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966B1 -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966B1
KR101142966B1 KR1020100029792A KR20100029792A KR101142966B1 KR 101142966 B1 KR101142966 B1 KR 101142966B1 KR 1020100029792 A KR1020100029792 A KR 1020100029792A KR 20100029792 A KR20100029792 A KR 20100029792A KR 101142966 B1 KR101142966 B1 KR 101142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chine tool
filtration tank
filtration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58A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10002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966B1/ko
Priority to CN2011100841304A priority patent/CN102234562A/zh
Publication of KR2011011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나 햇딩머신, 나사전조기, 기타 자동절삭기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정제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로 설치된 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여과조와, 상기 다수의 여과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저장탱크; 상기 다수의 여과조의 덮개에 결합되는 자착수단; 상기 다수의 여과조 중에서 최종 여과조에 설치되어 최종 정제된 오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A MACHINE TOOL'S CONTAMINATION OIL REF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일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나 햇딩머신, 나사전조기, 기타 자동절삭기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정제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 장비나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기계나 햇딩머신, 나사전조기, 기타 자동절삭기계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고속가공에 따라 고열이 발생하게 되어 절삭공구의 사용수명을 단축하게 되므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절삭유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공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의 비산을 막기위해서도 절삭유가 공급된다.
이러한 절삭유는 최초에 공급할 경우는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절삭유에 함유된 절삭분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침전되고 나머지의 절삭유만 순환타입으로 재사용을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절삭유는 순환의 과정에서 유동으로 인해 절삭분이 함유된 상태로 순환을 하게 되어 분사노즐을 막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삭유에 함유된 절삭분이 절삭유와 함께 이동이 되므로 인해 장비에 과부하게 발생하게 되어 동력의 손실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가공도중 절삭유의 공급불량으로 인해 절삭물과 절삭공구에 과열이 발생하게 되어 가공의 효율성이 극히 불량하고, 한편으로는 절삭공구가 파손되거나 심하게 마모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절삭공구의 교체에 따른 시간적인 손실은 물론 장비의 정지로 인한 작업의 능률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폐절삭유를 재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고, 그 일 예로써 원심분리식 정제장치가 출시된 바 있다.
즉, 공작기계에서 배출된 폐절삭유를 회전체인 원심분리식 세퍼레이터에 통과시켜 연속으로 강한 원심력을 주어 미립자는 강제적으로 침전시키고, 깨끗한 오일만 추출하도록 한 것으로, 침전된 미립자는 회전체의 내벽에 밀어 붙여져 탈수, 탈유된 고형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고속의 회전력을 구현하기 위해 각종 회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1회 사용후 침전물을 제거하는 과정도 복잡하며, 제품 비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9228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공작기계나 햇딩머신, 나사전조기, 기타 자동절삭기계에서 발생된 폐오일을 여과방식과 자력방식에 의해 철분입자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재활용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해본 결과 부피가 크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작은 작업장에서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등록특허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피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성능은 향상될 수 있고, 공간점유율을 축소시켜 소형 작업장에도 설치가능토록 한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로 설치된 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여과조와, 상기 제3여과조의 후단에 형성된 제4여과조와, 상기 제1 내지 제4여과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저장탱크; 상기 제1 내지 제3여과조의 덮개에 결합되는 자착수단; 상기 제4여과조에 설치되어 최종 정제된 오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는 제1 내지 제3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격벽은 오일이 통과되도록 상,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여과조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 외측에 장착된 배출밸브; 상기 배출밸브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제1 내지 제4여과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착수단은 제1 내지 제3마그네틱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마그네틱봉은 덮개에 수직되게 결합된 일정 길이의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재는 자성체와 자성체 사이에 끼워져 상호간 자기장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 보다 두께가 두꺼운 원기둥형태의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제4여과조에 연결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일측에 연결되고, 흡입된 오일을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타측에 연결된 펌프;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오일이 토출되는 인출구와, 남은 오일을 배출하는 회수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가 결합된 분기구; 상기 분기구의 회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제4여과조에 통하도록 설치되며, 밸브가 부착된 리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성능은 향상될 수 있고, 공간점유율을 축소시켜 소형 작업장에도 설치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A1)는,
다수로 설치된 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여과조(21~23)와, 상기 제3여과조(23)의 후단에 형성된 제4여과조(24)와, 상기 제1 내지 제4여과조(24)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3)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여과조(21)에 형성되어 폐오일이 유입되는 인입부(100)와, 상기 제4여과조(24)에 형성되어 정제 오일이 배출되는 인출구(200)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제1 내지 제3여과조(23)의 덮개(3)에 결합되는 자착수단;
상기 제4여과조(24)에 설치되어 최종 정제된 오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펌핑수단(6)을 포함한다.
