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628A -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628A
KR20080045628A KR1020070117309A KR20070117309A KR20080045628A KR 20080045628 A KR20080045628 A KR 20080045628A KR 1020070117309 A KR1020070117309 A KR 1020070117309A KR 20070117309 A KR20070117309 A KR 20070117309A KR 20080045628 A KR20080045628 A KR 2008004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partially
mounting hole
cavit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183B1 (ko
Inventor
사토루 니시데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 단자 피팅의 단락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다.
커넥터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60)를 위한 장착 구멍(21)이 형성되고, 리테이너(60)는 공동(13) 내로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여 유지하도록 장착 구멍(21) 내로 삽입된다. 커넥터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공동(13)을 구획하는 격벽(27)에는 장착 구멍(21) 내로 돌출하는 연장벽(28)이 마련된다. 리테이너(60)에는 연장벽(28)에 대응하는 부위에 리세스(66)가 마련된다. 격벽(27)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단자 피팅(40) 사이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연장벽(28)에 의해 길게 형성되어, 인접한 단자 피팅(40)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A CONNECTOR AND METHOD OF PREASSEMBLING I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516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에는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고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공동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각각의 공동과 연통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 구멍, 그리고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을 로킹 및 유지하도록 장착 구멍 내로 삽입 가능한 리테이너가 마련된다.
폭방향으로 인접한 공동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이 격벽에서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단에서부터 상단을 향해 절단함으로써 피팅 리세스가 형성된다. 장착 구멍은 공동의 내벽에 개구를 형성하고, 격벽의 하단은 이러한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리테이너에는 피팅 리세스에 끼워넣을 수 있는 돌출벽이 마련된다.
예컨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의 오일에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기어에서 벗겨진 스크랩이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구멍으로 진입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가늘 고 긴 철제 단편이 격벽 아래에서 교차함으로써 2개의 인접한 단자 피팅을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가늘고 긴 철제 단편이 장착 구멍에 진입하더라도, 가늘고 긴 철제 단편으로 인한 단자 피팅의 단락이 발생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리테이너의 돌출벽이 격벽의 피팅 리세스 내에 끼워져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연장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격벽은 피팅 리세스를 구비함으로써 취약하고, 칸막의 벽의 강도는 리테이너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불충분한 강도로 인해 격벽이 파단되는 경우, 인접한 단자 피팅 사이에는 더 이상 격벽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단자 피팅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철제 단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이 사이에 형성된 인접한 단자 피팅의 단락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공동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리테이너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이 리테이너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을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공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로서,
폭방향으로 인접한 공동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연장벽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 으로 삽입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인접한 공동 사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벽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늘고 긴 철제 단편과 같은 외부 물질이 장착 구멍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연장벽을 따라 연장되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길게 형성된 연면 거리로 인해 격벽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단자 피팅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벽이 마련된 경우에도 격벽을 위해 필요한 강도가 보장되기 때문에, 격벽의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단자 피팅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가 장착 구멍에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연장벽이 리테이너의 리세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장착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구멍은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는 외측 개구를 형성하고, 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공동의 내벽에는 내측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이 리테이너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을 내측 개구를 통해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외측 개구에서부터 내측 개구를 향해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에 삽입된 단자 피팅을 로킹하고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구멍 내로 돌출하고, 높이가 내측 개구의 높이보다 외측 개구의 높이에 근접한 돌출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공동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리테이너를 위한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이 장착 구멍은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는 외측 개구를 형성하고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공동의 내벽에는 내측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이 리테이너 상에 마련된 로킹 섹션을 내측 개구를 통해 공동 내로 삽입하도록 외측 개구로부터 내측 개구를 향해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어, 로킹 섹션이 공동에 삽입된 단자 피팅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로서,
