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253A -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253A
KR20080037253A KR1020060104079A KR20060104079A KR20080037253A KR 20080037253 A KR20080037253 A KR 20080037253A KR 1020060104079 A KR1020060104079 A KR 1020060104079A KR 20060104079 A KR20060104079 A KR 20060104079A KR 20080037253 A KR20080037253 A KR 2008003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per chute
rotation
tripper
chute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896B1 (ko
Inventor
최광석
배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0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8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수송 작업 중 발생되는 비중이 작은 연료 및 원료가 트립퍼 슈트 내에서 쌓여 넘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하여 조업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립퍼 슈트, 트립퍼 슈트의 일측에 장착되며, 양측 일부가 트립퍼 슈트의 외부에 위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트립퍼 슈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에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플로팅부, 회전축의 양측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며, 온/오프 상태에 따라 광석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단속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트립퍼 슈트, 회전축, 플로팅부, 검출부

Description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CHOKING DETECTION DEVICE OF TRIPPER CHUTE}
도 1은 일반적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트립퍼 슈트 202 ; 벨트 컨베이어
210 ; 회전 가이드부 220 ; 회전축
230 ; 플로팅부 250; 로드
252 ; 센싱부
본 발명은 트립퍼 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립퍼 슈트(100) 상부에는 틸트 스위치(104, Tilt S/W)가 장착되어 트립퍼 슈트(100) 내부에 이물질이 쌓임을 감지하도록 한다. 트립퍼 슈트(100) 내부에 이물질이 계속 충진되면, 틸트 스위치(104)는 일측으로 회동된다. 틸트 스위치(104)의 회동으로 인해 트립퍼 슈트(100) 내부의 이물질 충진상태가 검출된다.
그런데, 트립퍼 슈트(100)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이 입자가 고운 분광일 경우에는 트립퍼 슈트(100) 내부에서 점진적으로 충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분광이 틸트 스위치(104)를 감싸고 있어 틸트 스위치(104)의 회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틸트 스위치(104)의 원래 위치에서 틸트 스위치(104)가 분광에 의해 묻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틸트 스위치(104)의 회동없이 분광이 충진되면, 이물질의 검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틸트 스위치(104)의 이물질 검출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광석이 넘쳐 구동 풀리부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벨트 컨베이어(102)의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된다. 그리고, 주변설비의 과부하에 의한 파손으로 설비 정비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낙광이 벨트 컨베이어(102) 하부 전체로 퍼져 낙광 처리시간 과다로 조업 중단 사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 수송 작업 중 발생되는 비중이 작은 연료 및 원료가 트립퍼 슈트 내에서 쌓여 넘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하여 조업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립퍼 슈트, 트립퍼 슈트의 일측에 장착되며, 양측 일부가 트립퍼 슈트의 외부에 위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트립퍼 슈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에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플로팅부, 회전축의 양측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며, 온/오프 상태에 따라 광석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단속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서, 트립퍼 슈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회전축의 양측 일부는 회전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회전 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회전축에 축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는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는 로드,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로드에 근접된 위치에 장착되며, 로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회전축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평형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형 유지부는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발란스 웨이트, 일단이 발란스 웨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트립퍼 슈트 주변의 고정체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202) 수송 작업 중 발생되는 비교적 비중이 낮은 연료 및 원료가 트립퍼 슈트(200) 내에서 쌓여 넘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조업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립퍼 슈트(200), 회전 가이드부(210), 회전축(220), 플로팅부(230), 지지부, 검출부를 포함한다.
회전축(220)은 트립퍼 슈트(200)의 일측에 장착되고, 트립퍼 슈트(200) 내부를 통과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양측 일부가 트립퍼 슈트(200)의 외부에 위치된다.
트립퍼 슈트(200)의 일측에는 회전 가이드부(210)가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220)의 양측 일부는 회전 가이드부(210)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회전 가이드부(210)는 트립터 슈트(200) 내부에 플로팅부(2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트립터 슈트(200)의 폭을 약 300mm 정도 확장한 위치에 형성된다.
만약, 트립퍼 슈트(200) 내에 직접 회전축(220)을 장착하고, 플로팅부(230) 를 설치하는 경우, 플로팅부(230)는 벨트 컨베이어(202)로부터 이송되는 원료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트립퍼 슈트(200) 자체 형상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회전 가이드부(21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플로팅부(230)와의 결합관계를 고려하여 트립퍼 슈트(200)와는 별도로 구성한다.
플로팅부(230)는 회전축(220)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트립퍼 슈트(20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에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회전축(220)에 전달한다. 상기한 구성의 플로팅부(230)는 회전 가이드부(210)를 통해 내부 공간이 확장된 트립퍼 슈트(200) 내부에 분진 형태의 원료(280)가 쌓여 넘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할 수 있다.
지지부는 지지 플레이트, 베어링을 포함함, 회전축(220)의 양측 일부를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는 회전 가이드부(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4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는 트립퍼 슈트(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트립퍼 슈트(200)와 회전 가이드부(210)에 걸쳐서 고정될 수도 있다.
베어링은 회전축(220)에 축결합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24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4) 상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베어링(242)과 제2 베어링(246)을 포함한다.
검출부는 회전축(22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220)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며, 온/오프 상태에 따라 광석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202)의 구동을 단속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검출부는 로드(250)와 센싱부(252)를 포함하는 근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근접센서란 리미트 스위치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기계식 스위치를 대신하는 것으로 비접촉으로 대상물체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근접센서는 동작원리의 차이에 따라 전자유도를 이용한 고주파 발진형, 자석을 이용한 자기형,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정전 용량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검출부를 구성하는 로드(250)는 회전축(220)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축(220)의 회전에 연동된다.
센싱부(252)는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로드(250)에 근접된 위치에 장착되며, 로드(25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로팅부(230)와 검출부를 통해 회전축(220)의 회전상태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축(22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회전축(220)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평형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형 유지부는 회전축(220)에 고정 결합되는 발란스 웨이트(260)와, 고정부(270)를 포함한다.
발란스 웨이트(260)는 회전축(220)이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무게를 갖고 회전축(220)에 축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발란스 웨이트(260)의 형상은 무게 중심이 중력 방향을 향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70)는 일단이 발란스 웨이트(26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트립퍼 슈트(200) 주변의 고정체에 결합되어 회전축(220)의 일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고정부(270)는 체인 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이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트립퍼 슈트(200)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이 입자가 고운 분광일 경우에는 트립퍼 슈트(200) 내부에서 점진적으로 충진이 이루어진다. 즉, 비중이 가벼운 원료(무연탄)는 트립퍼 슈트(200) 내에서 쌓이게 되어 트립퍼 슈트(200) 내부를 막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 슈트(200) 막힘 검출장치는 트립퍼 슈트(200) 내부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해 트립퍼 슈트(200)에 별도로 결합되는 회전 가이드부(210)를 구성하고, 회전 가이드부(210) 내부에 회전축(220)을 배치한다.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 가이드부(210) 내측에는 플로팅부(230)가 장착되고, 회전 가이드부(210) 외측에는 검출부 및 평형 유지부가 장착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벨트 컨베이어(202)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가 트립퍼 슈트(200) 내에서 분진(280) 형태로 쌓이게 되면, 플로팅부(2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회전축(220)을 기준으로 플로팅부(230)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검출부를 구성하는 로드(250)가 장착되는데, 로드(250)는 센싱부(252)에 근접 설치된다. 센싱 부(252)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며, 회전축(220)의 회전상태를 검출하여 해당되는 회전축(220) 회전신호를 제어부로 공급한다.
제어부는 센싱부(252)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축(220) 회전신호를 분석하여 로드(250)가 센싱부(252)에서 벗어난 상태이면 트립퍼 슈트(200) 내에서 원료가 쌓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되는 벨트 컨베이어(202)를 정지시키고, 인터록(Interlock)된 상부의 벨트 컨베이어(202)가 모두 정지(All Stop)되어 트립퍼 슈트(200)의 원료 쌓임을 방지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는 트립퍼 슈트 내에서 원료가 쌓이는 것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여 구동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정지시킴으로써 트립퍼 슈트의 막힘에 따른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트립퍼 슈트;
    상기 트립퍼 슈트의 일측에 장착되며, 양측 일부가 상기 트립퍼 슈트의 외부에 위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트립퍼 슈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타단에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플로팅부;
    상기 회전축의 양측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며, 온/오프 상태에 따라 광석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단속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2. 상기 트립퍼 슈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양측 일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3.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4.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는 로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로드에 근접된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5.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평형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6. 상기 평형 유지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발란스 웨이트;
    일단이 상기 발란스 웨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트립퍼 슈트 주변의 고정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KR1020060104079A 2006-10-25 2006-10-25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KR10085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79A KR100858896B1 (ko) 2006-10-25 2006-10-25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79A KR100858896B1 (ko) 2006-10-25 2006-10-25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53A true KR20080037253A (ko) 2008-04-30
KR100858896B1 KR100858896B1 (ko) 2008-09-17

