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812A -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812A
KR20080035812A KR1020060102338A KR20060102338A KR20080035812A KR 20080035812 A KR20080035812 A KR 20080035812A KR 1020060102338 A KR1020060102338 A KR 1020060102338A KR 20060102338 A KR20060102338 A KR 20060102338A KR 20080035812 A KR20080035812 A KR 2008003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mold
die
upper movable
movab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413B1 (ko
Inventor
류동선
Original Assignee
류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동선 filed Critical 류동선
Priority to KR102006010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4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21J13/025Dies with parts moving along auxiliary later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21K1/12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of specially-shap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단조작업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하부고정금형과; 상기 하부고정금형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측 내경부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펀치와; 상기 펀치의 테이퍼면을 따라 승강 작용하면서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수축 이완작용을 하도록 다수의 분할편이 조합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에 의하여 자동차의 스티어링계통이나 서스펜션계통의 관절부에 사용되는 이단 볼 스터드와 같은 특수한 형상의 가공물을 냉간 단조공정에 의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기계적성질이 우수하도록 가공하는 이단 볼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단볼, 펀치, 테이퍼면, 인사이드테이퍼펀치, 분할편,

Description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Divided mold for cold Forging Process of Duplicated Ball Stud and Process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된 이단 볼 스터드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금형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금형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1차금형에 의해 1차가공제품을 생산하는 단조공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1차하부금형내에 재료봉을 장착한 상태도이고,
b)는 1차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일단볼이 형성된 1차가공제품을 형성한 상태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금형의 실시예에 의한 단조공정을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a)는 하부고정금형에 1차가공제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이동금형이 하강하여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c)는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테이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1차가공제품 을 감싸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d)는 인사이드펀치가 하강하여 이단볼을 형성함과 동시에 펀치핀에 의해 요홈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임.
e)는 상부이동금형이 상승되면서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방사상으로 벌어지고 완제품이 금형으로 부터 이탈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이동금형 110: 펀치
111: 테이퍼면 112: 단턱부
120: 인사이드테이퍼펀치 121: 분할편
122: 돌출부 123: 벌림스프링
130: 인사이드펀치 131: 중앙공
132: 이단볼형성부 140: 스페이서
150: 이탈방지커버 151: 구멍
160: 펀치핀 170: 압축스프링
200: 하부고정금형 210: 내측다이
215: 관통공 220: 초경다이
221: 일단볼수납부 230: 밀핀
300: 재료봉 310: 1차가공제품
311: 일단볼 320: 완제품
321: 이단볼 322: 허리부
323: 요홈부 324: 끼움고정부
400: 1차하부금형 410: 1차상부금형
본 발명은 냉간단조작업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스티어링계통이나 서스펜션계통의 관절부에 사용되는 볼 스터드와 같은 가공물의 생산시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도록 가공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와이퍼 연동장치용 이단 볼 스터드는 자동차 와이퍼 시스템의 핵심기능을 하는 부품으로써 와이퍼 모터와 아암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와이퍼시스템의 동력전달장치를 매우 간소화하도록 하는 중요 부품이다.
이러한 이단 볼 스터드의 완제품(320)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이 이단 호리병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부에는 아암에 끼워 고정하도록 하는 끼움고정부(324)가 형성되고,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각각 일단볼(311)과 이단볼(321)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볼(311)과 이단볼(321)의 사이에는 잘록한 허리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단 볼 스터드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작록한 허리부(322)를 갖는 형상의 특이성 때문에 일반적인 단조나 프레스가공에 의한 작업이 난해하여 종래에는 대부분 선반 등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에 의하여 생산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절삭가공에 의한 가공방법은 재료비의 비중이 매우 높고, 재료의 손실률이 매우 크며, 특히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매우 낮아 가격상승 요인이 되었다.