폭방향으로 인접한 공동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이 장착 구멍 내로 돌출하고 높이가 내측 개구의 높이보다 외측 개구의 높이에 근접한 연장벽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에는 연장벽과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인접 공동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이 장착 구멍 내로 돌출하는 연장벽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늘고 긴 철제 단편과 같은 외부 물질이 장착 구멍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연장벽을 따라 연장하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길게 형성되는 연면 거리로 인해 격벽이 사이에 위치하는 단자 피팅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벽이 마련된 경우에도 격벽을 위해 필요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격벽의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고, 단자 피팅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가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연장벽이 리테이너의 리세스와 맞물리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장착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 피팅의 공동 내외로의 삽입 및 인출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공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제1 위치와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리테이너가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어,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에 작용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는 리테이너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개방 단부측에서 연장벽의 돌출 단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 피팅의 공동 내외로의 삽입 및 인출을 허용하도록 로킹 섹션이 공동으로부터 후퇴한 부분적인 로킹 위치와 로킹 섹션을 공동 내로 삽입하도록 리테이너가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된 완전한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로킹 섹션이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리세스는 리테이너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위치할 때 리세스의 개방 단부측에서 연장벽의 돌출 단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리테이너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위치할 때 리테이너의 리세스가 리테이너의 개방 단부측에서 연장벽의 돌출 단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리테이너 를 부분적으로 로킹된 상태로 안정성 있게 유지할 수 있으며, 완전한 로킹 위치를 향한 리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가 공동 내로의 삽입 과정 중에 장착 구멍과 실질적으로 면하는 단자 피팅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 피팅은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과 맞물림부의 맞물림, 바람직하게는 로킹 섹션과 맞물림부의 개별적인 맞물림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벽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인접한 격벽(들)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맞물림부가 공동 내로의 삽입 과정중에 장착 구멍과 면하는 단자 피팅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 피팅은 로킹 섹션과 맞물림부의 개별적인 맞물림에 의해 유지되며, 맞물림부는 측벽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인접한 격벽(들)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맞물림부는 단자 피팅의 측벽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인접한 격벽(들)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리테이너의 로킹 섹션에 의해 개별적으로 로킹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벽은 로킹 섹션과 충돌하지 않도록 격벽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벽은 격벽보다 협소한 두께로 실질적으로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으로 장착 구멍 내로 연장하는 판 형태이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장착 구멍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킹 섹션이 장착 구멍을 통해 공동으로 적어도 부 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고, 나아가 단자 피팅의 수축부에 인접한 수축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로킹 섹션과 단자 피팅의 부분이 분리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 또는 예조립하는 방법으로서,
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공동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 내로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리테이너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을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리테이너를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이 공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장착 단계에서 장착 구멍에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리테이너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장착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격벽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연장벽과 맞물리는 것인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를 개 별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을 추가의 실시예로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이 사이에 형성된 인접한 단자 피팅의 단락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는 커넥터 하우징(10),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40), 및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60)가 마련되며, 커넥터 하우징(10)은 도시하지 않은 정합 커넥터 하우징과 연결 가능하다. 정합 커넥터와의 연결측을 전방 또는 전방측이라고 칭한다.
