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668A -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668A
KR20080049668A KR1020070122899A KR20070122899A KR20080049668A KR 20080049668 A KR20080049668 A KR 20080049668A KR 1020070122899 A KR1020070122899 A KR 1020070122899A KR 20070122899 A KR20070122899 A KR 20070122899A KR 20080049668 A KR20080049668 A KR 2008004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amera module
cover member
lens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060B1 (ko
Inventor
스스무 아오키
이쿠오 신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4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9309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60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39593A/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제작시의 접착제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촬상 영역 내로의 침입을 방지하여 제조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카메라 모듈(1)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5)와, 센서(5)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유리 커버(7)와, 센서(5) 및 유리 커버(7)를 유지하고, 센서(5)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플렉시블 기판(6)과, 입사광을 센서(5)에 집광하는 렌즈 유닛(2)과, 렌즈 유닛(2)을 유지하고, 측벽부(3e)의 하단면이 접착제(11)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6)에 접착된 대좌(3)를 포함하고, 대좌(3)의 측벽부(3e)를 따라 접착제(11)를 퇴피시키는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CAMERA MODULE AND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화에 적합한 카메라 모듈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 등에도 카메라시스템이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피사체 화상을 이미지 센서에 결상시키는 카메라 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전화 등이 소형화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더 한층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초점 정밀도가 높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해당하는 기술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렌즈와, 이 렌즈를 지지하는 경통과, 렌즈를 거쳐 입사된 광에 의거하여 센서부에 의하여 촬상하고,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칩과, 창부를 가지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경통은 배선기판의 면 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칩은 센서부가 배선기판의 창부에 위치하도록 배선기판의 경통이 고정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고정된다.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51973호 공보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는, 렌즈를 유지하는 경통과 촬상 소자를 수납하는 대좌 마운트를 원 패키지화하여 활용되지 않는 스페이스를 배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부품을 고정하는 경우, 소형화를 위하여 각 부품 사이에 확보된 간극을 적극 작게 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이면 접착제의 밀려 나옴은 간극으로 들어가 있었으나,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따라 간극이 작아졌기 때문에, 접착제의 밀려 나옴이 문제가 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제작시의 접착제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촬상 영역 내에의 침입을 방지하여 제조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촬상 소자와 렌즈의 종횡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높은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촬상 소자 및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의 하단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기판에 접착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대좌 마운트의 측벽부는, 접착제를 퇴피시키는 퇴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퇴피수단은 대좌 마운트에서 커버부재가 대향하는 면에 측벽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오목부의 모서리 영역에는 C면이 설치되고, 각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홈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퇴피수단은 측벽부의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측벽부의 모서리부에서의 내면 측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퇴피수단은 측벽부의 하단면의 일부가 두께가 얇게 형성된 얇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촬상 소자 및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가 기판에 설치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대좌 마운트에서의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적외파장 영역의 광을 차단하고, 또한 통과 광량을 제한하는 중간 고리를 더 포함하며, 렌즈를 복수 포함하고, 중간 고리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 는 커버부재와, 촬상 소자 및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의 측단면이 기판에 설치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대좌 마운트에는 측벽부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오목부의 모서리 영역에는 C면이 설치되고, 모서리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홈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대좌 마운트의 측벽부에는, 측벽부의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측벽부의 모서리부에서의 내면 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대좌 마운트에는 커버부재에 맞닿는 보스가 더 형성되고, 보스는 오목부로부터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촬상장치는,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촬상 소자 및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가 기판에 설치되고, 측벽부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대좌 마운트와, 기판에 접속되고, 기판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제작시의 접착제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촬 상 영역 내에의 접착제의 침입을 방지하여 제조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와 렌즈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높은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은 복수매의 렌즈를 유지하고, 입사광을 센서(5)상에서 결상하는 렌즈 유닛(2)과, 필터(4)와 센서(5)를 수용하는 측벽부(3e)를 가지고, 또한 렌즈 유닛(2)을 유지하는 대좌(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메라 모듈(1)은 외광의 특정한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필터(4)와, 입사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은 필터(4)와 센서(5) 사이에 배치된 방형의 유리 커버(7)와, 대좌(3)를 접착하여 센서(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기판(FPC:Flexible Printed Circuit) (6)을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6)의 이면의 대좌(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강판(10)이 고착되어 있다. 또 렌즈 유닛(2)을 대좌(3)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부품을 경통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대좌(3)는 렌즈 유닛(2)이 설치되는 원통부(3a)와, 필터(4) 및 센서(5)를 수용 유지하기 위한 직사각형부(3b)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대좌(3)는 원통 부(3a)의 내부 공간과 직사각형부(3b)의 내부 공간이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대좌(3)는 내면에서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좁히도록 형성된 플랜지부(3d)(도 3 참조)를 가진다.