또한 가공 특성상 품질의 산포가 매우 높아 균일한 품질을 요구하는 제품의 특성에 부합되며, 기계적 성질이 비교적 저하되어 부품파손에 의한 와이퍼시스템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냉간단조에 의한 가공방법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잇점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단 볼 스터드의 형상 특성상 냉간 단조가공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서는 중간부에 잘록한 허리부를 갖는 형상의 이단 볼 스터드를 냉간상태에서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수행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차 하부금형에 재료봉을 투입하고, 1차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재료봉의 중간부에 일단볼을 형성하는 1차가공제품 가공공정과; 상기 가공공정에 의해 1차가공된 1차가공제품을 2차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의 내측 초경다이에 삽입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1차가공제품이 장착된 2차 하부고정금형의 상측으로 부터 하강하여 내측다이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분할편으로 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펀치의 내부 테이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중심부로 모아져 상기 1차가공제품의 일단볼을 감싸도록 하는 2차 상부이동금형의 하강공정과;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의 연속적인 하강으로 펀치의 내측에 구비된 인사이드펀치에 의해 이단볼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단볼 형성공정과; 연속적인 2차 상부이동금형의 하강으로 펀치핀에 의해 상기 완제품의 상부면에 요홈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이 상승하면서 펀치의 하측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테이퍼면을 따라 벌림작용이 이루어져 일단볼과 허리부 및 이단볼이 형성된 완제품이 용이하게 이탈되어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을 이용한 가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방법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이동금형과 하부고정금형으로 이루어진 단조금형으로서, 내측다이와 상기 내측다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초경다이를 포함하는 하부고정금형과; 상기 하부고정금형에 대응하는 것으로 스페이서와 인사이드펀치 및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내부에 설치되어 연동 작동되는 펀치가 삽 입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며, 통형상으로서 상측부는 상기 스페이서와 밀착되어 압력을 전달하도록 폐쇄된 상부이동금형과; 상기 상부이동금형의 하단부와 상기 펀치의 단턱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이완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금형은 상기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측 내경부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펀치와; 상기 펀치의 테이퍼면을 따라 승강 작용하면서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수축 이완작용을 하도록 다수의 분할편이 조합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와;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펀치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며 이단볼형성부를 구비한 인사이드펀치와; 상기 인사이드펀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펀치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고 상부이동금형의 압력을 인사이드펀치에 전달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는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편과; 상기 각각 인접하는 분할편의 사이에는 벌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벌림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를 이루는 분할편의 내부에는 완제품의 이단볼과 일단볼 사이의 허리부를 형성하도록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펀치의 하단부에는 인사이드테이퍼펀치의 이탈을 방지하며, 중심부에는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천공된 이탈방지커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금형의 인사이드펀치에는 중심부에 중앙공이 천공되고, 상기 중앙공에는 완제품의 요홈부을 형성하도록 하는 펀치핀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와 초경다이의 중심부에 천공된 관통공에는 1차가공제품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하는 밀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된 이단 볼 스터드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로서 일단볼(311)과 이단볼(3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잘록한 허리부(322)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단조가공이 용이하지 못한 형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단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볼(311)과 이단볼(321)의 형상을 가공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금형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금형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상부이동금형(100)과 하부고정금형(20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은 내측다이(210)와 상기 내측다이(2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초경다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경다이(220)의 상측부에는 1차가공된 일단볼(311)의 형상을 유지시키켜 수납하도록 하는 일단볼수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에 대응하는 상부이동금형(100)은 스페이서(140)와 