저장탱크(2)는 금속판재를 용접시켜 직육면체로 제작된 것으로, 그 내부에 다수의 격벽부재를 설치하여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제1 내지 제4여과조(24)가 형성되며, 상단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3)가 결합된다.
격벽부재는 구분의 편의상 제1 내지 제3격벽(51~53)으로 명칭을 정한다.
제1 내지 제3격벽(51~53)은 직사각형의 판재로써 오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타원형의 통공(5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50)은 제1여과조(21)에서 제4여과조(24)까지 순차적으로 오일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유속 및 유량을 고려하여 적당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통공(50)이 너무 작으면 오일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며, 반면 너무 크면 단계별 정제공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정제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덮개(3)에는 상기 자착수단의 외주면에 자착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세척구(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세척구(32)는 자착수단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부재(322)와, 상기 원통부재(322) 내에 삽입되며 상기 자착수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링부재(3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링부재(324)는 자착수단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자착수단의 표면에 자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내지 제4여과조(24)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 외측에 장착된 배출밸브(300)와, 상기 배출밸브(300)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제1 내지 제4여과조(21~24)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안내판(27)을 포함한다.
제1여과조(21)의 일측에는 공작기계에서 사용 후 배출된 폐오일이 인입되는 인입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00)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공작기계와 연결되며, 과도한 폐오일의 유입시 일정 수위 이상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29)이 형성된다.
제4여과조(24)는 제1 내지 제3여과조(23)를 통과한 후 정제된 오일이 집유되며, 후술될 펌핑수단(6)과 연결되는 흡입관(64)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집유된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 차오르면 자동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28)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여과조(23)의 내부에는 자착수단이 자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성차단부재(8)가 설치된다.
즉, 제1 내지 제3여과조(23)가 통상의 철판 재질이므로 자착수단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내벽에 자착되는 폐단이 발생될 경우 자력이 너무 강해서(약 10,000 가우스) 떼어내기 힘든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벽에 자성차단부재(8)를 부착시킨 것이다.
자성차단부재(8)는 자착력을 차단시키기 위해 비철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된 막대형상의 장착대(82)를 내벽면에 수직되게 부착하고, 상기 장착대(82)의 안쪽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다수의 링체(84)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자착수단의 인입 및 인출 동작시 내벽면에 자착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
자착수단은 자력에 의해 오일에 함유된 철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제1 내지 제3마그네틱봉(41~43)으로 구분한다.
제1 내지 제3마그네틱봉(41~43)은 그 구조가 모두 동일하므로 제1마그네틱봉(41)을 예로들어 설명하한다.
제1마그네틱봉(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의 원통부재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외통체(402)와, 상기 외통체(40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재(322)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404)와, 상기 외통체(402)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자성체(409)와, 상기 자성체(409)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리부재(406)를 포함한다.
자성체(409)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상 또는 도우넛형으로 형성된다.
분리부재(406)는 자성체(409)와 자성체(409) 사이에 끼워져 상호간 자기장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자기장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자성체(409)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펌핑수단(6)은 제1 내지 제3여과조(23)를 통과하면서 제1 내지 제3마그네틱봉(41~43)에 의해 철분이 자착되어 제4여과조(24)에 수집된 정제된 오일을 외부의 공작기계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펌핑수단(6)은, 제4여과조(24)에 연결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64)이 일측에 연결되고, 흡입된 오일을 토출시키는 토출관(66)이 타측에 연결된 펌프(62); 상기 토출관(66)에 연결되는 인입구(72)와, 오일이 토출되는 인출구(200)와, 남은 오일을 배출하는 회수구(76)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78)가 결합된 분기부재(7); 상기 분기부재(7)의 회수구(76)에 연결되며 상기 제4여과조(24)에 통하도록 설치되며, 밸브가 부착된 리턴관(79)을 포함한다.
펌프(62)는 정제된 오일을 회수하여 다시 사용처, 즉 공작기계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흡입관(6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관(66)이 형성된다.
분기부재(7)는 상기 펌프(62)에서 토출된 토출관(66)에 결합되며, 토출되는 오일 중 일부는 인출구(200) 및 이 인출구(200)와 공작기계를 연결하는 호스(h)를 통해 오일을 공급하되, 공작기계(미도시)에서 수용하지 못하고 남은 잉여 오일은 리턴관(79)을 통해 제4여과조(24)로 회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공작기계(미도시)에서 배출된 폐오일이 제1여과조(21)의 인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마그네틱봉(41)의 외면에 폐오일에 혼입된 철분 등의 이물질이 자착되어 제거된다.
