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724A -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724A
KR20080034724A KR1020060101022A KR20060101022A KR20080034724A KR 20080034724 A KR20080034724 A KR 20080034724A KR 1020060101022 A KR1020060101022 A KR 1020060101022A KR 20060101022 A KR20060101022 A KR 20060101022A KR 20080034724 A KR20080034724 A KR 2008003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chip
waste cutting
network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성
Original Assignee
이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성 filed Critical 이창성
Priority to KR102006010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724A/ko
Publication of KR2008003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분리회수장치는 한 조의 전방가이드롤러와 한 조의 후방가이드롤러가 그 상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폐절삭유의 배출통로가 마련되고 그 사방 모서리에는 높이조절형 받침대가 각각 설치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그 전방 상부에는 동력전달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그 후방 상부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가이드롤러가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설치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칩과 폐절삭유를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망의 유입단에 유입구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이 원통형망의 배출단 외둘레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 및 상기 상부가이드롤러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갖는 회전체가 설치된 회전망체와, 상기 회전망체의 유입구에 삽입되도록 그 후방에 삽입구가 돌출형성되며 그 전방에는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경사호퍼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절삭유의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절삭유를 수집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회전망체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망체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거하며 그 내부에는 수거된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축이 설치된 칩이송탱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SEPERATION/RECOVERY APPARATUS FOR CHIP AND OIL}
도 1은 기존 탭핑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 탭핑기에 있어서, 칩 회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가 탭핑기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본체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회전망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회전망체와 전방가이드롤러 및 동력전달기어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커버에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회수장치 2 : 본체프레임
3 : 커버 4 : 회전망체
5 : 경사호퍼 6 : 오일탱크
7 : 칩이송탱크 21 : 전방가이드롤러
22 : 후방가이드롤러 23 : 배출통로
24 : 높이조절형 받침대 31 : 설치공간
32 : 구동모터 33 : 상부가이드롤러
34 : 에어관 41 : 원통형망
42 : 유입구 43 : 회전기어
44 : 회전체 45 : 이송스크류
51 : 삽입구 52 : 유입통로
71 : 스크류축 321 : 동력전달기어
341 : 분사노즐 411 : 제 1망체
412 : 제 2망체 441 : 삽입홈
본 발명은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으로 탭핑기는 볼트에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미가공암나 사에 가공하기 위한 기기를 일컫는다.
도 1은 기존 탭핑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탭핑기는 호퍼(10)에 투입된 미가공암나사(20)를 실린더(30)가 작업대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선단에 탭(41)을 갖고 타단은 밴트부(42)를 갖는 탭봉(40)의 탭(41) 위치로 공급하면서 모터(950)에 의해 모터 풀리(51)와 V풀리(60)가 연동회전함으로써 탭봉(40)이 회전하게 되어 미가공암나사(20)에 나사산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미가공암나사가 가공하는 작업중에는 칩이 발생하게 되고 미가공암나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삭유를 사용하게 되므로 칩(또는 불량가공암나사)과 함께 폐 절삭유가 생성되는데, 이들은 별도의 회수장치를 통하여 회수한 후 폐기처리하거나 분리하여 일부를 재사용하고 있다.
