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960A -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 Google Patents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960A
KR20080034960A KR1020087004272A KR20087004272A KR20080034960A KR 20080034960 A KR20080034960 A KR 20080034960A KR 1020087004272 A KR1020087004272 A KR 1020087004272A KR 20087004272 A KR20087004272 A KR 20087004272A KR 20080034960 A KR20080034960 A KR 2008003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c acid
acid
coating film
light
flak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489B1 (ko
Inventor
미노루 야마모또
히로요시 모리
Original Assignee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03Titanates
    • C01G23/005Alkali tita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18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uncoated and unlayered plate-lik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69Treatment with low-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내광성이 우수한 티탄산 도막 및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을 얻는다.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어지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으로서,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이, 층상 티탄산염을 산으로 처리하고, 이어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한 후,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의 수성 매체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층상 티탄산염이 화학식 AxMyzTi2 -(y+z)O4[식 중, A 및 M은 서로 다른 1 내지 3가의 금속을 나타내고, □는 Ti의 결함 부위를 나타내며, x는 0<x<1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이고, y 및 z는 0<y+z<1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실수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광성 티탄산 도막,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

Description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LIGHT-RESISTANT TITANIC ACID COATING FILM AND RESIN BASES WITH THE COATING FILM}
본 발명은 내광성이 우수한 티탄산 도막 및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목적으로, 무기 피막을 각종 기재 상에 형성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한 수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층상 티탄산염을 산 처리한 후에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 및 상기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수지 필름 등의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티탄산 도막이 개시되어 있다. 이 티탄산 도막은 도막 형성 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또한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 고유전율, 광촉매, 자외선 차폐, 열선 반사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 내지 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층상 티탄산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 및 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공보 WO03/01621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979132호 공보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공보 WO99/1157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제3062497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제2671949호 공보
특허 문헌 6: 국제 공개 공보 WO03/03779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광성이 우수한 티탄산 도막 및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내광성 티탄산 도막은 박편상 티탄산의 층간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광성 티탄산 도막은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어지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이며,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이, 층상 티탄산염을 산으로 처리하고, 이어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한 후,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의 수성 매체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박편상 티탄산은 작용시킨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한 것이다. 이 처리에 의해, 티탄산 도막의 내광성은 현저히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pH는 6 내지 9의 범위 내의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6 내지 9의 범위 내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된 티탄산 막의 내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층상 티탄산염으로서는 화학식 AxMyzTi2 -(y+z)O4(식 중, A 및 M은 서로 다른 1 내지 3가의 금속을 나타내고, □는 Ti의 결함 부위를 나타내며, x는 0<x<1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이고, y 및 z는 0<y+z<1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실수임)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층상 티탄산염이 K0 .5~0.8Li0 .27Ti1 .73O3 .85~4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은, 상기 본 발명의 내광성 티탄산 도막이 기재로서의 수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광성이 우수한 티탄산 도막 및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
본 발명의 티탄산 도막은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은, 예를 들면 층상 티탄산염을 산으로 처리하여 층상 티탄산을 얻은 후, 층간 팽윤 작용을 갖는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하고, 또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진다.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기 전의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얻는 방법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다.
