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725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725A
KR20080043725A KR1020070116038A KR20070116038A KR20080043725A KR 20080043725 A KR20080043725 A KR 20080043725A KR 1020070116038 A KR1020070116038 A KR 1020070116038A KR 20070116038 A KR20070116038 A KR 20070116038A KR 20080043725 A KR20080043725 A KR 2008004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lock
movable body
support
art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543B1 (ko
Inventor
미쓰루 요시다
요시타카 이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4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受發)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의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에 록하는 록 상태와 그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록 장치 R이 설치되고, 이동체(3)에, 록 장치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해, 물품 지지체의 위치 변경 조작 및 록 장치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 S가 설치되어 있다.
Figure P1020070116038
물품 반송, 록 수단, 물품 지지체, 프레임, 이동체, 위치 조작, 물품 보관 위치, 물품 수발 위치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한 물품 이재(移載)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유지부로부터 물품을 받고 또 상기 유지부에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수발(受發)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 이재용의 스테이션이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이동체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스테이션으로부터 물품을 받거나 또는 스테이션에 물품을 전달함으로써, 복수개의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물품 반송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테이션에 반송하는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품 지지체는, 통상적으로, 이동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동 경로의 가로 방향에서 근방의 위치 등에 정해진 물품 보관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이동체의 유지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수발할 때에만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즉, 이동체를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시킨 상태 에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켜서, 물품 지지체와 이동체의 유지부 사이에서 물품의 수발을 행하고, 그 후,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또는 물품 지지체로부터 이동체가 물품을 받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이동 경로로서의 안내 레일이 천정 측에 설치되고, 천정부에 대해서 수평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와, 천정부와 링크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45213호 참조).
이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링크 기구를 수평축심 주위에서 요동시켜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동시에,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링크 기구를 수평축심 주위에서 요동시켜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이동 경로의 가로 방향의 근방의 위치 등의 이동 경로 측에,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에 더하여,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설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동 경로 측에 설치하는 부재의 개수가 증가하여, 설치 공간이 커짐과 동시에,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특징 구성은,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유지부로부터 물품을 받고 또 상기 유지부에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수발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록하는 록 상태와 그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록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상태로부터 상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해, 상기 물품 지지체의 위치 변경 조작 및 상기 록 수단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록 수단을 록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진이나 진동 등에 의해 물품 지지체가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잘못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지지체가 잘못하여 이동체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에 물품을 보관할 때나 물품 지지체가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인출할 때는, 이동체를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조작 수단이, 록 수단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해야 하므로, 물품 지지체의 위치 변경 조작 및 록 수단의 전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록 수단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켜서, 이동체의 유지부와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 사이에서 물품의 수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유지부와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 사이에서 물품의 수발을 행한 후에는, 조작 수단이,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록 수단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해, 물품 지지체의 위치 변경 조작 및 록 수단의 전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켜서, 록 수단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체에 설치된 조작 수단에 의해, 록 수단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는 동시에,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 조작할 수 있으므로, 록 수단을 전환 조작하기 위한 부재 및 물품 지지체를 위치 변경 조작하기 위한 부재를 이동 경로 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동 경로 측에 설치하는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물품 지지체가 잘못하여 이동체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이동 경로 측에 설치하는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하는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상태로부터 상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출퇴식의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조작 수단이,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수단이, 단지, 물품 지지체의 조작부를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고,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수단이,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 수단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록 수단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조작 수단이, 단지,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고, 록 수단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의 간소 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및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출퇴 이동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퇴 이동체에,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조작 수단이, 출퇴 이동체를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및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출퇴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기만 하면,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격 위치로부터 상기 접근 위치로 조작되는 피조작체가 설치되고, 상기 피조작체가, 상기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보관 위 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물품 지지체에 연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피조작체는,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조작되면,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 조작하므로,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해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피조작체는,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에 조작되면,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 조작하므로,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해 피조작체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는, 물품 지지체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물품 지지체에 연계된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조작하므로, 피조작체를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해 조작하기 용이한 부분에 배치하는 등,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행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적정하게 위치 변경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피조작체가,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접근 위치에서는 그 선단부가 상기 요동축심보다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자세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조작체의 선단부에, 상기 피조작체가 상기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원근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요동축심 측에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이 상기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홈부에 대해서 걸어맞춤 및 이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원근 방향에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홈부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피조작체를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푸시(push) 조작하고, 또한, 상기 원근 방향에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조작체를 상기 이격 위치로부터 상기 접근 위치로 풀(pull) 조작하고, 그 후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피조작체가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는, 그 선단부가 요동축심보다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체에 접근하는 자세가 되고, 그 피조작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홈부는,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체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을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원근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요동축심 측에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체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으로부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홈부에 끼워져서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홈부에 걸어맞추어져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 하게 되고, 피조작체가 요동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반대로,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홈부에 걸어맞추어져 피조작체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하게 되고, 피조작체가 요동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피조작체가 접근 위치에 위치하면, 홈부에서의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체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이 상기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되고, 이 개구로부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가 홈부를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가 홈부에 걸어맞추어져 푸시 조작 및 풀 조작함으로써,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로 복귀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피조작체를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적정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록 수단이, 상기 피조작체의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까지의 위치 변경을 규제하여 상기 록 상태로 하는 록 위치와 상기 피조작체의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을 허용하여 상기 록 해제 상태로 하는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록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체가,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조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록 수단은, 피조작체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위치 변경을 규제하는 록 위치와 피조작체의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록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품 지지체의 움직임을 직접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피조작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록체를 구비하기만 하면 되며,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록체는, 상기 원근 방향에서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조작되므로, 록 수단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록체는, 상기 원근 방향에서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조작되므로, 록 수단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록 수단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7 특징 구성은, 상기 록체가, 상기 록 위치에 가압된 상태에서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와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록 