커넥터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전체가 실질적으로 편평한 블록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팔보 형상의) 로킹 아암(11)이 커넥터 하우징(10)(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 단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방(상부)면 상에 또는 측방(상부)면에 형성된다. 로킹 아암(11)의 후방 단부(자유단)가 그 전방 단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10)을 향해, 그리고 이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예컨대,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고, 로킹 아암(11)은 탄성 변형하면서 정합 커넥터와 탄성적으로 맞물려,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서로의 안으로 분리할 수 없게 로킹한다.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단부에 또는 이 후방 단 부 근처에 조작부(12)가 마련되고, 커넥터 하우징(10)과 정합 커넥터 하우징이 로킹된 상태는 이 조작부(12)를 가압 또는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복수의 공동(13)이 커넥터 하우징(10)의 높이 방향(HD)(수직 방향)으로의 하나 이상의 단(段)(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단)에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배치된다. 단자 피팅(4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의 공동(13) 내로 삽입되며,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40)은 공동(13)의 전방벽(14)과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공동(13)의 내벽에 또는 이 내벽 상에 마련된 로킹부(15)에 의해 공동(13)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유지된다. 결합 단자 피팅의 탭을 위한 삽입 구멍(16)이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각각의 공동(14)의 전방벽(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로킹부(15)는 실질적으로 공동(13)의 내부 측방(저부)면을 따라 배치되고, 삽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하방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으며, 로킹부의 내부(상부)면 상에는 단자 피팅(40)을 로킹 및 유지하는 로킹 돌출부(17)가 마련된다. 로킹부(15)를 위한 변형 공간(18)은 커넥터 하우징(10)에서 로킹부(15)(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 또는 외측의) 휨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변형 공간(18) 및/또는 로킹부(15)의 앞부분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방면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단자 피팅(40)은, 예컨대 도전성(바람직하게는 금속) 판을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암형 단자 피팅인 것이 바람직하고, 주요부(41)[바람직하게는 박스부 또는 관부(41)], 수축부(42), 와이어 접속부[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 어 배럴(43)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 배럴(44)을 포함함]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배럴(43)을 와이어(90)의 코어부와 접속되도록 크림핑하거나 접거나 절곡시킴으로써, 및/또는 삽입 배럴(44)을 와이어의 절연부와 접속되도록 크림핑하거나 접거나 절곡시킴으로써 와이어(90)와 접속되게 되어 있다. 주요부(또는 박스부)(41)는 전체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 단자 피팅의 탭은 전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주요부(41)에 또는 주요부(41) 상에 탭과 연결 가능한 탄성 컨택트 부재(45)가 마련된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바람직하게는 전후방)의 맞물림부(47, 48)가 주요부(박스부)(41)의 측벽(46)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이들 맞물림부는 공동(13)의 내부 저부면[이하에서 설명할 장착 구멍(21)]을 향할 수 있다. 맞물림부(47, 48) 모두는 엠보싱 가공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46)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에서 산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또는 제1 맞물림부(47)는 로킹부(15)의 로킹 돌출부(17)와 맞물리거나 맞물리 수 있고, 및/또는 후방 또는 제2 맞물림부(48)는 리테이너(60)의 로킹 섹션(63)과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맞물림부(47, 48)의 외측 원주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굴곡된, 즉 곡선형 단면을 갖는] 수용 홈(19)이 커넥터 하우징(10)에서 맞물림부(47, 4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공동(13)의 내부 저부면의 폭방향 중간 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를 오목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단자 피팅(4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자세로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단자 피팅(40)의 삽입은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47, 48)가 수용 홈(19)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된 상태로 허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자 피팅(40)을 상하 역전된 자세로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맞물림부(47, 48)는 공동(13)의 후방 개구 에지와 충돌하고, 따라서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된다. 즉, 맞물림부(들)(47, 48)는 단자 피팅(40)이 공동(13) 내로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측 둘레면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실질적인 중앙부)에 리테이너(60)를 위한 장착 구멍(21)이 형성된다. 이 장착 구멍(21)은 폭방향(WD)으로 배치된 각각의 공동(13)과 실질적으로 연통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구멍(21)은 커넥터 하우징(10)의 3개의 외측면, 즉 로킹 아암(11)이 배치되지 않은 호스 측방 부분,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로킹 아암(11)이 마련된 쪽의 반대측에 있는 저부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저부면에는 좌측 및 우측면이 0 °또는 180 °를 제외한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21)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방(저부)면에 형성된 외측 개구(22), 폭방향(WD)으로 배치된 각각의 공동(13)의 내부 측방(저부)면에 형성된 내측 개구(23), 및 커넥터 하우징(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부 개구(24)를 갖고, 장착 구멍의 형성 영역 은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외측 개구(22)로부터 내측 개구(23)까지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및/또는 폭방향(WD)에 대하여 측방(좌우) 측부 개구(24) 사이로 한정된다.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면(들) 상에는 리테이너(60)의 로킹 갈고리(64)와 맞물릴 수 있는 부분적인 로킹부(25)(바람직한 제1 로킹부임)와 완전한 로킹부(26)(바람직한 제2 로킹부임)가 마련된다. 부분적인 로킹부(25)와 완전한 로킹부(26)는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부분적인 로킹부(25)와 완전한 로킹부(26)가 커넥터 하우징(1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각각의 전방부에 측방 개구(24)를 따라 상하로 배치된다.