<층상 티탄산염>
원료가 되는 층상 티탄산염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탄산세슘과 이산화티탄을 몰비 1:5.3으로 혼합하고 800℃에서 소성함으로써 Cs0.7Ti1.83O4가 얻어진다. 또한,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탄산칼륨과 탄산리튬과 이산화티탄을 K/Li/Ti=3/1/6.5(몰비)로 혼합하여 마쇄하고 800℃에서 소성함으로써 K0 .8L0 .27Ti1 .73O4가 얻어진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또는 황산염을 플럭스로 하고, 플럭스/원료의 중량비가 0.1 내지 2.0이 되도록 혼합한 혼합물을 700 내지 1200℃에서 소성함으로써, 화학식 AXMYZTi2 -(Y+Z)O4(식 중, A 및 M은 서로 다른 1 내지 3가의 금속을 나타내고, □는 Ti의 결함 부위를 나타내며, X는 0<X<1.0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이고, Y 및 Z는 0<Y+Z<1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실수임)로 표시되는 층상 티탄산염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의 A는 가수 1 내지 3가의 금속이고, 바람직하게는, K, Rb 및 C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M은 금속 A와는 다른 가수 1 내지 3가의 금속이고, 바람직하게는, Li, Mg, Zn, Cu, Fe, Al, Ga, Mn 및 Ni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K0 .80L0 .27Ti1 .73O4, Rb0.75Ti1.75Li0.25O4, Cs0 .70Li0 .23Ti1 .77O4, Ce0 .700.18Ti1 .83O4, Ce0 .70Mg0 .35Ti1 .65O4, K0 .8Mg0 .4Ti1 .6O4, K0 .8Ni0 .4Ti1 .6O4, K0 .8Zn0 .4Ti1 .6O4, K0 .8Cu0 .4Ti1 .6O4, K0.8Fe0.8Ti1.2O4, K0 .8Mn0 .8Ti1 .2O4, K0 .76Li0 .22Mg0 .05Ti1 .73O4, K0 .67Li0 .2Al0 .07Ti1 .73O4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6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K0 .8L0 .27Ti1 .73O4를 산으로 세정한 후, 소성하여 얻어지는 K0 .5~0.7L0 .27Ti1 .73O3 .85~3.95도 이용할 수 있다.
<층상 티탄산>
층상 티탄산은, 예를 들면 상기 층상 티탄산염을 산 처리하여, 교환 가능한 금속 양이온을 수소 이온 또는 히드로늄 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진다. 산 처리에 사용하는 산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붕산 등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일 수도 있다. 층상 티탄산의 종류, 산의 종류 및 농도, 층상 티탄산의 슬러리 농도는 금속 양이온의 교환율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산 농도가 낮고, 슬러리 농도가 클수록, 층간 금속 양이온의 잔존량이 많아져, 층간 박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박리 후의 박편상 티탄산의 두께가 커진다. 금속 양이온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산 처리를 반복하여 행할 수도 있다.
<박편상 티탄산>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기 전의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은, 상기 층상 티탄산에 층간 팽윤 작용이 있는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층간 팽윤 작용이 있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급 내지 3급 아민 및 이들의 염, 알칸올아민 및 이들의 염, 4급 암모늄염, 포스포늄염, 아미노산 및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1급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펜틸아민, 헥실아민, 옥틸아민, 도데실아민, 스테아릴아민, 2-에틸헥실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3-에톡시프로필아민 등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2급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아민, 디펜틸아민, 디옥틸아민, 디벤질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디(3-에톡시프로필)아민 등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3급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2-에틸헥실)아민, 트리(3-에톡시프로필)아민, 디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아민 등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수산화 4급 암모늄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테트라에틸암모늄, 수산화테트라프로필암모늄, 수산화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4급 암모늄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염,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염, 벤질트리메틸암모늄염, 벤질트리부틸암모늄염, 트리메틸페닐암모늄염,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염, 디메틸디데실암모늄염, 디메틸스테아릴벤질암모늄염, 도데실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염, 트리옥틸메틸암모늄염, 디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포늄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 헥사데실트리부틸포스포늄염, 도데실트리부틸포스포늄염, 도데실트리페닐포스포늄염 등의 유기 포스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2-아미노도데칸산, 아미노카프론산 등의 아미노산류 및 이들의 염이나,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이민류 및 이들의 염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서 1종류를 사용하거나 수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소수성이 높은 염기성 화합물 단독으로는 박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친수성이 높은 염기성 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팽윤 작용이 있는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산 처리 또는 온수 처리 후의 층상 티탄산을 수계 매체에 분산시킨 현탁액에, 교반 하에서 염기성 화합물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수계 매체로 희석한 것을 가할 수 있다. 또는 염기성 화합물의 수계 용액에, 교반 하에서 상기 층상 티탄산 또는 그의 현탁액을 가할 수도 있다.
수계 매체 또는 수계 용액이란, 물, 물에 가용인 용매, 또는 물과 물에 가용인 용매와의 혼합 용매, 또는 그 용액을 의미한다.