도 2는 기존 탭핑기에 있어서, 칩 회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칩 회수장치는 칩과 절삭유를 한 곳으로 모은 후 칩과 절삭유를 분리하기 위해 그 하부면에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망통(70)과, 상기 망통(70)에서 절삭유를 수용하는 오일탱크(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망통(70)에 칩이 가득 차면 망통(70)을 들어올려 칩을 폐기처리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탭핑기에 있어, 칩 회수장치는 망통(70)이 오일탱크(80)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어 절삭유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칩의 폐기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155077호에서는 탭봉의 탭에 의하여 미가공암나사가 탭핑될 때 발생하는 칩과 절삭유, 탭핑시 미가공암나사의 불완전한 파지 및 작동불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불량가공 또는 미가공암나사가 탭봉이 설치된 작업대의 하부에 형성된 칩유도로(미도시)를 통하여 망통으로 이송되고, 망통 하부면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 폐절삭유가 유출되어 오일탱크로 이송되면서 마그네틱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칩과 불량가공 및 미가공암나사는 마그네틱 로울러의 자석 부착경로를 따라 상부 측으로 이동되어 폐 절삭유가 완전히 분리되며, 분리된 폐절삭유는 망통 하부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오일탱크에 모여지게 구성된 "칩과 불량 또는 미가공암나사 분리회수장치를 갖는 밴트탭핑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20-155077호는 마그네틱로울러의 표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된 자석에 의해 칩(불량가공나사 등을 포함함.)을 부착하여 폐 절삭유와 칩을 분리회수함에 따라 마그네틱로울러에 의해 칩을 완전분리회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마그네틱로울러에 설치된 자석은 상당히 넓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고, 미가공나사를 탭핑할 때 발생하는 칩은 불규칙적으로 칩유도로를 통해 낙하함에 따라서 자석의 자력에 의한 칩 회수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로울러에 의해 회수되지 못한 칩은 망통의 구멍에 끼워지거나 폐 절삭유와 함께 오일탱크에 유입되는데, 이렇게 오일탱크에 폐 절삭유와 칩이 함께 유입되며, 폐 절삭유를 재사용하기 위해 오일탱크내에 있는 폐 절삭유와 칩을 재차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실제 오일탱크에 펌프를 연결하여 폐 절삭유를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칩이 펌프에 유입되어 펌프를 파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20-155077호는 마그네틱로울러에 부착된 칩을 스크레이퍼에 의해 제거하는데, 이와 같은 스크레이퍼는 장시간 사용시 마모가 발생함으로 자주 교체해야하고, 많은 양의 칩이 마그네틱로울러에 부착된 경우에는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20-155077호는 폐 절삭유와 분리된 칩을 칩통에 모아서 수거하는데, 이와 같은 칩통은 한정된 수용공간을 지니고 있어, 소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칩통이 가득 차면 작업자가 칩통을 비운 후 재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칩 회수장치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과 함께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20-155077호에 개시된 탭핑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궁극적으로 탭핑기에서 탭핑시 발생하는 폐 절삭유와 칩을 완전 분리회수함으로써 절삭유를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많은 양의 칩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칩과 절삭유을 분리회수할 수 있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절삭유와 분리된 칩을 소정 저 장장소로 실시간 이동/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작업자가 칩통을 자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한 조의 전방가이드롤러와 한 조의 후방가이드롤러가 그 상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폐절삭유의 배출통로가 마련되고, 그 사방 모서리에는 높이조절형 받침대가 각각 설치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그 전방 상부에는 동력전달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그 후방 상부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가이드롤러가 설치된 커버;
상기 커버의 설치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칩과 폐절삭유를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망의 유입단에 유입구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이 원통형망의 배출단 외둘레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 및 상기 상부가이드롤러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갖는 회전체가 설치된 회전망체;
상기 회전망체의 유입구에 삽입되도록 그 후방에 삽입구가 돌출형성되며, 그 전방에는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경사호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절삭유의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절삭유를 수집하는 오일탱크; 및
상기 회전망체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망체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거하며, 그 내부에는 수거된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축이 설치된 칩이송탱크; 를 포함하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원통형망은 제 1망체와 제 2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망체의 내경에는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망체는 칩 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매쉬망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2망체는 폐절삭유를 분리할 수 있도록 타공망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망체와 제 2망체는 겹층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관을 설치하되, 상기 각 분사노즐은 상기 회전망체를 바라보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가 탭핑기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본체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회수장치(1)는 본체프레임(2)과, 오일탱크(6)와, 칩이송탱크(7)로 구성되며,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가 배출되는 배출호퍼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프레임(2)은 커버(3)와, 회전망체(4)와, 경사호퍼(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2)은 다수의 사각바를 직사각형 태로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본체프레임(2)의 상부 일단과 타단에는 한 조의 전방가이드롤러(21)와 한 조의 후방가이드롤러(22)가 각각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는 폐절삭유의 배출통로(23)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프레임(2)의 사방 모서리에는 높이조절형 받침대(24), 예컨대 나선을 갖는 봉의 끝단에 원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형 받침대(2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커버(3)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버(3)는 철판을 다각형체로 절곡하여 성형함에 따라 그 내부에 소정 설치공간(31)을 마련한 구성을 갖는데, 이러한 커버(3)의 전방 상부에는 동력전달기어(321 : 일반적인 스퍼기어는 물론 벨트연결을 위한 풀리도 적용할 수 있음.)