커넥터 하우징(10)의 폭방향(WD)으로 인접한 공동(13)들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격벽(27)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의 단자 피팅(40)은 이들 격벽(27)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 또는 절연된다. 각각의 격벽(27)은 장착 구멍(2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장착 구멍(21)의 외측 개구(22)를 향해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연장벽(28)과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벽(28)은 바람직하게는 격벽(27)보다 협소한 두께로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HD)[또는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21) 내로의 리테이너(60)의 장착 방향(MD)]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이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전후 방향(RBD)으로 장착 구멍(21)의 일부 길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벽의 돌출 단부는 내측 개구(23)의 높이보다 장착 구멍(21)의 외측 개구(22)의 높이에 근접한 높이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공동(13)의 내측 저 부면의 가장 낮은 단부보다 훨씬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단자 피팅(40)들 간의 연면 거리는 연장벽(28)에 의해 야기되는 크랭크형 경로로 인해 보다 길어진다.
다음에, 리테이너(60)를 설명한다. 리테이너(60)도 마찬가지로,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연장되는 리테이너 본체(61)와, 이 리테이너 본체(6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HD)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유지판(62)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본체(61)에는 폭방향(WD)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단자 피팅(40)의 (바람직하게는 후방 또는 제2) 맞물림부(48)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로킹 섹션(63)이 마련된다. 유지 갈고리(64)가 유지판(62)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60)는 로킹 섹션(63)이 공동(1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하여 단자 피팅(40)이 공동(13) 내외로 삽입 및 인출되게 하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1P)(바람직한 제1 위치임)와 로킹 섹션(63)이 공동(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공동(13) 내에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는 완전한 로킹 위치(2P)(바람직한 제2 위치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리테이너(6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제1 위치)에 있을 때, 유지 갈고리(64)는 부분적인 로킹부, 즉 제1 로킹부(25)와 맞물려 리테이너(60)를 장착 구멍(21)에 약간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유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유지 갈고리(64)는 완전한 로킹부, 즉 제2 로킹부(26)와 맞물려 리테이너(60)를 장착 구멍에 깊히(적절한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유지한다. 리테이너(60)는 0 °또는 180 °를 제외한 각도,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40)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커넥터 하우징(10)의 연결 및 분리 방향]으로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제1 위치)와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 사이에서 장착 방향(MD)을 따라 이동된다.
로킹 섹션(63)은 리테이너 본체(61)의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실질적인 후방 절반부)보다 리테이너 본체(61)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전방 절반부)에서 약간 높게 형성되고, 로킹 섹션의 전방 단부면은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에 있을 때 단자 피팅(40)의 박스부(41)의 후방, 즉 제2 맞물림부와 후방 단부 죠오면(jaw surface)과 면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면(65)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리테이너 본체(61)의 상단에는, 대응하는 연장벽(2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복수의 리세스(66)가 각각의 로킹 섹션(63)의 실질적인 양측부에 또는 양측부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리세스(66)는 연장벽(28)과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되면서, 작은 클리어런스[바람직하게는 0.00 mm보다 크고 약 0.20 mm보다는 작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7 mm 미만인 협소한 클리어런스(31)]를 형성하고, 그 평면도에서 단자 피팅(40)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 단부측에서부터 전방 단부측까지 확장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리테이너 본체(61)는 외측 개구(22)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으로] 장착 구멍(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유지판(62)이 탄성 변형되면서 유지 갈고리(64)가 부분적인 로킹부 또는 제1 로킹부(25)와 탄성적으로 맞물려 리테이너(60)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제1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연장벽(28)의 돌출 단부측(저부 단부측)과 리테이너 본체(61)에 있는 리세스(66)의 개방 단부측(상단측)이 높이 방향(H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고,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로킹 섹션(63)은 바람직하게는 공동(13)으로 진입하는 일 없이 장착 구멍(21)의 내측 개구(23)와 실질적으로 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단자 피팅(40)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단자 피팅(40)의 삽입 과정에서, 맞물림부(들)(47, 48)가 수용 홈(19)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고, 로킹 섹션(63) 위를 지난다. 단자 피팅(40)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될 때, 단자 피팅(40)의 전방 단부는 실질적으로 전방벽(14)과 접촉하게 되어 단자 피팅(40)이 전방으로 더욱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자 피팅(40)의 전방 맞물림부(47)는 로킹부(15)의 로킹 돌출부(17)와 탄성적으로 맞물려 단자 피팅(4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결과 단자 피팅(40)은 주로 바람직하게는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로킹된다.
