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87A - 방음재 - Google Patents

방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87A
KR20080053287A KR1020087005559A KR20087005559A KR20080053287A KR 20080053287 A KR20080053287 A KR 20080053287A KR 1020087005559 A KR1020087005559 A KR 1020087005559A KR 20087005559 A KR20087005559 A KR 20087005559A KR 20080053287 A KR20080053287 A KR 20080053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sound insulation
sound
resin foa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꼬 이누이
조지 야마다
에두아르트 카렐 오퍼르만스
아르만트 알폰스 다위센스
라우렌스 페트뤼스 보겔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알베오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알베오 에이지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r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갖는 방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화합물을 30 내지 300 중량부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가지며, 방음 처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피방음 부재의 형상에 따른 형태로 공지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바닥재나, 엔진 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격벽 등의 피방음 부재 상에 방음재를 피방음 부재와의 사이에 거의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점착시킬 수 있고, 방음 처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방음재,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자동차 바닥재

Description

방음재 {SOUND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은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갖는 방음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종다양한 방음재가 자동차나 철도 등의 차량 외에 엘리베이터 등의 탑승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용도에서는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차량 실내에의 침입이 실내음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엔진, 플로어 시트, 트렁크 등에 방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음재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고무 성분을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결합제 성분, 충전재 성분 및 첨가재류 등을 혼련, 압연하여 20 ℃에서의 탄성률을 5×107 Pa 이하로 하여 이루어지는 차음성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차음성 시트는 밀도를 증가시켜 차음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결합제 성분 중에 충전재 성분을 함유시키고 있고, 그로 인해 차음성 시트는 고비중이 되어 단단하고 절단 가공이 곤란함과 동시에, 절곡 등의 성형성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차음성 시트는 신장성도 부족하여, 금형을 이용하여 차음성 시트를 성형하고자 해도 차음성 시트에 균열이 발생 또는 절단되어 원하는 형상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자동차의 바닥 강판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갖는 진동 금속판에, 차음성 시트를 진동 금속판의 형상에 따른 상태로 성형한 후에 점착하고자 해도, 차음성 시트를 진동 금속판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정확하게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차음성 시트와 진동 금속판 사이에 간극이 생겨, 이 간극을 매립하는 작업을 별도로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301385호 공보
본 발명은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갖는 방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와,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00 중량부의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화합물을 30 내지 300 중량부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석유 수지 등의 유기 재료 등을 들 수 있으며, 방음재가 강성이 우수하고, 방음재의 취급 중에 구부러짐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이 소정 비율로 함유됨으로써 방음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등의 무기산의 금속염 외에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지만, 방음재는 성형시에 가열되기 때문에, 이 가열에 의해 분해될 우려가 없는 무기산의 금속염이 바람직하며, 황산바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방음재 중에서의 무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적으면 방음재의 방음성이 저하되는 한편, 많으면 방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00 중량부로 한정되고, 75 내지 2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을 소정 비율로 충전함으로써 우수한 방음 성능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 특히 황산바륨 등의 비중이 큰 무기 화합물을 고충전시키면,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그 신장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저하되고, 진공 성형 등의 성형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음재에서는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킴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의 신장성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를 발포시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하고,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를 발포시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의 인장시의 파단점의 신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즉 방음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음재를 진공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를 발포시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하여 신장성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무기 화합물을 고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본 발명의 방음재는 우수한 방음성을 구비할 뿐 아니라 성형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킨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즉 방음재의 겉보기 밀도는, 작으면 방음재의 방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크면 방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0.1 내지 0.8 g/cm3가 바람직하고, 0.25 내지 0.7 g/cm3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방음재의 겉보기 밀도는 JIS Z6767에 준하여 측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수지 배율은, 작으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신장성이 저하되고 방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3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지나치게 크면 방음재의 성형시에 방음재에 깨짐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1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수지 배율은, 열가소성 수지 자체의 발포 전후의 부피 팽창률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수학식 1로 산출된 것을 말한다. 또한, 무기 화합물의 밀도를 A g/cm3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밀도를 B g/cm3로 한다.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화합물의 중량을 X g으로,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Y g으로 한다. 무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전체의 겉보기 밀도를 C g/cm3로 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밀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의 밀도를 말한다.
Figure 112008016562383-PCT00001
또한, 방음재의 두께는, 얇으면 방음재의 방음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방음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두꺼우면 방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 내지 6 mm가 바람직하다. 방음재의 차음성은 5 dB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dB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방음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음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열가소성 수지, 무기 화합물 및 열분해형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라보플라스트 밀 등의 범용의 교반 장치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한 후에 프레스 성형 등의 범용의 성형 방법에 의해 발포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고, 이 발포성 수지 시트를 필요에 따라 전자선, α선, β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한 후, 발포성 수지 시트를 열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시켜 방음재를 제조하는 방법, (2) 열가소성 수지, 무기 화합물 및 열분해형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용융 혼련하여 압출기로부터 발포성 수지 시트를 연속적으로 압출하고, 이 발포성 수지 시트를 필요에 따라 전자선, α선, β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한 후, 발포성 수지 시트를 열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시켜 방음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서는, 종래부터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조디카본아미드, 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얻어진 방음재는, 자동차의 바닥 강판 등의 방음 처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부재(이하, 「피방음 부재」라고도 함)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성형된 후, 피방음 부재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점착되어 사용된다. 