수단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록체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하면, 록체를 요동축심 주위에서 요동시켜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록 수단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록체에 대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록체를 록 위치에 가압되는 가압력에 의해 록체를 요동축심 주위에서 요동시켜서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록체를 록 위치로 가압시키는 가압력을 이용함으로써,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해 록체를 가압 조작하거나, 및 그 가압 조작을 해제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록체를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고, 조작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록체를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8 특징 구성은, 상기 록체가,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가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록 수단용의 조작부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록체를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가압 조작하므로, 록체의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의 위치 변경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9 특징 구성은, 상기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물품 보관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 위치보다 상방의 상기 물품 수발 위치에 상기 물품 지지체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안내 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수발 위치가 물품 보관 위치보다 상방이며, 슬라이드 안내 지지 수단이,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물품 지지체를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물품 지지체의 자기중량에 의해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 지지 수단은,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물품 지지체를 슬라이드 안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물품 지지체가 잘못하여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10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이동 경로는 두상(頭上)의 레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이며, 상기 차량에는, 유연 부재를 가지는 승강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유지부는, 승강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유연 부재를 통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11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차량은 그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과 후방에 세로 프레임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상승 위치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전방과 후방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상기 하강 위치는, 지상에 배치된 스테이션에 물품을 탑재하기에 적합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12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유지부로부터 물품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물품 지지체는,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기 물품 유지부와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제13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물품 지지체는, 고정 프레임을 통하여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경로 측에 설치하는 부재의 개수와, 설치 공간 등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물품 지지체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이하에서 복수개의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과 다른 실시예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 물품 반송 설비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물품 처리부(1)를 경유하는 상태에서 이동 경로로서의 안내 레일(2)이 설치되고, 이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 가능한 물품 반송용 이동차(3)(이동체 또는 차량)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5)(물품의 일례)를, 이동차(3)가 복수개의 물품 처리부(1) 사이에서 용기(5)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품 처리부(1)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제조 도중의 제품 등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차(3)는, 용기(5)를 매단 상태에서 파지하는 파지부(4)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용기(5)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파지부(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4)는, 이동차(3)가 정지한 상태에서, 와이어(6)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이동차(3)에 근접 위치시키는 상승 위치와, 이동차(3)보다 하방 측에 설치된 물품 이재용의 스테이션(7) 사이에서 물품 이재를 행하는 하강 위치에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도 2에서는, 파지부(4)가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하강하는 경우를 우측에 나타내고, 파지부(4)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를 좌측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테이션(7)은, 용기(5)를 탑재 지지하는 탑재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7)은, 물품 처리부(1)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용기(5)를 이동차(3)로부터 받거나 또는 물품 처리부(1)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 용기(5)를 이동차(3)에 수발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개의 물품 처리부(1)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차(3)는, 파지부(4)를 상승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스테이션(7) 중, 이재 대상의 스테이션(7)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파지부(4)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스테이션(7) 사이에서 용기(5)의 수발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레일(2)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용 브라켓(8, bracket)에 의해 천정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차(3)는, 안내 레일(2)의 내측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방 차체(9)와 안내 레일(2)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차체(12)를 전후의 통형의 연결부(10, 11)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방 차체(9)는, 안내 레일(2)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되는 마그넷(13)에 근접 대향시킨 상태에서 1차 코일(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방 차체(9)는, 마그넷(13)과 1차 코일(14)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리니어 모터식이며, 이동차(3)는, 이 추진력에 의해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레일(2)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방 차체(9)에 구비한 주행륜(15)에 대한 주행 안내면(16)과, 상방 차체(9)에 구비한 진동방지륜(17)에 대한 진동 방지 안내면(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레일(2)에는 급전선(19)이 설치되고, 상방 차체(9)에는 수전 코일(20)이 설치되고, 교류 전류의 통전에 의해 급전선(19)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이동차(3) 측에서의 필요 전력을 수전 코일(20)에 발생시켜서, 무접촉 상태에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방 차체(9)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서, 리니어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식을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주행륜(1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설치하고, 이 전동 모터에 의해 주행륜(15)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방 차체(9)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방 차체(12)는, 이동차(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프레임(21), 전후 프레임(21)의 전단 부분 및 후단 부분으로부터 하방 측에 연장되는 전후 한쌍의 세로 프레임(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 차체(1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방 측이 개방되고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파지부(4)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파지부(4)는, 상방 차체(9)에 대해서 승강 가능한 승강체(23)에 설치되고, 이 승강체(23)는, 전후 프레임(21)에 설치된 승강 조작 기구(24)에 의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조작 기구(24)(리프트)는, 드럼 구동용 모터(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회전 드럼(26)에 4개의 와이어(6)를 감아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조 작 기구(24)는, 회전 드럼(26)을 정역회전시켜서 4개의 와이어(6)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승강체(23)를 대략 수평 자세로 유지하면서 승강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26)에 와이어(6)를 감은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회전 드럼(26)에 벨트를 감아서 승강체(23)를 승강 조작할 수도 있고, 와이어(6)나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와이어, 벨트 및 케이블은 유연 부재(flexible member)로 불리운다.
상기 파지부(4)에는, 용기(5)의 플랜지(5a)를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구(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파지구(4a)가 파지 동작용 모터(27)의 정역회전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플랜지(5a)를 파지하는 파지 자세(도 3의 실선)와, 한쌍의 파지구(4a)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파지를 해제하는 해제 자세(도 3의 점선)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4)는, 세로축심 주위에서 선회 가능하게 승강체(23)에 설치되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파지부(4)를 선회 조작하는 선회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션(7)에 반송하는 용기(5)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안내 레일(2)의 가로 방향의 근방의 위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2)에 대해서 좌우 양측에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29)는, 안내 레일(2)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5 ∼ 도 10에 기초하여, 물품 지지체(29)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물품 지지체(29) 각각은, 그에 대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 차(3)의 파지부(4)로부터의 용기(5)를 받고 또 파지부(4)에 용기(5)를 수발하기 위한 물품 수발 위치(도 8 및 도 10 참조)와 물품 보관 위치(도 7 및 도 9 참조)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품 이재 부분은, 복수개의 물품 지지체(29) 각각에 대응하여 정해져 있다. 그리고,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의 전후 방향에서, 물품 지지체(29)의 폭은 이동차(3)에서의 전후 한쌍의 세로 프레임(22)의 간격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이재 부분에 이동차(3)가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차(3)에서의 전후 한쌍의 세로 프레임(22) 사이에 물품 지지체(29)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보관 위치에 위치할 때에, 그 물품 지지체(29)나, 이것이 지지하는 용기(5)가, 이동차(3)의 이동이나 파지부(4)의 승강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대해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원근 방향)으로, 안내 레일(2)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안내 레일(2)의 가로 방향의 근방의 위치에, 상기 물품 보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물품 수발 위치는,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할 때에,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서 상승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파지부(4) 사이에서 용기(5)를 수발할 수 있도록,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서의 파지부(4)와 상하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물품 지지체(29)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고정 프레임(35)에 대해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 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35)은, 전후 방향에서 물품 지지체(29)의 양측에 배치되어, 원근 방향으로 장척(長尺) 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측면 프레임부(35a)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35a)는, 원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의 프레임용 제1 연결체(37a)와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프레임용 제2 연결체(37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35)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35a)의 각각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용 연설체(38, 延設體)의 상단부를 장착 금속구에 의해 2개의 프레임 용 지지체(39)에 고정하여 매단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다.상기 프레임용 지지체(39)는, 천정부로부터 매달린 볼트(40)에 의해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고, 안내 레일(2)과 평행이 되도록 안내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용 지지체(39)에 대해서 장착용 연설체(38)를 장착하거나, 또는 분리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1개씩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물품 지지체(29)의 증설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의 전후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도 한다.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대해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도 한다.