물에 가용인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의 첨가량은 층상 티탄산염의 이온 교환 용량의 0.3 내지 10당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당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이온 교환 용량이란, 교환 가능한 금속 양이온량이며, 예를 들면 층상 티탄산염이 화학식 AXMYZTi2 -(Y+Z)O4로 표시되는 경우, A의 가수를 m, M의 가수를 n으로 할 때의 mx+ny로 표시되는 값을 말한다.
<세슘 이온으로 치환된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편상 티탄산은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한 후, 수성 매체 내에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이다. 이 처리에 의해, 티탄산막의 내광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기 위해서는, 박편상 티탄산의 수계 분산액에 수용성의 세슘염을 첨가하여, 1시간 정도 교반하면 좋다. 수용성의 세슘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세슘, 염화세슘, 질산세슘, 아세트산세슘, 황산세슘, 불화세슘, 수산화세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탄산세슘이다. 세슘염의 첨가량은 층상 티탄산염의 이온 교환 용량의 0.1 내지 1.0당량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당량으로 하는 것이 좋다. 0.1당량 미만이면 유기 염기성 화합물의 세슘 이온으로의 치환량이 불충분해지고, 1.0당량을 초과하면 추가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비경제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과잉의 세슘염 및 이탈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은 처리 후에 원심 세정 등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편상 티탄산에 있어서의 세슘 이온의 함유량은, Cs2O 함유량으로 환산하여, 10 내지 30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의 범위 내이다.
박편상 티탄산의 평균 장경은 1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고, 평균 두께는 0.5㎚ 내지 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이다.
박편상 티탄산의 평균 장경은,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 박리를 행하는 행정에서 강한 전단력에 의한 교반을 행하지 않는 한, 원료인 층상 티탄산염의 평균 장경을 거의 유지한다.
박편상 티탄산의 평균 장경이 1㎛ 미만이면 균일한 도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100㎛를 초과하면 원료인 층상 티탄산염의 합성이 곤란해진다.
또한, 박편상 티탄산의 평균 두께는 단층까지 박리했을 때의 두께가 0.5㎚ 정도이고, 2㎛를 초과하면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이 균일한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박편상 티탄산이 침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농도는, 박편상 티탄산의 고형분 농도로서, 0.01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이다. 0.01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낮기 때문에 도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은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한 후, 추가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한 후, 일반적으로 pH가 6 내지 12의 범위 내가 되지만, 물로 더 세정하여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인산류, 수용성 카르복실산 화합물류, 붕산, 탄산 가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에 의해서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중화함으로써,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pH를 6 내지 9의 범위 내로 조정한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가 6 내지 9의 범위 내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된 티탄산막의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H가 6 미만이 되면, 박편상 티탄산이 응집을 일으켜 분산성이 손상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산, 예를 들면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을 중화에 이용하여도, 마찬가지로 박편상 티탄산이 응집을 일으켜 분산성이 손상된다.
물로 세정하여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원심하여 상청액만을 분취한 후, 침강한 농축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탈이온수로 재희석하는 조작을 수회 반복하면 좋다. 원심의 조건으로서는, 5000 내지 20000rpm으로 5분 내지 1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화하는 경우에는, 인산류, 수용성 카르복실산 화합물류, 붕산, 탄산 가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메타인산, 폴리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카르복실산 화합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화하는 경우에는,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교반 하에서, 상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 또는 그의 수용액을 첨가하거나,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면 좋다. 또한, 생성되는 염기성 화합물의 중화염은 원심 세정 등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판>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 세라믹, 금속,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티탄산 도막에 기대되는 효과로부터, 특히 수지 기판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판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요소계 수지, 페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등의 단독 수지 및 이들의 복합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티탄산막의 형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티탄산막의 형성은, 일반적인 방법, 예를 들면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침지 코팅, 분무 코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티탄산막의 막두께는 0.01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이다. 0.01㎛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100㎛를 초과하면, 건조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경제적으로도 불리해진다.