또한, 방음재를 성형하는 성형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성형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방음재는 피방음 부재의 형상에 따라 양호한 정밀도로 성형되기 때문에, 방음재를 피방음 부재에 상기 피방음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점착시킬 수 있으며, 방음 처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음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와,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00 중량부의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우수한 방음성, 특히 차음성을 가짐과 동시에 성형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음재는 방음 처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피방음 부재의 형상에 따른 형태로 공지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바닥재나, 엔진 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격벽 등의 피방음 부재 상에 방음재를 피방음 부재와의 사이에 거의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점착시킬 수 있고, 방음 처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재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경우에는 강성이 우수하고, 방음재의 취급 중에 구부러짐이나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작업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재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이 무기산의 금속염인 경우에 는, 방음재를 성형할 때 가해지는 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존재하며, 방음재를 그 방음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재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0.1 내지 0.8 g/cm3인 경우에는, 방음재가 보다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갖는다.
도 1은 방음재의 성형성의 측정 요령을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암(雌) 금형
2: 성형품
21: 저면부
22: 둘레벽부
<실시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미쯔이 스미또모 폴리올레핀사 제조, 상품명 「LE520」) 65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미쯔이 듀퐁 폴리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에바플렉스 EV460」,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 19 중량%) 35 중량부, 황산바륨(다께하라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W-1」) 150 중량부, 아조디카본아미드(오쯔까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유니폼 AZ SO-40」) 4 중량부 및 발포 보조제로서 스 테아르산아연(사까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SZ-2000」) 1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라보플라스트 밀에 공급하여 110 ℃에서 15 분간 혼련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110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가 2.5 mm인 발포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발포성 수지 시트에 800 KV의 조건하에서 전자선을 2.0 Mrad 조사시킴으로써 발포성 수지 시트를 가교하였다. 이 발포성 수지 시트를 오븐에 공급하여 발포성 수지 시트를 240 ℃에서 80 초간 방치하여 발포시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발포 시트 중에 황산바륨이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33 g/cm3이고, 두께가 3.7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650.4 %였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는 O.9 g/cm3이고, 황산바륨의 밀도는 4.3 g/cm3였다.
<실시예 2>
황산바륨 150 중량부 대신에 100 중량부로 한 것, 아조디카본아미드 4 중량부 대신에 3 중량부로 한 것, 스테아르산아연 1 중량부 대신에 0.8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31 g/cm3이고, 두께가 3.6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559.7 %였다.
<실시예 3>
황산바륨 150 중량부 대신에 50 중량부로 한 것, 아조디카본아미드 4 중량부 대신에 2 중량부로 한 것, 스테아르산아연 1 중량부 대신에 0.6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32 g/cm3이고, 두께가 3.7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411.4 %였다.
<실시예 4>
황산바륨 150 중량부 대신에 50 중량부로 한 것, 발포성 수지 시트의 두께를 2.5 mm 대신에 2.0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16 g/cm3이고, 두께가 3.7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833.3 %였다.
<비교예 1>
황산바륨을 사용하지 않은 것, 아조디카본아미드 4 중량부 대신에 1.4 중량부로 한 것, 스테아르산아연 1 중량부 대신에 0.4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40 g/cm3이고, 두께가 3.7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225.0 %였다.
<비교예 2>
황산바륨을 사용하지 않은 것, 발포성 수지 시트의 두께를 2.5 mm 대신에 2.0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11 g/cm3이고, 두께가 3.8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818.2 %였다.
<비교예 3>
황산바륨 150 중량부 대신에 350 중량부로 한 것, 아조디카본아미드 4 중량부 대신에 6 중량부로 한 것, 스테아르산아연 1 중량부 대신에 1.3 중량부로 한 것, 발포성 수지 시트의 두께를 2.5 mm 대신에 2.0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음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방음재는 그 겉보기 밀도가 0.61 g/cm3이고, 두께가 3.6 mm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배율은 590.7 %였다.
<비교예 4>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시트(겉보기 밀도: 2.4 g/cm3, 두께: 1.7 mm)를 방음재로 하였다.
얻어진 방음재의 성형성 및 방음성을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형성)
방음재를 그 양면 온도가 140 ℃가 되도록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 였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암(雌) 금형 (1)을 준비하고, 이 암 금형 (1)을 이용하여 방음재를 진공 성형하고, 평면 원형상의 저면부 (21)과, 이 저면부 (21)에 직교한 상태로 저면부 (21)의 바깥 둘레로 연장된 원통상의 둘레벽부 (22)를 포함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성형품 (2)를 얻었다. 또한, 방음재의 진공 성형은, 성형품 (2)의 둘레벽부 (22)의 두께가 균일한 것, 저면부 (21)에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하지 않는 것, 저면부 (21)의 두께와 둘레벽부 (22)의 두께가 대략 동일한 것의 3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방음재를 최대한 깊게 진공 성형하였다.
또한, 성형품의 바깥 저면의 직경 D와, 암 금형 (1) 내에 방음재를 진공 흡인한 깊이 H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진공 성형 최대 연신비(drawing ratio)(H/D)를 산출하고, 이것을 성형성의 지표로 하였다. 진공 성형 최대 연신비가 크면 클수록 방음재는 성형성이 우수하다.
진공 성형 최대 연신비(H/D)=깊이 H/직경 D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진공 성형 최대 연신비가 0.8 이상이며, 방음재는 어느 것이나 우수한 성형성을 갖고 있었다. 비교예 1은 진공 성형 최대 연신비가 0.6이며, 이 정도의 성형성으로는 방음재를 금형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정확하게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3의 방음재는 성형성이 떨어지고, 저면부에 바로 구멍이 생겨 거의 진공 성형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4의 방음재는 성형성이 떨어지고, 저면부에 바로 구멍이 생겨 전혀 진공 성형이 불가능하였다.
(방음성)
방음재의 차음성을 JIS A1416에 기초하여 측정하고 방음성의 지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음원실과 잔향실의 구획 도어에 개설된 한변이 600 mm인 정방 형상의 방음재 장치용 개구부에 방음재를 부착하여 개구부를 전면 폐쇄하였다. 그 후, 음원실의 음원으로부터 90 dB의 소리를 발생시켜, 잔향실에서 음의 크기 A를 소음계(리온사 제조, 상품명「정밀 소음계 NA-27」)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방음재 장치용 개구부에 방음재를 부착하지 않고, 개구부를 전면 개방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요령으로 음의 크기 B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차음성을 산출하였다.
차음성(dB)=(음의 크기 B)-(음의 크기 A)
Figure 112008016562383-PCT00002
본 발명의 방음재는 우수한 방음성 및 성형성을 갖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피방음 부재에 적용할 수 있고, 자동차 용도, 철도 용도, 건축 용도 등의 광범위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와,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00 중량부의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이 무기산의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4. 제1항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0.1 내지 0.8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5. 제1항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250 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6. 제1항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이 황산바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7.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수지 배율이 3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재.
KR1020087005559A 2005-09-08 2006-09-05 방음재 KR20080053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1283 2005-09-08
JP2005261283 2005-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87A true KR20080053287A (ko) 2008-06-12

