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139A - 차량용 페달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8139A KR20080048139A KR1020060118108A KR20060118108A KR20080048139A KR 20080048139 A KR20080048139 A KR 20080048139A KR 1020060118108 A KR1020060118108 A KR 1020060118108A KR 20060118108 A KR20060118108 A KR 20060118108A KR 20080048139 A KR20080048139 A KR 20080048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base
- neutral
- vehicle
- rotary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왼쪽발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왼쪽발에 의한 조작으로 차량 운전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운행의 편의성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페달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다른 각도의 도면,
도 4는 페달판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제1중립지지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제1스위치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베이스 3; 제1회동축
5; 제2회동축 7; 페달판
9; 제1중립지지수단 11; 제1스위치수단
13; 발걸림부재 15; 베이스측지지판
17; 제1회동축측지지판 19; 스프링
21; 전기단자 23; 스위치플레이트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차량 등과 같이 왼쪽 발로 조작할 페달이 없는 차량 등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심리적 및 육체적 피로감을 해소하고 차량 조작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수동변속기 차량에 필요한 클러치페달이 없어짐에 따라, 운전자가 오른발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만을 반복적으로 조작하고, 왼쪽발은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오른발만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운전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수동변속기 차량에 익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는 왼쪽발로 조작할 대상이 없어짐에 따라 심리적인 불안감이 생겨 안전운전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왼쪽발의 운동이 가능하며, 왼쪽발에 의한 조작으로 차량 운전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운행의 편의성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페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페달구조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동축에 직교하는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에 설치된 페달판과;
상기 제1회동축과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1회동축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회동축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중립지지수단과;
상기 제1회동축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 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1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에 대하여 상기 제2회동축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2회동축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중립지지수단과;
상기 제2회동축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2스위치수단;
상기 제1스위치수단과 제2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 차량의 제어에 사용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축(3)과; 상기 제1회동 축(3)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동축(3)에 직교하는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축(5)과; 상기 제2회동축(5)에 설치된 페달판(7)과; 상기 제1회동축(3)과 베이스(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제1회동축(3)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회동축(3)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중립지지수단(9)과; 상기 제1회동축(3)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 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1스위치수단(11)과; 상기 제1회동축(3)과 제2회동축(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3)에 대하여 상기 제2회동축(5)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2회동축(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중립지지수단과; 상기 제2회동축(5)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2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스위치수단(11)과 제2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 차량의 제어에 사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는 운전자의 왼쪽발에 인접한 위치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동축(3)은 차량의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페달판(7)은 종래의 클러치페달과 유사한 상태로 차체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페달판(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발 앞쪽이 삽입되어 페달판(7)의 전방측을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페달판(7)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페달판(7) 앞쪽에 발걸림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왼쪽 발을 상기 페달판(7)의 발걸림부재(13)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페달판(7)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축(3)을 중심으로 회 동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제2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중립지지수단(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로부터 상기 제1회동축(3)을 향하여 돌출된 베이스측지지판(15)과; 상기 제1회동축(3)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를 향하여 돌출된 제1회동축측지지판(17)과; 상기 베이스측지지판(15)들과 상기 제1회동축측지지판(17)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 제1스위치수단(11)은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측에 설치된 다수의 전기단자(21)와; 회동됨에 의해 상기 전기단자(21)에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상태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1회동축(3)에서 돌출된 다수의 스위치플레이트(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중립지지수단 및 제2스위치수단은 상기 제1중립지지수단(9)과 제1스위치수단(11)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구성하며, 설명의 간단 명료함을 위해 제2중립지지수단과 제2스위치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중립지지수단(9) 및 제2중립지지수단 등이 구비된 구조에 의해서, 운전자는 상기 페달판(7)을 왼발으로 조작하면서 왼발을 운동하여, 육체적인 피로를 풀 수 있고, 수동변속기 차량에 익숙한 운전자는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스위치수단(11)과 제2스위치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종 전기 전자장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바, 그 일 예로서, 상기 제2스위치수단을 차량의 방향표시등의 점멸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페달판(7)은 상기 제2회동축(5)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회동시키면 좌측 방향표시등이 점멸을 개시하고,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우측 방향표시등이 점멸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향표시등이 점멸을 개시한 후에는 상기 페달판(7)을 점멸하고 있는 쪽의 방향표시등의 반대쪽으로 회동시키면, 방향표시등의 점멸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와 제2스위치수단에 의한 방향표시등의 제어는, 종래에 스티어링컬럼에 장착된 방향표시스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조작에 의해 방향표시등의 점멸개시 및 점멸종료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병렬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수단(11)은 수동모드를 가진 변속레버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 또는 - 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변속레버가 + 와 - 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운전자가 상기 페달판(7)을 밟으면 상기 변속레버를 +로 조절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페달판(7)을 들어올리면 - 로 조절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컨트롤러가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상기 변속레버가 종래의 P,R,N,D 의 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지 않고, 단지 운전자가 왼발을 밟거나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 다른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장비를 상기 제1스위 치수단(11)으로부터의 신호 또는 제2스위치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왼쪽발의 운동이 가능하며, 왼쪽발에 의한 조작으로 차량 운전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운행의 편의성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한다.
