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528A -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528A
KR20080032528A KR1020060098516A KR20060098516A KR20080032528A KR 20080032528 A KR20080032528 A KR 20080032528A KR 1020060098516 A KR1020060098516 A KR 1020060098516A KR 20060098516 A KR20060098516 A KR 20060098516A KR 20080032528 A KR20080032528 A KR 20080032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locking
battery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정강국
김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528A/ko
Publication of KR2008003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셀과, 상기 셀을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 또는 철함을 갖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케이스 또는 철함에 마련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전원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터리와 외부 전원케이블의 연결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연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배터리, 전원케이블, 소켓, 플러그

Description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Power cable coupling device of battery}
도 1은 종래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다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도 4의 요부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배터리와 전원케이블 연결 및 연결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와 전원케이블 연결 및 연결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와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5 : 내부전원선
7 : 전원케이블 10 : 소켓
11 : 소켓본체 20 : 플러그락킹수단
21 : 락킹볼 23 : 락킹슬라이더
25 : 스프링 30 : 플러그
31 : 소켓삽입부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와 전원케이블의 접속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배터리를 포함한 각종 산업용 및 농업용 배터리 등은 배터리본체에 외부로 돌출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이하 "전극단자"라 함)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양 전극단자에 전원 공급 대상기기로 향하는 전원케이블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공급대상 기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배터리는 단일의 셀로 이루어지는 단셀 패키징 형태와 다수의 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셀 패키징 형태의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배터리본체에 외부로 노출된 양 전극단자는 배터리 내부의 셀들에 마련된 전극단자와 내부전원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이러한 모든 배터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배터리 구조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 일반적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전원케이블의 말단부에 마련 된 한 쌍의 클램프 또는 한 쌍의 파지집게 등의 접속부재를 배터리의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전원케이블의 접속부재로서 클램프가 마련될 경우, 스패너 등의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클램프를 조이거나 조임해제 해야하므로 전원연결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케이블의 접속부재로서 파지집게가 마련될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파지집게가 전극단자를 파지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전원연결을 할 수 있지만, 임의의 외력에 의해 전원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하면 파지집게가 여지없이 전극단자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13124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셀 패키징 형태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일 예로서 콘센트(103)와 플러그(107)를 갖는 배터리전원 연결구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 배터리전원 연결구조는 배터리(101)의 일영역에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콘센트(103)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원케이블(105)의 말단부에 플러그(107)를 마련함으로써, 배터리(101)와 전원케이블(105)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셀 패키징 형태의 산업용 및 농업용 배터리(101')의 일 예로서, 철함(102) 내부에 다수의 셀(110)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철함(102) 외부에 콘센트(103')와 전원케이블(105')의 플러그(107') 연결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전원 연결구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철함(102) 외부면에 마련된 콘센트(103)는 도시않은 내부전원연결선에 의해 철함(102) 내부의 셀(11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콘센트 및 플러그로 이루어진 종래 배터리전원 연결구조는 단순히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원연결 작업이 용이한 반면, 전원 연결상태 해제 또한 너무나 손쉽게 이루어진다. 즉, 임의의 외력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간단하게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문제점이 배터리전원을 이용한 중요 작업중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작업성과를 저해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연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단일의 셀과 상기 셀을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를 갖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전원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함과, 상기 철함에 수용되어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셀을 갖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함에 마련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전원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와, 상기 플러그삽입부 내에 고정되며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접속단자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는 소켓삽입부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와 접속 및 접속 해제되는 소켓접속단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켓삽입부의 선단부 영역에는 축경 경사진 삽입유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는 볼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락킹수단은 상기 소켓의 플러그삽입부에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의 볼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락킹볼과, 상기 소켓의 플러그삽입부 외측에서 상기 락킹볼에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락킹볼에 대해 이격되는 잠금 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슬라이더와, 상기 락킹슬라이더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와, 상기 플러그삽입부 내측에서 외향 돌출된 플러그고정부와,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접속단자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삽입부 및 상기 플러그고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는 소켓삽입부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삽입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와 접속 및 접속 해제되는 소켓접속단자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볼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락킹수단은 상기 플러그의 소켓삽입부에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볼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락킹볼과,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서 상기 락킹볼에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락킹볼에 대해 이격되는 잠금 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슬라이더와, 상기 락킹슬라이더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4 및 도 5의 배터리와 전원케이블 연결 및 연결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배터리(1)에 마련되는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단부에 마련되어 소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30)로 이루어진다.