상기 물품 지지체(29)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매달린 지지용 매달 린 지지체(30), 한쌍의 매달린 지지체(30) 사이에 배치된 판형의 저면체(31), 및 저면체(31) 상에 배치되어 용기(5)를 탑재 지지하는 한쌍의 탑재체(32)를 가진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29)는, 한쌍의 탑재체(32) 각각에 설치된 위치 결정핀 W에 의해 용기(5)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매달린 지지체(30) 각각은, 저면체(31)에 연결되어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단부(30a), 원근 방향에서 하단부(30a)의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간부(30b), 및 그 중간부(30b)의 상단으로부터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단부(30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매달린 지지체(30)는, 제1 매달림용 연결체(33a)에 의해 상단부(30c) 끼리 연결되고, 또한, 제2 매달림용 연결체(33b)에 의해 중간부(30b) 끼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매달린 지지체(30)에서의 하단부(30a) 및 중간부(30b)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멍부(3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체(31)에는, 복수개의 구멍부(31a)가 전후 방향 및 원근 방향으로 열상(列狀)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원근 방향의 양 단부에 용기(5)의 측면부에 맞닿아 원근 방향에서의 용기(5)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안내 기구(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안내 기구(36)는, 고정 프레임(35)에 대해서 원근 방향으로 물품 지지체(29)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안내 기구(36)는, 고정 프레임(35)에 형성된 레일부(41)와 매 달린 지지체(30)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42)를 가진다. 그리고, 슬라이드 안내 기구(36)는, 레일부(41)에 의해 가이드 롤러(42)를 안내 지지함으로써, 고정 프레임(35)에 대해서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물품 지지체(29)를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41)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35a)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42)는, 매달린 지지체(30)에서의 상단부(30c)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42)는, 레일부(41)의 상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1 가이드 롤러(42a)와, 레일부(41)의 하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 가이드 롤러(42b)와, 레일부(41)의 측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3 가이드 롤러(42c)의 3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롤러(42a)와 제2 가이드 롤러(42b)가, 레일부(41)를 상하로 끼운 상태에서 원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씩 설치되고, 제3 가이드 롤러(42c)도, 원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35)에는, 원근 방향에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접근 위치(도 7 및 도 9 참조)와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도 8 및 도 10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피조작체(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체(43)는, 접근 위치에서는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 조작하고, 또한, 이격 위치에서는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 조작하도록, 물품 지지체(29)에 연계되어 있다.
상기 피조작체(43)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한쪽의 측면 프레임부(53a)의 상부에 설치된 판형의 베이스대(48)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그 연결 부분인 제1 요동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체(43)는,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요동축심 P1으로부터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피조작 부분(43a)과 제1 요동축심 P1으로부터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피조작 부분(43b)을 상하에 단차를 형성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조작체(43)는, 제1 요동축심 P1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또한 접근 위치(도 7 및 도 9 참조)에서는 그 선단부로서의 제1 피조작 부분(43a)이 제1 요동축심 P1보다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자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체(43)의 제1 피조작 부분(43a)에, 피조작체(43)이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원근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요동축심 P1 측으로 연장되는 홈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0)에는,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을 원근 방향을 따라 개구시킨 개구 부분(5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체(43)가 접근 위치에 위치하면,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피조작체(43)의 움직임과 물품 지지체(29)의 움직임을 연계시키는 연계 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계 기구(44)는, 상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제1 링크 암(45), 제2 링크 암(46) 및 제3 링크 암(47)의 3개의 링크 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링크 암(45)은, 일단부가 피조작체(43)의 제2 피조작 부분(43b)의 일단부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고, 또한 타단부가 제2 링크 암(46)의 길이 방향의 도중 부분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암(46)은, 일단부가 베이스대(48)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고, 또한 타단부가 제3 링크 암(47)의 일단부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있다. 제3 링크 암(47)은, 타단부가 매달림용 연결체(33)에 세워져서 설치된 연계용 피조작체(49)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차(3)에는,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S(조작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수단 S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근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를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시키는 돌출 작동 및 원근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를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시키는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롤러(51)가,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동차(3)에는, 이동차(3)의 주행 방향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29)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S와, 이동차(3)의 주행 방향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29)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S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수단 S는, 이동차(3)에 고정되어 원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베이스(52)와, 그 베이스(52)에 설치된 볼 나사(57)의 회전에 의해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 및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53)와, 그 슬라이더(53)와 원근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근 방향으로 장척 형의 출퇴 이동체로서의 조작체(5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56)는, 슬라이더(53) 상에 고정된 지지대(54)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롤러(51)는, 조작체(56)의 선단부의 하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52)의 양 측면부에는, 슬라이더(53)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58)를 안내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홈부(5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수단 S는, 조작용 전동 모터(60)를 회전 구동하여 볼 나사(57)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슬라이더(53)를 원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를 원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돌출 작동 및 퇴피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 지지대(54) 상에 조작체(56)를 복귀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6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56)에는, 전후 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절결한 가압 스프링 장착용의 제1 절결부(56a)와 전후 방향의 타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절결한 가압 스프링 장착용의 제2 절결부(5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절결부(56a)에서는, 전후 방향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가압시킨 상태로 가압 스프링(61)이 설치되고, 또한, 제2 절결부(56b)에서는, 전후 방향에서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가압시킨 상태로 가압 스프링(6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가압 스프링(61)에 의해 조작체(56)를 전후 방향에서 지지대(54) 상에 복귀시키도록 복귀 가압하고 있고, 2개의 가압 스프링(61)이, 전후 방향에서 중립 위치에 걸어맞춤 롤러(51)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귀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스프링(61)은 하나라도 되고, 또한, 공기 실린더 등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립 위치는, 전후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의 중심이 베이스(5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정해져 있다.
