에 흡수되어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10)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보다 우수한 표면특성 및 흡수성능을 갖는다.
(효과)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t2)를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70% 이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가 충분히 격리되어,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로 인해 피부 접촉면의 습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탑 시트가 충분히 설치됨에 따라, 착용자로부터 흡수체에 부하되는 압력이 감소 또는 분산되므로,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역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t2를 t1에 대하여 95% 이하로 하였다. 이에 따라 흡수체나 백 시트 등도 충분히 설치할 수가 있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고 착용 의류측을 향하는 체액을 차폐할 수가 있다.
또한, 흡수체의 클렘 흡수높이(h2)를 탑 시트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탑 시트로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측으로 유입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흡수체에 유입된 체액이 흡수체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체액을 흡수 및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된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Ⅲ-Ⅲ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팬티라이너(흡수성 물품) 10 : 탑 시트
20 : 백 시트 30 : 흡수체
40 : 엠보싱 압축부(오목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흡수성 물품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티라이너(1)의 피부측 표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Ⅲ-Ⅲ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팬티라이너(1)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2개의 표면 중,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이라 하고, 반대측의 표면을 「착용 의류측 표면」이라 한다. 각 요소의 치수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길이방향, 예컨대 도 1의 Oy-Oy선 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 「길이치수」라 하고, 폭방향, 예컨대 도 1의 Ⅲ-Ⅲ 선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폭치수」라 한다.
팬티라이너(1)는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10)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20)와, 이들 탑 시트(10)와 백 시트(20)의 사이에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30)를 구비한다.
탑 시트(10)에는,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엠보싱 압축부(40)를 통해 탑 시트(10)와 흡수체(30)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사용중인 팬티라이너(1)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탑 시트(10) 및 흡수체(30)는 팬티라이너(1)의 가장자리 부근에 마련된 접합부(42)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42)는 열 밀봉, 초음파 밀봉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42)는 팬티라이너(1)의 최가장자리부(最緣部)일 수도 있다. 또, 접합부(42)는 최가장자리부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때 최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백 시트(20)는 흡수체(30)와, 점착제(가령, 열융착 점착제), 점착 테이프, 열 엠보싱, 초음파 엠보싱 등의 수단에 의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백 시트(20)에는, 상기 의류측 표면에 팬티라이너(1)를 속옷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21)이 설치되어 있다(도포량은, 예컨대 35g/㎡).
(형상, 치수 등)
팬티라이너(1)는 곡선형상의 앞쪽 테두리부(2)와, 마찬가지로 곡선형상인 뒤쪽 테두리부(3)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예컨대, 길이방향 중심선(Oy)에서의 길이치수는 140mm이며, 폭치수는 44mm 이상 54.5mm 이하이다.
흡수체(30)도 곡선형상의 앞쪽 테두리부와, 마찬가지로 곡선형상인 뒤쪽 테두리부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흡수체(30)의 앞쪽 테두리부 및 뒤쪽 테두리부는 팬티라이너(1)의 앞쪽 가장자리부(2) 및 뒤쪽 가장자리부(3)보다 약간 안쪽에 위치한다. 흡수체(30)의 좌우 양측 단부는 길이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한 대략 직선형상이다.
흡수체(30)는 상술한 팬티라이너(1)와 거의 치수가 같으며, 팬티라이너(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30)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형상, 섬유형상 등이어도 무방하다.
감압 접착제층(21)은, 길이방향 중심선(Oy)의 좌우 양측에서 길이방향 중심선(Oy)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길이치수가 115mm, 폭치수가 2mm인 9개의 감압 접착체층이 길이방향 중심선(Oy)을 대칭축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2.5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탑 시트)
탑 시트(10)는 액체 투과성이며, 일반적으로 친수성이다.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기 때문에, 유연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은 소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스루에어법,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중 적절한 방법에 의해 화학섬유, 합성섬유, 천연섬유 등의 소재를 가공한 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액체 투과성의 필 름을 탑 시트(10)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감촉 및 볼륨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탑 시트(10)는 이러한 부직포 등이 여러 장 겹쳐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시트(10)의 볼륨화는 열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평량(basis weight)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할 수가 있다.
