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276A -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276A
KR20080040276A KR1020060107992A KR20060107992A KR20080040276A KR 20080040276 A KR20080040276 A KR 20080040276A KR 1020060107992 A KR1020060107992 A KR 1020060107992A KR 20060107992 A KR20060107992 A KR 20060107992A KR 20080040276 A KR20080040276 A KR 2008004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hassis
sided tape
double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904B1 (ko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904B1/ko
Priority to US11/980,364 priority patent/US7776437B2/en
Publication of KR2008004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 C09J2469/006Presence of polycarbonat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6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패널과 섀시 사이에 개재되고 발포성 물질층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를 결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을 개시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수리(repair), 분리, 양면 테이프, 절단

Description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Double sided tape, Plasma dispaly module and Method of separating plasma display panel to chassis}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가 감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 신호전달수단
30: 섀시 50: 양면 테이프
51, 151: 발포성 물질층 52: 상부 실리콘층
53: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54: 하부 실리콘층
55: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56: PET 층
57: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60: 방열 시트
본 발명은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완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불량을 수리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섀시를 분리할 때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및 양면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은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 고화질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근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를 구비하며, 섀시의 후방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결합되며, 신호전달수단, 예를 들면 TCP(tape carrier packag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IC들이 수납되는 TCP나 FPC에서 불량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가 접착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단계에서 불량 검사를 수행한다. 이 검사과정에서, TCP나 FPC등에서 발생한 불량이 검출되면 이 를 수리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를 분리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분리 방법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이 위로 오도록 배치하고, 섀시(2)의 하부에서 가열램프(5)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최고 480 정도로 12~15분 정도 가열한 후, 양면 테이프(3)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을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방식이었다.
이런 종래의 분리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가열로 인하여 냄새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을 가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고, 섀시(2)는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및 양면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및 상기 섀시와 상기 패널을 결합하기 위하 여 상기 섀시와 상기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적어도 발포성 물질층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양면 테이프는 발포성 우레탄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위에 형성된 상부 실리콘층; 상기 상부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아래에 형성된 하부 실리콘층; 상기 하부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대체적으로, 상기 양면 테이프는 발포성 실리콘층; 상기 발포성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은 상기 패널과 접착되며, 상기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은 상기 섀시와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는 양면 테이프의 발포성 우레탄층 또는 발포성 실리콘층이 날카로운 칼에 의하여 쉽게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칼로 양면 테이프를 패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기만 하면 섀시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고온의 열을 장시간 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패널과 섀시의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냄새가 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섀시를 폐기 처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에 부착되며, 적어도 발포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를 상기 패널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포성 우레탄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위에 형성된 상부 실리콘층; 상기 상부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아래에 형성된 하부 실리콘층; 상기 하부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를 개시한다.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상에 배치되는 이형지(release paper)를 더 포함한다. 평소에 양면 테이프는 이형지가 바깥에 위치하도록 롤 형태로 감겨 있고, 사용시 이형지를 떼어내고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면 테이프는 종래의 아크릴 양면 테이프보다 높은 유지력을 가지면서도 날카로운 칼과 같은 물질에 의하여 발포성 우레탄층이 쉽게 절단되기 때문에 접착 물질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 널(10), 섀시(30), 양면 테이프(50), 방열 시트(60), 회로기판(미도시) 및 신호전달수단(20)을 구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면 패널(11)과 후면 패널(12)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교류 3전극 면방전형인 경우 전면 패널(11)은 전면 기판, 복수 개의 유지전극쌍, 제1 유전체층, 보호층을 구비하며, 후면 패널(12)은 후면 기판, 복수 개의 어드레스전극, 제2 유전체층, 형광체층 및 격벽을 구비한다. 이외에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2전극을 구비하는 패널일 수도 있고, 직류형일 수 도 있으며, 대향방전형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극들에 소정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면, 각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자외선이 나오고, 자외선이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선이 나와서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는 동작 중에 많은 열이 발생한다. 상기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면에 방열 시트(60)가 부착된다. 방열 시트(6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일 방열 시트(60)일 수도 있고, 두 개로 분리된 이중 방열 시트(미도시)일 수 있다.
패널(10)과 섀시(30) 사이의 대향면에는 각각 양면 테이프(50)가 부착된다. 그럼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섀시(30)가 결합된다. 이때, 양면 테이프(50)는 방열 시트(60)가 위치하지 않은 패널면에 배치된다. 즉, 단일 방열 시트(60)의 경우에는 양면 테이프(50)가 방열 시트(60)의 외곽에 있는 패널과 섀시면에 접착된다. 이중 방열 시트의 경우에는 양면 테이프(50)가 방열 시트의 외곽에 있는 패널과 섀시면 뿐만 아니라 양 방열 시트의 사이에 있는 패널과 섀시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양면 테이프(50)의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5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각 층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그려졌으며, 각 층의 두께 비율은 실제 각 층의 두께 비율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50)는 발포성 물질층,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우레탄층(51)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우레탄층(51)은 그물망처럼 엉켜 있는 구조이다. 발포성 우레탄층(51)의 상면에는 상부 실리콘층(5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부 실리콘층(54)이 형성된다.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51)만을 사용하면 고온이나 고습에 약해서 유지력이 약하므로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우레탄층(51) 양면에 실리콘(52, 54)을 형성한다.