대좌(3)의 원통부(3a)에서의 안 둘레면에는 암나사(3c)가 형성되고, 렌즈 유닛(2)의 바깥 둘레면에는 이 암나사(3c)에 대응하는 수나사(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2)은 대좌(3)의 원통부(3a)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렌즈(2b)가 대좌(3)에 직접 설치되어도 된다.
대좌(3)의 직사각형부(3b)에서의 원통부(3a)와는 반대측의 끝면에는, 측벽부(3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직사각형부(3b)의 측벽부(3e)의 하단면이 플렉시블 기판(6)과 접착제(11)로 고착된다. 다시 설명하면 플렉시블 기판(6)은 유연성, 굴곡성 및 적은 스페이스성을 가지는 회로 기판이고,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위에 인쇄 또는 에칭 등에 의하여 회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6)의 한쪽 끝부에 대좌(3)가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6)의 다른쪽 끝부에 커넥터(6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6a)는 플렉시블 기판(6)에 의하여 센서(5)와 접속되어 있고, 도시 생략한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2)은 렌즈 유닛(2) 본체의 배럴(홀더)(2a)과, 배럴(2a)에 유지되는 2매의 렌즈(2b)를 가진다. 배럴(2a)의 끝면에는 개구부(2d)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2b)는 외광을 센서(5)의 수광영역(촬상 영 역)(5a)에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소자이다. 즉, 렌즈(2b)는 개구부(2d)에서의 광이 결상하여 센서(5)에 입사하도록 소정의 광학계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매의 렌즈(2b)로 구성되고, 렌즈(2b) 사이에 중간 고리(2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고리(2e)는, 통과 광량을 제한하는 조리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렌즈 누름부(2f)가 2매의 렌즈(2b)를 누르고 있다. 렌즈 유닛(2)은 대좌(3)의 원통부(3a)에 비틀어 넣고, 나사작용에 의하여 결상조정이 행하여진 후에 접착제(11)(도 4 참조)에 의하여 대좌(3)에 고착된다. 이에 의하여 렌즈 유닛(2)의 초점 맞춤을 실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유닛(2)은 2매의 렌즈(2b)로 구성되어 있으나, 1매 또는 3매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배럴(2a)은 예를 들면 흑색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차광성이 있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 렌즈(2b)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나 올레핀계의 재료, 실리콘계 수지 등의 강성수지나 유리에 의하여 구성된다.
필터(4)는 외광의 특정한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필름형상의 부재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외선제거 필터(IRCF : Infrared Cut Filter)를 사용하고 있다. 필터(4)는 도시 생략한 접착제에 의하여 플랜지부(3d)에 설치되어 있다. 필터(4)가 플랜지부(3d)에 설치되면, 대좌(3)의 내부 공간이 2개로 구분된다. 이 필터(4)는 센서(5)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난반사의 영향을 억제하고 있다. 센서(5)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촬상 소자)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CSP(Chip Scale Package)구조를 가지는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센서(5)는 렌즈 유닛(2)을 거쳐 수광영역(5a)에 입사한 광에 따라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유리 커버(7)는, 필터(4)와 센서(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리 커버(7)에는 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유리 커버(7)의 출사면(하면)측에는 센서(5)의 수광영역(5a)에 대응한 영역을 제외하고 배선 패턴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선 패턴의 전극과 센서(5)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땜납 뱀프(8)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의 위치에 설치된 땜납 뱀프(8)에 의하여 센서(5)는 유리 커버(7)에 고정됨과 동시에, 유리 커버(7)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5)와 유리 커버(7)의 이간거리는, 땜납 뱀프(8)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땜납 뱀프(8)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은 용이하기 때문에, 센서(5)와 유리 커버(7)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땜납 뱀프(8)에 의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센서(5)와 유리 커버(7)의 이간거리가 평균화된다.