후속하여,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를 향해 또는 이 위치로 장착 방향(MD)으로 변위 또는 가압되어, 유지판(62)이 탄성 변형되면서 유 지 갈고리(64)가 완전한 로킹부(26)와 탄성적으로 맞물리고, 이에 의해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에 유지되거나 위치 설정된다. 리테이너(6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에서 완전한 로킹 위치(2P)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장벽(28)은 리세스(66)로 점차적으로 진입하여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60)의 삽입 작동을 안내한다.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에 도달할 때, 로킹 섹션(6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21)의 내측 개구(23)를 통해 공동(13)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며, 나아가 단자 피팅(40)의 수축부(42) 바로 아래 또는 이 수축부에 인접한 수축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단자 피팅(40)의 분리 방향[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의 반대 방향]으로 로킹 섹션(63)과 후방, 즉 제2 맞물림부(48)가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되어 단자 피팅(40)을 보조적으로 로킹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장벽(28)과 리세스(66)가 서로 맞물려 리테이너(60)의 장착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60)가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연장벽(28)의 돌출 단부는 리세스(66)(바람직하게는 리세스의 저부면) 근처에 위치하고, 연장벽(28)과 리세스(66) 사이에 협소한 크랭크형 공간(3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철제 단편과 같은 외부 물질이 장착 구멍(21)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러한 외부 물질은 연장벽(28)과 리세스(6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러나, 격벽(27)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공동(13)들 사이의 연면 거리가 연장벽(28)에 의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물질이 매우 길지 않은 한은 양 공동(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단자 피팅(40)을 연결할 가능성은 없 다. 그 결과, 격벽(27)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공동(13)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27)에는 리세스(66)(피팅 리세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격벽(27)을 위해 필요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리테이너(60)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격벽(27)의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자 피팅(40)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60)가 장착 구멍(21)에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연장벽(28)이 리테이너(60)의 리세스(66)와 맞물리기 때문에, 리테이너(60)의 장착 자세가 안정화될 수 있다.
리테이너(6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제1 위치)에 위치할 때 리테이너(60)의 리세스(66)가 바람직하게는 이 리세스의 개방 단부측에서 연장벽(28)의 돌출 단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리테이너(60)는 부분적으로 로킹된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안정성 있게 유지되거나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완전한 로킹 위치(2P)(제2 위치)를 향한 리테이너(60)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맞물림부(48)는 단자 피팅(40)의 측벽(46)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중앙부)에서 인접한 격벽(27)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리테이너(60)의 로킹 섹션(63)에 의해 개별적으로 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벽(28)은 로킹 섹션(63)과 충돌하지 않도록 격벽(27)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구성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격벽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단자 피팅의 단락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60)를 위한 장착 구멍(21)이 형성되 고, 리테이너(60)는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고 유지한다. 폭방향(WD)으로 인접한 공동(13)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7)에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연장벽(28)이 마련된다. 리테이너(60)에는 실질적으로 연장벽(28)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66)가 마련된다. 격벽(27)이 사이에 위치하는 인접한 단자 피팅(40) 사이의 연면 거리가 연장벽(28)에 의해 길게 형성되어, 인접한 단자 피팅(40)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에 포함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벽 및 리테이너의 리세스는 리테이너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위치할 때 서로 밀접하게 맞물릴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힌지 또는 하나 이상의 피벗부, 스트립 등과 같은 다른 연결 수단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는 장착 구멍에 삽입될 시에 부분적인 로킹 위치 또는 대기 위치(제1 위치)를 갖는 일없이 단자 피팅을 로킹시키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에 직접 도달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부(후방 맞물림부)가 단자 피팅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리테이너의 로킹 섹션은 리테이너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에 위치할 때 단자 피팅의 박스부의 후방 단부 죠오면과만 맞물릴 수 있다.