상부 실리콘층(52) 상면에는 아크릴 접착제층(53)이 형성되고, 하부 실리콘층(54) 하면에는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55)이 형성된다.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55) 하면에는 PET층(56)이 형성된다. PET층(56)의 하면에는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57)이 형성된다. 아크릴 접착제층(53, 55, 57)은 접착력을 제공한다. PET층(56)을 형성하는 이유는 테이프(50)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착시 PET층(56)을 잡고 한쪽부터 떼어냄으로써 테이프(50)가 늘어나면서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양면 테이프(50)는 종래의 아크릴 양면 테이프보다 향상된 유지력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5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양면 테이프(50)에서의 발포성 우레탄층(51)과 실리콘층들(52, 54) 대신 에 발포성 실리콘층(151)이 사용된다. 발포성 실리콘은 실리콘 자체가 발포된 물질이다. 그러나 실리콘 자체가 발포된 물질은 발포성 우레탄층(51)과 실리콘층(52, 54)이 결합된 물질에 비하여 유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면 테이프(50)는 롤 형태로 제공되며, 이때 테이프(50)간에 서로 붙지 않도록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53) 상면에 이형지(58)가 부착되어 있다. 이형지(58)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50) 중 우레탄층(51)을 기준으로 PET층(56)이 형성된 면은 섀시(30)측에 부착되고, PET층(56)이 형성되지 않은 면은 패널(10)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테이프(50) 중 발포성 실리콘층(151)을 기준으로 PET층(156)이 형성된 면은 섀시(30)측에 부착되고, PET층(156)이 형성되지 않은 면은 패널(10)측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섀시(3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양면 테이프(50)에 의하여 결합된 후에는 섀시(30)에 있는 회로기판들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극 단자부들이 신호전달수단(20), 예를 들면 TCP, FPC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전달수단(21)은 패널(10)과 섀시(30)의 상측과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될 수 도 있고, 신호전달수단(22)은 패널(10)과 섀시(30)의 좌측과 우측을 통과하여 연결될 수 도 있다. 그럼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완성된다.
섀시(30)의 후방면에는 회로기판들이 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로기판은 전원보드, 로직보드, 어드레스전극 구동보드, X전극 구동보드, Y전 극 구동보드들일 수 있다. 어드레스전극 구동보드, X전극 및 Y전극 구동보드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어드레스전극, X전극 및 Y전극에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펄스 전압들은 신호전달수단(20), 예를 들면 TCP 나 FPC에 의하여 각 전극들에 인가된다. 신호전달수단(2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극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구비된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만들어지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불량 검사가 수행된다. 그런데, TCP에는 IC, 예를 들면 어드레스전극 구동칩들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불량 검사에서 TCP나 FPC의 불량이 발견되면 이를 수리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섀시(30)를 분리한 후 불량을 수리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50)를 구성하는 발포성 우레탄층(51)은 그물망 구조이므로 날카로운 절단 수단, 예를 들면 날카로운 칼로 우레탄층(51)을 절단하면 쉽게 분리된다. 즉, 칼을 이용하여 패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양면 테이프(50)를 절단하면 패널(10)과 섀시(30)가 쉽게 분리된다.
그리고 나서, 절단된 양면 테이프(50) 중 패널면에 부착된 부분은 알코올이나 아세톤(aceton)을 이용하여 긁어냄으로써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절단된 양면 테이프(50) 중 섀시(30)면에 부착된 부분은 PET층(56, 156)의 일 단(one end)을 벗긴 후, 양면 테이프(50)의 나머지 접착면을 타단 방향으로 벗겨냄으로써 쉽게 제거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53, 153) 상면에 PET층(미도시)이 더 형성되고, 상기 PET층(56, 156) 상면에 또 다른 아크릴 접착제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된 양면 테이프(50) 중 패널(10)면에 부착된 부분은 PET층의 일 단(one end)을 벗긴 후, 양면 테이프(50)의 나머지 접착면을 타 단 방향으로 벗겨냄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반면, 종래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과 섀시(2) 사이에 부착되었던 양면 테이프(3)는 아크릴 테이프(3)이다. 이 아크릴 접착제층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 높은 열을 장시간 가하여 접착력을 약하게 한 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을 들어올려야만 하였다. 따라서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가열로 인하여 냄새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을 가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고, 섀시(2)는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은 장시간 열을 가하지 않고도 칼로 양면 테이프(50)의 발포성 물질층(51, 151)을 절단하기만 하면 분리가 되고, 절단된 양면 테이프(50)도 쉽게 제거가 된다. 따라서 분리 시간이 단축되고,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고, 섀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는 칼로 양면 테이프의 중심부 를 패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섀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불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고, 열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섀시를 폐기 처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및
    상기 섀시와 상기 패널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섀시와 상기 패널 사이에 개재되며, 적어도 발포성 물질층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우레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위에 형성된 상부 실리콘층;
    상기 상부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아래에 형성된 하부 실리콘층;
    상기 하부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실리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발포성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6.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은 상기 패널과 접착되며, 상기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은 상기 섀시와 접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기 섀시측 표면에 부착되는 방열 시트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패널과 상기 섀시의 대향면 중 상기 방열 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에 부착되며, 적어도 발포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를 상기 패널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우레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위에 형성된 상부 실리콘층;
    상기 상부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아래에 형성된 하부 실리콘층;
    상기 하부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양면 테이프 중 상기 패널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새시의 분리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양면 테이프 중 상기 섀시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14. 발포성 우레탄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위에 형성된 상부 실리콘층;
    상기 상부 실리콘층 위에 형성된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발포성 우레탄층 아래에 형성된 하부 실리콘층;
    상기 하부 실리콘층 아래에 형성된 제1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
    상기 제1 하부 아크릴층 아래에 형성된 PET층; 및
    상기 PET층 아래에 형성된 제2 하부 아크릴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크릴 접착제층상에 배치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이형지가 바깥에 위치하도록 감겨 있는 양면 테이프.
