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48B1 -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048B1
KR102589048B1 KR1020210146914A KR20210146914A KR102589048B1 KR 102589048 B1 KR102589048 B1 KR 102589048B1 KR 1020210146914 A KR1020210146914 A KR 1020210146914A KR 20210146914 A KR20210146914 A KR 20210146914A KR 102589048 B1 KR102589048 B1 KR 10258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nsor
base
axis
detec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046A (ko
Inventor
강명숙
Original Assignee
강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숙 filed Critical 강명숙
Priority to KR102021014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센서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SENSING SCOPE CONTROL DEVICE FOR SENSOR}
본 발명은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에 결합되어 감지범위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등은 보통 설치되는 공간에 대한 이해 없이 일률적인 감지범위로 설계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센서등의 감지범위가 과도하게 작동하는 데에 따른 불편함이 생긴다. 예를 들어, 센서등이 현관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현관까지 나가지 않고 현관을 단지 지나치는 경우에도 센서가 지나치게 반응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보통 센서기능을 꺼놓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정작 현관 센서등의 점등이 필요한 순간에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현관에 불빛이 없어 다른공간으로 가서 불을 켜기까지 암흑공간을 걸어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센서에 결합되어 감지범위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센서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레임은 타원형의 링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는 원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notch)가 형성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3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3 커버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모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축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3 커버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축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상기 제2 커버 및 상기 제3 커버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2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가 형성된 속이 빈 반구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간단히 센서에 부착하여 센서의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기존의 센서를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별도로 감지범위 조절장치가 매립된 센서등을 구매하지 않고도 원하는 센서등의 감지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가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및 자체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상에서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회전 가능하므로, 센서의 노출정도를 손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가 포함된 물품, 예를 들어 센서등이 원하는 감지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점등을 방지하여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베이스가 설치된 프레임을 아래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우선,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감지범위 조절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베이스(200), 제1 커버(320), 제2 커버(340) 및 제3 커버(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타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서에 부착된다. 이때, 프레임(100)은 양면테이프 등으로 센서에 간단하게 탈부착되므로, 이사 등에도 쉽게 떼어가 무제한 사용 가능하다.
베이스(20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턱에 베이스(200)가 위아래로 걸려 베이스(2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좌우 슬라이드 이동 및 자체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200)가 프레임(100)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센서의 완전 개방으로부터 완전 폐쇄까지 센서의 노출 정도를 손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200) 상에는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커버(320) 및 제2 커버(340)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320) 및 제2 커버(340)는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notch)가 형성된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는 제1 커버(320) 및 제2 커버(340)가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각각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프레임(100) 상에서 베이스(200)의 슬라이딩으로 센서의 노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커버(320) 및 제2 커버(340) 사이의 개도를 조절함에 따라 센서의 노출정도를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차폐를 위해 베이스(200)에는 제3 커버(400)가 더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커버(400)는 제1 커버(320)와 제2 커버(340)의 상측에 설치되고 있으며, 제1 축 및 제2 축과 모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1 핀(520)이 제1 축을 형성하며, 제3 커버(400), 제1 커버(320) 및 베이스(200)를 차례로 동시에 관통하고, 제2 핀(540)이 제2 축을 형성하며, 제3 커버(400), 제2 커버(340) 및 베이스(200)를 차례로 동시에 관통한다. 이를 통해 베이스(200)와 제3 커버(400)는 고정되고, 제1 커버(320)와 제2 커버(340)가 그 사이에서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커버(400)는 제1 커버(320)와 제2 커버(340)가 이루는 원형의 반에 해당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00)는 프레임(100) 상에서 360°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차폐를 위한 제3 커버(4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감지범위 조절장치는 상기와 동일하게 타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서에 부착되는 프레임(1100)과,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200)를 포함한다.
베이스(1200) 상에는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커버(1320) 및 제2 커버(134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20) 및 제2 커버(1340)가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notch)가 형성된 속이 빈 반구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프레임(1100) 상에서 베이스(1200)의 슬라이딩으로 센서의 노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커버(1320) 및 제2 커버(1340) 사이의 개도를 조절함에 따라 센서의 노출정도를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범위 조절장치를 간단히 센서에 부착하여 센서의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기존의 센서를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별도로 감지범위 조절장치가 매립된 센서등을 구매하지 않고도 원하는 센서등의 감지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가 포함된 물품, 예를 들어 센서등이 원하는 감지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점등을 방지하여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감지범위 조절장치는 카메라 렌즈, 노트북의 웹캠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1100: 프레임
200, 1200: 베이스
320, 1320: 제1 커버
340, 1340: 제2 커버
400: 제3 커버
520: 제1 힌지핀
540: 제2 힌지핀