유리 커버(7)의 출사면측의 전극의 다른 위치에는, 땜납 뱀프(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땜납 뱀프(9)에 의하여 유리 커버(7)와 플렉시블 기판(6)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된다. 이 땜납 뱀프(9)는, 유리 커버(7)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5)와 플렉시블 기판(6)이 서로 이간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6)의 이면의 대좌(3)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광성의 보강판(10)이 접착제(11)로 고착되어 있다. 보강판(10)은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6)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및 차광용 판형상의 부재이고, 대좌(3)의 바닥면 형상의 외형과 대략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도 3의 P부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카메라 모듈(1)에서는 대좌(3)는 접착제(11)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6)에 접착되어 있다. 대좌(3)에는 유리 커버(7)의 탑재면에 원주 형상의 복수의 보스(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12)와 유리 커버(7)가 접촉하여 유리 커버(7)와 대좌(3)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즉, 보스(12)와 유리 커버(7)를 맞대어 대좌(3)의 측벽부(3e)와 플렉시블 기판(6)을 접착제(11)에 의하여 접착하여 높이방향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하고 있다. 이 때, 대좌(3)의 측벽부(3e)의 하단면과 플렉시블 기판(6)의 사이에는 갭(15)이 있고, 그 갭(15)을 접착제(11)로 메워 접착한다. 이에 의하여 센서(5)가 설치된 유리 커버(7)는 대좌(3)의 측벽부(3e)와 플렉시블 기판(6)에 의하여 덮여진다. 접착제(11)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이나 열경화성의 접착제이고, 차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12)는 바닥면[유리 커버(7)의 탑재면](20)(도 5 참조)의 4변의 각각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4개의 보스(12)가 대좌(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12)의 수는 4개일 필요는 없으나, 유리 커버(7)가 렌즈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안정되도록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4)의 두께 분과, 필터(4)를 그 필터(4)의 탑재면에 고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두께 분을 고려하여, 그 필터(4)의 탑재면에서 보스(12)의 상면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결정되고,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보스(12)의 높이가 결정된다.
도 5는 대좌(3)를 아래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X-X'면의 단면도가 도 3의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3)의 바닥면에는 필터(4)의 탑재면(13)과, 보스(12)를 포함하는 유리 커버(7)의 탑재면(20)이 있다. 필터(4)의 탑재면(13)은 보스(12)의 안쪽에 단차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보스(12)보다 입사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4)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대좌(3)는 접착제(11)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뽑기 위한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또, 대좌(3)의 바닥면의 보스(12)를 포함하는 유리 커버(7)의 탑재면(20)에는 측벽부(3e)를 따라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1)는 접착제(11)의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양을 흡수한다. 홈부(21)는 보스(12)와 이간되어 있다.
측벽부(3e)의 내면에는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5)는 유리 커버(7)의 측단면(측면)과 맞대어져 유리 커버(7)의 종횡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측벽부(3e)의 내면 1면당 2개의 돌기부(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25) 이외의 부분은 돌기부(25)보다 오목해져 오목부(2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돌기부(25)의 수는 내면 1면당 2개일 필요는 없으나, 유리 커버(7)가 종횡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 결정되기 위하여 측벽부(3e)의 각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개 있는 것, 또는 측벽부(3e)가 상대하는 내면에 적어도 2개 배치되고, 또한 그 인접하는 내면에 적어도 1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기부(25)와 유리 커버(7)의 측단면과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함으로써 유리 커버(7)에 설치된 센서(5)의 종횡방향의 위치 정밀도(광축 위치 정밀도)를 더욱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센서(5)가 탑재된 유리 커버(7)를 이면에 보강판(10)이 접착된 플렉시블 기판(6)에 땜납 뱀프(9)에 의하여 접합한다. 또 대좌(3)에 렌즈 유닛(2)을 장착하고, 필터(4)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한다. 다음에 대좌(3)의 측벽부(3e) 하단면(접착면)에 접착제(11)를 도포하고, 플렉시블 기판(6)과 대좌(3)를 접착한다. 이 때 대좌(3)의 측벽부(3c)에 형성된 돌기부(25)가 유리 커버(7)의 측단면과 맞닿아 위치 맞춤을 실현한다.
계속해서 대좌(3)의 원통부(3a)에 비틀어 넣어져 있는 렌즈 유닛(2)에서 결상 조정한 후에, 접착제(11)에 의하여 렌즈 유닛(2)을 대좌(3)에 고착한다. 이것에 의하여 렌즈 유닛(2)의 초점방향의 위치 조절(초점 맞춤)을 실현한다.
또한, 대좌(3)의 측벽부(3e)의 하단면에 접착제(11)를 도포한 후에 플렉시블 기판(6)과 대좌(3)를 접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6)에 접합한 유리 커버(7)를 측벽부(3c)의 안쪽에 조립하여 측벽부(3e)의 하단면과 플렉시블 기판(6)을 접착할 때에 유리 커버(7)에 접착제(11)가 올라 앉아 대좌(3)의 내부로 들어갈 염려가 있다. 이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접착제(11)가 렌즈 유닛(2)으로부터 센서(5)의 촬상영역(5a)에의 입사광을 가리면, 촬영 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나, 측벽부(3e)의 내면에 돌기부(25)를 설치함으로써, 측벽부(3e)가 유리 커버(7)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시프트하기 때문에 유리 커버(7)의 크기에 대하여 부착 되는 접착제(11)의 양은 감소한다.
