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408Y1 -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408Y1
KR200291408Y1 KR2020020013023U KR20020013023U KR200291408Y1 KR 200291408 Y1 KR200291408 Y1 KR 200291408Y1 KR 2020020013023 U KR2020020013023 U KR 2020020013023U KR 20020013023 U KR20020013023 U KR 20020013023U KR 200291408 Y1 KR200291408 Y1 KR 200291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unit
vehicle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종
Original Assignee
조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종 filed Critical 조영종
Priority to KR2020020013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408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자동차(1)의 앞유리(2)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 상기 광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7); 상기 콘트롤러(7)의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소정의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3); 상기 발광부(3)를 상기 자동차(1)의 앞유리(2)의 일측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11); 및 상기 광센서(6), 콘트롤러(7), 발광부(3)를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Apparatus Of Vehicle For Preventing Glaring}
본 고안은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사되는 불빛의 조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불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자동차의 앞유리의 일측에 부착함으로써, 앞유리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 광선 또는 외부의 불빛으로 인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시에 주간의 태양 광선 또는 야간의 반대편의 차량의 전조등의 불빛이 운전중인 자동차의 앞유리를 통해 입사되면 운전자는 입사되는 불빛과 시야주위의 휘도의 차이에 의해 눈이 부시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조향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그로 인한 교통 사고의 위험도 큰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글라스의 착용, 자동차의 앞유리에 차단막을 설치, 자동차 앞유리를 착색, 자동차 앞유리를 필름으로 코팅 처리하는 등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선글라스 착용이나, 앞유리를 착색하는 방법은 흐린 날이나 야간에외부를 관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앞유리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어 미러의 관찰이 어려워져 시계가 단절되어 안전 운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앞유리를 필름으로 코팅 처리하는 방법도 야간 운전시에 시야 확보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운전중 입사되는 광선에 의한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자동차 앞유리의 일측에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의 조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조도의 빛을 발생시킬수 있는 명령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으로 인한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자동으로 조도를 조절하는 자동 모드와 일정한 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수동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자동차(1)의 앞유리(2)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 상기 광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7); 상기 콘트롤러(7)의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소정의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3); 상기 발광부(3)를 상기 자동차(1)의 앞유리(2)의 일측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11); 및 상기 광센서(6), 콘트롤러(7), 발광부(3)를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는 내부에 상기 콘트롤러(7)가 위치하고, 하단 일부가 개방된 발광부 본체(15);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개방된 내부(18)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17); 및 상기 광원(17)에서 방출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 본체(15)와 상기 광원(17)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갓(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는 상기 광원(17)의 앞쪽에 상기 광원(17)에서 방출된 빛의 분산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2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6)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콘트롤러(7)의 명령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모드 선택 스위치(21); 및 상기 발광부(3)에서 일정한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수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모드 선택 스위치(2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부(3)와 상기 부착 수단(11)의 사이에는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3)를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수단(1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내부 상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내부 하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2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가 자동차 앞유리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콘트롤러의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 자동차, 2: 앞유리,
3 : 발광부, 6 : 광센서,
7 : 콘트롤러, 10 : 전원스위치,
11 : 부착수단, 13 : 체결수단,
15 : 발광부 본체, 17 : 광원,
19 : 반사갓, 20 : 볼록렌즈,
21 : 자동모드 스위치, 23 : 수동모드 스위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는 발광부(3), 광센서(6), 콘트롤러(7), 전원 스위치(10), 부착 수단(11), 체결 수단(13), 볼록렌즈(20), 자동모드 스위치(21), 수동모드 스위치(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3)는 발광부 본체(15), 광원(17), 반사갓(19), 볼록렌즈(20)로구성된다.
상기 발광부 본체(15)는 재질이 PVC, PE, PMMA등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내부에 상기 콘트롤러(7)가 위치하며, 하단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 본체(15)는 240mm(가로) ×25mm(세로) ×65mm(높이)의 크기로써 자동차(1)의 앞유리(2) 내측에 부착가능하다.