Claims (5)
-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축과;상기 제1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동축에 직교하는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축과;상기 제2회동축에 설치된 페달판과;상기 제1회동축과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1회동축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회동축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중립지지수단과;상기 제1회동축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 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1스위치수단과;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에 대하여 상기 제2회동축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중립상태와,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2회동축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중립지지수단과;상기 제2회동축이 상기 중립상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회동되면 전기적 접속상태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제2스위치수단;상기 제1스위치수단과 제2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 차량의 제어에 사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베이스는 운전자의 왼쪽발에 인접한 위치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고;상기 제1회동축은 차량의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페달판에는운전자의 발 앞쪽이 삽입되어 페달판의 전방측을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페달판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페달판 앞쪽에 발걸림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중립지지수단은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회동축을 향하여 돌출된 베이스측지지판과;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돌출된 제1회동축측지지판과;상기 베이스측지지판들과 상기 제1회동축측지지판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수단은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된 다수의 전기단자와;회동됨에 의해 상기 전기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상태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1회동축에서 돌출된 다수의 스위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108A KR101241710B1 (ko) | 2006-11-28 | 2006-11-28 | 차량용 페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108A KR101241710B1 (ko) | 2006-11-28 | 2006-11-28 | 차량용 페달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8139A true KR20080048139A (ko) | 2008-06-02 |
KR101241710B1 KR101241710B1 (ko) | 2013-03-08 |
Family
ID=3980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8108A KR101241710B1 (ko) | 2006-11-28 | 2006-11-28 | 차량용 페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71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5574A (ja) * | 1994-05-30 | 1995-12-12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電子楽器のペダル型操作子及び電子楽器 |
JP3554624B2 (ja) * | 1995-11-01 | 2004-08-18 | 株式会社コルグ | ペダル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鍵盤楽器 |
JP2002220002A (ja) * | 2001-01-25 | 2002-08-06 | Kenwood Corp | 車載用電子機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
JP3884470B1 (ja) * | 2006-03-07 | 2007-02-21 | 大輔 徳永 | 自動車用ペダル装置 |
-
2006
- 2006-11-28 KR KR1020060118108A patent/KR1012417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1710B1 (ko) | 2013-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145540A1 (en) | Dual linear control footswitch | |
US20030139213A1 (en) | Game controller | |
CN109307061B (zh) | 电子变速器系统 | |
US10443709B2 (en) | Dial shifter | |
US832650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by-wire in a motor vehicle | |
US20190353241A1 (en) | 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 |
JP2012214226A (ja) | 触覚変速装置 | |
US11965311B2 (en) | Work machine operation apparatus and work machine | |
JPH07234628A (ja) | 模擬ステアリング装置 | |
KR20140107864A (ko) | 팝업식 변속레버 | |
JP4559646B2 (ja) | シフト装置 | |
US10253869B2 (en) | Lever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 |
KR101241710B1 (ko) | 차량용 페달구조 | |
JP4624973B2 (ja) | シフト装置 | |
CN211875077U (zh) | 车辆的换挡装置和具有其的车辆 | |
US6459169B1 (en) | Vehicular input device capable of being adjusted to conform to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the operator | |
EP1076193B1 (en) | Operating apparatus with a rotary knob for us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 |
CN100447031C (zh) | 操纵杆装置 | |
US11651914B2 (en) | Vehicle shifter with one position toggle switch with monostable/return to center functionality | |
JP4366219B2 (ja) | コンバイン | |
CN202371139U (zh) | 变速操纵装置、变速操纵系统以及汽车 | |
US11993920B2 (en) | Work machine control system | |
KR101575370B1 (ko) | 차량의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 조작장치 | |
JP2013237282A (ja) | 作業車両のhst変速装置 | |
JPH08116719A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