를 갖는 구동모터(32)가 설치되며, 그 후방 상부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22)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가이드롤러(33)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망체(4)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3)의 설치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회전망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회전망체와 전방가이드롤러 및 동력전달기어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망체(4)는 칩과 폐절삭유를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망(41)의 유입단에 유입구(42) 및 회전기어(43)가 구비되고, 이 원통형망(42)의 배출단 외둘레에는 삽입홈(441)을 갖는 회전체(4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43)는 상기 동력전달기어(321)와 맞물려서 동력(회전력) 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망체(4)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회전망체(4)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2)의 전방가이드롤러(21)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44)의 삽입홈(441)에는 전술한 본체프레임(2)의 후방가이드롤러(22) 및 상기 커버(3)의 상부가이드롤러(33)가 삽입되어 그 회전시 각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망(41)은 제 1망체(411)와 제 2망체(4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망체(411)는 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매쉬망을 적용하고, 상기 제 2망체(412)는 폐절삭유를 분리할 수 있도록 타공망, 예컨대 상기 와이어매쉬망에 비해 큰 구멍이 타공된 타공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망체(411)와 제 2망체(412)는 겹층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1망체(411)의 내경에는 칩을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45)가 설치된다.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경사호퍼(5)는 회전망체(4)의 유입구(42)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호퍼(5)의 그 후방에는 삽입구(51)가 돌출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통로(52)가 마련된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오일탱크(6)는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오일탱크(6)는 상기 본체프레임(2)의 폐절삭유의 배출통로(23)를 통해 배출되는 폐절삭유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폐절삭유를 재활용하기 위한 오일펌프, 즉 탭핑기에 폐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도면에 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이송탱크(7)는 상기 회전망체(4)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 은 칩이송탱크(7)는 상기 회전망체(4)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거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수거된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축(71)이 설치되어 있어, 수거된 칩을 한 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칩이송탱크(7)에 설치되는 스크류축(71)은 각종 컨베이어,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회수장치는 경사호퍼(5)의 유입통로(52)를 탭핑기의 배출호퍼 배출단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이 경사호퍼(5)의 삽입구(51)를 회전망체(4)의 유입구(42)에 삽입한 상태로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를 공급받는다. 또한, 본체프레임(2)은 오일탱크(6)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회전망체(4)의 유입단이 그 배출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형 받침대(24)를 조작하여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후, 커버(3)에 구비된 구동모터(32)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면, 동력전달기어(321)에 맞물린 회전기어43)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망체(4)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망체(4)의 내부에 유입된 칩들은 원통형망(41)의 제 1망체(411)에 걸려짐과 아울러 스크류축(45)에 의해 배출단으로 강제이송되고, 회전망체(4)의 내부에 유입된 폐절삭유는 원통형망(41)의 제 1, 제 2망체(411,412)를 경유하여 칩과 완전분리된 후 배출통로(23)가 위치한 하부방향으로 자유낙하되어 오일탱크(6)에 수집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회수장치(1)는 회전망체(4)의 원통형망(41)을 제 1, 제 2망체(411,412)로 구성함으로써 칩과 폐절삭유를 완전분리할 수 있고,제 1망체(411)에 마련된 이송스크류(45)가 칩을 강제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많은 양의 칩이 회전망체(4)에 공급되더라도 칩과 폐절삭유의 분리회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회전망체(4)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단까지 강제이송된 칩은 회전망체(4)가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서 칩이송탱크(7)가 위치한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칩들은 칩이송탱크(7)에 구비된 스크류축(71)에 의해 소정장소, 예컨대 별도의 칩수거함으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회수장치(1)는 절삭유와 분리된 칩을 소정 저장장소로 실시간 이동/저장함에 따라서 기존과 같이 작업자가 칩통을 자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에 있어, 