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080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080A
KR20080046080A KR1020070081966A KR20070081966A KR20080046080A KR 20080046080 A KR20080046080 A KR 20080046080A KR 1020070081966 A KR1020070081966 A KR 1020070081966A KR 20070081966 A KR20070081966 A KR 20070081966A KR 20080046080 A KR20080046080 A KR 2008004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mono
halftone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62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image types, e.g. two-tone, continuous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복사 대상인 문서가 컬러인지 흑백인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모노 또는 컬러 복사 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스캔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스캔화상의 색상비와,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고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 기준색상비의 차가 소정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모노/컬러 판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사 대상인 문서가 컬러인지 흑백인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모노 또는 컬러 복사 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원본화상이 있는 복사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얻은 스캔화상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인쇄매체에 프린팅을 수행하여 복사된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 컬러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흑백(이하, "모노(monochrome)"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컬러로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모노 복사를 할 것인지 아니면 컬러 복사를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의 복사를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모노 또는 컬러 복사를 일일이 선택하도록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복사 대상인 원본화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본화상의 속성에 대응하여 컬러 모드 및 모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기술이 일본공개특허 제2006-138930호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모노 또는 컬러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여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모노/컬러 판별의 정확성과,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복사 성능을 결정하게 된다.
모노/컬러 판별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원본화상의 속성에 따라 정확하게 대응하여 모노 복사 또는 컬러 복사를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것이며, 이는 동작의 신뢰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리고 복사 동작 효율과 관련하여, 복사 동작에는 스캔화상을 얻는 스캔 동작, 스캔화상에 대한 컬러보정, 하프토닝 등의 화상처리, 화상처리된 화상에 기초한 프린팅 동작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사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데이터 처리를 보다 효율적하는 것이 복사 속도의 향상, 부품 코스트의 절감 등의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모노/컬러 판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사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캔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와,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 기준색상비의 차가 소정 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캔부는,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여 컬러의 스캔화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은 상기 컬러의 스캔화상을 그레이변환하여 얻어진 그레이화상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의 평균화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는 상기 스캔화상에 하프토닝이 수행된 컬러하프톤화상의 제1색상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색상비는 상기 스캔화상에 그레이변환과 하프토닝이 수행된 모노하프톤화상의 제2색상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색상비 및 상기 제2색상비 각각은 시안/마젠타(C/M) 및 옐로우/마젠타(Y/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기준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스캔화상의 컬러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컬러하프톤처리부와;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와 병렬적으로 상기 스캔화상의 모노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모노하프톤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컬러하프톤화상 또는 상기 모노하프톤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모노하프톤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화상을 분할한 복수의 화상블록 각각에 대하여 컬러블록 또는 모노블록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화상 중 인접하는 상기 컬러블록 또는 상기 모노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기준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와 상기 기준색상비의 차가 소정 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상기 스캔화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여 컬러의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별기준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화상의 하프톤 표현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의 컬러하프톤 표현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공하고, 상기 화상의 컬러 포맷에 대응되며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과의 차이로 결정되는 화상의 모노하프톤 표현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의 제1색상비와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의 제2색상비로부터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과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 사이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내에는 복수의 모노값 각각이 할당된 복수의 색상값 각각의 룩업테이블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색상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룩업테이블 내의 상기 모노값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모노 출력 화상이 생성되었을 때 상기 컬러값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출력값을 기초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 영역에서 평균 화소값에 대응하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색상값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컬러하프톤 표현의 영역에서 일 색상의 도트들과, 다른 색상의 도트들로부터 상기 제1색상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컬러하프톤 화상의 영역과 상기 모노하프톤 화상의 영역은 화소블록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하프톤 화상과 모노 하프톤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의 컬러 포맷을 결정하기 위하여 컬러 하프톤 화상과 모노 하프톤 화상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컬러 하프톤 화상의 제1색상비와, 상기 모노 하프톤 화상의 제2색상비로부터 화상의 컬러 포맷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의 모노값 각각이 할당된 복수의 색상값 각각의 룩업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색상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을 생성하기 위하여 멀티-컬러하프톤 처리를 수행하는 컬러하프톤 처리부와;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을 생성하기 위하여 모노하프톤 처리를 수행하는 모노하프톤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멀티-컬러하프톤 처리와 모노하프톤 처리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당해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을 반영하여 판별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복사 대상이 칼라 인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노/컬러 판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하프톤화상을 이용하여 판별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처리 부품의 코스트를 절감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노 또는 컬러 여부를 판별하여 대응하는 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컬러하프톤화상처리와 모노하프톤화상처리를 병렬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복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사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부(110), 화상형성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부(110)는 스캔화상을 얻기 위하여 화상을 포함할 수 있는 복사대상(미도시)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얻는다. 이때, 상기 스캔부(110)는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문서인지 모노문서인지 관계없이 모두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컬러의 스캔화상을 얻을 수 있 다.