예컨대, 탑 시트(10)는 제 1층과 제 2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제 1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의 코어(core)부와 폴리에틸렌(PE)수지의 시스(sheath)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로 이루어진다. 제 2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의 코어부와 폴리에틸렌(PE)수지의 시스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 및 폴리에틸렌(PE)수지의 코어부와 폴리프로필렌(PP)수지의 시스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로 이루어진다. 이 구조는, 제 1층 및 제 2층을 카드(card)에 의해 풀어내고(解纖), 웨브(web)화한 상태로 겹쳐서 열풍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평량은 제 1층이 7g/㎡ 이상 93g/㎡ 이하(예컨대, 20g/㎡)이며, 제 2층이 7g/㎡ 이상 93g/㎡ 이하(예컨대, 15g/㎡)이고, 탑 시트(10) 전체로서는 14g/㎡ 이상 100g/㎡ 이하(예컨대, 35g/㎡)이다.
또한, 탑 시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2층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층구조, 3층 이상의 구조여도 무방한데, 어떠한 경우에도 1장의 부직포로 사용된다.
(백 시트)
백 시트(20)는 일반적으로 비통기성이거나 또는 통기성이면서 액체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복합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필름과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직포, 플라스틱필름에 부직포가 적층된 라미네이트재, 폴리프로필렌을 주 원료로 한 SMS(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부직포, SMS/MB(멜트블로운)/SMS 부직포 등 내수성이 높은 부직포 등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예컨대, 백 시트(2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비통기성의 플라스틱필름이며, 그 평량이 15g/㎡ 이상 60g/㎡ 이하(예컨대, 23g/㎡)이다.
(흡수체)
흡수체(30)는 일반적으로 액체 흡수성, 액체 유지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는 분쇄펄프를 액체 투과성 종이나 셀룰로오스 시트로 감싼 것,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한 것 등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섬유, 합성섬유, 천연섬유 등을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가공한 부직포,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수체(30)는 이러한 부직포 등이 여러 장 겹쳐진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흡수체(30)는 체액의 흡수성 및 유지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는 면섬유, 레이온섬유, 펄프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흡수체(30)는 레이온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레 이온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9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스펀레이스법으로 제작한 부직포이며, 그 평량은 18g/㎡이상 50g/㎡ 이하(예컨대, 25g/㎡)이다.
(오목부)
오목부는 점착제, 점착테이프, 열 엠보싱, 초음파 엠보싱 등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복수의 수단에 의해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를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오목부를 산점적 형상(散点狀), 단일 혹은 복수의 직선형상, 곡선형상(예컨대, 연속 파형(波形)), 격자형상, 지그재그형상 등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오목부를 산점적 형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오목부 각각의 형상은 원형상, 삼각형상, 사각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층)
감압 접착제층(21)은, 예컨대 고무계 핫멜트형 접착제, 올레핀계 핫멜트형 접착제, 메커니컬 패스너, 및 스틸렌고무계의 미끄럼방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압 접착제층(21)은 도시되지 않은 이형제(離型劑) 처리된 박리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겉보기 두께)
여기서 말하는 「겉보기 두께」란, 무하중 하에서 촬영한 단면의 두께값을 말한다.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는 0.5mm 이상 5.0mm 이하(예컨대, 1.49mm) 이다. 또한,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는 0.35mm 이상 5.0mm 미만(예컨대, 1.30mm)이다. 그 결과, t2는 t1의 70% 이상 100% 미만으로 되어 있다.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서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30)간의 거리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의 거리에 대하여 5 내지 50%이다. 다시 말해, 오목부의 깊이(도 3에서는 f)는 t2에 대하여 50% 이상 95% 이하이다.
예컨대,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의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는 1.5mm이고,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서의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는 0.5mm이다. 다시 말해, t2는 1.5mm이며, 엠보싱 압축부(40)의 깊이는 1.0mm이다.
여기서, 팬티라이너(1) 및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먼저, 팬티라이너(1)로부터 가로세로 길이가 30mm×30mm인 시험편을 잘라낸다. 다음으로, 세로방향과 대략 평행한 절단면을 만들고 하이스코프「SZH10」(올림푸스사 제품)에 의해 상기 절단면의 확대사진을 얻는다. 상기 확대사진의 스케일을 맞추어 팬티라이너(1)의 최대 두께를 구하고, 이것을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로 한다. 더욱이, 상기 팬티라이너(1)의 최대 두께 측정부위에 있어서, 탑 시트(10)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것을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로 한다.
