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000A - 판독 장치 및 복사기 - Google Patents

판독 장치 및 복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000A
KR20080038000A KR1020070035987A KR20070035987A KR20080038000A KR 20080038000 A KR20080038000 A KR 20080038000A KR 1020070035987 A KR1020070035987 A KR 1020070035987A KR 20070035987 A KR20070035987 A KR 20070035987A KR 20080038000 A KR20080038000 A KR 2008003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reading
guide member
document
conve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698B1 (ko
Inventor
겐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3Using a dedicated sheet guid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5Feeding arrangements the sheet feeding apparatus serving an auxiliary function, e.g. as a white re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반송되는 원고(M)는 CIS(50)에 의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는 규제판(84)의 규제면(84b)에 의해 CIS(50)에 의한 판독 대상면(Ma)의 높이가 규제되고, 또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는 수지 시트(85)의 상면(上面)에 의해 비(非)판독 대상면(Mb)의 높이가 규제된다. 여기서, 규제면(84b)과 수지 시트(85)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반송 판독 가능한 원고(M)의 최소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규제판(84)의 규제단(端) 위치(W)와 수지 시트(85)의 접촉 개시 위치(V) 사이에 설치된 판독 위치(R)에서는 반송되는 원고(M)의 판독 대상면(Ma)의 높이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원고 이송 장치, 반송로, CIS(Contact Image Sensor), 규제판

Description

판독 장치 및 복사기{READ DEVICE AND COPYING MACHINE}
도 1은 실시예가 적용되는 판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CIS(Contact Image Sensor)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CIS에 대한 원고 높이와 CTF(Contrast Transfer Function)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CIS의 주변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要部) 확대도.
도 6의 (a), (b)는 CIS의 판독 위치를 통과하는 원고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각종 용지의 돌출량과 발생하는 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고 이송 장치 15 : 반송로
50 : CIS(Contact Image Sensor) 70 : 스캐너 장치
81 : 제 1 원고 안내 부재 82 : 제 2 원고 안내 부재
83 : 제 3 원고 안내 부재 84 : 규제판
85 : 수지 시트 A : 상면(上面) 위치
B : 수지 시트면 위치 C : 규제면 위치
D : 하면(下面) 위치 M : 원고
Ma : 판독 대상면 Mb : 비(非)판독 대상면
R : 판독 위치
본 발명은 반송되는 매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판독 장치를 갖는 복사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팩시밀리, 컴퓨터 입력용 판독 장치로서, 원고 등의 매체를 반송하면서 그 매체 위의 화상을 센서 등에 의해 판독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판독 장치로서, 센서에 의한 매체의 판독 위치보다도 매체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소정 간격을 형성하면서 매체 반송면에 충돌되는 가이드 부재를 배열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6-13910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을 배경으로 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반송되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 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한쪽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다른쪽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규제하고,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비(非)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鉛直) 방향 상측(上側) 면의 위치를 규제하고,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하측(下側)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판독부가 등배(等倍) 광학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매체의 규제면과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당해 매체의 규제면과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간격이, 반송 가능한 당해 매체의 최소 두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반송되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당해 매체를 안내하는 제 1 안내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다른쪽 면에 접촉하면서 당해 매체를 안내하는 제 2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안내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판독 대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안내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비판독 