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60A -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60A
KR20080041860A KR1020060109992A KR20060109992A KR20080041860A KR 20080041860 A KR20080041860 A KR 20080041860A KR 1020060109992 A KR1020060109992 A KR 1020060109992A KR 20060109992 A KR20060109992 A KR 20060109992A KR 20080041860 A KR20080041860 A KR 2008004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ehicle
light
lamp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0601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860A/ko
Publication of KR2008004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8Automatic calibration of motor-driven means for adjusting headlamps, i.e. when switching on the headlamps, not during mounting at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車線) 인식을 위한 차선등이 구비되는 차량(車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앞을 비추는 전조등(50)이 구비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50)의 일측에는, 차선(車線, a traffic lane) 인식을 위한 차선등(7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선등(70)은, 차량의 전면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되며, 전방 좌측과 우측을 각각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선등(70)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선 인식이 용이하여 차량사고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차량, 차선, 조절, 모터, 운전

Description

차량 {vehicle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 주행시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방에서 본 부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방에서 본 부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전조등 52. 안개등
54. 전방유닛 56. 배터리
70. 차선등 72. 차선등버튼
74. 전원선 80. 방향조절수단
82. 회전모터 84. 조절버튼
86. 전달부재 90. 차선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차선(車線) 인식을 위한 차선등이 구비되는 차량(車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車輛)은 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차(車)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차량은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과 노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바퀴 그리고, 엔진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전면에는 야간에 전방을 비추기 위한 전조등(前照燈)이 구비되며, 이러한 전조등의 옆이나 아래에는 안개가 끼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안개등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차량에 있어서는 비나 눈이 오는 날에는 도로의 차선(車線, a traffic lane) 인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조등과 안개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을 비추고 있으므로, 주행시 상대적으로 차량의 좌우에 위치되는 차선(10)은 빗물에 의한 불빛의 반사 등으로 인해 운전자가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전면에 차선(車線) 인식을 위한 차선등을 구비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선등이 비추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 가능한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차선(車線)의 폭 또는 주행속도에 따라 차선등이 비추는 빛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앞을 비추는 전조등(前照燈)이 구비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의 일측에는, 차선(車線, a traffic lane) 인식을 위한 차선등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등은, 차량의 전면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되며, 전방 좌측과 우측을 각각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등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비추는 전조등과; 상기 전조등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차선(車線)을 비추는 차선등과; 상기 차선등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는 차선등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등은, 전방 좌측 또는 우측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등은, 상기 전조등의 하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등의 일측에는, 상기 차선등이 비추는 빛의 조사 방향을 전후 또는 좌우로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차선등의 유동을 위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버튼과;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차선등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에 의하면, 차선 인식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면에는 빛을 조사하여 야간에 앞을 비추는 전조등(50)이 구비되고, 이러한 전조등(50)의 하측에는 안개등(52)이 더 구비된다. 즉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전방유닛(54)의 선단부에 상기 전조등(50)과 안개등(52)이 각각 구비된다.
전조등(50, 前照燈; a headlight; a headlamp)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선단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야간 주행시 도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야를 넓혀주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안개등(52, fog lamp)은 눈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는 따위의 날씨가 좋지 않을 때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장착하는 보조 램프로,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방유닛(54)의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이나, 배터리(56)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차량의 하단부에는 차량바퀴(5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차량 내부에는 사람이 착석 가능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전반부에는 차량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운전석(60)에는 차량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과 운전 조작을 위한 운전대(62)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전조등(50)의 하측에는 차선등(7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차선등(70)은 차선(車線, a traffic lane)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전조등(50)의 하측은 물론, 상기 전조등(50)의 옆에도 설치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개등(52)의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옆이나, 안개등(52)의 케이스 내부에 함께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차선등(70)은, 차량의 전면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유닛(54)의 선단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좌측과 우측을 각각 비추게 된다.
