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87B1 -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87B1
KR880000687B1 KR1019850001759A KR850001759A KR880000687B1 KR 880000687 B1 KR880000687 B1 KR 880000687B1 KR 1019850001759 A KR1019850001759 A KR 1019850001759A KR 850001759 A KR850001759 A KR 850001759A KR 880000687 B1 KR880000687 B1 KR 88000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swing
angle
gea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109A (ko
Inventor
류동일
Original Assignee
류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동일 filed Critical 류동일
Priority to KR101985000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87B1/ko
Priority to JP60261621A priority patent/JPS61215138A/ja
Publication of KR86000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광선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광선 조절장치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방주사 각도 가변을 나타낸 작동상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정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발명의 좌측 또는 우측 주사 방향 가변을 나타낸 작동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회몸체 2 : 슬리브
3 : 선회기어 5 : 덮개
1a : 설치공간 5a : 반사면
본 발명은 각종 원동기나 차량등에 사용되는 헤드라이트(이하 전조등이라 칭한다)의 광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주사각도의 임의 조절과, 차량의 진행 방향 절환시 주사방향이 동시 절환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체의 광선 조절 장치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동물체의 안구동작 원리를 응용하여, 주사 광선이 불필요한 곳으로 비산됨을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며, 전조등 조립체가 핸들 또는 앞바퀴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좌 또는 우측으로 선회하게 되므로서 경사길 주행시나 선회시 광맥이 진행방향을 정확하게 비출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광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은,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이며, 다음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야간에 전방 약 100m이상 떨어져 있는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가져야 한다.
둘째, 어느정도 빛이 확산하여 주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행을 할때 맞은편에서 오는 대향차 내의 운전자를 눈부시게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전조등의 보편적인 구조는 배터리측의 공급전원에 의하여 발광되는 전구와, 발광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금속체 반사경, 그리고 반사경 전면을 커버하는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전조등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차체의 전면 양측의 케이싱 내에 각기 전구와 반사경 및 렌즈로 구성된 전조등 조립체가 고정 결합 설치 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릴레이를 통하여 근거리 주사용 로우(Low) 또는 원거리 주사용 하이(High)빔을 가변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조등은, 렌즈부분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주행시 눈이나 비 또는 흙탕물 등이 쉽게 묻게 되어 광택을 차담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극히 제한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광선의 투사 각도는 반사경에 의해서만 제어되므로 사방 분산에 의한 광선의 낭비와 함께, 교차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시야를 직접적으로 방해 하게 되며, 특히 전조등이 고정 부착 설치되는 관계로 커브길 주행시 조향 장치를 이미 선회 방향으로 조향되어 진행을 계속하게 될때 전조등은 아직도 전방을 비추고 있게 되므로서, 운전자의 시계를 극히 불량하게 하고 전방 장애물의 미발견에 따른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 광선의 전방 주사 각도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기후적 악조건 하에서도 렌즈 부위를 보호하도록 함과 동시, 차체의 조향 방향에 따라 민감하고 신속하게 주사방향을 가변시키는 광선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조등 조립체를 결합시킨 반구형 선회몸체가 후방측의 기어부로서 구성된 선회수단을 이용하여 좌 또는 우측으로 선회 자재토록 결합 설치되었으며, 내측에 반사면을 구비한 주사 각도 가변용 반구형 덮개가 상기 반구형 몸체의 상측 부위에 힌지 결합되면서, 그 후방측에 와이어 케이블과 같은 각도 가변 수단이 결합 설치되므로써, 덮개의 각도를 가변시킴에 따라 광선을 필요한 곳으로 집중시키고, 주사 각도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선회 몸체의 선회 수단을 조향장치와 연동시켜 주므로서 광선이 차체의 선회방향으로 함께 선회 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 제1도 및 제2, 4도에서와 같이, 내부의 설치공간(1a)내에 전구(7a)와 반사경(7b) 및 렌즈(7c)로 구성된 전조등 조립체(7)를 삽입 결합시킨 반구형 선회몸체(1)를 형성함과 동시, 그 후방으로는 외주면 소정위치 전둘레에 선회기어(3)를 결합시킨 슬리브(2)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후방 돌출된 슬리브(2)를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 설치된 선회 지지대(4)와 좌 또는 우측으로 선회 자재토록 결합 설치되며, 상기 실리브에 결합된 선회기어(3)에는 차량의 조향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동된 구동측기어(8)가 치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측기어 및 선회기어는 상호 워엄과 워엄 기어, 혹은 베벨기어 및 수퍼기어등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반구형 선회몸체(1) 상측에는 내측에 반사면(5a)를 구비한 반구형 덮개(5)가 양측하단 부위를 힌지결합 형태로 결합설치되면서, 그 후방측에는 통상 운전석에서 당김상태를 가변 조작 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6)이 연결 설치 되므로서, 와이어 케이블(6)의 장력에 의하여 선회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였다(도면 제3도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선회몸체(1)의 상측에 힌지 