대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안내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상측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안내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하측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판독 위치가 상기 제 2 안내 부재와 상기 매체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10㎜ 이내로 되도록 상기 판독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매체의 위치 변동이 상기 판독부의 초점 심도(深度)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제 1 안내 부재의 매체 접촉면과 상기 제 2 안내 부재의 매체 접촉면의 간격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당해 매체를 상기 판독부에 근접시키지 않도록 안내하는 상류 측 안내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당해 매체를 상기 판독부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하류 측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상류 측 안내 부재는 상기 반송로의 연직 방향 상측에, 상기 하류 측 안내 부재는 당해 반송로의 연직 방향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류 측 안내 부재의 배열 설치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상기 반송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하류 측 안내 부재는,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상기 반송로를 좁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기재된 판독 장치이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 6 또는 11에 기재된 판독 장치를 가지며, 당해 판독 장치에서 판독된 화상 정보를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예라고 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판독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판독 장치는 적재된 원고 묶음으로부터 원고를 순차 반송하는 원고 이송 장치(10)와, 스캔에 의해 원고 제 1 면(표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이송 장치(10)는, 복수매의 원고로 이루어지는 원고 묶음을 적재하는 원고 수용부(11), 이 원고 수용부(1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판독이 종료된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排紙) 수용부(12)를 구비한다. 또한, 원고 이송 장치(10)는 원고 수용부(11)의 원고를 취출하여 반송하는 취출 롤러(13)를 구비한다. 또한, 취출 롤러(13)의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용지를 1매씩 분류하는 분류 기구(14)가 설치된다. 이 분류 기구(14)는 취출 롤러(13)에 의해 공급되는 원고를 더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공급 롤러(14a), 취출 롤러(13)에 의해 공급되는 원고를 1매씩 분류하는 지연 롤러(14b)를 갖는다. 원고가 반송되는 반송로(15)에는,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프리레지스트레이션(pre-registration) 롤러(16),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 플래턴 롤러(18), 아웃 롤러(19), 및 배출 롤러(20)가 설치된다. 프리레지스트레이션 롤러(16)는 1매씩 분류된 원고를 하류 측의 롤러를 향하여 반송하는 동시에 원고의 루프(loop) 형성을 행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는 회전하고 일단 정지한 후에 타이밍을 맞춰 회전을 재개하고, 후술하는 원고 판독부에 대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실시하면서 원고를 공급한다. 플래턴 롤러(18)는 스캐너 장치(70)에서 판독 중인 원고 반송을 어시스트한다. 아웃 롤러(19)는 스캐너 장치(70)에서 판독된 원고를 더 하류로 반송한다. 그리고, 배출 롤러(20)는 판독된 원고를 더 반송하는 동시에 배지 수용부(12)에 배출한다.
또한, 원고 이송 장치(10)에 있어서, 아웃 롤러(19)와 배출 롤러(20) 사이에는, 원고 제 2 면(이면(裏面))의 화상을 판독하는 CIS(Contact Image Sensor : 밀 착 이미지 센서)(5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캐너 장치(70)는 상술한 원고 이송 장치(10)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원고 이송 장치(10)를 장치 프레임(71)에 의해 지지하고, 또한 원고 이송 장치(1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 판독을 행하고 있다. 이 스캐너 장치(70)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71), 화상을 판독해야 할 원고를 정지시킨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한 제 1 플래턴 유리(72A), 원고 이송 장치(1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광(光)의 개구부를 갖는 제 2 플래턴 유리(7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캐너 장치(70)는 제 2 플래턴 유리(72B) 아래에 정지하고, 또는 제 1 플래턴 유리(72A)의 전체에 걸쳐 스캔하여 화상을 판독하는 풀 레이트 캐리지(full rate carriage)(73), 풀 레이트 캐리지(73)로부터 얻어진 광을 결상(結像)부에 공급하는 하프 레이트 캐리지(half rate carriage)(75)를 구비하고 있다. 풀 레이트 캐리지(73)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램프(74), 원고로부터 얻어진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 1 미러(7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프 레이트 캐리지(75)는 제 1 미러(76A)로부터 얻어진 광을 결상부에 제공하는 제 2 미러(76B) 및 제 3 미러(76C)를 갖고 있다. 