상기 화상형성부(130)는 스캔부(110)에 의해 얻어진 스캔화상에 대하여 용지 등의 인쇄매체(미도시)에 프린팅을 수행하여 복사된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기능에 수반하여 구성요소들을 조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제어부(140)는 예컨대 저장부(150)와 같은 메모리의 코드 세그먼트에 저장된 프로세싱 지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상기 코드 세그먼트에 액세스 함이 없이 내부적으로 연결된 회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버스(145)와 같은 통신경로를 통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경로와 그 위에 구현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유무선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아키텍쳐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한 코드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처리 과정 동안 화소로 처리된 화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150)는 읽기전용 메모리(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저장매체 또는 광저장매체 등의 영구저장매체와,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원본화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여부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스캔부(110)에 의해 얻어진 스캔화상의 제1색상비와,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 제2색상비의 차가 소정 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원본화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여부를 판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판별기준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색상비와 제2색상비의 차에 의하여 원본화상의 컬러/모노를 판단의 기준이 되는 판별기준치 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조절함과 아울러, 판별기준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원본화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화상처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며, 하기의 프로세스 및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세싱 지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제어부(140)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공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캔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원본화상이 있는 복사대상에 대하여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한다(S101). 특히, 컬러와 모노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스캔부(110)는 모든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여 컬러의 스캔화상을 얻는다. 즉,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유무에 관계없이 컬러 스캔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스캔부(110)에 의해 생성된 스캔화상에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각각 CMYK화상 및 그레이화상으로 변환한다(S102).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RGB 형식의 스캔화상에 RGB-CMYK 변환을 수행하여 CMYK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CMYK화상이란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및 블랙(black) 색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말한다. 그리고, RGB 형식의 스캔화상이란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 색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식의 스캔화상을 말한다.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컬러의 스캔화상에 그레이변환을 수행하여 그레이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CMYK화상 및 그레이화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컬러 보정 등과 같은 화상보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변환 저장된 CMYK화상 및 그레이화상 각각에 대하여 컬러하프톤처리 및 모노하프톤처리를 수행하여 컬러하프톤화상 및 모노하프톤화상을 생성한다(S103). 이를 위하여 상기 화상처리부(120)는 컬러하프톤처리를 수행하는 컬러하프톤처리부(121)와, 모노하프톤처리를 수행하는 모노하프톤처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121) 및 상기 모노하프톤처리부(122)는 컬러하프톤처리 및 모노하프톤처리를 각각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컬러하프톤화상 및 모노하프톤화상은 소정의 저장부(150)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121)에 의해 얻어진 컬러하프톤화상에 대하여 컬러하프톤화상의 CMY비를 결정하고, 상기 모노하프톤처리부(122)에 의해 얻어진 모노하프톤화상에 대하여 모노하프톤화상의 CMY비를 결정한다(S104). S104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컬러하프톤화상 및 모노하프톤화상 각각에 대하여 해당 화상을 분할한 블록단위로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화상을 블록단위로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300은 컬러하프톤화상 또는 모노하프톤화상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301은 해당 화상을 분할하는 하나의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의 크기 및 개수는 화상의 사이즈(A4, A3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은 64*64 화소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하프톤화상의 CMY비는 각 블록에 존재하는 CMY 도트의 비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표현된 바와 같이, 도트비(C,M) 및 도트비(Y,M)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하프톤화상의 CMY비는 "스캔화상의 색상비"의 일례이다.