Claims (7)

  1. 센서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서로 맞닿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타원형의 링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는 원형의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notch)가 형성된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3 커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모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3 커버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축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상기 제2 커버 및 상기 제3 커버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2 핀;을 더 포함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서로 맞닿았을 때 노치가 형성된 속이 빈 반구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KR1020210146914A 2021-10-29 2021-10-29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KR10258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14A KR102589048B1 (ko) 2021-10-29 2021-10-29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14A KR102589048B1 (ko) 2021-10-29 2021-10-29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46A KR20230062046A (ko) 2023-05-09
KR102589048B1 true KR102589048B1 (ko) 2023-10-13

Family

ID=8640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914A KR102589048B1 (ko) 2021-10-29 2021-10-29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20Y1 (ko) * 2003-07-31 2003-10-22 대하에스코 주식회사 자동 점멸기의 광량 및 감지범위 조절장치
KR100837384B1 (ko) 2006-11-13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KR101369894B1 (ko) 2013-11-22 2014-03-06 주식회사 비에스엘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KR101441611B1 (ko) * 2014-01-10 2014-09-22 주식회사 비에스엘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88A (ja) * 1984-06-15 1986-01-08 Oki Electric Ind Co Ltd 適応ビ−ム・フオ−マを用いるソ−ナ−方式
JPH08327447A (ja) * 1995-05-30 1996-12-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集電素子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20Y1 (ko) * 2003-07-31 2003-10-22 대하에스코 주식회사 자동 점멸기의 광량 및 감지범위 조절장치
KR100837384B1 (ko) 2006-11-13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KR101369894B1 (ko) 2013-11-22 2014-03-06 주식회사 비에스엘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KR101441611B1 (ko) * 2014-01-10 2014-09-22 주식회사 비에스엘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46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37600A3 (en) Computer, pda or telephone lens cover
US9726960B2 (en) External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handheld smart devices
USD790551S1 (en) Cover with magnetized side screens for an electronic device fitted with a flat display
US20070258256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anity mirrors of motor vehicles sun visors
US20170324438A1 (en) Lighting device with lights on rotatable panel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06002334A (ja) 遮蔽要素を備える安全ヘルメット
JP3195338U (ja) 電子製品のバックカバー位置決め装置
KR102589048B1 (ko) 센서의 감지범위 조절장치
KR20080026709A (ko) 모자에 부착되는 마스크
US20190018305A1 (en) Case for smart phone & tablet with privacy capability to cover the front and back cameras (No Spy cover case/ No Snoop cover case)
EP1847822A1 (en) A passive infrared detector with internal masking means
ATE315797T1 (de) Irisblende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EP2887139A1 (en) Device for covering the lens of a digital camera built into an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similar apparatus having multimedia transmission capabilities
TWI604772B (zh) 電子灑水控制器及其殼體組件
KR20170133249A (ko) 렌즈 모듈
KR101935108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JP6266526B2 (ja) 侵入検知装置
JP2552157Y2 (ja) バルブ
KR101922394B1 (ko) 핸드 모션 감지 캡 라이트
RU2712466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й узел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177062B1 (en) Protective case for retractable magnifier or digital media
KR101369894B1 (ko)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KR20120058884A (ko) 디스플레이창 보호기능과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599878B1 (ko) 회전형 렌즈 캡을 갖춘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