인사이드펀치(130) 및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연동 작동되는 펀치(110)가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은 통형상으로서 상측부는 상기 스페이서(140)와 밀착되어 압력을 전달하도록 폐쇄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의 하단부와 상기 펀치(110)의 단턱부(11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이완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1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은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의 내측다이(21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측 내경부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테이퍼면(111)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된 펀치(110)와; 상기 펀치(110)의 테이퍼면(111)을 따라 승강 작용하면서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수축 이완작용을 하도록 다수의 분할편(121)이 조합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와;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펀치(110)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며 이단볼형성부(132)를 구비한 인사이드펀치(130); 상기 인사이드펀치(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펀치(110)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고 상부이동금형(100)의 압력을 인사이드펀치(130)에 전달하는 스페이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는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편(121)과; 상기 각각 인접하는 분할편(121)의 사이에는 벌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벌림스프링(123)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할편(121)을 4개로 하였으나 규격에 따라 분할편의 갯수를 가감할 수도 있다.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를 이루는 분할편(121)의 내부에는 완제품(320)의 이단볼(321)과 일단볼(311) 사이의 허리부(322)를 형성하도록 돌출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1차가공품의 장착시 1차 성형된 일단볼(311)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지지하여 2차성형 단조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펀치(110)의 하단부에는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의 이탈을 방지하며, 중심부에는 하부고정금형(100)의 내측다이(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151)이 천공된 이탈방지커버(150)를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의 인사이드펀치(130)에는 중심부에 중앙공(131)이 천공되고, 상기 중앙공(131)에는 완제품(320)의 요홈부(323)을 형성하도록 하는 펀치핀(160)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의 내측다이(210)와 초경다이(220)의 중심부에 천공된 관통공(215)에는 1차가공제품(310)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하는 밀핀(230)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1차금형에 의해 1차가공제품을 생산하는 단조공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1차하부금형내에 재료봉(300)을 장착한 상태도이고, b)는 1차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일단볼(311)이 형성된 1차가공제품(310)을 형성한 상태도로서 1차 하부금형(400)에 재료봉(300)을 투입하고, 1차 상부금형(410)을 하강시켜 재료봉(300)의 중간부에 일단볼(311)을 형성하는 1차가공제품(310) 가공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1차 하부금형(400)과 1차상부금형(410)의 중심부에는 재료봉(300)의 투입 및 원활한 가공을 위한 1차하부금형밀핀(401)과 1차상부금형펀치핀(411)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금형의 실시예에 의한 단조작업공정을 단계별로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a)는 하부고정금형에 1차가공제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1차가공공정에 의해 가공된 1차가공제품(310)을 2차 하부고정금형(210)의 내측다이(210)의 내측 초경다이(220)에 삽입 장착하는 공정을 이룬다.
b)는 상부이동금형이 하강하여 하부고정금형의 내측다이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1차가공제품(310)이 장착된 2차 하부고정금형(200)의 상측으로 부터 하강하여 내측다이(21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분할편(121)으로 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펀치(110)의 내부 테이퍼면(111)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중심부로 모아져 상기 1차가공제품(310)의 일단볼(311)을 감싸도록 하는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하강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5c)에 되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테이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1차가공제품을 감싸준 상태가 된다.
d)는 인사이드펀치가 하강하여 이단볼(321)을 형성함과 동시에 펀치핀(160)에 의해 요홈부(323)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연속적인 하강으로 펀치(110)의 내측에 구비된 인사이드펀치(130)에 의해 이단볼(321)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단볼 형성공정과 동시에 연속적인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하강으로 펀치핀(160)에 의해 상기 완제품(320)의 상부면에 요홈부(323)를 형성하는 공정이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작업공정을 통하여 이단 볼 스터드 완제품(320)의 단조가공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100)이 상승하게 된다.
