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843B1 -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843B1
KR100792843B1 KR1020060130425A KR20060130425A KR100792843B1 KR 100792843 B1 KR100792843 B1 KR 100792843B1 KR 1020060130425 A KR1020060130425 A KR 1020060130425A KR 20060130425 A KR20060130425 A KR 20060130425A KR 100792843 B1 KR100792843 B1 KR 10079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raw material
sensing plate
sensing
touch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삼
이형구
윤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 내부에 부착광 발생시 이동 경로가 변경되는 원료를 감지하여 원료 슈트의 부착광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1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통공(101)과, 상기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통공(101)을 통하여 슈트(100)의 내부로 삽입된 감지판(300)과, 상기 감지판(300)의 상단에 회전축(330)을 매개로 설치된 터치바(340)와, 상기 터치바(340)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3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슈트, 컨베이어, 부착광, 스위치

Description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Closed perception apparatus for raw material chute}
도 1은 일반적인 원료 공급 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막힘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슈트 101 : 통공
101 : 통공 300 : 감지판
301 : 중심축 310 : 제1스프링
320 : 힌지 330 : 회전축
340 : 터치바 341 : 제2스프링
350 : 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 내부에 부착광 발생시 이동 경로가 변경되는 원료를 감지하여 원료 슈트의 부착광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110)를 설치하여 철광석, 석탄, 석회석, 코크스, 소결광 등의 원료를 신속하게 운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 컨베이어(110) 사이의 연결부에는 원료를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원료를 유지 보관하는 슈트(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슈트(100)는 상부측의 컨베이어(110)로부터 원료가 이송되어 유입되면, 하부의 컨베이어(110)로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컨베이어(110)에 의해서 이송되는 원료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슈트(100)의 내측면에 고착되고, 장기간 사용시 슈트(100)의 내부가 막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슈트(100)가 막히는 경우에는 슈트(100)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원료가 슈트(100)의 상부로 넘치게 되어 주변 설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슈트 내부의 막힘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감지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100)의 상부 내측에 감지스위치(200)가 설치되어 있되, 그 감지스위치(200)에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10)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210)의 내측에는 스위치 박스(220)가 설치되 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박스(220)의 상단에는 제1접점(22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1접점(221)의 단부는 스위치 박스(220)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박스(220)의 내부에는 수은(23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수은(230)은 스위치 박스(220)의 위치에 따라서, 유동되는 것이며, 상기 스위치 박스(220)에는 제2접점(23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슈트(100)의 내부에 부착광(M)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우징(210)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수은(230)은 제1접점(221)과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접점(221)과 제2접점(231)은 수은(230)을 매개로 통전되어 정상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슈트(100)의 내부에 부착광이 형성되면, 하우징(210)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고, 그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220)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 박스(220)에 내장된 수은(230)은 자중에 의해서 스위치 박스(220)의 일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은(230)이 이동되면, 제1접점(221)과 제2접점(231)이 분리되어 부착광(M)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부착광(M)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슈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감지장치가 부착광(M)을 감지할 경우에는 슈트(100)의 외부로 원료의 넘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부착광(M)이 하우징(210)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하우 징(210)이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부착광(M)의 발생을 감지하지 못하여 슈트(100)의 외부로 넘치는 원료로 인한 주변설비의 오염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의 내측에 발생되는 부착광에 의해서 경로가 변경되는 원료를 감지하여 부착광 발생을 감지하는 한편, 슈트의 하부에 발생된 부착광을 감지하여 슈트의 막힘으로 인한 원료의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는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슈트의 외부 측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슈트의 내부로 삽입된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상단에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된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슈트의 외부 측면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100)의 하부 측면에 통공(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는 감지판(300)이 설치되어 있되, 그 감지판(300)의 하부는 통공(101)을 통하여 슈트(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지판(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는 회전축(3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30)의 단부에는 터치바(340)가 설치되어 있고,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는 터치바(340)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리미트 스위치(35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지판(300)의 일면에는 중심축(30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축(301)에는 상기 감지판(300)을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310)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30)의 양 단부에는 그 회전축(330)을 탄력 지지하는 제2스프링(34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100)의 내부에 안내되면서 하부로 이동되고, 그 슈트(100)의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110)로 불출된다.
한편, 상기 슈트(100)를 통하여 이동하는 원료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100)의 내부에 부착광(M)이 발생되면, 상기 원료는 부착광(M)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착광(M)이 증가하면, 원료의 이동경로는 감지판(300)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판(300)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판(300)이 원료에 의해서 가압되면, 그 감지판(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때 제1스프링(310)은 압축된다.
한편, 상기 감지판(300)이 회전되면, 그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330) 및 그 회전축(330)의 상단에 설치된 터치바(340)가 함께 회전되고, 이때 제2스프링(341)은 인장되는 것이다.
상기 터치바(340)가 더욱 회전되면, 그 터치바(340)의 단부가 리미트 스위치(350)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350)가 작동되면, 별도의 표시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슈트(100) 내부에 부착광(M) 발생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판(300)을 가압하는 원료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감지판(300)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던 제1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감지판(300)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될 때 인장되어 있던 제2스프링(341)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축(330)이 함께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슈트(100)의 하부에서 부착광 발생을 감지하고, 부착광에 의한 감지수단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슈트의 하부에서 부착광 발생을 감지하여 부착광 발생 을 초기에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부착광으로 인한 원료의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트의 내부를 이동하는 원료에 의해서 작동되는 감지판에 의해서 부착광 발생을 감지하게 되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원료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료를 공급하는 슈트(1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통공(101)과, 상기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통공(101)을 통하여 슈트(100)의 내부로 삽입된 감지판(300)과, 상기 감지판(300)의 상단에 회전축(330)을 매개로 설치된 터치바(340)와, 상기 터치바(340)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슈트(100)의 외부 측면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3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300)의 일면에 설치된 중심축(301)과, 상기 감지판(300)을 탄력 지지하도록 중심축(301)에 끼워진 제1스프링(31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0)을 탄력 지지하도록 회전축(330)의 상부 양 측에 설치된 제2스프링(34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KR1020060130425A 2006-12-19 2006-12-19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KR10079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25A KR100792843B1 (ko) 2006-12-19 2006-12-19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25A KR100792843B1 (ko) 2006-12-19 2006-12-19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843B1 true KR100792843B1 (ko) 2008-01-14

