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102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102A
KR20080041102A KR1020070079857A KR20070079857A KR20080041102A KR 20080041102 A KR20080041102 A KR 20080041102A KR 1020070079857 A KR1020070079857 A KR 1020070079857A KR 20070079857 A KR20070079857 A KR 20070079857A KR 20080041102 A KR20080041102 A KR 2008004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eaning brush
brush
mov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993B1 (ko
Inventor
요시아끼 노또야
다까오 나가따
히데유끼 마쯔시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소형의 모터를 이용하여 필터 청소를 단시간에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기는, 열 교환기와, 열 교환기의 상류에 배치된 필터와,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하도록 송풍하는 송풍 팬과, 필터와 미끄럼 접촉하여 필터의 진애를 제거하는 진애 제거 수단 및 이동용 모터를 이용하여 진애 제거 수단과 필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 청소 기구와,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 수단은, 이동용 모터에 필요한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를 복수로 변속시킨다.
열 교환기, 필터, 진애 제거 수단, 모터, 토크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의 자동 청소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열 교환기에 순환시켜, 가열, 냉각 또는 제습한 조화 공기로 하고, 이것을 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순환 공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열 교환기에 진애가 부착되어 열 교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실내를 청정한 공간으로 하여, 거주자가 쾌적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필터에는 항상 실내 공기가 순환하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 중의 진애가 서서히 축적되어 간다.
이 때문에, 적당한 시기에 필터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에 내장되는 필터를 청소할 때에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진애에 의해 더러워진 필터를 꺼내어 전기 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고, 다시 공기 조화기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필터의 청소가 불편하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를 간단히 할 수 있게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 고 있다. 필터의 청소를 행하기 위해, 먼지받이부에 끼워진 필터를 모터로 이동시키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1에서는, 공기 흡입구와 열 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필터를 소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먼지받이부를 갖는 청소 기구를 구비하고, 필터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동시에, 제거된 먼지가 필터 청소부 밖으로 반출되지 않도록 한 필터의 자동 청소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2005-308391호 공보
특허 문헌1에서는 이동 수단에 의한 필터의 이동 속도가 일정하다. 이 때문에, 소형의 모터를 이용하여 필터를 이동하고자 하면,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가 작아져, 필터의 이동 속도를 떨어뜨려 청소할 필요가 있고, 단시간에 필터 청소를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단시간에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이동 속도를 올려도 필요한 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대형의 모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어, 그 모터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모터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필터 청소가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상류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하도록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필터와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필터의 진애를 제거하는 진애 제거 수단 및 이동용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애 제거 수단과 상기 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 청소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모터에 필요한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를 복수로 변속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구성예는 다음과 같다.
(1) 상기 진애 제거 수단은, 상기 필터의 상류측의 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필터의 진애를 쓸어모으는 청소용 솔이며, 상기 청소용 솔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청소용 솔에 부착된 진애를 상기 청소용 솔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이 진애를 부착시키는 제거 브러시와, 상기 제거 브러시와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제거 브러시에 부착된 진애를 보유 지지하는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를 구비한 것.
(2)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기동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3)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동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4)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청소용 솔과 상기 제거 브러시와의 미끄럼 접촉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5)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청소용 솔의 기동 시, 제동 시, 및 상기 청소용 솔과 제거 브러시의 미끄럼 접촉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소형의 모터를 이용하여 필터 청소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1 및 도2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1에서, 부호1로 총괄적으로 나타낸 것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다. 실내기(1)는 하우징(21)의 중앙부에 실내 열 교환기(33)를 두고, 열 교환기(33)의 하부에 열 교환기(33)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관류 팬 방식의 송풍 팬(311)을 배치하고, 송풍 팬(311)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313), 물방울 받이 접시(35) 등을 설치하고, 화장 프레임(23)로 피복하여, 화장 프레임(23)의 전면에 전면 패널(25)을 설 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30)와, 온도 및 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311)으로부터의 분출 기류를 송풍 팬(311)의 길이에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290)에 흘리고, 분출 풍로(290)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295)에 의해 기류의 좌우측 방향을 편향하고, 또한 분출구(29)에 형성한 상하 풍향판(291)에 의하여 기류의 상하 방향을 편향하고, 실내로 분출하고 있다.