또한, 스캐너 장치(70)는 결상용 렌즈(77)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7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결상용 렌즈(77)는 제 3 미러(76C)로부터 얻어진 광학상을 광학적으로 축소한다. 또한, CCD 이미지 센서(78)는 결상용 렌즈(77)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광전(光電) 변환한다. 즉, 스캐너 장치(70)에서는 소위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여 CCD 이미지 센서(78)에 상(像)을 결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스캐너 장치(70)는 제어·화상 처리 유닛(79)을 더 구비한다. 제어·화상 처리 유닛(79)은 CCD 이미지 센서(78)나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CIS(50)로부터 입력되는 원고의 표리면의 화상 데이터에 소정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화상 처리 유닛(79)은 판독 장치의 판독 동작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1 플래턴 유리(72A)에 탑재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고정 판독 모드에서는, 풀 레이트 캐리지(73)와 하프 레이트 캐리지(75)가 2:1의 비율로 스캔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풀 레이트 캐리지(73)의 조명 램프(74)의 광이 원고의 피(被)판독면에 조사된다. 그리고,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제 1 미러(76A), 제 2 미러(76B), 및 제 3 미러(76C)의 차례로 반사되어 결상용 렌즈(77)에 안내된다. 결상용 렌즈(77)에 안내된 광은 CCD 이미지 센서(78)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CCD 이미지 센서(78)는 1차원 센서이며, 1라인 분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 이 라인 방향(스캔의 부(副)주사 방향)으로 풀 레이트 캐리지(73) 및 하프 레이트 캐리지(75)를 이동시키고, 원고의 다음 라인을 판독한다. 이것을 원고 전체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1페이지의 원고 판독을 완료시킨다.
한편, 제 2 플래턴 유리(72B)는, 예를 들어 긴 판 형상 구조를 이루는 투명한 유리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원고 이송 장치(1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반송 판독 모드에서는, 반송되는 원고가 이 제 2 플래턴 유리(72B) 위를 통과한다. 이 때, 풀 레이트 캐리지(73) 및 하프 레이트 캐리지(75)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선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놓여진다. 그리고, 원고 이송 장치(10)의 플 래턴 롤러(18)를 거친 원고의 1라인째의 반사광이, 제 1 미러(76A), 제 2 미러(76B), 및 제 3 미러(76C)를 거쳐 결상용 렌즈(77)에서 결상되고, CCD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다. 즉, 1차원 센서인 CCD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주(主)주사 방향의 1라인 분을 동시에 처리한 후, 원고 이송 장치(1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다음 주주사 방향의 1라인 분이 판독된다. 원고의 선단(先端)이 제 2 플래턴 유리(72B)의 판독 위치에 도달한 후, 이 원고의 후단(後端)이 제 2 플래턴 유리(72B)의 판독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부주사 방향에 걸쳐 1페이지의 원고 판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풀 레이트 캐리지(73)와 하프 레이트 캐리지(75)를 정지시키고, 제 2 플래턴 유리(72B)를 통하여 CCD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원고 제 1 면의 판독을 행하는 원고의 반송 시에, CIS(50)에 의하여 일괄하여 원고 제 2 면의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CCD 이미지 센서(78)와 CIS(50)를 사용하여, 반송로(15)에 원고를 한 번 반송하는 것에 의해, 이 원고에 있어서의 표리 양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CCD 이미지 센서(78)에 의한 원고 제 1 면의 판독 위치보다도, CIS(50)에 의한 원고 제 2 면의 판독 위치를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다.
도 2는 CIS(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판독부로서 기능하는 CIS(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 롤러(19)와 배출 롤러(20) 사이에 설치된다. 원고의 한쪽 면(제 1 면)은 제 2 플래턴 유리(72B)로 눌려지고, 이 제 1 면 의 화상은 CCD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판독된다. 한편, CIS(50)에서는, 반송로(15)를 통하여 대향하는 다른쪽 측으로부터 한쪽 면(제 2 면)의 화상이 판독된다. 이 CIS(50)는, 하우징(51), 유리(52), LED(Light Emitting Diode) 어레이(53), 로드(rod) 렌즈 어레이(54), 및 라인 센서(5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유리(52)는 하우징(51)의 반송로(15) 측에 형성된 개구(開口)에 장착된다. 또한, LED 어레이(53)는 유리(52)를 통하여 원고 제 2 면에 광을 조사한다. 로드 렌즈 어레이(54)는 LED 어레이(53)로부터의 조사광의 반사광을 집광(集光)한다. 라인 센서(55)는 로드 렌즈 어레이(54)에 의해 집광된 광을 판독한다. 그리고, 라인 센서(55)로서는, CCD나 CMOS 센서, 밀착형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실제 치수 폭(예를 들어 A4 길이폭 297㎜)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CIS(50)에서는,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지 않고 로드 렌즈 어레이(54) 및 라인 센서(55)를 사용한 소위 등배 광학계에서 화상의 판독을 행한다.