Family

ID=3921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425A KR100792843B1 (ko) 2006-12-19 2006-12-19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8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84B1 (ko) 2013-02-08 2014-07-23 주식회사 포스코 전방향 슈트 막힘 감지장치
KR101424446B1 (ko) * 2012-02-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60034561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스위치 장치
KR20160050451A (ko) 2014-10-29 2016-05-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석탄 이송용 슈트의 플러깅 스위치
KR102224888B1 (ko) * 2019-09-24 2021-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다연동 슈트 스위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912U (ko) * 1996-11-26 1998-08-05 김종진 코크스 파쇄용 로드밀의 절출구 막힘 감지장치
KR20010037726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하역기내 슈트의 낙광 감소장치
KR20010056382A (ko) * 1999-12-15 2001-07-04 이구택 콜 낙차와 에어 압력을 이용한 슈트 부착탄 방지장치
KR20040021121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누적 및 낙광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912U (ko) * 1996-11-26 1998-08-05 김종진 코크스 파쇄용 로드밀의 절출구 막힘 감지장치
KR20010037726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하역기내 슈트의 낙광 감소장치
KR20010056382A (ko) * 1999-12-15 2001-07-04 이구택 콜 낙차와 에어 압력을 이용한 슈트 부착탄 방지장치
KR20040021121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누적 및 낙광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46B1 (ko) * 2012-02-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421884B1 (ko) 2013-02-08 2014-07-23 주식회사 포스코 전방향 슈트 막힘 감지장치
KR20160034561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스위치 장치
KR101648150B1 (ko) * 2014-09-22 2016-08-12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스위치 장치
KR20160050451A (ko) 2014-10-29 2016-05-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석탄 이송용 슈트의 플러깅 스위치
KR102224888B1 (ko) * 2019-09-24 2021-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다연동 슈트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843B1 (ko) 원료공급 슈트용 막힘 감지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58896B1 (ko)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KR20100076419A (ko)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EP2123581A4 (en) VACUUM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SUBSTRATE
KR20120133332A (ko) 컨베이어용 원료이송 유무 검출장치
BR0215658A (pt) Dispositivo para contenção e suprimento de material a granel
KR101421884B1 (ko) 전방향 슈트 막힘 감지장치
KR101641333B1 (ko) 석탄 이송용 슈트의 플러깅 스위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JP2000053219A (ja) 詰まり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石炭シュート
KR101419392B1 (ko) 원료 편중 방지장치
JPH06115656A (ja) ベルトコンベアの防塵スカート部の構造
KR20090054234A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200216535Y1 (ko) 로 장입원료 유지용 슈트의 넘침 감지 장치
KR101071174B1 (ko) 기판 감지장치
JP6839592B2 (ja) 荷役機械
JP2003047865A (ja) 粉砕機
KR20130017395A (ko) 컨베이어벨트 사행감지장치
KR200267272Y1 (ko) 벨트 컨베이어의 무동력 회전형 낙광방지장치
KR200450326Y1 (ko) 대차용 스토퍼
KR20130071684A (ko) 운송물 감지장치
JP2018180180A5 (ko)
KR101946501B1 (ko) 슈트 막힘 감지장치
JP5843365B2 (ja) 満杯センサ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