Family

ID=3788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59A KR20080053287A (ko) 2005-09-08 2006-09-05 방음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72932A1 (ko)
EP (1) EP1923421A4 (ko)
JP (1) JPWO2007034672A1 (ko)
KR (1) KR20080053287A (ko)
CN (1) CN101258190A (ko)
WO (1) WO2007034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3948B (zh) * 2010-04-14 2011-08-17 南通杰西电器有限公司 一种双重消声器
CN106916363B (zh) * 2015-12-25 2019-06-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隔音材料组合物和车用隔音片材
JP7105073B2 (ja) * 2017-03-23 2022-07-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防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705B2 (ko) * 1972-02-18 1977-03-17
US4407768A (en) * 1982-01-08 1983-10-04 Phillips Petroleum Company Foamable polymeric composition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and hydrated alumina
JP2530299B2 (ja) * 1991-03-27 1996-09-04 イスクラ産業株式会社 吸音性を有するフェンス用遮音板
JP3730152B2 (ja) * 2001-10-02 2005-12-21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非架橋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非架橋発泡体
JP2005068203A (ja) * 2003-08-28 2005-03-17 Nitto Denko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組成物とその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3421A1 (en) 2008-05-21
EP1923421A4 (en) 2012-05-09
WO2007034672A1 (ja) 2007-03-29
JPWO2007034672A1 (ja) 2009-03-19
CN101258190A (zh) 2008-09-03
US20090272932A1 (en)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8536A1 (en) Molded body of thermoplastic resin having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KR100697542B1 (ko) 연속 기포 발포체 제조용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 패널 및 발포체 시트
KR20190025337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흡차음재
KR20080053287A (ko) 방음재
CN107922661B (zh) 可热膨胀的泡沫
JPH09157426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射出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WO2005023917A1 (ja) 充填発泡用組成物、充填発泡部材および充填用発泡体
JPWO2009001473A1 (ja) メタロセン−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共重合体ゴム系連続気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253427B2 (ja) 自動車用物品収納部材
JP2019035821A (ja) 遮音材
JP5139861B2 (ja) 自動車用制振シートの製造方法
JP3553235B2 (ja) 剛性発泡体の製造法
WO2004078832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及び成形品
JP2007045979A (ja) 自動車用内装材
JP315271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
CN104774356B (zh) 发泡体及发泡体的制造方法
JP2007071347A (ja) 制振材
JP4313637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2017082161A (ja) 発泡成形品
KR100535011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흡음재
JP2024072151A (ja) 居住空間内に空気を送り込むダクト
JP2002003631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内装材
JPH1013991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6087524B2 (ja) 発泡体及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2017037171A (ja) 吸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