그런데, CIS(50)와 같은 등배 광학계를 사용한 경우, 축소 광학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렌즈계의 초점 심도가 얕아진다. 도 3은 CIS(50)의 초점 심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에 있어서, 가로 축은 CIS(50)에 대한 원고 높이이며, 세로 축은 CTF(Contrast Transfer Function)의 값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랜덤하게 선택한 23개의 칩(Chip1∼Chip23)을 사용하여 평가를 행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원고 높이는 CIS(50)의 초점 위치를 0, 즉 기준 위치로 하고, 마이너스 방향은 초점 위치로부터 원고를 CIS(50)에 근접시킨 경우, 플러스 방향은 초점 위치로부터 원고를 더 멀어지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CTF는 스캐너의 해 상력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이며, 미소(微小) 간격으로 배열된 흑백의 래더(ladder)(줄무늬 형상) 패턴을 판독한 경우에, 래더 패턴이 갖는 공간적인 정보, 즉 콘트라스트를, 저(低)주파역으로부터 고(高)주파역까지 여실히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을지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원고의 판독 시에 CTF 20% 이상을 목표로 하면, CIS(50)를 사용한 경우에는, 원고의 높이를 초점 위치로부터 ±0.25㎜의 범위 내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축소 광학계를 사용한 스캐너 장치(70)에서는, 마찬가지로 20% 이상의 CTF를 확보하려고 한 경우, ±2∼4㎜ 정도의 범위가 허용된다. 즉, CIS(50)를 사용한 경우에는, CIS(50)의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원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다만, 이 예에 있어서, CIS(50)는 반송 판독에 사용되기 때문에, 원고의 흔들림 등에 의해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원고의 높이가 변동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위치 주변의 반송로(15)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CIS(50)에 대한 원고의 높이의 변동을 억제하고 있다.
도 4는 CIS(50)의 주변에 있어서의 반송로(1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 부위에 있어서의 반송로(15)는 제 1 원고 안내 부재(81), 제 2 원고 안내 부재(82), 제 3 원고 안내 부재(83), 규제판(84), 및 수지 시트(8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원고 안내 부재(81)는 CIS(50)에 의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 반송로(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제 1 원고 안내 부재(81)는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경사진 위쪽으로 경사져 배치된다.