도 5 e)는 상부이동금형이 상승되면서 인사이드테이퍼펀치가 방사상으로 벌어지고 완제품이 금형으로 부터 이탈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펀치(110)의 하측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테이퍼면(111)을 따라 벌림작용이 이루어져 일단볼(311)과 허리부(322) 및 이단볼(321)이 형성된 완제품(320)이 용이하게 이탈되어 배출하는 공정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즉,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분할편(121)과 상기 각 분할편(121)의 사이에 삽입 설치된 벌림스프링(123)에 의하여 중심부로 부터 방사상으로 분할편(121)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단볼형상의 완제품(320)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볼형상을 포함하는 이단 볼 스터드의 가공을 냉간 단조공법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재료의 손실률을 최소화하며, 특히 단위시간당 생산성을 높이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간부에 잘록한 허리부를 갖는 형상의 이단 볼 스터드를 냉간상태에서 용이하게 단조작업을 수행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으로서 냉간단조 가공방법에 의하여 재료비가 저렴하며,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매우 높고, 생산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품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불량률이 거의 없으며, 절삭제품의 가공면 보다 표면의 조도가 양호하고 산포가 일정하며, 특히 냉간 단조 재질의 특성상 플레이트 조립 후 밀착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갖는 이단 볼 스터드를 균일한 품질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7)

  1. 상부이동금형과 하부고정금형으로 이루어진 단조금형에 있어서,
    내측다이(210)와 상기 내측다이(2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초경다이(220)를 포함하는 하부고정금형(200)과;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에 대응하는 것으로 스페이서(140)와 인사이드펀치(130) 및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연동 작동되는 펀치(110)가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며, 통형상으로서 상측부는 상기 스페이서(140)와 밀착되어 압력을 전달하도록 폐쇄된 상부이동금형(100)과;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의 하단부와 상기 펀치(110)의 단턱부(11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이완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170)을 포함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은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의 내측다이(21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측 내경부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테이퍼면(111)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된 펀치(110)와;
    상기 펀치(110)의 테이퍼면(111)을 따라 승강 작용하면서 동시에 중심방향으 로 수축 이완작용을 하도록 다수의 분할편(121)이 조합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와;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펀치(110)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며 이단볼형성부(132)를 구비한 인사이드펀치(130);
    상기 인사이드펀치(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펀치(110)의 내경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작동되고 상부이동금형(100)의 압력을 인사이드펀치(130)에 전달하는 스페이서(140)를 포함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는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편(121)과;
    상기 각각 인접하는 분할편(121)의 사이에는 벌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벌림스프링(1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를 이루는 분할편(121)의 내부에는 완제품(320)의 이단볼(321)과 일단볼(311) 사이의 허리부(322)를 형성하도록 돌출 부(1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110)의 하단부에는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의 이탈을 방지하며, 중심부에는 하부고정금형(100)의 내측다이(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151)이 천공된 이탈방지커버(1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금형(100)의 인사이드펀치(130)에는 중심부에 중앙공(131)이 천공되고, 상기 중앙공(131)에는 완제품(320)의 요홈부(323)을 형성하도록 하는 펀치핀(160)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금형(200)의 내측다이(210)와 초경다이(220)의 중심부에 천공된 관통공(215)에는 1차가공제품(310)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하는 밀핀(230)이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7. 1차 하부금형(400)에 재료봉(300)을 투입하고, 1차 상부금형(410)을 하강시 켜 재료봉(300)의 중간부에 일단볼(311)을 형성하는 1차가공제품(310) 가공공정과;
    상기 가공공정에 의해 1차가공된 1차가공제품(310)을 2차 하부고정금형(210)의 내측다이(210)의 내측 초경다이(220)에 삽입 장착하는 공정;
    상기 1차가공제품(310)이 장착된 2차 하부고정금형(200)의 상측으로 부터 하강하여 내측다이(21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분할편(121)으로 된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펀치(110)의 내부 테이퍼면(111)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중심부로 모아져 상기 1차가공제품(310)의 일단볼(311)을 감싸도록 하는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하강공정;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연속적인 하강으로 펀치(110)의 내측에 구비된 인사이드펀치(130)에 의해 이단볼(321)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단볼 형성공정;
    연속적인 2차 상부이동금형(100)의 하강으로 펀치핀(160)에 의해 상기 완제품(320)의 상부면에 요홈부(323)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2차 상부이동금형(100)이 상승하면서 펀치(110)의 하측 인사이드테이퍼펀치(120)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테이퍼면(111)을 따라 벌림작용이 이루어져 일단볼(311)과 허리부(322) 및 이단볼(321)이 형성된 완제품(320)이 용이하게 이탈되어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을 이용한 가공방법.