Family

ID=3957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79A KR100858896B1 (ko) 2006-10-25 2006-10-25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8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62B1 (ko) * 2011-03-29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감지장치
CN106092838A (zh) * 2016-07-29 2016-11-0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大颗粒物料检测装置
KR20210000837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 제거장치
CN113044510A (zh) * 2021-03-22 2021-06-29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上海石洞口第一电厂 一种用于散料输送机落料管的堵料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55B1 (ko) 2012-04-12 2014-05-23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카 위치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749A (ja) * 1993-03-04 1994-09-13 Onoda Cement Co Ltd サイクロンシュートの粉体詰まり検出装置
JP2000053219A (ja) 1998-08-13 2000-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詰まり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石炭シュート
KR100765085B1 (ko) * 2001-04-18 2007-10-09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빈 트리퍼의 슈트막힘 제거장치
KR101043084B1 (ko) * 2004-12-22 2011-06-21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62B1 (ko) * 2011-03-29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감지장치
CN106092838A (zh) * 2016-07-29 2016-11-0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大颗粒物料检测装置
KR20210000837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 제거장치
CN113044510A (zh) * 2021-03-22 2021-06-29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上海石洞口第一电厂 一种用于散料输送机落料管的堵料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896B1 (ko)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896B1 (ko)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RU2569818C1 (ru) Конусная дробилка, име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ю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оложения дробящего корпуса
KR100792843B1 (ko)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KR20100076419A (ko)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KR10132012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JP5379079B2 (ja) 搬送装置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JP6747396B2 (ja) 粉体供給装置
JP2000053219A (ja) 詰まり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石炭シュート
KR10127749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20110317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US4259918A (en) Self-cleaning traction wheel motion sensor
KR101289173B1 (ko) 컨베이어벨트 사행감지장치
KR1022248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휠 감지장치
KR101277582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0778676B1 (ko) 웨이트 클리너장치
KR101647200B1 (ko)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21665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JP4894280B2 (ja) スクレー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