(클렘 흡수높이)
흡수체(30)의 클렘(Klemm) 흡수높이(h2)는, 탑 시트(10)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다. 여기서, h2는 h1의 2배 이상(예컨대, 섬유배향방향에서는 7.7 배, 섬유배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6.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흡수체(30)의 밀도를 탑 시트(10)의 밀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흡수체(30)와 탑 시트(10)간 모세관력의 차를 마련하면 된다. 또한, 흡수체(30)의 섬유에 친수화 유제를 도포하거나 혹은 흡수체(30)에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다량 배합하는 등에 의해, 흡수체(30)의 친수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h2를 높일 수도 있다.
액체의 원활한 이행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탑 시트(10)의 클렘 흡수높이는, 부피가 감소되어 있는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되는 오목부의 주변 부위에서도, 흡수체(30)의 클렘 흡수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탑 시트(10) 및 흡수체(30)의 클렘 흡수높이는, JIS P8141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시험은 JIS P8111의 조건과 일치하는 대기중(20℃, 65% RH)에서 실시한다. 용기에 증류수를 넣고 수온을 15 내지 20℃로 한다.
먼저, 탑 시트(10) 및 흡수체(30)로부터 길이 120mm×폭 15mm의 띠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낸다. 다음으로, 이들 시험편의 짧은 변으로부터 5mm 떨어진 위치에 평행한 표시선을 긋고, 시험편을 연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선까지 재빨리 물속에 넣어 10분간 방치한다. 그 후, 표시선으로부터 물이 상승한 높이를, 시험편의 폭방향 중앙위치에서 읽어 클렘 흡수높이로 한다.
또한, 클렘 흡수높이는, 대상이 부직포라는 점을 감안하여 섬유배향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방향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한다.
(밀도)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밀도를 탑 시트(10)의 밀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흡수체(30)의 클렘 흡수높이(h2)를 탑 시트(10)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탑 시트(10)의 밀도(d1)는 0.0125g/㎤ 이상 0.150g/㎤ 이하(예컨대, 0.027g/㎤), 흡수체(30)의 밀도(d2)는 0.05g/㎤ 이상 0.25g/㎤ 이하(예컨대, 0.16g/㎤)이다.
여기서, 탑 시트(10) 및 흡수체(30)의 밀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먼저, 탑 시트(10)로부터 가로세로의 길이가 30mm×30mm인 시험편을 잘라낸다. 상기 시험편의 세로방향[섬유배향방향(즉, 부직포 제조시의 흐름방향)]과 대략 평행한 절단면을 만든다.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상술한 겉보기 두께의 측정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수축전(탑 시트(10)와 흡수체(30)의 접합 전)에 미리 측정한 탑 시트(10)의 면적(a1×b1)과, 탑 시트(10)를 흡수체(30)에 접합하여 수축시킨 후에 측정한 탑 시트(10)의 면적(a2×b2)으로부터, 식[수축면적률(A) = ((a1×b1-a2×b2)÷(a1×b1))×100]에 의해 시험편의 수축면적률(A)(%)을 구한다.
더욱이, 상기 수축면적률(A)(%)과, 수축전(탑 시트(10)와 흡수체(30)의 접합 전)에 미리 측정한 탑 시트(10)의 평량(P1(g/㎡))으로부터, 식[탑 시트(10)의 평량(P2) = P1×100/(100-A)]에 의해 탑 시트(10)의 평량(P2)(g/㎡)을 구한다.
그리고, 탑 시트(10)의 밀도(d1)(g/㎤)를 식[d1 = P2×(1/1000)×(1/t1)]에 의해 구한다.
흡수체(30)의 밀도는 탑 시트(10)의 밀도와 마찬가지로 하여 밀도(d2)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A)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를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70% 이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피부 접촉면과 흡수체(30)가 충분히 격리되므로,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30)로 인해 피부 접촉면의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더욱이, 탑 시트(10)가 충분히 설치됨에 따라, 흡수체(30)에 부하되는 착용자로부터의 압력이 감소 또는 분산되므로, 흡수체(30)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B)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를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에 대하여 95% 이하로 하였다. 이에 따라, 흡수체(30)나 백 시트(20) 등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체액을 충분히 흡수하여 착용 의류측으로 체액이 침윤되는 것을 차폐할 수가 있다.
(C) 흡수체(30)의 클렘 흡수높이(h2)를 탑 시트(10)의 클렘 흡수높이(h1)보다 높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탑 시트(10)로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30)에 유입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흡수체(30)에 유입된 체액이 흡수체(30) 내에 유지되므로, 보다 많은 체액을 흡수 및 유지할 수가 있다.