결합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덮개(5)는, 그 내측에 반사면(5a)을 가지고 각도 가변 자재형태로 작동 되므로서, 와이어케이블(6)을 당겨주면 전조등 조립체(7)에 대한 전방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선을 보다 멀리까지 비출수 있는 원거리 투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와이어 케이블(6)을 밀어주며 전방측으로 선회하면서 전조등 조립체(7)에 대한 전방 개방 각도가 작아져 광선을 근거리로만 집약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5)는 전조등 조립체(7)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서, 빗방울이나 눈등이 직접 렌즈 부위와 접촉하여 광선을 차단하게 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내측의 반사면(5a)에 의하여 광선이 불필요한 곳으로의 비산 방지되고, 교차 주행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시야 방해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선회몸체(1)는 후방의 슬리브(2)에 결합 설치되어 조향 장치와 연결 구동되는 구동기어(8)와 치합된 선회기어(3)에 의하여, 차체의 선회 방향으로 슬리브(2)측 선회 몸체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차체가 우측으로 방향 전환시에는 덮개(5)와 함께 도면 제4도의 상태에서 제5(a)도와 같은 상태로 선회되고, 좌측으로 방향 전환시에는 제5(b)도와 같은 상태로 선회되고, 차량이 진행하고져 하는 방향의 전방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춰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은, 선회몸체의 상측에 각도 가변 자재토록 결합 설치된 덮개(5)에 의하여 전조등의 전방 주사 각도를 임의로 가변시킴과 동시, 불필요한 곳으로의 광선의 비산을 방지하여 전조등의 선명도와 교차 주행 차량 운전자의 시야 장애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눈 비등과 같은 악조건하에서도 전조등 조립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전조등의 밝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차량 조향장치와 연동 설치되는 선회 몸체에 의하여 광선이 차체의 선회방향과 함께 선회 주사되므로서, 장애물 조기 발견에 따른 사고예방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반구형으로서 내부의 설치공간(1a)에 전조등 조립체(7)를 삽입 결합시킴과 동시, 후방측에는 조향 장치 측에서 연결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선회기어(3)를 구비한 슬리브(2)를 형성하여, 차체측의 선회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자재토록 구성된 선회몸체(1)와 ; 내측에 반사면(5a)을 구비한 반구형으로 양측 하단 부위를 상기 선회몸체와 힌지 결합시킨 상태에서, 후방측에 결합되는 수동 조작용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선회각도가 가변되면서 광선의 전방 주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덮개(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KR1019850001759A 1985-03-19 1985-03-19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KR88000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1759A KR880000687B1 (ko) 1985-03-19 1985-03-19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JP60261621A JPS61215138A (ja) 1985-03-19 1985-11-22 ヘツドライトの光線調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1759A KR880000687B1 (ko) 1985-03-19 1985-03-19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09A KR860007109A (ko) 1986-10-08
KR880000687B1 true KR880000687B1 (ko) 1988-04-23

Family

ID=1924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759A KR880000687B1 (ko) 1985-03-19 1985-03-19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15138A (ko)
KR (1) KR880000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859A (ja) * 2008-03-31 2009-10-22 Denso Corp 車両用ドア開放警告装置
KR101232305B1 (ko) * 2010-12-30 2013-02-1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15138A (ja) 1986-09-24
KR860007109A (ko) 1986-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500B1 (ko) 차량용 등기구 장치
US6919820B2 (en) Vehicle headlamp system
US5060120A (en) Variable distribution type automotive headlamp
US9527431B2 (en) Vehicle exterior mirror with adaptively activated forward lighting unit
EP0591566B1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FR2834110A1 (fr) Dispositif d'aide a la conduite pour vehicule automobile optimise par synergie avec un eclairage adaptatif
US705216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US6695466B2 (en) Headlamp
KR880000687B1 (ko)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 장치
KR100832515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US2784303A (en) Vehicle lighting
JPH01309838A (ja) 車輛用灯具
US2084245A (en) Antiglare illumination apparatus
JP3207529B2 (ja) 配光可変型前照灯
JPH01127466A (ja) 二輪車用ヘッドライト
KR880003998Y1 (ko) 조사(照射)방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전조등
KR100204701B1 (ko) 차량전조등의 조사각확대장치
KR880002161Y1 (ko) 헤드라이트의 광선 조절장치
RU2070682C1 (ru) Фара про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самоход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0138812Y1 (ko) 자동차 안개등
JP2817603B2 (ja) 補助照明装置
KR0139098Y1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 장치
US1326856A (en) Headlight
JPH0249604Y2 (ko)
KR970002130B1 (ko) 자동차용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8001531; OPPOSITION DATE: 19880527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8001111; OPPOSITION DATE: 198806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