측벽부(3e)의 하단면(접착면)에의 접착제(11)의 도포는, 소정의 두께로 조정한 접착제(11)의 층에, 대좌(3)의 측벽부(3e)를 침지함으로써 도포를 행한다. 도 6에 측벽부(3e)에 접착제(11)를 도포하였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포의 방법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11)는 측벽부(3e)의 하단면(도 6의 부호17)뿐만 아니라 측벽부(3e)의 측면(도 6의 부호 16)으로도 밀려 나온다.
발명자가 시작(試作) 모델에서 접착제(11)의 부착상태를 측정한 바, 0.3 mm 두께로 조정한 접착제로 대좌(3)에서는 측벽부(3e)의 하단면측(17)에서 최대 0.3 mm, 측면측(16)에서 최대 0.24 mm가 되었다.
대좌(3)의 측벽부(3e)와 유리 커버(7)의 측단면의 갭(14)에 대하여 접착제(11)의 측벽부(3e) 측면(16)으로의 밀려 나옴 양의 쪽이 크기 때문에, 대좌(3)를 유리 커버(7)에 탑재할 때, 접착제(11)의 일부가 유리 커버(7)에 올라 앉는다.
도 5로 되돌아가서, 측벽부(3e)의 돌기부(25)와 유리 커버(7)의 이간거리는 치수공차의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돌기부(25)가 최대로 돌출하여 내부의 영역이 가장 좁아지고, 또한 유리 커버(7)가 최대로 제작되었을 때에도 측벽부(3c)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유리 커버(7)가 정확하게 들어 갈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돌기부(25)는 대좌(3)의 안 바닥[유리 커버(7)의 탑재면](20)에서 상승하여[더욱 정확하게는, 뒤에서 설명하는 오목부(21)의 바닥면에서 상승], 최대로 유리 커버(7) 두께의 절반의 높이까지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보다 위의 높이 부분은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의한 유리 커버(7)에의 올라 앉음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11)의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양을 흡수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좌(3)에 오목부(21)를 측벽부(3e)를 따라 설치하였다. 이 때, 오목부(21)는 보스(12)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측벽부(3e)에 돌기부(2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좌(3)에 설치한 오목부(21)의 폭을 더욱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착제(11)의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양을 흡수하기 위하여 보스(12)의 높이를 면(20)보다 높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카메라 모듈 전체의 높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좌(3)에 오목부(21)를 측벽부(3e)를 따라 설치하고 있다.
도 7에 대좌(3)의 측벽부(3e)의 하단면에 접착제(11)를 도포하였을 때의 코너부(모서리부)에서의 접착제 도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는 종래의 도포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코너부에 노치(18)를 설치하였을 때의 도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 상태를 사선으로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3)의 측벽부(3e)의 코너부에서는 표면 장력에 의하여 밀려 나옴 폭(R부의 반경)이 커진다. 코너부의 접착제(11)가 붙는 쪽은 직각이 이상이나, 발명자가 측정한 바, 본 카메라 모듈(1)에서는 약 R 0.5 mm 이었다. 대책으로서 대좌(3)의 측벽부(3e)의 코너부에 노치(18)를 설치하였다[도 7(b)참조]. 여기서 노치(18)는 측벽부(3e)의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측벽부(3e)의 모서리부에서의 내면의 측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본 카메라 모듈(1)에서는 노치 폭 0.3 mm의 노치(18)에 의하여 표면 장력에 의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 양을 약 R 0.1 mm로 경감할 수 있었다. 노치 형상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이어도, 원형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대좌(3)의 측벽부(3e)의 코너부의 접착제 대책으로서, 대좌(3)의 오목부(21)에 모서리 영역(C면)(22)을 설치하였다. 즉, 모서리 영역(22)을 설치함으로써, 모서리 영역(22)의 오목부(21)의 홈 폭을 다른 부분의 오목부(21)의 홈 폭보다 넓게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표면 장력에 의하여 안쪽에 의해 밀려 나온 접착제(11)를 흡수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본 카메라 모듈(1)의 모서리 영역(22)은 C 0.2 mm 이나, 형상은 R면이든, 사각이든 상관없다.