또한, 흡입기측의 가동 패널(25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부에 형성한 회전 축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 패널(251)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에 전측 공기 흡입부(230')를 개방하고, 전측 공기 흡입부(230')로부터도 실내 공기를 실내기(1) 내에 흡인하고, 공기 조화기의 정지 시에 전측 공기 흡입부(230')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필터(231, 231')는,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실내 열 교환기(33)의 흡입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311)은, 가로로 긴 관류 팬에 의하여 구성되고,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30, 230')로부터 흡입하여 공기 분출구(29)로부터 분출하도록 실내기(1)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33)는, 송풍 팬(311)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대략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방울 받이 접시(35)는, 실내 열 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으로 배치되고, 냉방 운전 시나 제습 운전 시에 실내 열 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 수를 받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물방울 받이 접시(35)로 받아 모아진 응축수는 드레인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실외부로 배출된다.
이들에 의해, 공조되는 실내 공기를 흘리는 주 풍로가 형성된다. 즉, 송풍 팬(311)을 운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구(230, 230')로부터 흡입되어, 필터(231, 231')를 통하여, 실내 열 교환기(33)에서 열 교환된 후, 공기 분출구(29)로부터 실내로 분출된다.
이 공기 조화기를 운전할 때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고, 원하는 냉방, 제습, 난방 등의 운전을 행한다. 이들의 운전은,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제어 수단은 후술하는 필터의 청소 기구도 제어한다.
다음에 필터의 청소 수단에 대하여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의 (a)는 청소 기구 사시도이고, 도3의 (b)는 먼지 수집 용기와 청소용 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기(33)의 상류의 상측 흡입부(230)와 전측 흡입부(230')에 면한 직행하는 이면에는, 평면 형상의 필터(231, 231')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231, 231')는 안내 프레임(234)에 걸림 부착되어 있다. 안내 프레임(234)은 상측 후부와 전측 하부에 레일(235, 235')을, 필터(231, 231')의 교차부에 추진축(243)을 구비한다.
여기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이 상측 필터(231)용과, 전측 필터(231')용에 있는 경우에는, 전측 필터(231')용의 부분에 상측 필터(231)용의 부분의 부호에 「'」을 붙여서 구별한다.
추진축(243)은, 다각형 단면을 갖고,안내 프레임(234)에 형성한 베어링(245)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추진축(243)의 편측은, 베어링(245)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단부에는, 안내 프레임(234)에 고정한 이동용 모터(242)가 연결되어 있다. 추진축(243)에는 스크류(244), 캐리지(261)가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244)는, 안내 프레임(234)에 형성되고, 또한 추진축(243)에 평행한 래크(237)에 맞물려 있다.
캐리지(261)와 레일(235, 235') 사이에는 솔 지지 프레임(262, 262')이 각각 필터(231, 231')에 걸쳐 현가되어 있다. 솔 지지 프레임(262, 262')에는 필터(231, 231')를 쓸어서 청소하는 청소용 솔(267, 267')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용 모터(242)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축(243), 스크류(244)가 회전하고, 래크(237)를 따라, 스크류(244)가 이동용 모터(2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여, 캐리지(261)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청소용 솔(267, 267')이 필터(231, 231')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쓸듯이 이동하고, 필터(231, 231') 상의 진애를 청소용 솔(267, 267')로 쓸어, 안내 프레임(234)의 좌측부의 제거 브러시(271, 271')에 이동시킨다.
다음에 청소 기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측의 청소 기구를 예로 들어,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는 청소용 솔의 털끝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필터(231)의 우방에는 청소 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 청소용 솔(267)이 대기하는 대기부(238)가 있다.
청소 기구가 청소 동작할 때에는, 대기부(238)에 도4의 F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하고 있던 청소용 솔(267)을, 이동용 모터(242)를 운전하여 필터(231)를 소인하도록 도4의 D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시킨다. 이 때, 청소용 솔(267)이 필터(231)의 단부인 대기부(238)로부터 이동한 것인지를 기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1)에 의하여 검출한다. 청소용 솔(267)은, 필터(231)면에 서서히 털끝을 구부려 변형시키면서 타고 올라, 필터(231)와 미끄럼 접촉한다.
