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971A -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971A
KR20080042971A KR1020060111362A KR20060111362A KR20080042971A KR 20080042971 A KR20080042971 A KR 20080042971A KR 1020060111362 A KR1020060111362 A KR 1020060111362A KR 20060111362 A KR20060111362 A KR 20060111362A KR 20080042971 A KR20080042971 A KR 2008004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se
rotor
incident light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384B1 (ko
Inventor
한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3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of iri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등을 자동으로 점멸하는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를 자동점멸수단에 의하여 점멸함과 아울러 운전자가 광센서의 센서 엘리먼트에 입사되는 광량을 임의조절하여 주위환경 등에 부합되게 점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0)에 센서 엘리먼트(11)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창유리(12)를 덮은 광센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의 창유리(12) 내부에 로터(20)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로터(20)의 주위에 기어(21)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벽에 상기 기어(21)와 이물림하는 모터 (23)부 피니온(22)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중앙에 입사광 통과공(27)을 형성한 지지판(26)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20)의 내부 주위에 다수의 지지부재(30)를 동일간격으로 설치하여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판(26)의 입사광 통과공(27) 주위에 조리개기구(32)를 동심원상으로 지지 설치하며,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기(36)로 상기 모터(23)를 제어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케이스, 센서 엘리먼트, 로터, 기어, 피니온, 지지판, 입사광 통과공, 지지 부재, 조리개기구

Description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INCIDENCE RAYS QUANTITY CONTROL MECHANISM OF LIGHT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창유리를 제거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센서 엘리먼트 20 : 로터
21 : 기어 22 : 피니온 26 : 지지판
27 : 입사광 통과공 30 : 지지부재 32 : 조리개기구
본 발명은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등을 자동으로 점멸하는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 램프 및 테일 램프는 특정한 국가를 제외하고는 주간소등ㆍ야간점등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상기한 주간소등ㆍ야간점등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자동점멸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자동점멸수단은 통상적으로 광센서를 이용하고 있는바, 종래의 광센서는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포토IC, CdS(황화카드뮴)셀 등의 센서 엘리먼트(11)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창유리(12)를 덮은 것으로서, 주간에는 입사광량이 많음으로 센서 엘리먼트(11)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헤드 램프 등은 켜지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되고, 야간에는 입사광량이 거의 없음으로 저항이 커서 헤드 램프 등은 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램프의 자동점멸기구는 광센서의 제어는 일정조도만으로 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예를 들어 주간에 안개가 낀 지역을 주행할 경우 입사광량은 많아서 램프는 켜지지 않으나 안전운전을 위하여 헤드 램프와 테일 램프를 켜야할 필요성이 있게 되지만 그 필요성에 부응하지 못하거나, 중고차의 경우 램프의 켜짐을 지연 내지 억제하려고 할 경우에도 램프가 켜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램프를 자동점멸수단에 의하여 점멸함과 아울러 운전자가 센서 엘리먼트에 입사되는 광량을 임의조절하여 주위환경 등에 부합되게 점멸할 수 있도록 한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에 센서 엘리먼트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창유리를 덮은 광센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창유리 내부에 로터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로터의 주위에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상기 기어와 이물림하는 모터부 피니온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수평으로 중앙에 입사광 통과공을 형성한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의 내부 주위에 다수의 지지부재를 동일간격으로 설치하여서,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판의 입사광 통과공 주위에 조리개기구를 동심원상으로 지지 설치하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기로 상기 모터를 제어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포토 다이오드 등의 센서 엘리먼트(11)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창유리(12)를 덮어 설치한 광센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의 창유리(12) 내부에 로터 (20)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로터(20)의 주위에 기어(21)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벽에 상기 기어(21)와 이물림하는 모터(23)부 피니온(22)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중앙에 입사광 통과공(27)을 형성한 지지판(26)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20)의 내부 주위에 다수의 지지부재 (30)를 동일간격으로 설치하여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판(26)의 입사광 통과공(27) 주위에 조리개기구(32)를 동심원상으로 지지 설치하며,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기(36)로 상기 모터(23)를 제어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로터(20)는 케이스(10)의 상면에 지지링(120)을 형성하고, 로터(20)의 저면에 지지홈(121)을 형성하여 지지홈(121)을 지지링(120)에 삽입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조리개기구(32)는 판상 마름모 형상의 조리개본체(130)의 하나의 꼭지점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31a)(131b)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홈(132)을 형성하여 지지돌기(131a)(131b)를 지지홈(132)에 삽입 지지하고, 상기 지지돌기(131a)(131b)가 형성된 꼭지점과 직각위치의 일측 꼭지점 부위를 상기 입사광 통과공(27)의 주위에 핀(133)으로 힌지 결합하여서 로터(20)를 회전하면 지지돌기(131a)(131b) 형성부위가 핀(133)을 지점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입사광 통과공(27)의 면적의 증감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위치(35)를 조작하지 않고, 또한 조리개기구(32)가 입사광 통과공(27)을 조금 닫은 상태로 유지하여 입사되는 입사광량만으로써 종래와 같이 램프를 자동점멸하며, 운전자가 센서 엘리먼트(11)에 입사되는 입사광량을 주변의 환경 등을 이유로 조절할 경우 예를 들어 안개지역을 통과할 때에는 모터 (23)에 의하여 피니온(22)을 구동하고 로터(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20)가 회전함에 따라 그 내부주위에 형성한 지지부재(30)의 지지홈(132)에 조리개본체(130)의 꼭지점에 형성한 지지돌기(131a)(131b)가 삽입 지지된 상태로 핀(133)을 지점으로 조리개기구(32)가 회전함으로써 입사광 통과공(27)의 면적을 축소하게 되고(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입사광 통과공(27)의 면적이 축소되면 센서 엘리먼 트(11)의 저항이 크게 됨으로 램프가 켜지는바, 상기와 같이 안개지역 통과시 램프가 켜지면 자기 차의 식별이 양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고차의 경우 램프의 켜짐을 억제할 때에는 로터(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입사광 통과공(27)의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램프의 켜짐을 지연 내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센서에 조리개기구를 설치하여 센서 엘리먼트에 입사되는 광량을 임의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의도대로 램프를 켜거나 켜짐을 지연 내지 억제할 수 있음으로 주위환경 등에 부합되는 운전을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함과 아울러 배터리의 수명을 양호하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스에 센서 엘리먼트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창유리를 덮은 광센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창유리 내부에 로터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로터의 주위에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상기 기어와 이물림하는 모터부 피니온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수평으로 중앙에 입사광 통과공을 형성한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의 내부 주위에 다수의 지지부재를 동일간격으로 설치하여서,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판의 입사광 통과공 주위에 조리개기구를 동심원상으로 지지 설치하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기로 상기 모터를 제어토록 구성하여서 된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터는 케이스의 상면에 지지링을 형성하고, 로터의 저면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지지홈을 지지링에 삽입한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개기구는 판상 마름모 형상의 조리개본체의 하나의 꼭지점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지지돌기를 지지홈에 삽입 지지하고,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된 꼭지점과 직각위치의 일측 꼭지점 부위를 상기 입사광 통과공의 주위에 핀으로 힌지 결합한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KR1020060111362A 2006-11-13 2006-11-13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KR10083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62A KR100837384B1 (ko) 2006-11-13 2006-11-13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62A KR100837384B1 (ko) 2006-11-13 2006-11-13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971A true KR20080042971A (ko) 2008-05-16
KR100837384B1 KR100837384B1 (ko) 2008-06-12