상기 조작 수단 S는, 이동차(3)가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태에서,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도 7 및 도 9 참조)로부터 이격 위치(도 8 및 도 10 참조)로 조작하고, 또한, 퇴피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도 8 및 도 10 참조)로부터 접근 위치 (도 7 및 도 9 참조)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롤러(51)는, 전후 방향에서 피조작체(43)의 홈부(50)의 폭과 같거나 또는 그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롤러(51)가, 원근 방향에서의 이동에 의해 피조작체(43)의 홈부(50)에 걸리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를 홈부(50)에 걸어맞추어서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하고, 또한, 퇴피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을 홈부(50)에 걸어맞추어서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하고, 그 후, 걸어맞춤 롤러(51)를 홈부(50)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시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조작하면,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를 물 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게 된다.
또한,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조작하면, 피조작체(43)가 접근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킬 때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조작체(43)가 접근 위치에 위치하면,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이 원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가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하여 홈부(50)의 개구로부터 홈부(50)에 끼워져서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의 측벽부를 가압하면서 홈부(50)를 이동하여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한다. 그리고, 피조작체(43)가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요동하면, 연계 기구(44)에서의 제1 링크 암(45), 제2 링크 암(46) 및 제3 링크 암(47)이 차례로 요동하여 연계용 피조작체(49)를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계용 피조작체(49)에 의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 기구(36)가 물품 지지체(29)를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지지 체(29)가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하면,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의 측벽부를 가압하면서 홈부(50)를 이동하여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한다. 그리고, 피조작체(43)이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요동하면, 연계 기구(44)에서의 제1 링크 암(45), 제2 링크 암(46) 및 제3 링크 암(47)이 차례로 요동하여 연계용 피조작체(49)를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계용 피조작체(49)에 의한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 기구(36)가 물품 지지체(29)를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조작체(43)가 접근 위치에 위치하면,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이 원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롤러(51)가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를 이탈하여 이동차(3)에 퇴피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조작하지만, 이 때, 전후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가 피조작체(43)에 대한 적정 조작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걸어맞춤 롤러(51)가 피조작체(43)의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지지 못하고,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조작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적정 조작 위치는, 걸어맞춤 롤러(51)가 피조작체(43)의 홈부(50)에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에서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피조작체(43)의 홈부(50)의 중심에 대하여 걸어맞춤 롤러(51)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로 정해져 있다.
그래서,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할 때,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를 피조작체(43)에 대한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 F(안내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수단 F는, 전후 방향에서 적정 조작 위치의 양측에 설치되고,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에 안내하는 안내체로서의 안내 롤러(62)를 가진다.
상기 안내 롤러(62)는,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피조작체(43)에서의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의 전후 방향의 양 단부에서, 안내 롤러 지지체(63)에 의해 상하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 지지체(63)는, 그 기단부가 받이용 지지체(71)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지지되고, 그 선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분기된 양다리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롤러 지지체(63)는, 볼트 너트 등의 연결구 G에 의해 받이용 지지체(7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62)는, 안내 롤러 지지체(63)에서 양다리 형으로 분기된 선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받이용 지지체(71)는, 피조작체(43)의 제1 요동축심 P1을 가지는 축부(71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62)는, 조작체(56)의 선단의 각 부분에 맞닿아 회전함으로써 조작체(56)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안내 롤러(62)가, 이들 2개의 안내 롤러(62) 사이로 조작체(56) 안내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수단 F는,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한 뒤 계속하여, 전후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근 방향을 따라 걸어맞춤 롤러(51)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2개의 안내 롤러(62)는, 2개의 안내 롤러(62) 사이에 조작체(56)를 안내한 후 계속하여, 조작체(56)의 양 측면부에 맞닿아 회전함으로써, 조작체(56)를 원근 방향을 따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체(43)에서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에는, 전후 방향의 폭을 걸어맞춤 롤러(51)보다 폭이 넓은 입구부로부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대해서 이격되는 측일수록 폭이 좁아져서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에 안내하는 안내면(5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50b)은,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에서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전후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 방향의 양측 벽부를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지게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롤러(51)에 맞닿아서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할 때, 안내 수단 F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할 때의 움직임에 대하여,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어맞춤 롤러(51)의 중심 Q1이 적정 조작 위치 Q2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조작체(56)의 선단의 각 부분이 안내 롤러(62)에 맞닿아서 안내 롤러(62)가 회 전함으로써,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2개의 안내 롤러(62) 사이에 조작체(56)를 안내하여, 걸어맞춤 롤러(51)의 중심 Q1을 적정 조작 위치 Q2에 일치시키도록 걸어맞춤 롤러(51)를 안내한다. 이 때, 홈부(50)의 개구 부분(50a)에서의 안내면(50b)이 걸어맞춤 롤러(51)와 맞닿으면, 안내면(50b)에 의해서도 걸어맞춤 롤러(51)의 중심 Q1을 적정 조작 위치 Q2에 일치시키도록 걸어맞춤 롤러(51)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안내 수단 F에 의한 안내 작용 및 안내면(50b)에 의한 안내 작용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안내 롤러(62)는,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2개의 안내 롤러(62) 사이에 조작체(56)를 안내한 후 계속하여, 조작체(56)의 양 측면부에 맞닿아 회전함으로써 조작체(56)를 원근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전후 방향에서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근 방향을 따라 걸어맞춤 롤러(51)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하여, 걸어맞춤 롤러(51)가 안내 수단 F에 의해 상기 방향의 적정 조작 위치에 안내되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56)가 지지대(54)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내 수단 F에 의한 걸어맞춤 롤러(51)의 안내 및 안내면(50b)에 의한 걸어맞춤 롤러(51)의 안내를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한 후 퇴피 작동을 행할 때, 안내 수단 F에 의한 안내 작용 및 안내면(50b)에 의한 안내 작용이 해제되면, 도 11에 나 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가압 스프링(61)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체(56)가 전후 방향으로 복귀 가압되어 걸어맞춤 롤러(51)가 전후 방향에서 중립 위치로 복귀되어 이동차(3)에 퇴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지만,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 측에 잘못 이동하면, 물품 지지체(29)가 이동차(3)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되어, 물품 지지체(29)가 이동차(3)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에 록하는 록 상태(도 14 참조)와 그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도 15 참조)로 전환 가능한 록 수단 R(록 장치)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록 수단 R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위치 변경을 규제하여 록 상태로 하는 록 위치(도 14 참조)와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하는 록 해제 위치(도 15 참조)로 위치 변경 가능한 록체(6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체(64)는, 록 위치로 가압된 상태에서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록 위치(도 14의 (A) 참조)와 그 록 위치보다 상방 측이 되는 록 해제 위치(도 15의 (A) 참조)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 수단 S에는,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또한, 원근 방 향에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출퇴식의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70)는, 원근 방향에서 조작체(56)의 선단 측일수록 하위가 되도록 형성된 가압용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며, 조작체(56)의 선단부의 상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퇴 이동체로서의 조작체(56)에는,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인 걸어맞춤 롤러(51)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 및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걸어맞춤 롤러(51) 