(5) 본 발명은 수형 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리테이너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6) 본 발명은 단자 피팅이 각각의 공동 내에 또는 각각의 공동에 마련된 각각의 로킹부에 의해 로킹되는 일없이 리테이너에 의해서만 로킹될 수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부 단면도.
도 2는 리테이너가 완전한 로킹 부위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리테이너가 부분적인 로킹 부위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5는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
도 6은 리테이너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하우징
13 : 공동
21 : 장착 구멍
22 : 외측 개구
23 : 내측 개구
27 : 격벽
28 : 연장벽
40 : 단자 피팅
46 : 측벽
60 : 리테이너
61 : 리테이너 본체
66 : 리세스
62 : 유지판
63 : 로킹 섹션
64 : 유지 갈고리
65 : 로킹면

Claims (10)

  1. 폭방향(WD)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단자 피팅(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공동(13)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장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60)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6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21)이 마련되고, 상기 리테이너(60)는 이 리테이너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을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공동(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로서,
    폭방향(WD)으로 인접한 공동(13)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7)이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벽(28)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60)에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연장벽(28)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66)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장착 구멍(21)에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21)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외측 개구(22)를 형성하고, 폭방향(WD)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공동(13)의 내벽에는 내측 개구(23)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60)는 이 리테이너 상에 마 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을 내측 개구(23)를 통해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외측 개구(22)에서부터 내측 개구(23)를 향해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13)에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벽(2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구멍(21) 내로 돌출하고 높이가 내측 개구(23)의 높이보다 외측 개구(22)의 높이에 근접한 돌출 단부를 갖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60)는 커넥터 하우징(10)에서, 단자 피팅(40)의 공동(13) 내외로의 삽입 및 인출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공동(1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제1 위치(1P)와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리테이너(60)가 장착 구멍(21)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는 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어,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된 단자 피팅(40)에 작용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66)는 리테이너(60)가 제1 위치(1P)에 위치할 때 리세스의 개방 단부측에서 연장벽(28)의 돌출 단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47, 48)가 공동(13) 내로의 삽입 과정중에 장착 구멍(21)과 실질적으로 면하는 단자 피팅(40)의 측벽(46)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 피팅(40)은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과 맞물림부(47; 48)의 맞물림에 의해 유지되는 것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47; 48)는 인접 격벽(들)(27)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벽(28)은 격벽보다 협소한 두께로 실질적으로 리테이너(60)의 장착 방향(MD)으로 장착 구멍(21) 내로 연장하는 판 형태이거나, 및/또는 장착 구멍(21)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섹션(63)이 장착 구멍(21)을 통해 공동(13)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자 피팅(40)의 수축부(42)에 인접한 수축 공간(29)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로킹 섹션(63)과 단자 피팅(40)의 부분(48)이 분리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것인 커넥터.