도 5로 되돌아가서 다시 대좌(3)와 플렉시블 기판(6)과의 사이의 접착에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 대책으로서, 대좌(3)의 측벽부(3e)에 두께가 얇은 영역인 노치(28)를 설치하였다. 즉, 측벽부(3e)의 하단면의 일부를 얇게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대좌(3)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로의 밀려 나옴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였다. 대좌(3)의 측벽부(3e)의 하단면의 노치(28)의 배치는 안쪽이든, 바깥쪽이든 양측에 병행하여 배치하여도, 교대로 배치하여도 상관없다. 또 노치(28)의 형상은 R면이어도, 삼각이나 사각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2b) 사이에 통과 광량을 제한하는 조리개 기능을 위한 중간 고리(2e)를 설치하고, 그것과는 따로 적외파장영역의 미광(迷光)을 차단할 목적으로 필터(4)를 센서(5)의 상부에 배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 고리(2e)의 위치에, 중간 고리(2e)와 적외파장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적외 커트 필터를 일체로 한 것을, 2매의 렌즈(2b) 사이에 실장하여 도 된다. 일체화된 것은 이종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동일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여 대좌(3)에의 필터(4)의 접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의 간략화와 수율 개선이 된다. 또 필터(4)를 접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박형화가 더욱 실현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2b)를 유지하는 배럴(2a)이 대좌(3)의 원통부(3a)에 나사결합하여 설치됨으로써, 렌즈(2b)가 대좌(3)에 간접적으로 유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점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대좌(3)가 렌즈(2b)를 직접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조리개를 조르거나, 광각 렌즈를 채용하거나 함으로써,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 있으면 초점 정밀도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좌(3)에 형성된 복수의 보스(12)에 유리 커버(7)가 탑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 커버(7)가 대좌(3)에 직접 탑재되도록 하여도 된다.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접착제(11)의 양이 적을 때는 오목부(21)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발명(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렌즈 유닛(2)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를 구성한다. 또, 중간 고리(2e)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 고리를, 대좌(3)는 본 발명에 관한 대좌 마운트를 구성한다. 또한 측벽부(3e)는 본 발명에 관한 측벽부를, 센서(5)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소자를 구성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6)은 본 발명에 관한 기판을 유리 커버(7)는 본 발명에 관한 커버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접착제(11)는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를, 노치(18)는 본 발명에 관한 오목부 및 퇴피수단을 돌기부(25)는 본 발명에 관한 돌기부 및 접촉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오목부(21)는 본 발명에 관한 오목부 및 퇴피수단을 모서리 영역(22)은 본 발명에 관한 모서리 영역 및 퇴피수단을, 노치(28)는 본 발명에 관한 두께가 얇은 영역 및 퇴피수단을 각각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5)와, 센서(5)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유리 커버(7)와, 센서(5) 및 유리 커버(7)를 유지하고, 센서(5)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플렉시블 기판(6)과, 입사광을 센서(5)에 집광하는 렌즈 유닛(2)과, 렌즈 유닛(2)을 유지하고, 측벽부(3e)의 하단면이 접착제(11)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6)에 접착된 대좌(3)를 포함하고, 대좌(3)의 측벽부(3e)는 접착제(11)를 퇴피시키는 퇴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측벽부(3e)에서의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유리 커버(7)에의 부착량을 줄일 수 있고, 촬상 영역으로의 스며 나옴을 없애어 카메라 모듈(1)의 제작시의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촬상 영역 내에의 접착제(11)의 침입을 방지하여 제조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대좌(3)는 유리 커버(7)가 대향하는 면에 측벽부(3e)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영역(22)을 포함하는 오목부(21)를 가지고, 모서리 영역(22)에는 C면이 설치되고, 그 홈 폭은 모서리 영역(22) 이외의 영역의 홈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부(3e)의 하단면에서의 접착 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여 커버 유리에 부착된 접착제(11)는, 오목부(21)에 들어가 촬상 영역으로 스며 나오지 않게 된다. 특히 표면 장력에 의하여 안쪽에 의해 밀려 나온 접착제(11)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측벽부(3e)의 모서리부에는측벽부(3e)의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모서리부의 내면 측에 노치(1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부(3e)의 코너부에서의 표면장력에 의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을 경감할 수 있어 커버 유리에 부착되는 접착제(11)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측벽부(3e)는 플렉시블 기판(6)과 접착하는 하단면의 일부에 두께가 얇은 영역(노치)(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좌(3)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의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부(3e)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25)가 유리 커버(7)에 복수개소에서 부분 접촉하여 유리 커버(7)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리 커버(7)가 돌기부를 구비하고, 측벽부(3e)에 복수부분에서 접촉하도록 하여도 된다. 복수개소의 부분접촉에 의하여 유리 커버(7)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2b)를 유지하는 배럴(2a)이 대좌(3)의 원통부(3a)에 나사결합하여 설치됨으로써, 렌즈(2b)가 대좌(3)에 간접적으로 유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점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대좌(3)가 렌즈(2b)를 직접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조 리개를 조르거나, 광각 렌즈를 채용하거나 함으로써, 피사체 진도(震度)를 깊게 할 수 있으면 초점 정밀도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좌(3)에 형성된 복수의 보스(12)에 유리 커버(7)가 탑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 커버(7)가 대좌(3)에 직접 탑재되도록 하여도 된다. 