건조 온도는 막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60℃ 미만이면 건조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건조 온도의 상한에 대해서는, 기재의 분해점 또는 연화점 미만의 온도이면 제한은 없다.
또한,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에 중합체, 분산제, 계면 활성제, 유기성 및 무기성의 졸 등을 첨가하여, 티탄산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 및 「부」라는 것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합성>
(합성예 1)
산화티탄 67.01g, 탄산칼륨 26.78g, 염화칼륨 12.04g 및 수산화리튬 5.08g을 건식으로 분쇄 혼합한 원료를 1020℃에서 4시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분말의 10.9% 물슬러리 7.9㎏을 제조하고, 10% 황산 수용액 470g을 가하여 2시간 교반하여, 슬러리의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분리하고, 수세한 것을 110℃에서 건조한 후, 600℃에서 12시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백색 분말은 층상 티탄산염 K0 .6Li0 .27Ti1 .73O3 .9이고, 평균 장경은 15㎛였다.
이 층상 티탄산염 65g을 3.5% 염산 5㎏에 분산하여 교반하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흡인 여과로 분리하고, 수세하였다. 얻어진 층상 티탄산의 K2O 잔량은 2.0%이고, 금속 이온 교환율은 94%였다.
얻어진 층상 티탄산 전량을 탈이온수 1.6㎏에 분산하고 교반하면서, 디메틸에탄올아민 34.5g을 탈이온수 0.4㎏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40℃에서 12시간 교반하여 pH 9.9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얻었다.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함으로써 농도 5.0중량%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은 장시간 정치하여도 고형분의 침강은 보이지 않았고, 그것을 110℃에서 12시간 건조한 고형물은 TG/DTA 분석에 따른 200℃ 이상에서의 중량 감소가 14.7중량%이고, XRD 분석에 따른 층간 거리가 10.3Å이었다.
(합성예 2)
합성예 1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 200g을 탈이온수로 농도 1.7중량%로 조정하고, 교반하면서 5중량% 탄산세슘 수용액 12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박편상 티탄산의 층간 이온을 디메틸에탄올암모늄으로부터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였다.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하여 상청액만을 분취한 후, 침강한 농축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탈이온수로 재희석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함으로써, 과잉의 탄산세슘 및 이탈 디메틸에탄올아민을 상청액과 함께 제거하고, 농도를 5.0중량%로 조정한 pH 8.5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은 장시간 정치하여도 고형분의 침강은 보이지 않았고, 110℃에서 12시간 건조한 고형물은 TG/DTA 분석에 따른 200℃ 이상에서의 중량 감소가 2.0중량%이고, XRD 분석에 따른 층간 거리가 9.3Å이고, 형광 X선 분석에 따른 Cs2O의 함유량이 20.5중량%였다. 이 Cs2O 함유량은, 층상 티탄산염의 이온 교환량으로 환산하면, 0.24당량이었다.
(합성예 3)
합성예 2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함으로써 pH를 7.9로 조정하고, 재원심함으로써 농도를 5.0중량%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은 장시간 정치하여도 고형분의 침강은 보이지 않았고, 110℃에서 12시간 건조한 고형물은 TG/DTA 분석에 따른 200℃ 이상에서의 중량 감소가 1.8중량%이고, XRD 분석에 따른 층간 거리가 9.3Å이고, 형광 X선 분석에 따른 Cs2O의 함유량이 20.2중량%였다. 이 Cs2O 함유량은, 층상 티탄산염의 이온 교환량으로 환산하면, 0.23당량이다.
(합성예 4)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n-프로필아민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11.5, 농도 5.0중량%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은 장시간 정치하여도 고형분의 침강은 보이지 않았고, 그것을 110℃에서 12시간 건조한 고형물은 TG/DTA 분석에 따른 200℃ 이상에서의 중량 감소가 14.1중량%이고, XRD 분석에 따른 층간 거리가 10.1Å이었다.