청소용 솔(267)은, 제거 브러시(271)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231)를 소인하고, 진애(236)를 쓸어낸다. 필터(231)의 소인을 종료한 청소용 솔(267)은, 쓸어낸 진애(236)와 함께, 제거 브러시(271)에 이르러, 제거 브러시면(271a)과 유효하게 미끄럼 접촉하면서, 진애(236)를 제거 브러시(271)에 이동 탑재한다.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에 의해, 청소용 솔(267)은 진애(236)를 제거 브러시(271)에 이동 탑재가 종료된 것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청소용 솔(267)은, 반전 이동하고, 청소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청소용 솔(267)의 털끝은 돌출되어 있는 필터(231) 일면에 서서히 털끝을 구부려 변형시키면서 타고 올라, 필터(231)와 미끄럼 접촉한다.
청소용 솔(267)은, 청소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털끝을 변형시켜 필터(231)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대기부(238)를 향하여, 제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3)의 검출에 의하여 이동을 종료한다. 제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3)와, 기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1)는 동일한 것과 겸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일련의 필터 청소 운전을 행하기 위해,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키는 이동용 모터(242)가 발생해야하는 필요 토크는, 청소용 솔(267)의 기동 시, 및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와의 미끄럼 접촉 시에 모두 커지는 것은 분명하다.
본 실시예의 실내기(1)에서는, 이동용 모터(242)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고 있다. 도5에 스테핑 모터의 회전 속도와 출력 토크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도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큰 출력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회전 속도를 임의의 값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큰 토크를 필요로 할 때는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의 0.26[N·m] 이상이며, 다음은 청소용 솔(267)의 기동 시의 0.25[N·m] 이상이며, 가장 작은 토크이어도 될 때에는 왕복 중간 이동 시의 0.20[N·m] 이상이다. 따라서, 이동용 모터(242)의 회전 속도는,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에 있어서는 44.1[1/min] 이하, 청소용 솔(267)의 기동 시에 있어서는 47.1[1/min] 이하, 청소용 솔(267)의 왕복 중간 이동 시에 있어서는 59.3[1/min]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청소용 솔(267)의 이동 속도를 복수로 변속시킨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필터 청소 운전을 행하기 위해,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키는 이동용 모터(242)가 발생해야하는 필요 토크의 크기는,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 기동 시, 왕복 중간 이동 시의 순서로 된다. 따라서,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에는, 이동용 모터의 회전 속도를 31.2[1/min] 이하로 함으로써 그 필요 토크가 얻어진다. 그리 고, 필터 청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왕복 중간 이동 시에는, 그 필요 토크를 얻는 데에 회전 속도를 52.0[1/min]까지 올린다.
따라서, 청소 시의 솔 이동 시인 왕로는, 기동 시의 구간 A에 있어서, 구간 B인 왕복 중간 이동 시의 속도 v3보다도 낮은 속도 v2에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킨다. 또한,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인 구간 C에 있어서는, 구간 B인 왕복 중간 이동 시의 속도 v3보다도 낮은 속도 v1에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킨다. 이 구간 C에서, 왕복 이동 시의 속도 v3보다도 낮은 속도 v1에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킴으로써 필요한 토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용 솔(267)이 진애(236)를 제거 브러시(271)에 이동 탑재를 종료하여,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를 반전시키고나서, 청소용 솔(267)을 제동하는 동안에 이동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청소용 솔(267)이 반전 이동하는 복귀 이동(복로) 시에도,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인 구간 C에 있어서는, 구간 B인 왕복 이동 시의 속도 v3보다도 낮은 속도 v1에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킨다.
또한, 청소용 솔(267)이 대기부(238)를 향하여 제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3)의 검출에 의하여 이동을 종료하는 구간 A에 있어서, 구간 B인 왕복 이동 시의 속도 v3보다도 낮은 속도 v2에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킴으로써 필터 청소 운전이 종료되어, 제동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3)의 논리를 반전시키고나서, 청소용 솔(267)을 제동하는 동안에 이동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 범위 전체 구간은 728.2[㎜]이며, 구간 A를 9.8[㎜], 구간 C를 68.7[㎜], 구간 B=청소 범위 전체 구간 728.2-(구간 A의 9.8[㎜]+구간 C의 68.7[㎜])=649.7[㎜], 스크류(244)는 래크(237)와의 맞물림으로부터 6.28[㎜/rev]이다.