이후 오일이 제1격벽(51)의 통공(50)을 통과하여 제2여과조(22)로 유입된 후 제2마그네틱봉(42)에 철분이 자착됨으로써 2차적인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후 오일이 제2격벽(52)의 통공(50)을 통과하여 제3여과조(23)로 유입된 후 제3마그네틱봉(43)에 철분이 자착됨으로써 3차적인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3차 제거작업을 거치면 거의 정제된 오일이 된다.
이후 정제된 오일은 제3격벽(53)의 통공(50)을 통과하여 제4여과조(24)로 유입되어 집유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여과조(23)에서 집유된 폐오일에 혼입된 슬러지는 침강하여 안내판(27)의 상면에 누적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배출밸브(300)를 개방시켜 내부에 누적된 슬러지를 배출시킨다.
한편 제4여과조(24)에 집유된 정제 오일은 펌핑수단(6)의 펌프(62) 구동에 의해 공작기계로 다시 공급된다.
만약 공급량이 과다해지면 펌핑된 오일 중 일부는 리턴관(79)을 통해 회수되어 다시 제4여과조(24)에 집유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A2)는,
다수로 설치된 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7 여과조(21a~27a)와, 상기 제1 내지 제7여과조(21a~27a)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3a)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여과조(21a)에 형성되어 폐오일이 유입되는 인입부(100a)와, 상기 제7여과조(27a)에 형성되어 정제 오일이 배출되는 인출구(200a)가 형성된 저장탱크(2a); 상기 제1 내지 제7여과조(21a~27a)의 덮개(3a)에 결합되는 자착수단; 상기 제7여과조(27a)와 인출호스(h1a)로 연결되어 최종 정제된 오일을 공작기계로 공급하는 펌프(62a)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2a)는 격자형태의 격벽부재(50a)를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내부 공간이 제1 내지 제7여과조(21a~27a)로 구획된다.
즉, 격벽부재(50a)의 설치에 의해 저장탱크(2a)의 전방에는 제1 내지 제3여과조(21a~23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4 내지 제7여과조(24a~27a)가 형성된다.
격벽부재(50a)는 상기 제1실시예(A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재로써 오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타원형의 통공(50)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3a)에는 상기 자착수단의 외주면에 자착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세척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세척구(32)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A1)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내지 제7 여과조(21a~27a)는 제1실시예(A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 외측에 장착된 배출밸브(300); 상기 배출밸브(300)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제1 내지 제7 여과조(21a~27a)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안내판(27)을 포함한다.
제1여과조(21a)의 일측에는 공작기계에서 사용 후 배출된 폐오일이 인입되는 인입부(100a)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00a)에는 호스(110a)가 연결되어 공작기계와 연결되며, 과도한 폐오일의 유입시 일정 수위 이상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29a)이 형성된다.
제7여과조(27a)는 제1 내지 제3여과조(23)를 통과한 후 정제된 오일이 집유되며, 후술될 펌핑수단(6)과 연결되는 인출호스(h1a)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집유된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 차오르면 자동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29a)이 연결된다.
제4여과조(24a)에도 오버플로우관(29a)이 연결된다.
제1 내지 제7여과조(21a~27a)의 내부에는 상기 제1실시예(A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착수단이 자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성차단부재(8)가 설치된다.