돌기부(25)와 유리 커버(7)의 접촉에 문제는 없기 때문이다. 유리 커버(7)에 올라 앉은 접착제(11)의 양이 많을 때는 홈부(21)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은,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5)와, 센서(5)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유리 커버(7)와, 센서(5) 및 유리 커버(7)를 유지하고, 센서(5)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플렉시블 기판(6)과, 입사광을 센서(5)에 집광하는 렌즈 유닛(2)과, 렌즈 유닛(2)을 유지하고, 측벽부(3e)의 하단면이 플렉시블 기판(6)에 설치된 대좌(3)를 포함하고, 대좌(3)에서의 유리 커버(7)에 맞닿는 면은 측벽부(3e)에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맞닿는 면의 면 정밀도를 더욱 확실하게 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좌(3)의 측벽부(3e)의 하단면을 플렉시블 기판(6)에 접착제(11)를 사용하여 접착하여 설치할 때,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유리 커버(7)에의 부착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적외파장영역의 광을 차단하고, 또한 통과 광량을 제한하는 중간 고리(2c)를 더 포함하며, 렌즈(2b)를 2매 포함하고, 중간 고리(2e)는 렌즈 유닛(2)의 복수의 렌즈(2b)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4)의 접착작업이 없어져, 작업의 간략화와 수율개선이 된다. 또 필터(4)를 접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더욱 박형화가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유리 커버(7)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내면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 커버(7)는 측벽부(3e)의 어느 쪽의 내면에서도 떼어내어 배치될 수 있음과 동시에, 광축과 수직방향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측벽부(3e)의 하단면에서의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유리 커버(7)에의 부착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1)의 제작시에 유리 커버(7)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설치한 후, 유리 커버(7)에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것이 경감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측벽부(3e)는 유리 커버(7)를 둘러 싸고, 돌기부(25)는 측벽부(3e)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개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부(3e)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개 형성되는 돌기부(25)가 유리 커버(7)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위치 결정을 하기 때문에, 유리 커버(7)에 설치된 센서(5)의 종횡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측벽부(3e)는 유리 커버(7)를 둘러 싸고, 돌기부(25)는 측벽부(3e)의 상대하는 내면에 적어도 2개 형성되고, 또한 그 인접하는 내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부(3e)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개 형성되는 돌기부(25)가, 유리 커버(7)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위치 결정을 하기 때문에, 유리 커버(7)에 설치된 센서(5)의 종횡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은, 유리 커버(7)의 탑재면(20)에 유리 커버(7)에 맞닿는 보스(12)가 설치되고, 보스(12)는 오목부(21)로부터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11)를 퇴피시키는 오목부(21)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촬상장치)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을 탑재한 촬상장치의 일례로서의 휴대전화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은, 휴대전화기(100) 이외에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탑재되는 카메라, 자동차에 탑재되는 카메라 또는 감시 카메라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휴대 전화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0)는 카메라 모듈(1)로부터의 화상신호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행하는 신호처리부의 일례로서의 화상처리 프로세서(ISP)(101)와, 휴대전화기(100)에서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MPU(Micro Processing Unit)(102)와, 이 MPU(102)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주기 위한 입력키(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전화기(100)는 카메라 모듈(1)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를 비추는 액정 디스플레이(LCD)(104)를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전화기(100)는, 휴대전화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105)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카드(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100)는, 안테나(107)를 거쳐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의 전파 를 수신하여, 휴대전화 사업자 등이 제공하는 서버와 무선통신을 행하는 RF(Radio Frequency)부(108)와,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부(109)와, 통화시의 음성이나 착신 멜로디 등의 소리를 재생하는 오디오 코덱부(112)와, 오디오 코덱부(11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착신 명동음(鳴動音)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0)와, 착신을 광에 의하여 통지하기 위하여 LED(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메라 모듈(1)은 예를 들면 IIC 나 SPI 등의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MPU (102)와의 통신이 행하여져 신호가 송수신된다.
휴대전화기(100)에서는 입력키(103)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사용 모드가 선택되면 MPU(102)는 카메라 모듈(1)과의 통신을 개시한다. 그리고 MPU(102)는 카메라 모듈(1)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카메라 모듈(1)의 렌즈 유닛(2)을 투과한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카메라 모듈(1)의 센서(5)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ISP(101)에서 신호처리가 실시된다. ISP(101)에서 신호처리된 화상신호는, 휴대전화기(100)의 메모리(105)에 일시적으로 보존되고, LCD(104)에 라이브뷰로서 표시된다.