여기서, 전체 구간을 청소용 솔(267)과 제거 브러시(271)의 미끄럼 접촉 시의 필요 토크에 맞게 이동용 모터의 회전 속도를 구간 A, B, C 모두 31.2[1/min]의 일정 속도로 한 경우의 왕복의 청소 운전 시간은, 445.4[초]로 된다.
한편, 구간 A를 41.6[1/min], 구간 B를 52.0[1/min], 구간 C를 31.2[1/min]로 한 경우의 왕복의 청소 운전 시간은, 285.4[초]로 되어, 약 36% 저감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제어를 도7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필터 상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 청소 운전을 행하는 명령이 공기 조화기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지시되면, 기동 검출 리미트 스위치(41)가 ON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스텝1).
자동 청소 운전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청소용 솔(267)이 필터단인 대기부(238)에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41)는 ON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후, 이동용 모터(242)에 의하여 청소용 솔(267)을 기동한다. 이 기동 후 t초 이내에 리미트 스위치(41)의 이론이 반전했는지를 확인한다(스텝2). 만약 기동 후 t초 이내에 리미트 스위치(41)의 논리가 반전하지 않으면, 청소용 솔(267)이 필터에 걸리거나 하는 이유에 의하여 기동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용 모터(242)의 기계 보호를 목적으로 기동을 중지하고, 에러로서 유저에게 표시한다.
스텝2에서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청소용 솔(267)은 저속(v2) 이동을 행한다(스텝3). 저속 이동 중에는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 판정(스텝31)과, 미리 정해 둔 저속 이동 통과 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스텝32)한다.
스텝32에서 저속 이동 통과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청소용 솔(267)은 고속(v3) 이동을 행한다(스텝4). 이 스텝4에 있어서도, 스텝3과 마찬가지로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 판정(스텝41)과, 고속 이동 통과 시간 판정(스텝42)을 행한다.
스텝42에서 고속 이동 통과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청소용 솔(267)은 저속(v1) 이동을 행한다(스텝5). 이 스텝5에 있어서도, 스텝3과 마찬가지로,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 판정(스텝51)과, 저속 이동 통과 시간 판정(스텝52)을 행한다.
이 스텝5에서, 저속 이동 통과 시간 판정(스텝52)을 통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도,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가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동부터 반전까지의 구조 상의 치수 공차 집적을 근거로 한 합계 이동 통과 시간 판정 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6). 이 스텝6에서, 합계 이동 통과 시간을 경과해도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가 반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청소용 솔(267)이 이동 도중에 기계적으로 고장났다고 생각하고, 에러로서 유저에게 표시한다.
한편, 스텝1에서, 리미트 스위치(41)이 ON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자동 청소 운전 이전에 유저가 수동으로 고의로 청소용 솔(267)을 이동시킨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경우, 청소용 솔(267)이 왕복 상의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저속으로 반전 검출 수단의 리미트 스위치(42)를 검출할 때까지 이동한다(스텝7). 이 스텝7에 있어서도,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 판정(스텝71)과, 합계 저속 이동 시간 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스텝72)을 행한다. 이 스텝72에 있어서, 합계 저속 이동 시간을 경과해도 반전 검출 수단인 리미트 스위치(42)의 논리가 반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로서 유저에게 표시한다.
이상의 스텝에서, 기동부터 반전 위치까지 청소용 솔(267)에 필요한 토크를 부여하면서,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는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는 왕로의 청소용 솔(267)의 제어를 설명했지만, 귀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필요 토크의 확보와 단시간 운전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내부 정면도.
도3은 도1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도3의 청소 기구의 구성 및 동작 상세도.