(합성예 5)
합성예 4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합성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슘 치환 및 탄산 가스 중화함으로써, pH 7.7, 농도 5.0중량%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은 장시간 정치하여도 고형분의 침강은 보이지 않았고, 110℃에서 12시간 건조한 고형물은 TG/DTA 분석에 따른 200℃ 이상에서의 중량 감소가 1.5중량%이고, XRD 분석에 따른 층간 거리가 9.3Å이고, 형광 X선 분석에 따른 Cs2O의 함유량이 20.4중량%였다. 이 Cs2O 함유량은, 층상 티탄산염의 이온 교환량으로 환산하면, 0.24당량이다.
<티탄산 도막의 제조>
(실시예 1)
합성예 2에서 얻어진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PET 기판(75㎛ 두께) 상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두께가 2㎛인 티탄산 도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합성예 3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탄산 도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합성예 5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탄산 도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합성예 1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탄산 도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합성예 4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탄산 도막을 제조하였다.
<내광성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티탄산 도막에 대해서, 내광성을 하기 시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광성〕
티탄산 도막을 듀사이클 썬샤인 웨더 미터 WEL-SUN-DC(스가 시껭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블랙패널 온도 60℃)로 300 시간의 촉진 내광성 시험을 행하여, 초기로부터의 색차 변화량(△E)으로써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티탄산 도막 △E
실시예 1 1.1
실시예 2 0.5
실시예 3 1.5
비교예 1 5.5
비교예 2 10.2
본 발명에 따라,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한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으로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3의 티탄산 도막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내광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여 pH를 저하시킨 합성예 3의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을 이용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내광성이 향상되었다. 이것으로부터, 박편상 티탄산 분산액의 pH를 저하시킴으로써, 내광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박편상 티탄산의 층간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
  2.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어지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이며,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이, 층상 티탄산염을 산으로 처리하고, 이어서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작용시켜 층간을 팽윤 또는 박리한 후, 유기 염기성 화합물을 세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박편상 티탄산의 수성 매체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
  3. 제2항에 있어서, 박편상 티탄산 현탁액의 pH가 6 내지 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층상 티탄산염이 화학식 AxMyzTi2 -(y+z)O4[식 중, A 및 M은 서로 다른 1 내지 3가의 금속을 나타내고, □는 Ti의 결함 부위를 나타내며, x는 0<x<1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이고, y 및 z는 0<y+z<1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실수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상 티탄산염이 K0.5~0.8Li0.27Ti1.73O3.85~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 도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광성 티탄산 도막이 기재로서의 수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KR1020087004272A 2005-08-25 2006-08-10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KR101296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4672A JP4948802B2 (ja) 2005-08-25 2005-08-25 耐光性チタン酸塗膜及び耐光性チタン酸膜コーティング樹脂基板
JPJP-P-2005-00244672 2005-08-25
PCT/JP2006/315800 WO2007023679A1 (ja) 2005-08-25 2006-08-10 耐光性チタン酸塗膜及び耐光性チタン酸膜コーティング樹脂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960A true KR20080034960A (ko) 2008-04-22
KR101296489B1 KR101296489B1 (ko) 2013-08-13

Family

ID=3777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272A KR101296489B1 (ko) 2005-08-25 2006-08-10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246555A1 (ko)
EP (1) EP1925590B1 (ko)
JP (1) JP4948802B2 (ko)
KR (1) KR101296489B1 (ko)
CN (1) CN101248009B (ko)
DE (1) DE602006020886D1 (ko)
TW (1) TWI367865B (ko)