소켓(10)은 플러그(30)가 접속되는 소켓본체(11)와, 플러그(30)의 접속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20)를 가지고 배터리케이스(3)에 결합되어 있다.
소켓본체(11)의 내측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소켓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소켓홀(13)은 그 전방 영역이 플러그삽입부(13a)로 형성되어 배터리케이스(3) 외부로 노출되며, 그 후방은 배터리(1) 내부의 도시않은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전원선(5)이 접속되는 내부전원접속부(13b)로 형성되어 배터리케이스(3)의 내측을 향한다.
여기서, 배터리(1)는 자동차용 배터리 등의 단셀 패키징 형태로서 배터리케이스(3) 내부에 단일의 셀(미도시)가 수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배터리(1)는 배터리케이스(3) 내부에 복수의 셀(미도시)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셀 패키징 형태의 배터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소켓본체(11)의 플러그삽입부(13a)와 내부전원접속부(13b)의 경계부분에는 배터리(1)의 내부전원선(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플러그접 속단자(13c)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소켓본체(11)의 외측 전후, 즉 플러그삽입부(13a)의 외측 둘레영역과 내부전원접속부(13b)의 외측 둘레영역에는 각각 플러그락킹수단(20)이 결합되는 락킹수단결합부(15) 및 소켓본체(11)가 배터리케이스(3)에 결합되기 위한 케이스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락킹수단결합부(15)의 선단 영역에는 후술할 플러그락킹수단(20)의 락킹볼(21)이 수용되는 볼수용공(15a)이 락킹수단결합부(15) 외측에서 플러그삽입부(13a)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 볼수용공(15a)은 소켓본체(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러그락킹수단(20)은 플러그삽입부(13a)에 삽입된 플러그(30)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락킹볼(21)과, 락킹볼(21)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조작하는 락킹슬라이더(23)와, 락킹슬라이더(23)를 락킹볼(21)의 잠금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5)을 포함한다.
락킹볼(21)은 플러그삽입부(13a) 내외측으로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도록 볼수용공(15a)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락킹슬라이더(23)는 락킹수단결합부(15)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고 락킹수단결합부(15)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락킹슬라이더(23)의 선단 내주면은 락킹볼(21)의 외향 유동 폭을 제한하도록 나머지 내주면에 비해 확경된 볼수용단차부(23a)로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슬라이더(23)의 나머지 내주면은 락킹수단결합부(15)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락킹슬라이더(23)의 왕복이동시 락킹볼(21)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락킹슬라이더(23)가 락킹수단결합부(15)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볼수용단차부(23a)가 락킹볼(21) 영역에 위치하면 락킹볼(21)이 외향 유동 가능한 잠금해제 위치가 되며, 락킹슬라이더(23)의 내주면이 락킹볼(21)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면 락킹볼(21)이 플러그삽입부(13a) 내측으로 돌출되는 잠금 위치가 된다.
그리고, 스프링(25)은 락킹수단결합부(15) 후방영역에 설치되어 락킹슬라이더(23)를 잠금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에 의해, 락킹슬라이더(23)는 작업자가 잠금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항상 잠금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플러그(30)는 그 선단 영역에 소켓본체(11)의 플러그삽입부(13a)에 삽입되는 소켓삽입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 영역에 전원케이블(7)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삽입부(31)의 선단부 외주면은 플러그삽입부(13a)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부를 향해 경사진 삽입유도면(31a)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 영역 내측에는 소켓본체(11)의 플러그접속단자(13c)에 대응하는 소켓접속단자(31b)가 전원케이블(7)과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삽입부(13a)의 삽입유도면(31a) 후방에는 락킹볼(21)이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볼걸림홈(31c)이 플러그(3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볼걸림홈(31c)의 내측면은 플러그(30)가 소켓본체(11)의 플러그삽입부(13a)에 삽입 및 인출될 때, 락킹볼(21)이 자연스 럽게 볼걸림홈(31c) 내부에 수용 및 수용 해제되도록 내향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의 사용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소켓(10)의 전방에 플러그(30)를 위치시킨 후, 소켓(10)의 락킹슬라이더(23)를 파지하여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유지시킨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플러그(30)의 소켓접속단자(31b)가 소켓본체(11)의 플러그접속단자(13c)에 삽입되도록 플러그(30)를 소켓본체(11)의 플러그삽입부(13a)로 삽입한다.