및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체(64)는, 수평 방향을 따른 제2 요동축심 P2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 암(65)(조작 암)과, 그 요동 암(65)의 선단부에 하방 측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설치된 록 플레이트(66)와, 그 록 플레이트(66)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요동 암(65)의 선단부에 설치된 수평축심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피 가압 롤러(6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 암(65)은, 그 기단부가 록용 지지대(68)에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제2 요동축심 P2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용 지지대(68)는, 베이스(48) 상에 세워져서 설치된 봉형의 입설(立設) 지지체(72) 및 받이용 지지체(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받이용 지지체(71)에는, 록용 지지대(68)에 더하 여, 안내 롤러 지지체(63)도 지지되어 있고, 록용 지지대(68)가 안내 롤러 지지체(63)보다 하방 측이되도록 록용 지지대(68)와 안내 롤러 지지체(63)를 상하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의 연결구 G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암(65)의 제2 요동축심 P2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록체(64)가, 록 위치(도 14 참조)와 그 록 위치보다 상방 측이 되는 록 해제 위치(도 15 참조)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체(64)는, 요동 암(65)의 자기 중량에 의해 록 위치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요동 암(65)을 받아들이고 지지함으로써 요동 암(65)의 하방 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록용 스토퍼(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용 스토퍼(69)는, 요동 암(65)을 받아들이고 지지할 때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 플레이트(66)는,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피조작체(43)의 측면부에 맞닿아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규제하여 록 상태로 하고,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피조작체(43)보다 상방으로 퇴피한 위치가 되고,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요동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체(64)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피 가압 롤러(67)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2개의 안내 롤러(6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 가압 롤러(67)는,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해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상방 측으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해 피 가압 롤러(67)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록체(64)가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된다. 또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해 피 가압 롤러(67)에 대한 상방 측으로의 가압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록체(64)에 대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된다.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의 움직임과 상기 록 수단 R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피 가압 롤러(67)와 맞닿아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의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 가압 롤러(67)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 에 의해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된다. 따라서, 요동 암(65)이 상방 측으로 요동하여, 록체(64)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되면, 록 플레이트(66)가 피조작체(43)보다 상방으로 퇴피한 위치가 되고,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의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 가압 롤러(67)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서의 경사면을 회전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요동 암(65)이 하방 측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피 가압 롤러(67)로부터 멀어지면, 록용 스토퍼(69)에 받아들이고 지지될 때까지 자기 중량에 의해 요동 암(65)이 하방 측으로 요동하여,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록체(64)가 록으로 위치 변경되면, 록 플레이트(66)가 피조작체(43)의 측면부에 맞닿아서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규제하여 록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 및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록 수단 R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하지만, 조작 수단 S는,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퇴피 작 동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물품 지지체(29)의 위치 변경 조작 및 록 수단 R의 전환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하면,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51)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모두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피 가압 롤러(67)는, 원근 방향에서 피조작체(43)의 홈부(50)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지기 전에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피 가압 롤러(67)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해 피 가압 롤러(67)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록체(64)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하여,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록 수단 R이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이 허용되어,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져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한다. 또한, 록 수단 R이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는, 걸어맞춤 롤러(51)가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 측으로 푸시 조작하려고 해도, 록 플레이트(66)에 의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피조작체(43)가 물품 지지체(29) 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상기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하면,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51) 및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먼저,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져 피조작체(43)을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한다. 그리고,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피조작체(43)가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그 후,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로부터 이탈할 때,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피 가압 롤러(67)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피 가압 롤러(67)에 대한 상방 측으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된다. 그러면, 피 가압 롤러(67)에 대한 상방 측으로의 가압 조작의 해제에 의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에 의한 록체(64)에 대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어, 록 수단 R이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안내 기구(36)는, 고정 프레임(35)에 대하여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보다 상방의 물품 수발 위치로 물품 지지체(29)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레일부(41)는, 원근 방향에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 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단부를 최하위에 위치시키고, 또한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의 단부를 최상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수평 방향에 대하여 설정 각도 θ(예를 들면, 2°)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설정 각도 θ는, 0.5°와 10° 사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1°와 5° 사이의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안내 기구(36)가, 물품 지지체(29)의 자기 중량을 이용하여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와 물품 수발 위치로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슬라이드 안내 지지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차(3)에는, 이동차(3)의 동작을 제어하는 대차(臺車)용 제어부(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물품 반송 설비 전체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 및, 이동차(3)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차(3)의 이동 및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파지 동작용 모터(27) 및 조작 수단 S에서의 조작용 전동 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복수개의 스테이션(7) 중에서 반송원 및 반송처의 스테이션(7)을 특정한 상태에서 반송원의 스테이션(7)으로부터 반송처의 스테이션(7)으로 용기(5)를 반송하는 반송 명령이 명령된 경우에는, 대차용 제어부가, 반송원의 스테이션(7)으로부터 용기(5)를 받고, 반송처의 스테이션(7)에 용기(5)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동차(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원의 스테이션(7)으로부터 용기(5)를 받는 경우에는, 먼저, 대차용 제어부는, 반송원의 스테이션(7)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동차(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차(3)의 이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대차용 제어부는, 반송원의 스테이션(7)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에 이동차(3)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파지부(4)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파지부(4)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면, 파지 동작용 모터(27)를 작동시켜서 한쌍의 파지구(4a)를 파지 자세로 전환하고, 용기(5)의 플랜지(5a)를 한쌍의 파지구(4a)에 의해 파지하여 용기(5)를 받는다. 