제 2 원고 안내 부재(82)는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로(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제 2 원고 안내 부재(82)는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 1 원고 안내 부재(81)와 제 2 원고 안내 부재(82) 사이에는, 후술하는 규제 플레이트(84) 및CIS(50)의 입출력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원고 안내 부재(83)는 판독 위치(R)를 넘어 반송로(15)의 하부, 즉 제 1 원고 안내 부재(81) 및 제 2 원고 안내 부재(8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제 3 원고 안내 부재(83)는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경사부(83a), 오목부(83b), 수평부(83c)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83a)는 제 1 원고 안내 부재(81)의 하부에 있어서,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경사진 위쪽으로 경사져 배치된다. 오목부(83b)는 판독 위치(R)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 오목부(83b)는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경사진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수평부(83c)는 제 2 원고 안내 부재(82)의 하부에 있어서,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들 제 1 원고 안내 부재(81), 제 2 원고 안내 부재(82), 제 3 원고 안내 부재(83)는, 예를 들어 성형한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규제 부재, 제 1 안내 부재, 또는 상류 측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는 규제판(84)은, 제 1 원고 안내 부재(81)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 또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 반송로(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규제판(84)은, 예를 들어 벤딩(bending) 가공이 실시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이 규제판(84)의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에는, 원고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로(15)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84a)이 형성되고, 규제판(84)의 하면, 즉 반송로(15)와의 대향 측에는, 경사면(84a)에 연속하여 거의 수평한 규제면(8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판(84)이 CIS(50)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다만, 반드시 CIS(50)에 규제판(84)을 직접 부착시킬 필요는 없고, CIS(50)와 규제판(84)을 별개로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CIS(50)와 규제판(84)을 일체 성형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제 2 규제 부재, 제 2 안내 부재, 또는 하류 측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는 수지 시트(85)는, 판독 위치(R)를 넘도록 제 3 원고 안내 부재(83)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시트(85)가 오목부(83b)로부터 수평부(83c)에 걸쳐 접착되어 있다. 이 수지 시트(85)는 백색(白色)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CIS(50)에의 오염 부착 검지나 CIS(50)의 전체적인 광량 변동의 측정 대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반송로(15)의 하측 벽을 구성하는 경사부(83a)의 상면의 위치를 상면 위치(A)로 한다. 또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 반송로(15)의 하측 벽을 구성하는 수지 시트(85)의 상면의 위치를 수지 시트면 위치(B)로 한다. 또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반송로(15)의 상측 벽 을 구성하는 규제면(84b)의 위치를 규제면 위치(C)로 한다. 또한,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 반송로(15)의 상측 벽을 구성하는 제 2 원고 안내 부재(82)의 하면의 위치를 하면 위치(D)로 한다.
이 예에서는, 상면 위치(A)보다도 수지 시트면 위치(B)를 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면 위치(B)보다도 규제면 위치(C)를 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규제면 위치(C)보다도 하면 위치(D) 쪽을 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상면 위치(A)와 규제면 위치(C)의 높이 방향의 간격이, 이 판독 장치에서 반송 판독이 가능한 최대 용지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또한, 수지 시트면 위치(B)와 하면 위치(D)의 높이 방향의 간격도, 이 최대 용지 두께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된다. 한편, 수지 시트면 위치(B)와 규제면 위치(C)의 높이 방향의 간격, 즉 규제면끼리의 간격은 이 판독 장치에서 반송 판독이 가능한 최소 용지 두께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반송되는 원고가 수지 시트(85)에 대하여 접촉을 개시하는 접촉 개시 위치(V)와 판독 위치(R)와의 거리(D1)가 10㎜ 이내, 구체적으로는 5㎜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접촉 개시 위치(V)와 규제면(84b)의 원고 반송 방향 최하류 측의 단부(端部)인 규제단 위치(W)와의 거리(D2)가 1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a), (b)는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반송로(15)를 통하여, CIS(50)의 판독 위치(R)를 통과하는 매체로서의 원고(M)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원고(M)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원고 안내 부재(81)와 제 3 원고 안내 부재(83)의 경사부(83a) 사이를, 도면 중 왼쪽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경사진 위쪽 방향을 향하여 반송된다. 그 결과, 원고(M)의 상면, 즉 CIS(50)에 의한 판독 대상면(Ma)이 규제판(84)의 규제면(84b)에 접촉한다. 또한, 판독 대상면(Ma)은 상술한 제 2 면에 대응한다. 이 때, 원고(M)는 경사면(84a)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되고, 그 판독 대상면(Ma)이 규제면(84b)에 접촉한다. 또한, 원고(M)의 판독 대상면(Ma)의 이측(裏側)에 있는 비판독 대상면(Mb)은, 경사부(83a)로부터 약간 부상(浮上)하고 있다. 또한, 비판독 대상면(Mb)은 상술한 제 1 면에 대응한다. 그리고, 원고(M)는 규제면(84b)에 의해 판독 대상면(Ma)의 높이가 규제된 상태에서, 규제면(84b)에 접촉하면서 도면 중 우측을 향하여 더 반송되어 간다.