도트비(C,M) = (시안 도트의 개수)/(마젠타 도트의 개수)
도트비(Y,M) = (옐로우 도트의 개수)/(마젠타 도트의 개수)
반면, 모노하프톤화상의 CMY비는 모노하프톤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CMY비로서 화상형성장치(10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CMY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뉴트럴그레이(neutral gray), 즉 무채색인 원본화상의 그레이값과, 당해 원본화상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스캔하여 얻은 스캔화상의 CMY값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참조부호 401, 402 및 403은 각각 시안값, 마젠타값 및 옐로우 값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레이값과 이에 대응하는 CMY값은 룩업테이블(이하, "그레이-CMY 룩업테이블"이라 한다)로서 소정의 저장부(150) 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모노하프톤화상의 각 블록의 그레이값으로서 해당 블록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의 평균화소값을 이용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그레이-CMY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블록의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CMY비를 결정한다. 모노하프톤화상의 CMY비는 하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로 표현한 바와 같이 그레이밸런스비(C,M) 및 그레이밸런스비(Y,M)를 포함할 수 있다. 모노하프톤화상의 CMY비는 "기준화상비"의 일례이다.
그레이밸런스비(C,M) = (시안값) / (마젠타값)
그레이밸런스비(Y,M) = (옐로우값) / (마젠타값)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각 블록이 컬러블록인지 모노블록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05). 제어부(140)는 도트비(C,M) 및 도트비(Y,M)와, 그레이밸런스비(C,M) 및 그레이밸런스비(Y,M) 각각의 차가 해당 소정 치(T1 및 T2)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조건문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조건문]
if { (도트비(C,M) - 그레이밸런스비(C,M) ) < T1 } AND
{ ( 도트비(Y,M) - 그레이밸런스비(Y,M) ) < T2 }
then 모노블록
else 컬러블록
즉, 제어부(140)는 도트비(C,M)와 그레이밸런스비(C,M)의 차가 해당 소정 판별기준치(T1) 미만이고, 도트비(Y,M)와 그레이밸런스비(Y,M) 의 차가 해당 소정 판별기준치(T2) 미만이면 당해 블록을 모노블록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컬러블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판별기준치(T1 및 T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본화상의 컬러/모노를 판단의 기준이 되는 판별기준치(T1 및 T2) 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조절함과 아울러, 판별기준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컬러블록 중에서 인접한 컬러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6).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컬러블록이 연속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501는 인접하는 컬러블록이 2개 연속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502는 인접하는 컬러블록이 3개 연속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 S106에서, 인접한 컬러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면, 제어부(140)는 당해 원본화상이 컬러인 것으로 판단하고, 컬러하프톤화상에 대하여 컬러 프린팅이 수행되도록 화상형성부(130)를 제어한다(S107).
한편, 단계 S105에서 당해 스캔화상에 컬러블록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S106에서 인접한 컬러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당해 원본화상이 모노인 것으로 판단하고, 모노하프톤화상에 대하여 모노 프린팅이 수행되도록 화상형성부(130)를 제어한다(S108).
본 실시예의 제어부(140)는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 ROM, ROM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 및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을 분할한 블록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CMY값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접한 컬러블록이 연속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스캔부
120: 화상처리부 130: 화상형성부
140: 제어부

Claims (31)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사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캔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와,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 기준색상비의 차가 소정 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여 컬러의 스캔화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은 상기 컬러의 스캔화상을 그레이변환하여 얻어진 그레이화상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의 평균화소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는 상기 스캔화상에 하프토닝이 수행된 컬러하프톤화상의 제1색상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색상비는 상기 스캔화상에 그레이변환과 하프토닝이 수행된 모노하프톤화상의 제2색상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비 및 상기 제2 색상비 각각은 시안/마젠타(C/M) 및 옐로우/마젠타(Y/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기준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컬러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컬러하프톤처리부와;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와 병렬적으로 상기 스캔화상의 모노하프톤화상을 생 성하는 모노하프톤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컬러하프톤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컬러하프톤화상 또는 상기 모노하프톤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모노하프톤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화상을 분할한 복수의 화상블록 각각에 대하여 컬러블록 또는 모노블록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화상 중 인접하는 상기 컬러블록 또는 상기 모노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복수대상에 스캔을 수행하여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와;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에 대응하는 기준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와 상기 기준색상비의 차가 소정 판별기준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상기 스캔화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대상이 컬러인지 모노인지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복사대상에 대하여 컬러 스캔을 수행하여 컬러의 스캔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그레이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화상에 그레이변환이 수행된 그레이화상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의 평균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준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화상에 하프토닝이 수행된 컬러하프톤화상의 제1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화상에 그레이변환과 하프토닝이 수행된 모노하프톤화상의 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하프톤화상의 제1색상비 및 상기 모노하프톤화상의 제2색상비 각각을 결정하는 단계는,