그 후, 대차용 제어부는,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에 파지부(4)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한 후, 반송처의 스테이션(7)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동차(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차(3)의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반송처의 스테이션(7)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에 이동차(3)가 정지하면, 반송원의 스테이션(7)으로부터 용기(5)를 받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이나 파지 동작용 모터(27)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송처의 스테이션(7)에 용기(5)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복수개의 물품 지지체(29) 중 이재 대상의 물품 지지체(29)가 특정된 상태에서 물품 지지체(29)에 용기(5)를 보관하는 보관 명령이 명령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대차용 제어부가, 먼저, 이재 대상의 물품 지지체(29)에 대응하는 물품 이재 부분으로 이동차(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차(3)의 이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대차용 제어부는, 이재 대상의 물품 지지체(29)에 대응하는 물품 이재 부분으로 이동차(3)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조작용 전동 모터(60)를 작동시켜서 조작 수단 S에 의해 돌출 작동을 행한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안내 수단 F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에 안내하면서,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시킨 후,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상승 위치로부터 거기에 근접하는 위치에 파지부(4)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한 후, 파지 동작용 모터(27)를 작동시켜서 한쌍의 파지구(4a)를 해제 자세로 전환하고, 파지부(4)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29)에 용기(5)를 전달한다. 그 후, 대차용 제어부는, 파지부(4)를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한 후, 조작용 전동 모터(60)를 작동시켜서 조작 수단 S에 의해 퇴피 작동을 행한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 후,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복수개의 물품 지지체(29) 중 이재 대상의 물품 지지체(29)가 특정된 상태에서 물품 지지체(29)에 의해 보관하고 있는 용기(5)를 인출하는 인출 명령이 명령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대차용 제어부는, 보관 명령이 명령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차(3)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재 대상의 물품 지지체(29)에 대응하는 물품 이재 부분에 이동차(3)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조작용 전동 모터(60)를 작동 시켜 조작 수단 S에 의해 돌출 작동을 행한다. 상기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안내 수단 F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를 적정 조작 위치에 안내하면서,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시킨 후,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다. 그 후, 대차용 제어부는, 상승 위치로부터 거기에 근접하는 위치에 파지부(4)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한 후, 파지 동작용 모터(27)를 작동시켜서 한쌍의 파지구(4a)를 파지 자세로 전환하고, 물품 지지체(29)로부터 파지부(4)로 용기(5)를 받는다. 그리고, 대차용 제어부는, 상승 위치까지 파지부(4)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4)의 승강 작동을 제어 한 후, 조작용 전동 모터(60)를 작동시켜서 조작 수단 S에 의해 퇴피 작동을 행한다. 그리고,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 후, 록 수단 R을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서의 물품 반송 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록 수단 R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 ∼ 도 20에 기초하여, 록 수단 R(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록 수단 R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위치 변경을 규제하여 록 상태로 하는 록 위치(도 18의 (A) 참조)와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하는 록 해제 위치(도 18의 (B) 참조)로 위치 변경 가능한 록체(6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체(64)는, 록 위치로 가압된 상태에서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록 위치와 그 록 위치보다 상방 측이 되는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수단 S에는,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또한,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출퇴식의 록 수단용의 조작부(7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록체(64)는,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에 의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에 의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는 동시에,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가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73)는,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체(64)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하고, 또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체(64)에 대한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기 위해, 원근 방향에서 조작체(56)의 선단측일수록 하위가 되도록 형성된 제1 가압용 경사면(73a)과,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록체(64)를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에 가압 조작하기 위해, 원근 방향에서 조작체(56)의 선단측일수록 상위가 되도록 형성된 제2 가압용 경사면(73b)으로 구성되 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56)의 선단부가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형 부분에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56)에서 전후 방향의 일측에는, 오목형 부분에 원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원근 방향을 따라 장척 형의 구멍부(74)가 형성되고, 그 구멍부(74)에서 조작체(56)의 선단측의 단부에 제2 가압용 경사면(7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체(64)는, 수평 방향을 따른 제3 요동축심 P3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근 방향으로 보았을 때 수평 부분과 그 양단으로부터 하방에 연장되는 2개의 각부(脚部)를 가지는 요동체(75)와, 그 요동체(75)의 일측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록 플레이트(76)와, 요동체(75)의 타측에서 수평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피 가압 롤러(7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체(75)는, 안내 롤러 지지체(63)에 제3 요동축심 P3를 따른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부(78)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체(75)의 제3 요동축심 P3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록체(64)가, 록 위치(도 18의 (A) 참조)와 그 록 위치보다 록 플레이트(76)를 상방 측에 위치시키는 록 해제 위치(도 18의 (B) 참조)로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 플레이트(76)는, 도 17 및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근 위치에 위치하는 피조작체(43)의 측면부에 맞닿아서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규제하여 록 상태로 하고, 또한,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 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피조작체(43)보다 상방으로 퇴피한 위치가 되고,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요동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피 가압 롤러(77)는,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인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의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의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상방 측으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는 제1 피가압 롤러(77a)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인 제2 가압용 경사면(73b)의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에 의해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되는 제2 피 가압 롤러(77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 가압 롤러(77a)와 제2 피 가압 롤러(77b)는,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피 가압 롤러(77b) 측이 제1 피 가압 롤러(77a)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요동체(75)의 요동에 의해 일측이 하방 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타측이 상방 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체(75)에는, 요동체(75)의 요동을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하방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하방 측으로 연장되는 웨이트부(75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록체(64)는, 요동체(75)의 웨이트부(75a)에 의한 자기 중량에 의해 록 위치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제2 피 가압 롤러(77b)를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에 접근하는 측으로 가압하도록 맞닿게 함으로써 록체(64)를 록 위치에 위치시키는 가압체(7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체(79)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안내 롤러 지지체(63) 상에 설치된 가압용 지지체(8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의 움직임과 상기 록 수단 R의 움직임에 대하여, 도 19 및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9는, 조작체(56)에서 전후 방향의 제2 가압용 경사면(73b)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0은, 조작체(56)에서 전후 방향의 제2 가압용 경사면(73b)이 존재하는 측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록체(64)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록 수단용의 조작부(73)가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이 제1 피 가압 롤러(77a)와 맞닿아서,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압용 경사면(73a)에 의해 제1피 가압 롤러(77a)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한다. 따라서, 요동체(75)가 제3 요동축심 P3 주위에서 요동하여,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다. 한편,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체(75)의 요동에 따라 제2 피 가압 롤러(77b)가 하방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피가압 롤러(77b)가 조작체(56)의 구멍부(7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되면, 록 플레이트(76)가 피조작체(43)보다 상방으로 퇴피한 위치가 되고,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허용하여 록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9의 (C) 및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록 수단용의 조작부(70)가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의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2 가압용 경사면(73b)이 제2 피가압 롤러(77b)와 맞닿아서, 제2 가압용 경사면(73b)에 의해 제2 피가압 롤러(77b)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하여, 요동체(75)가 제3 요동축심 P3 주위에서 요동한다. 한편,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수단용의 조작부(70)의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의 이동 및 요동체(75)의 요동에 따라 제1 피 가압 롤러(77a)가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을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이 제1 피 가압 롤러(77a)로부터 멀어진다. 