  10. 커넥터를 예조립하는 방법으로서,
    폭방향(WD)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격벽(27)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공동(13)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13) 내로 단자 피팅(4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리테이너(60)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을 공동(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리테이너(60)를 커넥터 하우징(10)의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60)를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장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섹션(63)이 공동(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0)을 로킹하고 유지하는 장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60)가 상기 장착 단계에서 장착 구멍(21)에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리테이너(60)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66)가 장착 구멍(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격벽(27)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연장벽(28)과 맞물리는 것인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KR1020070117309A 2006-11-20 2007-11-16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KR100937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2726A JP4760683B2 (ja) 2006-11-20 2006-11-20 コネクタ
JPJP-P-2006-00312726 200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28A true KR20080045628A (ko) 2008-05-23
KR100937183B1 KR100937183B1 (ko) 2010-01-19

Family

ID=3900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309A KR100937183B1 (ko) 2006-11-20 2007-11-16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59808B2 (ko)
EP (1) EP1923962B1 (ko)
JP (1) JP4760683B2 (ko)
KR (1) KR100937183B1 (ko)
CN (1) CN101188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4746B2 (ja) * 2008-12-24 2012-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06439B2 (ja) * 2010-02-05 2014-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98635B2 (en) * 2011-07-05 2015-04-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module
JP2013109893A (ja) * 2011-11-18 2013-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01350989B1 (ko) * 2012-06-13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대물렌즈 구동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하는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6235199B2 (ja) * 2012-08-02 2017-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4316B2 (ja) 2013-08-28 2015-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043000A1 (ja) * 2014-09-18 2016-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402303B1 (ko) * 2015-01-13 2022-05-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EP3046185B1 (en) * 2015-01-13 2024-01-24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JP6323401B2 (ja) * 2015-06-26 2018-05-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198793B2 (ja) * 2015-09-16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62601B2 (ja) 2016-01-12 2019-01-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512450B2 (ja) * 2016-02-17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非防水コネクタ
DE102016106717B4 (de) * 2016-04-12 2021-02-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einrichtung mit solch einem Kontaktelement
DE102017119643A1 (de) * 2016-08-26 2018-04-05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mplett abgedichteter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n Haltekräften
JP6769353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DE102017111813A1 (de) * 2017-05-30 2018-12-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gehäuse, Kontaktgehäuseaufnahme sowie elektrischer Verbinder
EP3925033A1 (de) * 2019-02-15 2021-12-22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m schutz gegenüber hochspannungsüberschlägen
US10892579B2 (en) * 2019-02-25 2021-01-12 J.S.T. Corporation Fema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for a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US11456553B2 (en) * 2019-09-19 2022-09-27 J.S.T. Corporation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CN116325375A (zh) * 2020-08-21 2023-06-23 日本端子株式会社 连接器
DE102021100679A1 (de) 2021-01-14 2022-07-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bandkabelstecker mit Klemm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046B2 (ja) * 1992-06-03 1998-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
JP2725756B2 (ja) * 1993-09-01 1998-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3266782B2 (ja) * 1995-06-05 2002-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ー付き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H1092506A (ja) * 1996-09-11 1998-04-10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多導体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69938685D1 (de) * 1998-03-27 2008-06-26 Sumitomo Wiring Systems Elektrischer Stecker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Halter
JP3278398B2 (ja) * 1998-04-14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65315B2 (ja) * 1998-07-21 2003-01-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0231961A (ja) *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775283B2 (ja) * 2001-11-06 2006-05-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88439B2 (ja) * 2001-11-12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80069B2 (en) * 2002-12-12 2004-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JP2005259561A (ja) * 2004-03-12 2005-09-22 Fujikura Ltd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係止構造
JP4349186B2 (ja) * 2004-04-14 2009-10-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16451B2 (ja) * 2004-09-02 2009-08-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
JP4304500B2 (ja) * 2004-10-20 2009-07-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30311A (ja) 2008-06-05
KR100937183B1 (ko) 2010-01-19
EP1923962A1 (en) 2008-05-21
EP1923962B1 (en) 2013-08-28
CN101188335A (zh) 2008-05-28
US7559808B2 (en) 2009-07-14
JP4760683B2 (ja) 2011-08-31
US20080119091A1 (en) 2008-05-22
CN101188335B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18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예조립 방법
CN101114742B (zh) 连接器和装配连接器的方法
US8096841B2 (en) Connector
US8523594B2 (en) Connector
JP5724836B2 (ja) コネクタ
US6568948B2 (en) Connector
US8210873B2 (en) Connector
US7118426B2 (en) Connector with reinforced retainer mount hole
KR20080010316A (ko) 2차 잠금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EP1271704A1 (en) A connector and an unlocking jig therefor
US20020127913A1 (en) Connector
US6939163B2 (en) Connector
EP1100156A1 (en)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7001215B2 (en) Connector with inner and outer housings
US20040253881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6547594B2 (en) Connector
US7753613B2 (en) Connector
US7001206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4058889B2 (ja) コネクタ
CN110581370B (zh) 端子和连接器
JP5161349B2 (ja) コネクタ
JP2005166611A (ja) コネクタ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JP4341465B2 (ja) コネクタ
JP539469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