그런데 피사체의 촬영은 입력키(103)에 있는 셔터 버튼으로 행하여진다. 셔터 버튼을 누르면 MPU(102)는 LSP(101)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05)에 보존한다. MPU(102)에는 JPEG이나 MPEG 등의 방법에 의한 압축 해동 회로가 포함되어 있고, 메모리(105)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는, MPU(102)에 의하여 압축처리되어 메모리 카드(106)에 기록된다. 또 메모리 카드(106)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MPU(102)에 의하여 해동하고, 메모리(105)에서 판독하여 LCD(104)에 다시 표시시키 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MPU(102)에서는 입력키(103)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촬영모드의 선택이나 화이트밸런스나 노출, 감도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 ISP(101)에서 처리된 화상데이터를 메모리(105)에 보존할 때에 디지털 줌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00)는 촬상장치에 관한 발명(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ISP(101)는 본 발명에 관한 신호처리부를 구성한다. 또한 렌즈유닛(2)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를, 대좌(3)는 본 발명에 관한 대좌 마운트를 구성한다. 또한 측벽부(3e)는 본 발명에 관한 측벽부를, 센서(5)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소자를 구성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6)은 본 발명에 관한 기판을 유리 커버(7)는 본 발명에 관한 커버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접착제(11)는 본 발명에 관한 접착제를, 카메라 모듈(1)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00)는,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5)와, 센서(5)에의 광을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유리 커버(7)와, 센서(5) 및 유리 커버(7)를 유지하고, 센서(5)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플렉시블 기판(6)과,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 유닛(2)과, 렌즈 유닛(2)을 유지하고, 측벽부(3e)가 플렉시블 기판(6)에 설치되고, 측벽부(3e)를 따라 오목부(21)가 형성된 대좌(3)를 포함한다. 따라서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설치 후에도 유리 커버(7)에 가해지는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좌(3)와 플렉시블 기판(6)을 접착제(11)로 접착하여 설치할 때, 측벽부(3e)의 하단면에서의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유리 커버(7)에의 부착 량을 경감할 수 있고, 촬상 영역에의 밀려 나옴을 없애어 카메라 모듈(1)의 제작시 접착제(11)의 밀려 나옴에 기인하는 촬상 영역 내로의 접착제(11)의 침입을 방지하여 제조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측벽부(3e)의 내면에 설치된 돌기부(25)가, 측벽부(3e)와 접촉하여 유리 커버(7)의 종횡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이에 의하여 종횡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높은 카메라 모듈(1)을 탑재한 휴대전화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P부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대좌를 밑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측벽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측벽부의 코너부에서의 접착제 도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모듈 2 : 렌즈 유닛(렌즈)
2a : 배럴 2b : 렌즈
2c : 수나사 2d : 개구부
2e : 중간 고리 2f : 렌즈 누름부
3 : 대좌(대좌 마운트) 3a : 원통부
3b : 직사각형부 3c : 암나사
3d : 플랜지부 3e : 측벽부
4 : 필터 5 : 센서(촬상 소자)
6 : 플렉시블 기판 6a : 커넥터
7 : 유리 커버(커버부재) 8, 9 : 땜납 댐프
10 : 보강판 11 : 접착제
12 : 보스 18 : 노치(퇴피수단)
21 : 오목부(퇴피수단) 22 : 모서리 영역(퇴피수단)
28 : 노치(두께가 얇은 영역, 퇴피수단)
100 : 휴대전화기
101 : 화상처리 프로세서(ISP)(신호처리부)
102 : MPU 103 : 입력키
104 : 액정디스플레이(LCD) 105 : 메모리
106 : 메모리 카드 107 : 안테나
108 : RF부 109 : 베이스 밴드부
110 : 스피커 111 : LED
112 : 오디오 코덱부

Claims (15)

  1.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의 광을 상기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상기 입사광을 상기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의 하단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판에 접착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대좌 마운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접착제를 퇴피시키는 퇴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수단은, 상기 대좌 마운트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측벽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모서리 영역에는 C면이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홈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수단은, 상기 측벽부의 상기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상기 측벽부의 모서리부에서의 내면 측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수단은, 상기 측벽부의 상기 하단면의 일부가 두께가 얇게 형성된 얇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의 광을 상기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상기 입사광을 상기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가 상기 기판에 설치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대좌 마운트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기 커버부재를 둘러 싸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측벽부의 모서리부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기 커버부재를 둘러 싸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대하는 상기 내면에 적어도 2개 형성되고, 또한 그 인접하는 상기 내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6항에 있어서,
    적외파장영역의 광을 차단하고, 또한 통과 광량을 제한하는 중간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를 복수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리는, 상기 복수 렌즈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의 광을 상기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상기 입사광을 상기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의 하단면이 상기 기판에 설치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대좌 마운트에는, 상기 측벽부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모서리 영역에는 C면이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홈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 마운트의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하단면의 면적을 줄이도록 상기 측벽부의 모서리부에서의 내면 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 마운트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맞닿는 보스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의 광을 상기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상기 입사광을 상기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가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대좌 마운트와,
    상기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의 광을 상기 입사광으로서 투과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및 상기 커버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출력하는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기판과,
    상기 입사광을 상기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측벽부가 상기 기판에 설치된 대좌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대좌 마운트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단면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위치결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70122899A 2006-11-30 2007-11-29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KR101442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4096 2006-11-30