(D) 팬티라이너(1)의 겉보기 두께(t1)를 0.5mm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 구성부재를 보다 충분히 설치할 수 있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다. 또, 5mm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팬티라이너(1)는 슬림형의 흡수성물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E) 탑 시트(10)에 복수의 엠보싱 압축부(40)를 형성함으로써 탑 시트(10)의 피부측 표면과 흡수체(30)가 근접해 있는 부위를 통해, 배출된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된다. 이에 따라,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F)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에 대하여 엠보싱 압축부(40)로 형성되는 오목부의 깊이를 50%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10)의 피부측 표면과 흡수체(30)가 오목부에서 근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들 오목부를 통하여,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30)로 신속하게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G) 탑 시트(10)의 겉보기 두께(t2)에 대하여 엠보싱 압축부(40)의 깊이를 95%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엠보싱 압축부(40)가 설치된 부위에서의 탑 시트(10)의 두께는 충분히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들 부위를 통하여, 흡수체(30)에 흡수된 체액이 피부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H) 엠보싱 압축부(40)로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10)의 엠보싱 압축부(40) 설치부위에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 영역이 형성된다. 배출된 체액은, 밀도구배에 따른 모세관력에 의해, 고밀도영역인 엠보싱 압축부(4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J) 흡수체(30)는 친수화 유제를 도포한 섬유를 포함하므로, 흡수체(30)의 친수도를 탑 시트(10)의 친수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K) 흡수체(30)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므로, 흡수체(30)의 친수도를 탑 시트(10)의 친수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L) 흡수체(30)의 밀도는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배출된 체액은 밀도구배에 따른 모세관력에 의해 흡수체(3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M) 흡수체(30)의 밀도를 0.05g/㎤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이 보다 신속하게 흡수체(30)로 이행되므로,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흡수체(30)의 밀도를 0.25/㎤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체액을 보다 많이 흡수 및 유지할 수가 있다.
(N) 탑 시트(10)의 밀도를 0.0125g/㎤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탑 시트(10) 를 충분히 형성할 수 있어 유연한 피부 접촉감을 착용자에게 줄 수가 있다.
한편, 탑 시트(10)의 밀도는 0.150g/㎤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체액이 탑 시트(10)에 흡수되어 피부 접촉면에 잔류하는 체액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보다 신속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컨대, 팬티라이너(1)의 외형은 원형, 장방형, 뼈형상, 타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탑 시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의 코어부와 폴리에틸렌(PE)수지의 시스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로 이루어지는 제 1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의 코어부와 폴리에틸렌(PE)수지의 시스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 및 폴리에틸렌(PE)수지의 코어부와 폴리프로필렌(PP)수지의 시스부를 갖는 코어-시스형 복합합성섬유(섬유지름 2.2dtex, 섬유길이 45mm)로 이루어지는 제 2층을 카드에 의해 풀어내고 웨브(web)화한 상태로 겹쳐서 열풍처리함으로써 복층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탑 시트의 평량은 제 1층이 20g/㎡이며, 제 2층이 15g/㎡로, 전체가 35g/㎡였다.
(백 시트)
평량이 23g/㎡인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비통기성 플라스틱 필름을 백 시트로서 적용하였다.
(흡수체)
레이온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레이온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9:1의 비율로 혼합하고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제작한, 평량이 25g/㎡인 부직포를 흡수체로서 적용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제작)
상술한 각 부재인 탑 시트 및 흡수체를 피부쪽부터 순서대로 배치하고, 열융착 점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높이 3mm의 직사각형상의 핀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엠보싱판으로 가압함으로써 깊이 1.00mm의 엠보싱 압축부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흡수체의 탑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쪽의 면에 백 시트를 배치하고 열융착 점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팬티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 3mm의 핀을 사용하였으나, 엠보싱판에 설치된 핀은 탑 시트 및 흡수체의 접합체 두께보다 높으면 되며, 통상적으로는 0.6mm 이상 5.5mm 이하의 범위이면 된다.