KR1020060102338A 2006-10-20 2006-10-20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KR10084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338A KR100841413B1 (ko) 2006-10-20 2006-10-20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338A KR100841413B1 (ko) 2006-10-20 2006-10-20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812A true KR20080035812A (ko) 2008-04-24
KR100841413B1 KR100841413B1 (ko) 2008-06-25

Family

ID=3957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338A KR100841413B1 (ko) 2006-10-20 2006-10-20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4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8109A (zh) * 2011-06-15 2011-11-23 浙江振华紧固件有限公司 一种冷镦成型模具
KR101435933B1 (ko) * 2013-04-15 2014-09-01 (주) 호창엠에프 언더 드라이브 브레이크 피스톤 제조용 금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723276A (zh) * 2018-07-24 2018-11-02 浙江裕泰汽车配件有限公司 球头螺栓加工用组合模具
CN109108203A (zh) * 2018-09-30 2019-01-01 嘉善宝岛模具厂(普通合伙) 一种球头螺栓冷镦成型模具及成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5043A (en) 1983-11-07 1989-05-30 Polysar Limit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JPS6330142A (ja) * 1986-07-22 1988-02-08 Musashi Seimitsu Ind Co Ltd ボ−ルスタツドの製造方法
JPH0341998U (ko) * 1989-08-31 1991-04-22
JPH05169183A (ja) * 1991-12-16 1993-07-09 Obara Kinzoku Kogyo Kk 電池極柱用ブッシング鍛造装置及び鍛造ヘッダー
JP3694597B2 (ja) 1998-09-24 2005-09-14 株式会社月星製作所 冷間鍛造用金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8109A (zh) * 2011-06-15 2011-11-23 浙江振华紧固件有限公司 一种冷镦成型模具
KR101435933B1 (ko) * 2013-04-15 2014-09-01 (주) 호창엠에프 언더 드라이브 브레이크 피스톤 제조용 금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723276A (zh) * 2018-07-24 2018-11-02 浙江裕泰汽车配件有限公司 球头螺栓加工用组合模具
CN109108203A (zh) * 2018-09-30 2019-01-01 嘉善宝岛模具厂(普通合伙) 一种球头螺栓冷镦成型模具及成型工艺
CN109108203B (zh) * 2018-09-30 2023-08-15 嘉善宝岛模具厂(普通合伙) 一种球头螺栓冷镦成型模具及成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413B1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0652A (zh) 一种用于加工短小翻边垫圈类零件的复合模具
KR100841413B1 (ko) 이단 볼 스터드 냉간 단조가공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가공방법
JP2008200709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装置、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CN105710215A (zh) 一种用于笔记本电子器件固定板的冲孔折弯模具
CN103949546A (zh) 汽车驱动桥v形桥壳本体镶块落料成型复合模具
CN106925652B (zh) 一种拉延成形工艺及其冲压模具
CN210412363U (zh) 具有环形复合顶杆机构的活塞头锻造模具
CN205147106U (zh) 一种汽车驱动桥挡油盘的冲孔-切边模具
JPH01186227A (ja) 溶接ガンを有するプレス装置
CN105057381A (zh) 一种改变制品金相流线汇集痕位置的冷挤压模具
KR100596195B1 (ko) 원통형 부싱 제조장치
KR0182407B1 (ko) 차량의 사이드 멤버 성형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US1402919A (en) Upsetting tool
KR100957407B1 (ko) 차량용 시작 캠금형 장치
CN204220803U (zh) 一种洗衣机底板拉凸模具
CN206779414U (zh) 压铸模具
KR100319470B1 (ko) 로드 링 제조방법
CN220781997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冲压模具
JP2011041967A (ja) プレス加工用金型
US20130302463A1 (en) Press molding apparatus
CN211489292U (zh) 一种汽车后桥挡油盖成型模具
WO2022004222A1 (ja) ワークの製造装置
CN211218210U (zh) 一种门铰生产用冲压设备
KR101569353B1 (ko) 프레스 성형방법
CN111069414B (zh) 零件冲孔加工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