    시안/마젠타(C/M) 및 옐로우/마젠타(Y/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의 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화상의 컬러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색상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병렬적으로 상기 스캔화상의 모노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캔화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하프톤화상을 생 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컬러하프톤화상 또는 상기 모노하프톤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모노하프톤화상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화상을 분할한 복수의 화상블록 각각에 대하여 컬러블록 또는 모노블록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화상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블록 중 인접하는 상기 컬러블록 또는 상기 모노블록이 소정 개수 이상 연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컬러 또는 모노로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화상의 하프톤 표현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의 컬러하프톤 표현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공하고, 상기 화상의 컬러 포맷에 대응되며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과의 차이로 결정되는 화상의 모노하프톤 표현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의 제1색상비와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의 제2색상비로부터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과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에는 복수의 모노값 각각이 할당된 복수의 색상값 각각의 룩업테이블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색상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 내의 상기 모노값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모노 출력 화상이 생성되었을 때 상기 컬러값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출력값을 기초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 영역에서 평균 화소값에 대응하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색상값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컬러하프톤 표현의 영역에서 일 색상의 도트들과, 다른 색상의 도트들로부터 상기 제1색상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하프톤 화상의 영역과 상기 모노하프톤 화상의 영역은 화소블록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각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하프톤 화상과 모노 하프톤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의 컬러 포맷을 결정하기 위하여 컬러 하프톤 화상과 모노 하프톤 화상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컬러 하프톤 화상의 제1색상비와, 상기 모노 하프톤 화상의 제2색상비 로부터 화상의 컬러 포맷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복수의 모노값 각각이 할당된 복수의 색상값 각각의 룩업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색상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 내의 상기 모노값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모노 출력 화상이 생성되었을 때 상기 컬러값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출력값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 영역에서 평균 화소값에 대응하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색상값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컬러하프톤 표현을 생성하기 위하여 멀티-컬러하프톤 처리를 수행하는 컬러하프톤 처리부와;
    상기 모노하프톤 표현을 생성하기 위하여 모노하프톤 처리를 수행하는 모노하프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멀티-컬러하프톤 처리와 모노하프톤 처리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81966A 2006-11-21 2007-08-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6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05 2006-11-21
KR20060115505 2006-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80A true KR20080046080A (ko) 2008-05-26

Family

ID=3927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966A KR20080046080A (ko) 2006-11-21 2007-08-14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17484A1 (ko)
EP (1) EP1926301A2 (ko)
KR (1) KR20080046080A (ko)
CN (1) CN1011886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854B2 (en) 2008-09-24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71237B2 (en) 2012-11-20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controlling termin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0776B2 (ja) * 1997-07-02 2004-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色種判別装置
US7190487B2 (en) * 2001-09-25 2007-03-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lor conversion with hue straightening using multiple look-up tables and interpolation
US20060066884A1 (en) * 2004-09-24 2006-03-30 Kabushiki Kaisha Toshiba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854B2 (en) 2008-09-24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35215B2 (en) 2008-09-24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71237B2 (en) 2012-11-20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controlling termin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7484A1 (en) 2008-05-22
EP1926301A2 (en) 2008-05-28
CN101188661A (zh)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4281B2 (ja) プリントシステム
US8045221B2 (en) Image-processing device, image-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070030499A1 (en) Colo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824330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image quality mode and processing image data based on supplemental information
JP39642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500788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black and white reproductions of color documents
US9013754B1 (en) Color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79557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898626A2 (en) Image color determining device and image color determining method
JP333389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21027434A (ja) 画像処理装置
US2004023996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169609B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olor map with K-only black point while reducing interpolator artifacts
JP415563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80046080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15348B2 (ja) 印刷不可能な色値を印刷可能な色値に変換する方法、カラー画像を再生する画像再生システム、及び、この画像再生システムに適した色変換手段を備える制御手段
JPH10173916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23802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0165694A (ja) カラ―画像処理方法
JPH0926146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204446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760987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490346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809010B2 (ja) 読取画像補正装置、読取画像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87603A (ja) アミ点領域判別装置及びアミ点領域判別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