다음으로, 규제면(84b)의 규제단(端) 위치(W)를 통과한 원고(M)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S(50)에 의한 판독 위치(R)를 통과한다. 이 판독 위치(R)에 있어서, 원고(M) 배후의 제 3 원고 안내 부재(83)에는 오목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고(M)는 제 3 원고 안내 부재(83)에 접착된 수지 시트(85)에 접촉하지 않고 판독 위치(R)를 통과해 간다. 또한, 규제단 위치(W)를 통과한 원고(M)는 원고(M)의 자체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늘어지려고 하지만, 반송에 따라 원고(M)의 비판독 대상면(Mb)이 접촉 개시 위치(V)에서 수지 시트(85)와 접촉함으로써, 원고(M)의 늘어짐이 억제되고,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이 때, 수지 시트(85)는 오목부(83b)를 따라 경사진 위쪽을 향하여 반송로(15)를 좁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원고(M)는 이 경사를 따라 순조롭게 이동해 간다. 또한, 접촉 개시 위 치(V)는 원고(M)의 지질(紙質)에 따라 변화하고, 원고(M)를 구성하는 용지의 텍스쳐(texture)가 약할수록, 접촉 개시 위치(V)는 판독 위치(R)에 근접한다. 또한, 원고(M)의 판독 대상면(Ma)은 제 2 원고 안내 부재(82)로부터 약간 멀어지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는, 판독 대상면(Ma)이 규제면(84b)에 접촉함으로써 상측으로부터 원고(M)의 높이 규제가 실행된다. 즉, 규제면(84b)은 판독부로서의 CIS(50)에 원고(M)를 근접시키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한편,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는, 비판독 대상면(Mb)이 수지 시트(85)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하측으로부터 원고(M)의 높이 규제가 실행된다. 즉, 수지 시트(85)의 상면은, 판독부로서의 CIS(50)로부터 원고를 멀어지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판독 위치(R)에 있어서의 원고(M)의 판독 대상면(Ma)의 높이는 거의 일정하고, 예를 들어 CIS(50)의 초점 위치로부터 ±0.25㎜의 범위 내로 유지되게 된다. 즉, CIS(50)의 판독 위치(R)에 있어서의 원고(M)의 위치가 안정되게 된다.
그리고, 판독 위치(R)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CIS(50)의 LED 어레이(53)로부터 조사된 광이 원고(M)의 판독 대상면(Ma)에 조사되고, 그 반사광이 로드 렌즈 어레이(54)를 통하여 라인 센서(55)에 결상(結像)된다. 이 때, 판독 위치(R)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원고(M)의 높이가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원고의 반송 속도에 편차가 생겼다고 할지라도, 원고(M)의 높이 변동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러면, 여기서 판독 위치(R)와 접촉 개시 위치(V)의 거리(D1)를 10㎜ 이하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원고(M)를 구성하는 각종 용지에 대해서, 그 일단부를 돌출시켰을 때의 돌출량과 발생하는 휨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독 장치에서 반송 판독이 가능한 4종류의 용지 샘플(S1∼S4)에 대해서 조사했다. 여기서, 샘플(S1) 및 샘플(S2)의 평량(坪量)은 157gsm(gram per square meter)이며, 샘플(S3)의 평량은 64gsm, 샘플(S4)의 평량은 40gsm이다.