상기 광원(17)은 12V 또는 24V, 5A ~ 20A의 휘도 제어용 백열 전구가 사용되고,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개방된 내부 일측에 3 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갓(19)은 상기 광원(17)에서 방출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3 개의 반사갓(19)이 상기 발광부 본체(15)와 상기 광원(17)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록렌즈(20)는 상기 광원(17)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17)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일정범위내로 집중시켜 빛의 분산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운전자가 고온의 상기 광원(17)을 만질수 없도록 한다.
상기 광센서(6)는 외부로부터 자동차(1)의 앞유리(2)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CdS 광전도 셀을 사용한다. 상기 CdS 광전도 셀은 황화 카드뮴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도전 소자로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에 따라서 내부 저항이 변화하는 일종의 광 가변 저항기이며, 포토 다이오드에 비해 회로적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저항과 같은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콘트롤러(7)는 상기 발광부 본체(15) 내부에 위치하여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광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PIC16C711 CPU를 사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착 수단(11) 및 체결 수단(13)은 도 3의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10)는 상기 광센서(6), 콘트롤러(7), 발광부(3)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식 스위치로서, 운전자가 운전중에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모드 선택 스위치(21)는 상기 광센서(6)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콘트롤러(7)의 명령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식 스위치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모드 선택 스위치(23)는 상기 발광부(3)에서 일정한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수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식 스위치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하단이 개방된 내부(18) 일측에 광원(1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 본체(15)와 상기 광원(17)사이에 상기 반사갓(19)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17)의 앞쪽에 상기 볼록렌즈(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상면 끝단(16)은 상기 광원(17)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하방으로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절곡처리 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가 자동차 앞유리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3)와 상기부착 수단(11)의 사이에는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3)를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상기 체결수단(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 수단(13)은 브래킷을 사용하며,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양측에 브래킷을 조립하여 상기 발광부(3)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부착 수단(11)은 상기 체결 수단(13)을 상기 자동차(1)의 앞유리(2)의 일측에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3M 양면 테입이나 강력 접착제등이 사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상기 콘트롤러(7)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러(7)가 8bit A/D 컨버터가 내장된 8bit 컨트롤 프로세서인 PIC16C7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콘트롤러(7)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광센서(6)인 CdS 셀에 조사되면 조사된 빛의 에너지 크기에 따라 상기 CdS 셀의 저항값이 변하는데, 조사된 빛의 에너지가 클수록 상기 광센서(6)의 저항값은 작아지며 조사된 빛의 에너지가 작을수록 저항값은 크게 된다. 따라서, 조사되는 빛의 에너지 크기에 따라 상기 광센서(6)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달라지게 되며, 상기 광센서(6)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이 상기 PIC16C711칩(25)의 기준전압값인 VREF(29)으로 입력되며, 상기 PIC16C711칩(25)은상기 VREF(29)으로 입력된 전압의 변위량에 따라 ON, OFF 펄스신호의 폭을 변조하여 RB7핀(31)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의 출력된 펄스 신호의 폭에 따라 백열 전구(17)의 밝기가 달라지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가 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상측에 2 개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전면에는 조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가 각각 1 개씩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상측에 2 개가 설치된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서 발생된 빛은 하방으로 조사된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6에는 상기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빛은 운전자의 앞쪽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밝은 빛이 갑자기 입사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빛이 상기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로부터 조사되므로 상기 운전자의 시야 주위의 휘도와 상기 빛의 휘도가 거의 같아지므로 운전자는 눈부심을 거의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전면에는 조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가 각각 1 개씩 부착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는 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하측에 2 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방으로 조사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눈부심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전면에는 조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가 각각 1 개씩 부착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는 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양측에 2 개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방으로 조사된다.