커버에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3)는 분사노즐(341)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분사노즐(341)은 에어를 분사하여 제 1망체(411) 또는 제 2망체(412)에 끼워진 칩을 분리시킴으로써 회전망체(4)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커버(3)의 내부에는 에어관(34), 예컨대 외부 에어콤프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관(34)을 설치하되, 이 에어관(34)에는 상기 회전망체(4)를 바라보는 다수의 분사노즐(341)을 마련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작업시 간헐적으로 분사노즐(341)에서 강한 에어를 분사시켜 제 1망체(411) 또 는 제 2망체(412)에 끼워진 칩을 분리함으로써 이러한 칩들에 의해 폐절삭유의 분리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분리회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회전망체에 의해 폐절삭유와 칩을 완전 분리회수함으로써 폐절삭유를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많은 양의 칩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칩과 절삭유을 분리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칩이송탱크에 스크류축을 구비하여 절삭유와 분리된 칩을 소정 저장장소로 실시간 이동/저장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작업자가 칩통을 자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한 조의 전방가이드롤러와 한 조의 후방가이드롤러가 그 상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폐절삭유의 배출통로가 마련되고, 그 사방 모서리에는 높이조절형 받침대가 각각 설치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그 전방 상부에는 동력전달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그 후방 상부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가이드롤러가 설치된 커버;
    상기 커버의 설치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칩과 폐절삭유를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망의 유입단에 유입구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가 구비되고, 이 원통형망의 배출단 외둘레에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 및 상기 상부가이드롤러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갖는 회전체가 설치된 회전망체;
    상기 회전망체의 유입구에 삽입되도록 그 후방에 삽입구가 돌출형성되며, 그 전방에는 탭핑기에서 탭핑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폐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경사호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절삭유의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절삭유를 수집하는 오일탱크; 및
    상기 회전망체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망체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거하며, 그 내부에는 수거된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축이 설치된 칩이송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망은 제 1망체와 제 2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망체의 내경에는 칩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망체는 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매쉬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망체는 폐절삭유를 분리할 수 있도록 타공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망체와 제 2망체는 겹층되는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관이 설치되며, 상기 각 분사노즐은 상기 회전망체를 바라보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KR1020060101022A 2006-10-17 2006-10-17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KR20080034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22A KR20080034724A (ko) 2006-10-17 2006-10-17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22A KR20080034724A (ko) 2006-10-17 2006-10-17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24A true KR20080034724A (ko) 2008-04-22

Family

ID=3957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022A KR20080034724A (ko) 2006-10-17 2006-10-17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7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0720A (zh) * 2018-04-11 2018-09-07 陈壮壮 一种适用于硬脆性材料的数控车削加工处理平台
KR102618524B1 (ko) 2023-06-12 2023-12-28 케이비트주식회사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0720A (zh) * 2018-04-11 2018-09-07 陈壮壮 一种适用于硬脆性材料的数控车削加工处理平台
CN108500720B (zh) * 2018-04-11 2019-12-20 江苏南京白马现代农业高新技术产业园有限公司 一种适用于硬脆性材料的数控车削加工处理平台
KR102618524B1 (ko) 2023-06-12 2023-12-28 케이비트주식회사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6976B (zh) 纺织机用除尘机
KR20080034724A (ko) 폐절삭유와 칩의 분리회수장치
CN105665284B (zh) 一种钢球处理设备
KR101142966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200475535Y1 (ko)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CN112676308A (zh) 一种废弃钢筋混凝土的破碎再利用方法
CN105710039B (zh) 一种钢球除杂分类机
CN218427732U (zh) 一种用于工件表面加工的抛丸机
CN209174578U (zh) 一种污泥中垃圾的分离装置
WO2007043780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s in coolant oil
CN113021093B (zh) 一种用于无心磨床的冷却液循环装置
CN211659433U (zh) 一种用于矿浆的除杂筛
CN113680635A (zh) 一种砂带表面磨粒筛选装置
CN211330227U (zh) 一种湿沙初级筛分设备
CN114057310A (zh) 一种建筑废水回收装置
CN113830932A (zh) 一种环保机械废水净化装置
CN209792655U (zh) 一种立式钻床
CN220111648U (zh) 一种磷酸一铵除杂处理装置
CN220994109U (zh) 一种钢管内壁喷砂清理机
CN116273886B (zh) 一种滤料筛选回收装置
CN216938807U (zh) 一种带有磁性过滤器的攻丝机
CN220145411U (zh) 一种含油金属屑处理装置
CN208287558U (zh) 磨泥收料装置
CN220716571U (zh) 一种具有防堵机构粮食输送动筛选设备
CN217801137U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抛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