(비교예 1 내지 5)
각 부재의 두께를 변경한 점과 엠보싱 압축부를 형성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팬티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변경한 점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클렘 흡수높이의 측정)
JIS P8111의 조건에 일치하는 대기중(20℃, 65%RH)에서 실시하였다. 용기에 증류수를 넣고 수온을 18℃로 하였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작한 팬티라이너의 탑 시트 및 흡수체로부터 길이 120mm×폭 15mm의 띠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다음으로, 이들 시험편의 짧은 변으로부터 5mm 떨어진 위치에 평행한 표시선을 긋고, 시험편을 연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선까지 재빨리 물속에 넣어 10분간 방치한다. 그 후, 표시선으로부터 물이 상승한 높이를, 시험편의 폭방향 중앙위치에서 읽어 클렘 흡수높이로 하였다. 대상이 부직포라는 점을 감안하여, 클렘 흡수높이는 섬유배향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특성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작한 각각의 팬티라이너에 대하여, 피부 접촉면의 유연성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17명의 여성 모니터 중 착용시 표면의 피부접촉감이 부드럽다(표면특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한 사람의 수를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성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작한 각각의 팬티라이너에 대하여, 탑 시트의 피부접촉면에 생리혈이 잔류하는지 여부(생리혈 은폐성)에 관하여 평가하였 다. 17명의 여성 모니터 중 각각의 팬티라이너에 대하여 생리혈 은폐성(흡수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한 사람의 수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비 엠보싱부 엠보싱부 1 2 3 4 5
겉보기 두께(mm) 전체 1.49 0.71 1.66 1.73 1.81 1.93 1.42
탑 시트 1.30 0.49 0.32 0.31 1.23 0.36 0.39
흡수체 0.15 0.17 1.29 1.36 0.52 1.52 0.97
백 시트 0.05 0.04 0.05 0.05 0.06 0.05 0.06
클렘 흡수높이 (mm) 탑 시트 섬유 9 70 - 7 8 8
직교 8 - 98 - - -
흡수체 섬유 80 8 - 44 43 31
직교 51 - 7 - - -
탑시트/전체(%) 87.2 69.0 19.3 17.9 68.0 18.7 27.5
탑시트/흡수체(%) 11.5 34.7 403.1 438.7 42.3 422.2 248.7
표면 피부접촉감 평가결과(사람) 17 2 5 14 2 8
흡수성능 평가결과(사람) 17 0 0 6 4 9
(표에서 「섬유」란 섬유배향방향을 의미하고,「직교」란 섬유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함)
표 1과 같이, 실시예의 팬티라이너는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가 팬타라이너의 전체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87.0%(다시 말해, 70% 이상 95% 이하)로, 흡수체의 클렘 흡수높이가 탑 시트의 클렘 흡수높이보다 높았다.
또한, 실시예의 팬티라이너에 대하여 17명의 모니터 전원이 흡수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5에서는 0 내지 9명의 모니터가 흡수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더욱이, 실시예의 팬티라이너에 대해서는, 17명의 모니터 전원이 표면 접촉감이 부드럽다고 평가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해서는 2명 내지 14명의 모니터가 표면 접촉감이 부드럽다고 평가하는데 불과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는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면이 부드러워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쿠션성이 뛰어난 가볍고 폭신한 피부 접촉감을 얻을 수 있다는 우수한 표면특성을 가지며, 또한 배출된 체액을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시키는 흡수성능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탑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상기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70% 이상 95% 이하이고,
    상기 흡수체의 클렘 흡수높이는 상기 탑 시트의 클렘 흡수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겉보기 두께는 0.5mm 이상 5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탑 시트의 겉보기 두께에 대하여 50% 이상 95% 이하인 흡수성 물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엠보싱 압축부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친수화 유제를 도포한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밀도는 상기 탑 시트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밀도는 0.05g/㎤ 이상 0.25/㎤ 이하인 흡수성 물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의 밀도는 0.0125g/㎤ 이상 0.150g/㎤ 이하인 흡수성 물품.