상기 요동체(75)는, 도 19의 (A) 및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79)가 제2 피 가압 롤러(77b)에 맞닿을 때까지 자기 중량에 의해 제3 요동축심 P3 주위에서 요동하여, 록체(64)를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록체(64)가 록으로 위치 변경되면, 록 플레이트(76)가 피조작체(43)의 측면부에 맞닿아서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을 규제하여 록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 및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록 수단 R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하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 수단 S는, 돌출 작동을 행함으로써,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 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퇴피 작동을 행함으로써,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록 수단 R을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해, 물품 지지체(29)의 위치 변경 조작 및 록 수단 R의 전환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을 행하면,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51)와 록 수단용의 조작부(73)가 모두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로부터 돌출하는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피 가압 롤러(77)는, 원근 방향에서 피조작체(43)의 홈부(50)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지기 전에 록 수단용의 조작부(73)에서의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이 제1 피 가압 롤러(77a)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제1 가압용 경사면(73a)이 제1 피 가압 롤러(77a)를 상방 측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록체(64)를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하여, 록 수단 R을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록 수단 R이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이 허용되어,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져서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 한다. 또한, 록 수단 R이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되기까지는, 걸어맞춤 롤러(51)가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 측으로 푸시 조작하려고 해도, 록 플레이트(76)에 의해 피조작체(43)의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피조작체(43)가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피조작체(43)가 물품 지지 체(29)를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발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상기 조작 수단 S가 퇴피 작동을 행하면, 조작체(56)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51) 및 록 수단용의 조작부(73)가 원근 방향에서 이동차(3)에 퇴피하는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먼저,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에 걸어맞추어져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한다. 그리고, 피조작체(43)이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피조작체(43)가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그 후, 걸어맞춤 롤러(51)가 홈부(50)의 입구 부분에 이르렀을 때, 제2 가압 용 경사면(73b)이 제2 피가압 롤러(77b)를 상방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록체(64)가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위치 변경되어, 록 수단 R이 록 해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 S가, 걸어맞춤 롤러(51)를 홈부(50)에 걸어맞추어서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푸시 조작하고, 또한, 걸어맞춤 롤러(51)를 홈부(50)에 걸어맞추어서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풀 조작하는 푸시풀 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조작 수단 S를 어떠한 형식에 의해 구성할지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에 복귀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 등 의 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조작 수단 S가,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51)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가압 조작하고, 또한, 퇴피 작동에 의해 피조작체(43)를 이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복귀 이동시키는 가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29)가, 물품 수발 위치에서, 상승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파지부(4) 사이에서 용기(5)를 수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물품 수발 위치에서, 상승 위치에 위치하는 파지부(4) 사이에서 용기(5)를 수발하도록 물품 지지체(29)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물품 수발 위치에서, 물품 지지체(29)가 파지부(4) 사이에서 용기(5)를 수발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상승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 또는 상승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승 위치보다 설정 높이만큼 하강한 위치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물품 지지체(29)를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지부(4)를 상승 위치로부터 설정 높이만큼 하강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29)와 파지부(4) 사이에서의 용기(5)의 수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3)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29)를 안내 레일(2)을 따라 배열된 상태에서 복수개 설치하고 있지만, 물품 지지체(29)를 설치하는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지지체(29)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도, 안내 레일(2)에 대해서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안내 레일(2)의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4)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이동차(3)에, 이동차(3)의 주행 방향에 서 우측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29)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S와, 이동차(3)의 주행 방향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물품 지지체(29)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S의 2개의 조작 수단 S를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조작 수단 S가, 이동차(3)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 및 좌측의 양측에 걸어맞춤 롤러(51)를 출퇴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이동차(3)에 1개의 조작 수단 S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5)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이동체로서 용기(5)를 매단 상태에서 파지 가능하고, 또한 이동차(3)에 대해서 승강 가능한 파지부(4)를 구비한 이동차(3)을 예시했지만, 용기(5)를 어떠한 구성에 의해 유지할 것인지는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용기(5)를 양쪽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용기(5)를 유지하는 협지부(挾持部)만 구비한 이동차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물품 이재용의 스테이션을 안내 레일(2)의 가로 방향의 근방의 위치 등에 설치하고, 그 스테이션에는 이동차(3) 사이에서 물품을 이재하는 출퇴식의 물품 이재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이동차와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물품 이재를 행할 수 있다.
(6)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물품으로서,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5)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를 예시했지만, 반송하는 물품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이동차와 스테이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이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이동차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물품 보관 위치에서의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물품 수발 위치에서의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물품 보관 위치에서의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물품 수발 위치에서의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조작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물품 지지체에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안내 수단에 의한 조작부의 안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록 상태에서의 록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록 해제 상태에서의 록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물품 지지체 및 고정 프레임의 안내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서의 물품 지지체에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록 수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록 수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록 수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 이동 경로 3: 물품 반송용 이동체
4: 유지부 5: 물품
29: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 43: 피조작체
50: 홈부 51: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
56: 출퇴 이동체 64: 록체
70, 73: 록 수단의 조작부 R: 록 수단
S: 조작 수단

Claims (13)

  1.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품 보관용의 물품 지지체는,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한 물품 이재(移載)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유지부로부터 물품을 받고 또 상기 유지부에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수발(受發)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록하는 록 상태(locking state)와 그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록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상태로부터 상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한 후,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해, 상기 물품 지지체의 위치 변경 조작 및 상기 록 수단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 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 변경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지지체를 상기 물품 수발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변경 조작하는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상태로부터 상기 록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또한,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록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출퇴식의 록 수단용의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및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출퇴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퇴 이동체에,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와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격 위치로부터 상기 접근 위치로 조작되는 피조작체가 설치되고,