Family

ID=3966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362A KR100837384B1 (ko) 2006-11-13 2006-11-13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11B1 (ko) * 2014-01-10 2014-09-22 주식회사 비에스엘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KR102589048B1 (ko) * 2021-10-29 2023-10-13 강명숙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255A (ja) 1985-09-02 1987-03-0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自動車のオ−トライトコントロ−ル装置
KR0174173B1 (ko) * 1996-10-29 1999-02-18 박병재 광센서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광량 조절장치
KR19990047615A (ko) * 1997-12-05 1999-07-05 김무 미등 자동점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384B1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472B1 (ko) 착탈식 주차장 차단기
US6568738B1 (en) Optical glare limiter
KR20100108085A (ko) 엘이디 조명 장치
CN107791936B (zh) 自动切换远近光灯的汽车车灯装置
KR20080042971A (ko)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JP7082479B2 (ja) 移動体用表示装置
CN207584651U (zh) 行车灯组及电动车
CN101618695A (zh) 防眩目车灯
KR101272479B1 (ko) 차량 전조등의 자동 점등/소등을 위한 조도 센서 장치
KR100769813B1 (ko) 차량용 일체형 센서
US20100114439A1 (en) Vehicle glare blocking systems
US5057983A (en)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with movable protective shield adapted for use with movable environmental structure
JP5289828B2 (ja) 採光装置
JP6038532B2 (ja) ライト自動点灯制御装置
KR20130005623A (ko) 차량 전조등용 조도센서 장치
KR100646466B1 (ko) 차량용 배너티 미러의 리미트 스위치 구조
JPH0725499U (ja) 標識灯
KR20090011911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조명장치
JP3120287U (ja) サイドミラー用発光警告装置
KR100521569B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0291408Y1 (ko)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KR20060002184A (ko)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시스템
CN208703838U (zh) 一种可以调节光强的感应车灯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JP5609408B2 (ja) 端子台構造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