상기 운전석(60)에는 차선등버튼(72)이 설치된다. 상기 차선등버튼(72)은 상기 차선등(70)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선등(70)과 차선등버튼(72)은 전원선(74)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전원선(74)은 상기 배터리(56)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차선등버튼(7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56)의 전원이 상기 차선등(70)으로 공급되어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선등(70)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차선등(70)의 옆에는 방향조절수단(8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선등(70)이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향조절수단(80)은, 상기 차선등(70)의 유동을 위한 회전모터(82)와,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버튼(84)과,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력을 상기 차선등(70)에 전달하는 전달부재(86)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선등(70)은 장착케이스(88)에 감싸여져 있다. 상기 장착케이스(88)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내경이 증가하는 원뿔(또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착케이스(88)의 내부에 상기 차선등(7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장착케이스(88)의 전면은 차폐유리(88')로 차폐되어 있다. 상기 차폐유리(88')는 상기 차선등(70)의 불빛이 전방으로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선등(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뚤어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차선등(70)은, 차량의 길이방향(Y)에 대하여 일정 각도(α)로 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선등(70)이 차량의 길이방향(Y)에 대하여 일정 각도(α)를 가지도록 측방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차량 주행 중 상기 차선등(70)이 차선(90)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차선(90)의 폭은 일반국도인 경우 약 3 내지 3.5m 이고, 일반 승용차의 차폭은 약 1.6 내지 2.0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차선등(70)은 차량의 길이방향(Y)에 대하여 약 5 내지 10도 정도 측방으로 벗어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알파(α)각은 약 5 ~ 10°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선등(70)과 장착케이스(88)의 후단은 상기 전달부재(86)에 연결된다. 즉, 상기 차선등(70)은 상기 장착케이스(88)에 장착된 채로 상기 전달부재(86)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달부재(86)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으로, 상기 회전모터(82)와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86)의 일단은 상기 차선등(70)과 장착케이스(88)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회전모터(8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8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기 전달부재(86)를 통해 상기 차선등(70)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모터(82)는 상기 배터리(5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터(8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차선등(70)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차선등(70)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차선(90)의 인식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주행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근거리의 차선을 인식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상기 차선등(70)이 상대적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대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주행속도를 감안하여 운전자가 상대적으로 원거리의 차선까지 인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차선등(70)이 상대적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조절버튼(84)은 상기 회전모터(82)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버튼(84)은 상기 운전석(60)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또는 좌우 조절이 가능한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예로, 상기 조절버튼(84)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회전모터(82)가 정회전하여 상기 차선등(70)이 상대적으로 상방을 비추게 되고, 반대로 상기 조절버튼(84)의 하단을 누르면 상기 회전모터(82)가 역회전하여 상기 차선등(70)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비추게 된다.
상기 조절버튼(84)은 상기 회전모터(82)와 조절선(85)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조절선(85)은 상기 배터리(56)에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버튼(84)의 누르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선등(70)이 향하는 방향이 상하 좌우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는 상기 방향조절수단(8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모터(82)가 차량의 전방유닛(54) 내부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모터(82)가 상기 전방유닛(54) 내부에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모터(82)와 상기 전달부재(86) 등의 기능은 모두 동일하므로, 재차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중심축(9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심축(92)에는 상기 회전모터(8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모터(8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심축(9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92)의 양단에는 연결기구(9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94)는 상기 중심축(92)과 상기 전달부재(86) 사이를 연결하는 기구이다. 상기 연결기구(94)는 회전 중심이 서로 다른 상기 중심축(92)과 전달부재(8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92)의 회전운동을 상기 전달부재(86)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기구(94)로는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이 사 용됨이 바람직하다.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은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훅 조인트(Hooks joint)라고도 불리는 축이음 장치로, 2축이 같은 평면내에 있으면서 그 중심선이 서로 어느 각도로 마주치고 있을 때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차량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은 일반적인 차량의 구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므로, 엔진(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차량바퀴(58)가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야간이나 지하에서와 같이 주위가 어두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전조등(50) 또는 안개등(52)을 켜서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유지한다.
한편, 눈비가 오거나 안개가 짙게 낀 날씨 등으로 인해, 도로의 차선(90)이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차선등(70)을 온(on)하여 차량을 주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운전석(60)에 앉은 운전자가 상기 차선등버튼(72)을 누르면, 상기 배터리(56)의 전원이 상기 차선등(70)으로 공급되어 상기 차선등(70)이 온(on) 된다.
도 5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조등(50) 및 안개등(52)에서 조사되는 불빛은 차량의 전방을 비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전조등(50)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전방(도 5에서 'A'영역)을 비추게 되고, 상기 안개등(52)은 가까운 거리의 전방(도 5 의 'B'영역)을 비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선등(70)은 차량의 전방 좌우(도 5에서 'C'영역)를 비추게 된다. 즉, 상기 차선등(70)은 좌우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좌우에 위치한 차선(90)을 비추게 된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상기 차선등(70)에서 조사되는 불빛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조절수단(80)을 사용한다. 즉 상기 조절버튼(84)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차선등(70)이 향하는 방향을 바꾼다.