JP2006324096A JP4930989B2 (ja) 2006-11-30 2006-11-30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2006326059A JP2008139593A (ja) 2006-12-01 2006-12-01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JP-P-2006-00326059 2006-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668A true KR20080049668A (ko) 2008-06-04
KR101442060B1 KR101442060B1 (ko) 2014-09-18

Family

ID=3947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99A KR101442060B1 (ko) 2006-11-30 2007-11-29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80773B2 (ko)
KR (1) KR101442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0233A (ja) * 2011-09-22 2013-04-18 Canon Inc 撮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907B2 (en) 2009-02-06 2014-10-21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for mounting on a vehicle
JP5532881B2 (ja) * 2009-04-10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車載撮像装置、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771350B2 (ja) 2009-04-28 2015-08-26 レノボ・イノベーションズ・リミテッド(香港) 携帯型電子機器のケース構造、携帯型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02497B (zh) * 2009-06-25 2015-03-25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摄像单元
KR101737478B1 (ko) * 2009-12-14 2017-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3159B1 (ko) * 2010-07-06 2012-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369702B2 (en) 2010-07-13 2013-02-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US8611077B2 (en) 2010-08-27 2013-12-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US8559806B2 (en) * 2010-12-29 2013-10-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432202B2 (ja) * 2011-03-31 2014-03-05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KR101875419B1 (ko) * 2011-11-29 2018-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WO2013081339A1 (en) * 2011-11-29 2013-06-0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TWI547161B (zh) * 2012-08-16 2016-08-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器模組及取像模組
KR102214331B1 (ko) * 2013-11-05 2021-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50255365A1 (en) * 2014-03-05 2015-09-10 Nvidia Corporation Microelectronic package plate with edge recesses for improved alignment
KR20160069714A (ko) * 2014-12-09 2016-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5739218B (zh) * 2014-12-29 2021-02-05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
CN112255862B (zh) * 2015-11-06 2021-10-01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组
JP6524951B2 (ja) * 2016-03-30 2019-06-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6809064B2 (ja) * 2016-09-12 2021-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センサーモジュール、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CN206339820U (zh) * 2016-12-10 2017-07-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成像镜头
CN109286735A (zh) * 2017-07-21 2019-01-29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摄像头模组的装配结构、减小摄像头模组尺寸的装配方法
CN107529002A (zh) * 2017-09-26 2017-12-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10365869A (zh) * 2018-04-11 2019-10-22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其组装方法
CN210007739U (zh) * 2019-06-28 2020-01-31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8997A (ja) * 2000-06-12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3848062B2 (ja) * 2000-06-22 2006-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
JP4647851B2 (ja) 2001-08-07 2011-03-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718421B1 (ko) * 2002-06-28 2007-05-1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듈 카메라,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및 촬상 소자의 패키징 방법
US20050242410A1 (en) * 2002-07-18 2005-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mera module, holder for use in a camera modu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JP4314825B2 (ja) 2003-01-14 2009-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KR100539259B1 (ko) * 2004-04-26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으로 정렬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그제조방법 및 렌즈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KR100652375B1 (ko) * 2004-06-29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패키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구조물및 그 제조방법
JP2006080961A (ja) 2004-09-10 2006-03-23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6157475A (ja) * 2004-11-30 2006-06-15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KR10065815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JP4254765B2 (ja) * 2005-08-31 2009-04-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0233A (ja) * 2011-09-22 2013-04-18 Canon Inc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0773B2 (en) 2011-07-19
US20080131112A1 (en) 2008-06-05
KR101442060B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60B1 (ko) 카메라 모듈 및 촬상장치
JP493098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US703092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utilizing the same
JP200900307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EP4064665A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82446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124515A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CN112492129B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EP4064661A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81395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4714233B2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US20220283024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4254259A (ja) 撮像装置及び小型電子機器
CN112987220A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03324635A (ja) 撮像素子ユニット
JP4696192B2 (ja) 固体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0815372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US8049809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JP4360244B2 (ja) 撮像装置
JP4375116B2 (ja) 撮像装置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JP200922485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CN219304934U (zh) 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218940818U (zh) 驱动马达、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12753209B (zh) 摄像模组中的承载结构及制造方法、摄像模组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