WO (1) WO2007023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3783A (ja) * 2007-12-17 2009-07-02 Toyota Motor Corp 層状ニオブ酸塩のインターカレーション剥離物、その製造方法、光輝性顔料、及び光輝性顔料を含む塗料
US9249166B1 (en) * 2011-12-02 2016-02-02 Sandia Corporation Delaminated sodium nonatita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delaminated sodium nonatitanate
JP6038738B2 (ja) * 2013-06-25 2016-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光輝性塗料組成物、光輝性塗膜及び積層塗膜
CN115636436B (zh) * 2022-11-03 2023-11-10 青岛科技大学 一种片层钛酸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6778B2 (ja) * 1986-06-26 1997-09-24 モービル・オイル・コーポレイション 層間酸化物を含有する層状金属酸化物およびそれらの合成
JP2671949B2 (ja) 1995-07-10 1997-11-05 科学技術庁無機材質研究所長 チタニアゾルとその製造方法
JP2979132B2 (ja) * 1995-08-29 1999-11-15 科学技術庁無機材質研究所長 薄片状酸化チタン
AU743389B2 (en) * 1997-09-02 2002-01-24 Ishihara Sangyo Kaisha Ltd. Fine hollow powder,thin flaky titanium oxide powder obtained by pulverization of the fine hollow powder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3249776B2 (ja) * 1998-03-26 2002-01-21 大塚化学株式会社 層状酸化チタンの層間架橋体及び光触媒
JP3062497B1 (ja) 1999-06-04 2000-07-10 大塚化学株式会社 薄片状チタン酸塩の製造方法
JP4231196B2 (ja) * 2000-09-18 2009-02-2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泳動法による結晶配向層状化合物膜の作製方法
DE60231216D1 (de) * 2001-08-20 2009-04-02 Otsuka Chemical Co Ltd Schichtförmige titansäure, lamellare titansäure, lamellares titanoxi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mellarer titansäure
JP3629229B2 (ja) * 2001-09-19 2005-03-16 大塚化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結晶軸配向性薄膜の製造方法
JP4398248B2 (ja) 2001-10-29 2010-01-13 大塚化学株式会社 レピドクロサイト型チタン酸リチウムカリ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摩擦材
JP3793806B2 (ja) * 2002-03-07 2006-07-05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層状化合物ナノシートの層状再構築凝集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23831B2 (en) * 2004-10-26 2007-05-29 Otsuka Chemical Co., Ltd.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JP4749007B2 (ja) * 2005-03-16 2011-08-17 大塚化学株式会社 光輝性顔料水性媒体分散液および光輝性塗料
JP4948803B2 (ja) * 2005-08-25 2012-06-06 大塚化学株式会社 重合性官能基を有する薄片状チタン酸、その懸濁液及び塗膜
JP4979211B2 (ja) * 2005-08-25 2012-07-18 大塚化学株式会社 複合チタン酸塗膜及び複合チタン酸膜コーティング樹脂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20886D1 (de) 2011-05-05
TWI367865B (en) 2012-07-11
TW200714553A (en) 2007-04-16
EP1925590B1 (en) 2011-03-23
JP2007055858A (ja) 2007-03-08
CN101248009B (zh) 2012-05-30
EP1925590A1 (en) 2008-05-28
EP1925590A4 (en) 2010-03-17
KR101296489B1 (ko) 2013-08-13
CN101248009A (zh) 2008-08-20
JP4948802B2 (ja) 2012-06-06
US20090246555A1 (en) 2009-10-01
WO2007023679A1 (ja)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946B1 (ko) 광휘성 안료 수성 매체 분산액 및 광휘성 도료
US7455826B2 (en) Layered titanic acid, lamellar titanic acid, lamellar titanium ox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amellar titanic acid
JPS6411670B2 (ko)
TWI765016B (zh) 含有鐵之金紅石型氧化鈦微粒子分散液的製造方法、含有鐵之金紅石型氧化鈦微粒子及其用途
JP2011523966A (ja) 無機固体粒子、殊に二酸化チタン顔料粒子の表面被覆方法
WO2019160568A1 (en) Stir-in titanium dioxide pigment composition
KR101296489B1 (ko) 내광성 티탄산 도막 및 내광성 티탄산막 코팅 수지 기판
EP1918338B1 (en) Composite titanic acid coating film and composite titanic acid-coated resin substrate
JP5051978B2 (ja) チタン酸膜コーティング樹脂基板の製造方法
JPWO2007069353A1 (ja) 超微粒子硫酸バリウム、水性塗料組成物及び水性インキ組成物
US11623992B2 (en) Flaky titan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U2013206052B2 (en)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making high durability universal titanium dioxide rutile pigment
RU2333923C1 (ru) Способ поверх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пигментного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RU266551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гломератов частиц пигмента белого цвета
WO2014209966A1 (en) Surface coated pigment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