예로, 차량을 고속으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먼거리의 시야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상기 차선등(70)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조절버튼(84)의 상단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82)가 정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력이 상기 전달부재(86)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차선등(70)이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을 비추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차량을 저속으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선등(70)이 근거리의 차선을 집중적으로 비출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조절버튼(84)의 하단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82)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이 상기 전달부재(86)에 전달되어 상기 차선등(70)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상기 차선등(70)이 비추는 방향을 상하로 조절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상하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로도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전달부재(86)가 상하로 설치되어, 이러한 전달부재(8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선등(70)이 비추는 방향이 좌우로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기구(94)로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이 사용 가능하다고 하고 있으나, 상기 중심축(92)과 상기 전달부재(86)의 회전 중심이 이루는 각에 따라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 대신 다른 형태의 커플링(coupling)이나 베벨기어(bevel gear)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에 의하면, 차량의 전조등이나 안개등 외에 차선등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눈비가 오는 날씨 또는 안개가 짙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차선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차선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빗물 등으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에도, 차선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차량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선등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향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속도에 관계없이 차선등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항상 차선을 비추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차선인식용 차선등을 차량에 설치할 경우에는, 밤눈이 어두운 사람이나 신경이 날카로운 사람, 피곤한 사람과 같이 차선 인식이 여의치 않아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물론, 보통사람의 경우에도 시각적 안정감과 마음적인 심리 안정을 유도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장거리 운전자나 노약자 장애우 등과 같은 운전자의 안전운전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앞을 비추는 전조등(前照燈)이 구비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의 일측에는, 차선(車線, a traffic lane) 인식을 위한 차선등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등은,
    차량의 전면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되며, 전방 좌측과 우측을 각각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등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비추는 전조등과;
    상기 전조등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차선(車線)을 비추는 차선등과;
    상기 차선등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는 차선등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등은,
    전방 좌측 또는 우측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등은, 상기 전조등의 하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4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등의 일측에는,
    상기 차선등이 비추는 빛의 조사 방향을 전후 또는 좌우로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차선등의 유동을 위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버튼과;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차선등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
KR1020060109992A 2006-11-08 2006-11-08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KR20080041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92A KR20080041860A (ko) 2006-11-08 2006-11-08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92A KR20080041860A (ko) 2006-11-08 2006-11-08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60A true KR20080041860A (ko) 2008-05-14

Family

ID=3964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92A KR20080041860A (ko) 2006-11-08 2006-11-08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8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26B1 (ko) * 2014-12-23 2016-02-1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폭 시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안개등
CN106715193A (zh) * 2014-09-26 2017-05-24 标致·雪铁龙汽车公司 包括具有可动设备的信号装置的机动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5193A (zh) * 2014-09-26 2017-05-24 标致·雪铁龙汽车公司 包括具有可动设备的信号装置的机动车辆
KR101592126B1 (ko) * 2014-12-23 2016-02-1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폭 시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안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3513A (zh) 汽车用适应型前照灯
KR20080041860A (ko) 차선등을 구비한 차량
CN216611037U (zh) 一种自动转向辅助灯和汽车转向辅助电路
KR100372745B1 (ko) 자동차의 조향용 보조라이트
US3168251A (en) Movable vehicle head lamps
KR0167920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 조절장치
KR0113599Y1 (ko) 자동차의 스티러링휠의 작동시 안개등 연동장치
CN2226697Y (zh) 可转向的汽车前大灯
KR970004736B1 (ko) 자동차의 라이트 장치
KR0165794B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JP3207529B2 (ja) 配光可変型前照灯
KR0167919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 조절장치
KR200180753Y1 (ko) 조명방향이 제어되는 자동차전조등
KR101127067B1 (ko) 자동차용 도로 적응성 조명 장치
CN2388070Y (zh) 液压式汽车同步转向照明装置
KR200337158Y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빔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KR880000687B1 (ko)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CN2464574Y (zh) 装有会车灯的汽车
KR0143353B1 (ko) 헤드 램프의 조향장치
JPH0650111U (ja) プロジェクタ型車両用灯具の配光可変構造
KR19980039467U (ko) 헤드램프의 상,하 각도 조절장치
JP3067647U (ja) 自動回転カ―ライト
KR20100082423A (ko) 핸들 방향에 따라 좌우 각각 또는 같이 움직이는 전조등장치
JPH10109588A (ja) 自動車用ライト
KR200377640Y1 (ko) 자동차용 측방향 보조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