KR1020060107992A 2006-11-02 2006-11-02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KR10086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992A KR100863904B1 (ko) 2006-11-02 2006-11-02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US11/980,364 US7776437B2 (en) 2006-11-02 2007-10-31 Double-sided tap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separating chassis from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992A KR100863904B1 (ko) 2006-11-02 2006-11-02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276A true KR20080040276A (ko) 2008-05-08
KR100863904B1 KR100863904B1 (ko) 2008-10-16

Family

ID=3936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992A KR100863904B1 (ko) 2006-11-02 2006-11-02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76437B2 (ko)
KR (1) KR100863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693B1 (ko) * 2018-04-13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 시스템
KR20190107213A (ko) 2018-03-06 2019-09-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374A (ja) * 2008-08-29 2010-03-11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3503053A (zh) * 2011-05-13 2014-01-08 夏普株式会社 显示模块和具备该模块的显示装置
FR2981053B1 (fr) * 2011-10-07 2015-09-04 Milord Dispositif pour la cuisson sous vide d'un produit alimentaire et procede pour en controler la cuisson
US9785185B2 (en) 2012-09-11 2017-10-10 Apple Inc. Removable adhesive joint for computing device
EP2730627A1 (de) * 2012-11-13 2014-05-14 RAFI GmbH & Co. KG Flächengebilde
KR20150060085A (ko) 2013-11-25 2015-06-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재작업성이 우수한 양면 코팅 테이프
US9787345B2 (en) 2014-03-31 2017-10-10 Apple Inc. Laser welding of transparent and opaque materials
US10200516B2 (en) 2014-08-28 2019-02-05 Apple Inc. Interlocking ceramic and optical members
KR102254671B1 (ko) * 2014-09-25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US9939295B2 (en) * 2014-12-16 2018-04-10 Carestream Health, Inc. Impact protection for wireless digital detector glass panel
KR102258714B1 (ko) * 2014-12-22 2021-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7223834A (ja) * 2016-06-15 2017-12-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101969507B1 (ko) * 2018-08-07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2432A (ko) * 2020-03-04 2021-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747B2 (ja) * 1993-08-31 2004-07-2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再剥離可能な泡粘着テープ
US5658629A (en) * 1994-03-03 1997-08-19 Morgan Adhesives Company Double-sided silicone coated liner
JPH08157785A (ja) * 1994-12-02 1996-06-18 Toyo Ink Mfg Co Ltd 両面テープ
JPH1017833A (ja) * 1996-07-04 1998-01-20 Nitto Denko Corp 発泡基材系粘着部材
JP3976166B2 (ja) * 2001-07-13 2007-09-12 持田商工株式会社 Pdpパネル
CN1301528C (zh) * 2002-04-26 2007-02-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其拆解方法
US20060125364A1 (en) * 2002-08-01 2006-06-15 Hikaru Takeda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4069766A (ja) * 2002-08-01 2004-03-0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画像表示装置
KR100637454B1 (ko) * 2003-10-21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187B1 (ko) * 2004-08-04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13A (ko) 2018-03-06 2019-09-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7693B1 (ko) * 2018-04-13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 시스템
WO2019198922A1 (ko) * 2018-04-13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904B1 (ko) 2008-10-16
US20080107887A1 (en) 2008-05-08
US7776437B2 (en)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904B1 (ko) 양면 테이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
TWI261854B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device
KR1008694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37291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78477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682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섀시의 부착 방법 및 분리 방법
JP412290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KR1008222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섀시의 부착 방법 및 분리 방법
JP200707681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搬送方法
JP200212318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7977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8318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KR2008003974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섀시의 부착 방법 및 분리 방법
JP2010243690A (ja) 画像表示装置
KR1007266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1908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0939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의 분리방법
JP200313158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03890A (ko) 글래스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리 방법
KR100757551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201003911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30954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0819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0808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200531593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