    상기 피조작체가, 상기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보관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수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물품 지지체에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작체는,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접근 위치에서는 그 선단부가 상기 요동축심보다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자세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조작체의 선단부에, 상기 피조작체가 상기 접근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근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요동축심 측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물품 이재 부분에 정지한 상기 이동체에 접근하는 측의 선단이 상기 원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는, 상기 원근 방향에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홈부에 대해서 걸어맞춤 및 이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원근 방향에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홈부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피조작체를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푸시(push) 조작하고, 또한, 상기 원근 방향에서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조작체를 상기 이격 위치로부터 상기 접근 위치로 풀(pull) 조작하고, 그 후 상기 물품 지지체용의 조작부를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 수단은, 상기 피조작체의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까지의 위치 변경을 규제하여 상기 록 상태로 하는 록 위치와 상기 피조작체의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을 허용하여 상기 록 해제 상태로 하는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록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체는,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조작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체는,
    상기 록 위치로 가압된 상태에서 요동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와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의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체는, 상기 록 수단용의 조작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에 퇴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가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물품 보 관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 위치보다 상방의 상기 물품 수발 위치에 상기 물품 지지체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슬라이드 안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안내 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설비.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두상(頭上)의 레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이며, 상기 차량에는, 유연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유지부는, 승강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유연 부재를 통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그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과 후방에 세로 프레임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상승 위치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전방의 세로 프레임과 후방의 세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상기 하강 위치는, 지상에 배치된 스테이션에 물품을 탑재하기에 적절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는 상기 물품 수발 위치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물품 유지부로부터 물품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물 품 지지체는,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기 물품 유지부와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는, 고정 프레임을 통하여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070116038A 2006-11-14 2007-11-14 물품 반송 설비 KR101234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8080A JP4849331B2 (ja) 2006-11-14 2006-11-14 物品搬送設備
JPJP-P-2006-00308080 2006-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25A true KR20080043725A (ko) 2008-05-19
KR101234543B1 KR101234543B1 (ko) 2013-02-19

Family

ID=3936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038A KR101234543B1 (ko) 2006-11-14 2007-11-14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48588B2 (ko)
JP (1) JP4849331B2 (ko)
KR (1) KR101234543B1 (ko)
CN (1) CN101181956B (ko)
DE (1) DE102007054351B4 (ko)
IE (1) IE86645B1 (ko)
NL (1) NL2000997C2 (ko)
SG (1) SG143142A1 (ko)
TW (1) TWI4103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121A (ko) * 2011-12-21 2013-07-0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5549B2 (ja) * 2010-10-04 2015-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US8540070B2 (en) * 2011-07-19 2013-09-24 Siemens Industry, Inc. Coil shift transfer car
KR20130022025A (ko) * 2011-08-24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수납용기 로더
JP5842276B2 (ja) * 2012-02-28 2016-01-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移載装置
DE202012102447U1 (de) * 2012-07-03 2013-10-07 Kuka Systems Gmbh Zuführeinrichtung
CN107635896B (zh) * 2015-04-21 2019-11-05 欧派克斯公司 物料处理系统
JP6919610B2 (ja) * 2018-03-22 2021-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09353768B (zh) * 2018-10-26 2020-07-17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复合式环形装配线
JP2020193058A (ja) * 2019-05-27 2020-12-0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体
US11912512B2 (en) * 2021-05-13 2024-02-27 HighRes Biosolutions, Inc. Overhead labware transport system
CN116853801B (zh) * 2023-09-01 2023-12-08 常州孟腾智能装备有限公司 电芯托盘解锁机构及其输送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343B (de) 1908-04-02 1909-05-25 Adolf Schiel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von Wagenfenstern.
SE363794B (ko) * 1971-04-26 1974-02-04 Electrolux Ab
JPS5946903U (ja) 1982-09-20 1984-03-28 株式会社ダイフク ケ−ス係止具付き格納設備
ATE37343T1 (de) * 1983-12-01 1988-10-15 Douglas Osborne Steuart Lagerung und befoerderung von auf paletten angeordneten guetern.
GB2150542A (en) * 1983-12-01 1985-07-03 Douglas Osborne Steuart A storage and handling installation for palletised good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0235488B1 (fr) * 1986-09-19 1990-01-24 REDOUTE CATALOGUE Société Anonyme: Installation de manutention robotisée
DE3714638A1 (de) 1987-05-02 1988-12-01 Megamat Gmbh & Co Entlade- und ggf. beladevorrichtung
US5570990A (en) * 1993-11-05 1996-11-05 Asyst Technologies, Inc. Human guided mobile loader stocker
JP2762928B2 (ja) * 1994-05-17 1998-06-11 村田機械株式会社 物品移載装置
JP3361004B2 (ja) * 1996-02-29 2003-01-07 富士通株式会社 Atm運用支援システム
JP3436334B2 (ja) * 1996-08-06 2003-08-11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H11159214A (ja) * 1997-12-01 1999-06-15 Sanshin Kinzoku Kogyo Kk 物品収納棚の物品載置棚部材用ロック装置
JP3696407B2 (ja) 1998-06-19 2005-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操作装置
DE19953812A1 (de) 1999-11-09 2001-05-23 Psb Gmbh Materialflus & Logis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mmissionieren
DE10234360A1 (de) * 2002-07-27 2004-02-05 Nedcon Magazijninrichting B.V. Lagerregal für Waren oder Warengebinde, wie z.B. beladene Paletten
US6663340B1 (en) * 2002-08-30 2003-12-16 Motorola, Inc. Wafer carrier transport system for tool bays
FR2844258B1 (fr) * 2002-09-06 2005-06-03 Recif Sa Systeme de transport et stockage de conteneurs de plaques de semi-conducteur, et mecanisme de transfert
KR101544699B1 (ko) * 2002-10-11 2015-08-1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오버헤드 호이스트를 탑재한 오버헤드 호이스트 수송 차량
JP3991852B2 (ja) * 2002-12-09 2007-10-17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システム
JP4632091B2 (ja) * 2005-08-30 2011-02-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121A (ko) * 2011-12-21 2013-07-0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0363B (zh) 2013-10-01
NL2000997C2 (nl) 2014-03-18
DE102007054351B4 (de) 2015-09-10
KR101234543B1 (ko) 2013-02-19
DE102007054351A1 (de) 2008-06-12
IE86645B1 (en) 2016-05-04
IE20070813A1 (en) 2008-07-23
US8348588B2 (en) 2013-01-08
JP4849331B2 (ja) 2012-01-11
NL2000997A1 (nl) 2008-05-27
JP2008120553A (ja) 2008-05-29
CN101181956A (zh) 2008-05-21
SG143142A1 (en) 2008-06-27
CN101181956B (zh) 2012-07-11
TW200831376A (en) 2008-08-01
US20080131249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54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235069B1 (ko) 물품 반송 설비
JP4378656B2 (ja) 物品搬送設備
JP4632091B2 (ja) 物品搬送設備
KR20080074742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38978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289364B1 (ko) 물품 처리 설비와 그 제어 방법
KR20200050973A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JP5123236B2 (ja) ドア搬送装置
JP2010126278A (ja) 搬送装置
IE85399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