이때, 플러그락킹수단(20)의 스프링(25)은 압축되며, 락킹볼(21)은 볼수용공(15a) 내에서 외향 이동하였다가 플러그(30)의 볼걸림홈(31c)이 락킹볼(21)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면, 락킹볼(21)이 내향 유동하여 볼걸림홈(31c)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락킹슬라이더(23)를 파지 해제하면 도 8과 같이,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슬라이더(23)는 잠금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그 내주면이 락킹볼(21)에 접촉합으로써, 락킹볼(21)의 외향 유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락킹볼(21)이 플러그(30)의 볼걸림홈(31c)에 견고하게 걸림 유지됨으로써, 락킹슬라이더(23)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한 배터리(1)의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플러그(30) 간의 상호 접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터리(1)의 소켓(10)에 접속된 전원케이블(7)의 플러그(30)를 연결 해제하고자 할 때는, 도 7과 같이, 플러그락킹수단(20)의 락킹슬라이 더(23)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플러그(30)를 파지하여 소켓본체(11)의 플러그삽입부(13a)에서 인출하면 락킹볼(21)이 외향 유동하여 플러그(30)의 볼걸림홈(31c)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플러그(30)를 간단하게 소켓(10)으로부터 빼내어 플러그(30)와 소켓(10)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와 전원케이블 연결 및 연결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미도시)에 마련되는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단부에 마련되어 소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30')로 이루어진다.
소켓(10')의 내측은 플러그(3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플러그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삽입부(11')의 내측 중앙에는 외부를 향해 돌출된 플러그고정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고정부(13')에는 배터리(미도시)의 내부전원선(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플러그접속단자(13a')가 고정되어 있으며, 플러그고정부(13')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락킹볼(21')이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볼걸림홈(13b')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30')의 선단부 영역에는 플러그(30')와 소켓(10')의 접속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플러그(30')의 선단부 영역 외측 둘레영역에는 플러그락킹수단(20')이 결합되는 락킹수단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수단결합부(15') 의 내측에는 소켓(10')의 플러그고정부(13')가 삽입되는 소켓삽입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삽입부(31')의 내측 중앙에는 소켓(10')의 플러그접속단자(13a')에 대응하는 소켓접속단자(31b')가 전원케이블(7')과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락킹수단결합부(15')의 선단 영역에는 플러그락킹수단(20')의 락킹볼(21')이 수용되는 볼수용공(15a')이 락킹수단결합부(15') 외측에서 소켓삽입부(31')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락킹수단(20')은 소켓(10')의 플러그삽입부(11')에 삽입된 플러그(30')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락킹볼(21')과, 락킹볼(21')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조작하는 락킹슬라이더(23')와, 락킹슬라이더(23')를 락킹볼(21')의 잠금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5')을 포함한다.
락킹볼(21')은 소켓삽입부(31') 내외측으로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도록 볼수용공(15a')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락킹슬라이더(23')는 락킹수단결합부(15')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고 락킹수단결합부(15')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5')은 락킹슬라이더(23')를 잠금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락킹수단결합부(15')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락킹수단(20')의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의 사용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플러그(30')의 락킹슬라이더(23')를 파지하여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유지시킨 상태에서 플러그(30')의 소켓접속단자(31b')가 소켓본체의 플러그접속단자(13a')에 삽입되도록 플러그(30')를 소켓본체의 플러그삽입부(11')로 삽입한다.