도5는 도3의 청소 기구의 이동용 모터의 회전 속도와 발생 토크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3의 청소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7은 도3의 청소 기구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실내기
21 : 하우징
23 : 화장 프레임
25 : 전면 패널
29 : 공기 분출구
33 : 실내 열 교환기
35 : 물방울 받이 접시
42 : 반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
43 : 제동 검출 리미트 스위치
230, 230' : 공기 흡입기부
231, 231' : 필터
234 : 안내 프레임
235, 235' : 레일
236 : 진애
237 : 래크
238 : 대기부
242 : 이동용 모터
243 : 추진축
244 : 스크류
245 : 베어링
251 : 가동 패널
261 : 캐리지
262, 262' : 솔 지지 프레임
267, 267' : 청소용 솔
271, 271' : 제거 브러시
271a : 제거 브러시면
290 : 분출 풍로
291 : 상하 풍향판
295 : 좌우 풍향판
311 : 송풍 팬
313 : 송풍 모터
41 : 기동 검출 리미트 스위치

Claims (6)

  1.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상류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하도록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필터와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필터의 진애를 제거하는 진애 제거 수단 및 이동용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애 제거 수단과 상기 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 청소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모터에 필요한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를 복수로 변속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 제거 수단은, 상기 필터의 상류측의 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필터의 진애를 쓸어모으는 청소용 솔이며, 상기 청소용 솔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청소용 솔에 부착된 진애를 상기 청소용 솔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이 진애를 부착시키는 제거 브러시와, 상기 제거 브러시와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제거 브러시에 부착된 진애를 보유 지지하는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기동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동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청소용 솔과 상기 제거 브러시와의 미끄럼 접촉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상기 청소용 솔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솔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필터 상을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청소용 솔의 기동 시, 제동 시, 및 상기 청소용 솔과 제거 브러시의 미끄럼 접촉 시에, 상기 복수의 이동 속도 중 왕복 중간 이동 시보다도 낮은 속도에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70079857A 2006-11-06 2007-08-09 공기 조화기 KR100882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0281A JP4402094B2 (ja) 2006-11-06 2006-11-06 空気調和機
JPJP-P-2006-00300281 2006-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02A true KR20080041102A (ko) 2008-05-09
KR100882993B1 KR100882993B1 (ko) 2009-02-12

Family

ID=3940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57A KR100882993B1 (ko) 2006-11-06 2007-08-09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02094B2 (ko)
KR (1) KR100882993B1 (ko)
CN (2) CN1015148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608B2 (ja) * 2008-09-26 2013-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5193791B2 (ja) * 2008-10-07 2013-05-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09899B2 (ja) * 2008-10-31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34310B2 (ja) * 2009-07-15 2013-11-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1075170A (ja) * 2009-09-30 2011-04-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5530735B2 (ja) * 2010-02-09 2014-06-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清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室内機並びに空気調和機
JP2011257548A (ja) * 2010-06-08 2011-12-22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6299715B2 (ja) * 2015-09-30 2018-03-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741915B2 (ja) * 2016-08-26 2020-08-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自動清掃装置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ならびに空気清浄機
JP2018169057A (ja) * 2017-03-29 2018-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CN111386431B (zh) * 2018-10-12 2021-08-20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空调机
CN109373507B (zh) * 2018-11-01 2021-05-04 壹格建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自动清洁滤网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916036B (zh) * 2019-03-21 2021-06-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10145858B (zh) * 2019-06-06 2024-05-10 陈镇海 过滤网自动清洁设备及空调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121A (ja)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488196B2 (ja) 2004-08-31 2010-06-2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内機
JP4591683B2 (ja) 2004-09-03 2010-12-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20060112699A (ko) * 2006-10-13 2006-11-01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라이터를 갖는 휴대폰 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1022C (zh) 2009-09-16
JP2008116142A (ja) 2008-05-22
CN101514828B (zh) 2012-03-28
CN101178200A (zh) 2008-05-14
JP4402094B2 (ja) 2010-01-20
KR100882993B1 (ko) 2009-02-12
CN101514828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993B1 (ko) 공기 조화기
JP5530944B2 (ja) 空気調和機
KR101116396B1 (ko) 천장형 에어컨 필터 자동청소장치
JP4432881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自動清掃装置
WO2006043430A1 (ja) 空気調和機
JP200800276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WO2004081461A1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8057846A (ja) 空気調和機
KR100883867B1 (ko) 에어컨 필터 자동청소장치
CN117249511B (zh) 一种空调过滤网自动除尘机构及移动空调
JP5659121B2 (ja) 空気調和機
JP2001248894A (ja) 空気調和機
JP2006220412A (ja) 空気調和機
JP2004283704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WO2019003511A1 (ja) 空気調和機
JP2015140996A (ja) 空気調和機
JP3761686B2 (ja) 空気調和機
JP2007113859A (ja) 空気調和機
JP2007101100A (ja) 空気調和機
JP200618399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JP4134768B2 (ja) 空気調和機
JP5284762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節装置
CN1223361A (zh) 控制空调器进气口闭合的方法和装置
KR2009005260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