도 7에서, 각 용지 모두 돌출량이 많아질수록 발생하는 휨량도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평량이 적을수록 용지의 두께는 얇아지고, 평량이 적을수록 용지의 텍스쳐는 약해진다. 이 때문에, 평량이 적어질수록, 동일 돌출량에 대한 휨량이 많아지는 것, 즉 원고(M)의 늘어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것도 알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 분명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쪽의 샘플에 있어서도, 돌출량이 10㎜ 이내이면 발생하는 휨량은 매우 적어지고, 거의 0이라고 해도 좋은 레벨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위치(R)와 접촉 개시 위치(V)의 거리(D1)를 10㎜이내, 구체적으로는 5㎜ 정도로 함으로써 원고(M)를 구성하는 용지의 휨에 따르는 판독 위치(R)에 있어서의 원고(M)의 높이 어긋남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위치(R)보다도 원고 반송 방향 상류 측의 규제단 위치(W)와 원고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접촉 개시 위치(V)의 거리(D2)를 10㎜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판독 위치(R)에 있어서의 원고(M)의 휨의 영향을 더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장치를 사용하여 원고에 형성된 가시 화상을 판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원고에 형성된 비(非)가시 화상(예를 들어 적외 화상)을 판독하거나, 또는 원고 자체에 형성되는 모양을 판독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고 제 1 면을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여 판독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쪽도 등배 광학계에서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원고 제 1 면의 판독 위치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규제 부재 또는 안내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등배 광학계인 CIS(50)를 예로 설명을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축소 광학계를 사용한 판독부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장치를 예로 설명을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판독 장치를 예를 들어 기록 매체로서의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장치와 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독 장치에서 판독한 원고의 화상을, 프린터 장치에서 용지 위에 형성, 출력하는 복사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력에 의한 매체의 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판독부의 초점 심도가 얕은 경우일지라도, 높은 판독 정밀도를 유지한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두께를 갖는 매체를 판독 대상으로 한 경우일지라도,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력에 의한 매체의 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매체의 휨에 의하여 판독 위치에서의 매체의 위치가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판독부에 의해 흐릿함이 적은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의 위치를 더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매체의 걸림을 억제하는 동시에, 매체를 순조롭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열화(劣化)가 적은 복사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반송되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한쪽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다른쪽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규제하고,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비(非)판독 대상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鉛直) 방향 상측(上側) 면의 위치를 규제하고,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하측(下側) 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등배(等倍) 광학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매체의 규제면과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당해 매체의 규제면과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간격이, 반송 가능한 당해 매체의 최소 두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6. 반송되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당해 매체를 안내하는 제 1 안내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다른쪽 면에 접촉하면서 당해 매체를 안내하는 제 2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체의 판독 대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안내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매 체의 비판독 대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부재는, 상기 한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상측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안내 부재는, 상기 다른쪽 면으로서 상기 매체의 연직 방향 하측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가 상기 제 2 안내 부재와 상기 매체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10㎜ 이내로 되도록 상기 판독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매체의 위치 변동이 상기 판독부의 초점 심도(深度)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제 1 안내 부재의 매체 접촉면과 상기 제 2 안내 부재의 매체 접촉면의 간격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11.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당해 매체를 상기 판독부에 근접시키지 않도록 안내하는 상류 측 안내 부재와,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당해 매체를 상기 판독부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하류 측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판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상류 측 안내 부재는 상기 반송로의 연직 방향 상측에, 상기 하류 측 안내 부재는 당해 반송로의 연직 방향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류 측 안내 부재의 배열 설치 위치보다도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상기 반송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안내 부재는, 상기 매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상기 반송로를 좁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14. 제 1 항, 제 6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판독 장치를 가지며, 당해 판독 장치에서 판독된 화상 정보를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KR1020070035987A 2006-10-27 2007-04-12 판독 장치 및 복사기 KR100865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3063A JP4840079B2 (ja) 2006-10-27 2006-10-27 読み取り装置及び複写機