이때, 플러그락킹수단(20')의 스프링(25')은 압축되며, 락킹볼(21')은 볼수용공(15a') 내에서 외향 이동하였다가 소켓(10')의 플러그고정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볼걸림홈(13b')이 락킹볼(21')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면, 락킹볼(21')이 내향 유동하여 볼걸림홈(13b')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락킹슬라이더(23')를 파지 해제하면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슬라이더(23')는 잠금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그 내주면이 락킹볼(21')에 접촉합으로써, 락킹볼(21')의 외향 유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락킹볼(21')이 소켓(10')의 플러그고정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볼걸림홈(13b')에 견고하게 걸림 유지됨으로써, 락킹슬라이더(23')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한 배터리(미도시)의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플러그(30') 간의 상호 접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터리(미도시)의 소켓(10')에 접속된 전원케이블(7')의 플러그(30')를 연결 해제하고자 할 때는, 플러그락킹수단(20')의 락킹슬라이더(23')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플러그(30')를 파지하여 소켓본체의 플러그삽입부(11')에서 인출하면 락킹볼(21')이 외향 유동하여 플러그(30')의 볼걸림홈(13b')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의해, 플러그(30')를 간단하게 소켓(10')으로 부터 빼내어 플러그(30')와 소켓(10')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산업용 및 농업용 배터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는 철함 내부에 다수의 셀(60)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셀 패키징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1")의 전원케이블(7") 연결구조로서 철함(3")의 일측에는 전술한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러그락킹수단(20")을 갖는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단부에 마련되어 소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30")를 포함하고 있다. 소켓(10")의 플러그접속단자(미도시)는 철함(3") 내부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셀(60)들로부터 연장된 내부전원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셀(60)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철함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셀 패키징 형태의 구조에 적용하여 플러그락킹수단(20")이 플러그(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의 전원케이블(7") 연결구조는 플러그락킹수단(20")을 갖는 소켓(10")과, 전원케이블(7")의 플러그(30")에 대한 구성 및 상호 접속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는 배터리 및 전원케이블 단부에 각각 소켓과 이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마련하고, 소켓과 플러그의 연결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소켓과 플러그 중 어느 하나에 마련함으로써, 배터리에 전원케이블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임의의 외력으로 전원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하더라도 배터리와 전원케이블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이용한 중요 작업중 불의의 전원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와 외부 전원케이블의 연결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연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Claims (7)

  1. 단일의 셀과 상기 셀을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를 갖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전원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2. 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함과, 상기 철함에 수용되어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셀을 갖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함에 마련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전원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플러그락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와, 상기 플러그삽입부 내에 고정되며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접속단자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는 소켓삽입부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와 접속 및 접속 해제되는 소켓접속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삽입부의 선단부 영역에는 축경 경사진 삽입유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는 볼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락킹수단은
    상기 소켓의 플러그삽입부에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의 볼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락킹볼과,
    상기 소켓의 플러그삽입부 외측에서 상기 락킹볼에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락킹볼에 대해 이격되는 잠금 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슬라 이더와,
    상기 락킹슬라이더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부와, 상기 플러그삽입부 내측에서 외향 돌출된 플러그고정부와,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접속단자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삽입부 및 상기 플러그고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는 소켓삽입부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삽입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와 접속 및 접속 해제되는 소켓접속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볼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락킹수단은
    상기 플러그의 소켓삽입부에 내향 및 외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고정부의 볼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락킹볼과,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서 상기 락킹볼에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락킹볼에 대해 이격되는 잠금 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슬라이더와,
    상기 락킹슬라이더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KR1020060098516A 2006-10-10 2006-10-10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KR20080032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516A KR20080032528A (ko) 2006-10-10 2006-10-10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516A KR20080032528A (ko) 2006-10-10 2006-10-10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528A true KR20080032528A (ko) 2008-04-15

Family

ID=3953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516A KR20080032528A (ko) 2006-10-10 2006-10-10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5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1971A (zh) * 2010-03-29 2010-08-04 潘世澄 电动汽车的电池盒、电池箱及其锁定装置
KR20180001743U (ko) * 2016-12-02 2018-06-12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휴대용 차량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410363B1 (ko) * 2021-01-27 2022-06-22 전종득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1971A (zh) * 2010-03-29 2010-08-04 潘世澄 电动汽车的电池盒、电池箱及其锁定装置
KR20180001743U (ko) * 2016-12-02 2018-06-12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휴대용 차량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410363B1 (ko) * 2021-01-27 2022-06-22 전종득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845B2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housing having a cover and a base with positioning projections
US8597046B2 (en) Self-locking wire holder mounted in a housing of a charging connector
US720784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863732B2 (ja) コネクタ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CN103201910B (zh) 保持器锁定结构
US20130154565A1 (en) Foreign material removing structure for charger
MX2008014090A (es) Conexion de enchufe de acoplamiento.
JP6104064B2 (ja) コネクタ
US8444429B2 (en) Unlocking device,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KR101610390B1 (ko) 전원충전 인터페이스장치
WO2016098575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1707147B1 (ko) 커넥터조립체
KR20080032528A (ko)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CN206259561U (zh) 一种连接器及使用该连接器的连接器组件
KR100952436B1 (ko) 커넥터
US9979130B2 (en) Charging inlet
JP419812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挿抜工具
CN111509526B (zh) 连接器配合装置
JP3851840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JP2014044825A (ja)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嵌合治具
KR20090051643A (ko) 커넥터
US101375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721494B2 (ja) コネクタ
CN214625472U (zh) 一种充电插座
KR101344277B1 (ko)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