본 고안에서는 비록, 자동차를 대표적인 예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모터 사이클, 자전거, 모페드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출입이 잦은 주차장 관리실, 아파트 입구 관리실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광원(17)으로서 백열 전구를 사용하였으나, 용도나 취향에 따라서 형광등, 할로겐등, 네온등, 아르곤, LED등의 각종 발광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발광부(3)에 3개의 백열 전구가 사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재질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하였으나, 알루미늄, 텅스텐, 스테인레스등의 금속재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브래킷(13)을 상기 발광부(3)에 체결하여 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일측에 부착하였으나, 상기 발광부(3)를 직접자동차(1)의 앞유리(2) 내부 일측에 부착할 수도 있고, 상기 발광부(3)를 자동차(1)의 헤드라인 내장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광센서(6)로 CdS 셀을 사용하였으나, 좀 더 민감한 반응을 위해서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포토 다이오드, CdSe, PbS, 포토IC등의 각종 광 검출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를 2 개를 사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 개 또는 3 개 이상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앞유리 일측에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의 조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조도의 빛을 발생시킬수 있는 명령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불빛으로 인한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조도를 조절하는 자동 모드와 일정한 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수동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외부로부터 자동차(1)의 앞유리(2)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
    상기 광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7);
    상기 콘트롤러(7)의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소정의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3);
    상기 발광부(3)를 상기 자동차(1)의 앞유리(2)의 일측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11); 및
    상기 광센서(6), 콘트롤러(7), 발광부(3)를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는 내부에 상기 콘트롤러(7)가 위치하고,하단 일부가 개방된 발광부 본체(15);
    상기 발광부 본체(15)의 개방된 내부(18)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17); 및
    상기 광원(17)에서 방출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 본체(15)와 상기 광원(17)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갓(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는 상기 광원(17)의 앞쪽에 상기 광원(17)에서 방출된 빛의 분산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2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6)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콘트롤러(7)의 명령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모드 선택 스위치(21); 및
    상기 발광부(3)에서 일정한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는 수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모드 선택 스위치(2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와 상기 부착 수단(11)의 사이에는 상기 발광부(3)에서 발생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3)를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수단(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6.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내부 상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7.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내부 하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8.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는 자동차(1) 앞유리(2)의 양측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KR2020020013023U 2002-04-29 2002-04-29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KR200291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23U KR200291408Y1 (ko) 2002-04-29 2002-04-29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23U KR200291408Y1 (ko) 2002-04-29 2002-04-29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131A Division KR20030085460A (ko) 2002-11-05 2002-11-05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408Y1 true KR200291408Y1 (ko) 2002-10-09

Family

ID=7312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023U KR200291408Y1 (ko) 2002-04-29 2002-04-29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1440A1 (en) Optical glare limiter
US20050243568A1 (en) Set of parts and assembling method for assembling a rear-view side mirror of a vehicle
US20050259416A1 (en) Dual lighting system
US7798659B2 (en) Vehicle mirror having a light source
KR20100108085A (ko) 엘이디 조명 장치
EP2501989B1 (en) Street lighting device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US20090073590A1 (en) Vehicle mirror with integrated lighting
CN112105526A (zh) 用于设置交通工具的照明状况的方法和系统以及交通工具
CN109185826A (zh) 一种led车灯
KR100905345B1 (ko) 빛 눈부심 방지 장치
KR200291408Y1 (ko)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KR20030085460A (ko)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 장치
JP6038532B2 (ja) ライト自動点灯制御装置
JP2001026914A (ja)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20090062330A (ko) 차량 전조등의 자동 점등/소등을 위한 조도 센서 장치
KR100579980B1 (ko)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시스템
JPH0725499U (ja) 標識灯
KR100837384B1 (ko)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CN216210381U (zh) 一种柔光环保补光灯
JPH04143134A (ja) 車両の室内表示装置
JP3150931B2 (ja) 交通標識用発光体
JPH0813621B2 (ja) 車室内照明装置
KR100575300B1 (ko) 반사율 조절이 가능한 oled 룸미러
KR200160063Y1 (ko) 클러스터 게이지 조명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