JPJP-P-2006-00293063 200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00A true KR20080038000A (ko) 2008-05-02
KR100865698B1 KR100865698B1 (ko) 2008-10-29

Family

ID=3932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87A KR100865698B1 (ko) 2006-10-27 2007-04-12 판독 장치 및 복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0301B2 (ko)
JP (1) JP4840079B2 (ko)
KR (1) KR100865698B1 (ko)
CN (1) CN1011706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9750B2 (ja) * 2006-11-20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8089664B2 (en) * 2007-01-31 2012-01-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JP4853538B2 (ja) 2009-03-17 2012-0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771105B2 (ja) * 2009-03-31 2011-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ITMI20100306U1 (it) * 2010-10-08 2012-04-09 Atom Spa Dispositivo per la rilevazione ottica della superficie di materiali lastriformi da recidere
JP2013186195A (ja) * 2012-03-06 2013-09-19 Toshiba Tec Corp 画像形成装置、レンズアレイ及びその形成方法
WO2014036220A1 (en) * 2012-08-29 2014-03-06 Opex Corporation Imaging assembly for scanner
CN105814871B (zh) * 2014-01-31 2018-09-18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读取装置
JP6237682B2 (ja) * 2015-03-26 2017-1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5920A (en) * 1984-07-20 1987-01-13 Ricoh Company, Ltd. Selective sheet loading apparatus
US4714241A (en) * 1986-08-04 1987-12-22 Eastman Kodak Company Recirculating document feeder
JPS63219263A (ja) * 1987-03-06 1988-09-12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画像読取装置
JPH01110545A (ja) * 1987-10-23 1989-04-27 Bridgestone Corp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
JP3238605B2 (ja) * 1995-06-09 2001-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原稿読取装置
US6954290B1 (en) * 2000-11-09 2005-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rrect distortion of document copies
JP3818105B2 (ja) * 2001-09-18 2006-09-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JP3943942B2 (ja) * 2002-01-31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375928C (zh) 2002-06-24 2008-03-19 尼司卡股份有限公司 自动底稿传送装置
JP2004238161A (ja) * 2003-02-06 2004-08-26 Sharp Corp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67359B2 (ja) * 2003-05-28 2010-05-26 ニス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7751099B2 (en) * 2003-12-04 2010-07-06 Fuji Xerox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registration method in two-side image reading
JP4298525B2 (ja) * 2004-01-15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424091B2 (ja) * 2004-06-25 2010-03-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JP4073032B2 (ja) * 2005-04-08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29852B2 (ja) * 2005-09-20 2010-08-2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複写装置
US7896343B2 (en) * 2005-09-26 2011-03-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ocument or sheet material feeder
JP2007119232A (ja) * 2005-10-31 2007-05-17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200729923A (en) * 2006-01-26 2007-08-01 Avision Inc Method for identifying leading edge or image range of scanned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0630A (zh) 2008-04-30
CN101170630B (zh) 2013-02-13
KR100865698B1 (ko) 2008-10-29
US7920301B2 (en) 2011-04-05
US20080100886A1 (en) 2008-05-01
JP4840079B2 (ja) 2011-12-21
JP2008113069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698B1 (ko) 판독 장치 및 복사기
US7042599B2 (en)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5280368A (en) Fixed full width array scan head calibration apparatus
CN111510573B (zh) 倾斜检测装置、读取装置、图像处理装置及倾斜检测方法
US68929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extraneous light from entering image reading apparatus
US8514460B2 (en) Image reader and method for adjusting magnification accuracy of image reader
US7457006B2 (en) Calibration system for a scanner for recording images from sheets
US10069997B2 (en) Image reading unit and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211703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20170331970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reading device
US10070010B2 (en) Shade correcting image reading by biasing force of a color reference body in the document width direction
US7130089B2 (en) Original document scanning apparatus
JP200604171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9554011B2 (en) Light irradiator,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9750B2 (ja) 画像読取装置
CN111866295B (zh) 图像读取装置
JP2020182056A (ja) 画像読取装置
JP7103150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7159862B2 (ja) 画像読取装置
US20030002088A1 (en) Method for enhancing image output quality employing product data included on an image bearing media
JP202109358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8007080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07142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2344702A (ja) 画像読取装置
JP2018117200A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