KR1020087008176A 2005-10-24 2008-04-04 흡수성 물품 KR101267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9119 2005-10-24
JP2005309119A JP5123478B2 (ja) 2005-10-24 2005-10-24 吸収性物品
PCT/JP2006/317351 WO2007049398A1 (ja) 2005-10-24 2006-09-0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352A true KR20080053352A (ko) 2008-06-12
KR101267010B1 KR101267010B1 (ko) 2013-05-30

Family

ID=3796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176A KR101267010B1 (ko) 2005-10-24 2008-04-0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94386B2 (ko)
EP (1) EP1946730A4 (ko)
JP (1) JP5123478B2 (ko)
KR (1) KR101267010B1 (ko)
CN (1) CN101291644B (ko)
BR (1) BRPI0618397A2 (ko)
MY (1) MY146941A (ko)
TW (1) TW200722062A (ko)
UA (1) UA92035C2 (ko)
WO (1) WO2007049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9186B1 (en) 2007-10-18 2020-05-27 Iwaki Co., Ltd. Magnetically-levitated motor and pump
JP5441356B2 (ja) * 2008-05-15 2014-03-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213625B2 (ja) * 2008-10-03 2013-06-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143534A (ja) * 2010-12-24 2012-08-02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6346261B1 (ja) * 2016-12-28 2018-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9752287B (zh) * 2019-01-21 2020-01-14 李京宸 一种湿帘产品吸水高度自动试验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17216D0 (en) 1985-07-06 1985-08-14 Lucas Ind Plc Self-energising disc brakes
SE508627C2 (sv) * 1994-05-04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absorberande struktur innefattande ett skikt av superabsorberande material
JPH09154870A (ja) * 1995-12-11 1997-06-17 Asahi Chem Ind Co Ltd 使い捨て吸液ライナー
WO1998042289A1 (en) * 1997-03-21 1998-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zoned absorbent webs
US6172276B1 (en) 1997-05-14 2001-0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ilized absorbent material for improved distribution performance with visco-elastic fluids
JPH11342154A (ja) * 1998-06-03 1999-12-14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物品
JP3748743B2 (ja) * 1999-10-04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71432B2 (ja) * 2000-08-28 2006-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UA908U (uk) 2000-09-15 2001-07-16 Закрите Акціонерне Товариство "Ю.П.П." Гігієнічна прокладка
IT1320666B1 (it) 2000-09-22 2003-12-10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comando di un regolatore di tensione variabile di unamemoria non volatile con decodifica gerarchica di riga.
JP3609361B2 (ja) * 2000-10-12 2005-01-1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材料
KR100665456B1 (ko) * 2000-10-12 2007-01-0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3차원적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입체시트 재료
US20020133131A1 (en) * 2001-01-09 2002-09-19 Krishnakumar Rangachari Absorbent material incorporating synthetic fibers and process for making the material
JP3971136B2 (ja) 2001-07-12 2007-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30093047A1 (en) 2001-09-25 2003-05-15 Hien Nguy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 absorbent structure
JP3611838B2 (ja) * 2001-12-2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US8030535B2 (en) * 2002-12-18 2011-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clean body benefit
JP4426754B2 (ja) 2002-12-27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インジケータ
JP4275521B2 (ja) * 2003-12-25 2009-06-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ティライナー
KR200377888Y1 (ko) 2003-12-25 2005-03-1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팬티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1644A (zh) 2008-10-22
EP1946730A1 (en) 2008-07-23
WO2007049398A1 (ja) 2007-05-03
US20070093773A1 (en) 2007-04-26
MY146941A (en) 2012-10-15
UA92035C2 (ru) 2010-09-27
EP1946730A4 (en) 2010-06-23
BRPI0618397A2 (pt) 2016-11-16
US7994386B2 (en) 2011-08-09
JP5123478B2 (ja) 2013-01-23
CN101291644B (zh) 2012-02-08
KR101267010B1 (ko) 2013-05-30
TW200722062A (en) 2007-06-16
JP2007117112A (ja) 2007-05-17
TWI313170B (ko) 200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497B2 (ja) 吸収物品
JP504356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855533B2 (ja) 吸収性物品
TWI406651B (zh) 吸收性物品
KR101267010B1 (ko) 흡수성 물품
WO2013099463A1 (ja) 吸収性物品
JP2008289771A (ja) 吸収性物品
JP5845348B2 (ja) 非対称の吸収力を備えた吸収パ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吸収製品
JP4916282B2 (ja) 吸収性物品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JP6221020B1 (ja) 吸収性物品
JP5132798B2 (ja) 吸収性物品
EP3923889B1 (en) Absorbent article with embossed surface layer
JP6620004B2 (ja) 吸収性物品
JP491977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5717379B2 (ja) 吸収性物品
RU2765708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жидкости
KR101227815B1 (ko) 엠보 부직포가 적용된 일회용 흡수제품
JP6321897B1 (ja) 吸収性物品
JP5938138B1 (ja) 吸収性物品
JP2017209331A (ja) 吸収性物品
KR200377886Y1 (ko) 팬티라이너
KR20140000164A (ko) 통기성 강화 팬티라이너
JP2017113512A (ja) 吸収性物品
CN110891536A (zh) 带有液体侧阻挡件的一次性卫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