자착수단은 자력에 의해 오일에 함유된 철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제1 내지 제5마그네틱봉(41a~45a)으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5마그네틱봉(41a~45a)은 상기 제1실시예(A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펌프(62a)는, 제7여과조(27a)에 연결되어 정제된 오일을 흡입하는 인출호스(h1a)가 일측에 연결되고, 흡입된 오일을 토출시키는 인출호스(h2a)이 타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A2)에 따른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A2)는 여과조의 갯수를 더 증가시킴으로써 필터링 효율을 배가시키고 보다 정제된 오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실시예(A2)의 작동관계도 제1실시예(A1)와 대동소이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저장탱크 3 : 덮개
6 : 펌핑수단 21~24 : 제1 ~제4여과조
27 : 안내판 51~53 : 제1 ~ 제3격벽

Claims (10)

  1. 다수로 설치된 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여과조와, 상기 다수의 여과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저장탱크;
    상기 다수의 여과조의 덮개에 결합되는 자착수단;
    상기 다수의 여과조 중에서 최종 여과조에 설치되어 최종 정제된 오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펌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자착수단의 외주면에 자착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세척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구는 상기 자착수단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 내에 삽입되며 상기 자착수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는 오일이 통과되도록 상,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여과조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 외측에 장착된 배출밸브;
    상기 배출밸브를 향해 경사지게 내측 하부에 설치된 안내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수단은 마그네틱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그네틱봉은
    덮개에 수직되게 결합된 일정 길이의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자성체 보다 두께가 두꺼운 원기둥형태의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최종 여과조에 연결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일측에 연결되고, 흡입된 오일을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타측에 연결된 펌프;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오일이 토출되는 인출구와, 남은 오일을 배출하는 회수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가 결합된 분기구;
    상기 분기구의 회수구에 연결되며 제4여과조에 통하도록 설치되며, 밸브가 부착된 리턴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여과조 중에서 최초 및 최종 여과조에는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 차오르면 자연 배출되도록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여과조의 내벽면에는 상기 자착수단이 자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성차단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차단부재는
    링체로 된 다수의 비철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10. 삭제
KR1020100029792A 2010-04-01 2010-04-01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1142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92A KR101142966B1 (ko) 2010-04-01 2010-04-01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N2011100841304A CN102234562A (zh) 2010-04-01 2011-03-31 机床用炼油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92A KR101142966B1 (ko) 2010-04-01 2010-04-01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58A KR20110110458A (ko) 2011-10-07
KR101142966B1 true KR101142966B1 (ko) 2012-05-08

Family

ID=4488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92A KR101142966B1 (ko) 2010-04-01 2010-04-01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2966B1 (ko)
CN (1) CN102234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40B1 (ko) * 2013-12-02 2014-12-04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오일 스키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718B (zh) * 2014-06-16 2016-08-17 中磁科技股份有限公司 电火花线切割机床切割液的过滤系统
CN110026290B (zh) * 2019-05-05 2020-07-24 圣航粉末冶金河北有限公司 一种变速箱齿轮油的铁磁性粉末过滤方法
NO345634B1 (en) * 2019-07-12 2021-05-18 Jagtech As Device for capturing and removing magnetic material from a flow of material
JP6918089B2 (ja) * 2019-12-23 2021-08-11 李東源 切削油精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344A (ja) * 1993-05-21 1994-11-29 Kenseishiya:Kk 切削油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52643A (ko) * 2004-04-21 2004-06-23 세퍼레이션디자인테크(주) 금속가공유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20040110409A (ko) * 2003-06-19 2004-12-31 이준호 절삭유 정제 장치
KR100889228B1 (ko) *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725B2 (en) * 1999-05-27 2003-02-11 Porous Media Oil dehydrator
CN2454013Y (zh) * 2000-11-08 2001-10-17 四川冶金环能工程有限责任公司 永磁高梯度过滤器
CN2877872Y (zh) * 2006-04-03 2007-03-14 许晓华 滚齿机回油铁屑粉末过滤装置
KR100863154B1 (ko) * 2008-04-18 2008-10-13 주식회사 삼영필텍 이동식 폐유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344A (ja) * 1993-05-21 1994-11-29 Kenseishiya:Kk 切削油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110409A (ko) * 2003-06-19 2004-12-31 이준호 절삭유 정제 장치
KR20040052643A (ko) * 2004-04-21 2004-06-23 세퍼레이션디자인테크(주) 금속가공유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100889228B1 (ko) *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40B1 (ko) * 2013-12-02 2014-12-04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오일 스키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58A (ko) 2011-10-07
CN102234562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21B1 (ko) 더티액 처리 장치
EP2065127B1 (en) Coolant cleaning device for machine tool
KR101142966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1327183B1 (ko) 와류를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장치
CN109731868A (zh) 一种罐体清洗系统及清洗方法
KR200489987Y1 (ko) 진공을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 회수 장치
JP4231901B2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JP2010253619A (ja) 可搬型切削液再利用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切削液再利用処理方法
KR100889228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N108161561B (zh) 排屑供液装置及方法
JP4198353B2 (ja) 工業用油の濾過装置
JP2012091311A (ja) チップコンベヤ装置
CN214487351U (zh) 一种用于油液处理的磁性分离装置
CN211940097U (zh) 一种切削液回收再利用装置
CN209531631U (zh) 一种罐体清洗装置
KR20220114245A (ko) 진공을 이용한 절삭 슬러지 여과 장치
CN216092598U (zh) 一种切削液净化装置
KR102613532B1 (ko) 절삭유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청소장치
JP2015231644A (ja) スラッジ回収装置
WO2022249345A1 (ja) 工作機械
CN215916703U (zh) 一种磨床切削液过滤系统
KR102362860B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청소장치
CN217287274U (zh) 一种干湿分离的冷却油排渣装置
JP6918089B2 (ja) 切削油精製装置
JP2017030083A (ja) 切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