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277B1 -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277B1
KR101344277B1 KR1020130063822A KR20130063822A KR101344277B1 KR 101344277 B1 KR101344277 B1 KR 101344277B1 KR 1020130063822 A KR1020130063822 A KR 1020130063822A KR 20130063822 A KR20130063822 A KR 20130063822A KR 101344277 B1 KR101344277 B1 KR 10134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block
main housing
terminal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6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으로 암/수 연결되는 커넥터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탄성적으로 착탈시켜 커넥터 간의 연결을 위한 공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외표면에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유 판 스프링 레버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암/수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경우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된 자유 판 스프링 레버가 다른 하나의 커넥터 외표면을 소정 탄성력으로 그립할 수 있고,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착탈이 용이하여 무수한 사용으로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 커넥터에 대해 자유 판 스프링 레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교체가 용이하여 커넥터의 PM 주기를 현저히 길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connector using plate spring}
본 발명은 착탈식으로 암/수 연결되는 커넥터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탄성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외표면에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유 판 스프링 레버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암/수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경우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된 자유 판 스프링 레버가 다른 하나의 커넥터 외표면을 소정 탄성력으로 그립할 수 있고,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착탈이 용이하여 무수한 사용으로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 커넥터에 대해 자유 판 스프링 레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다양한 전기 자동차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케이블 묶음을 지칭하였다.
또한 케이블 하니스는 각종 자동제어반 등 단일 유닛 간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각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착탈식으로 연결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부착하고 이탈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줄이기 위해 암/수 커넥터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공수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종래 기술로서, 커넥터의 단자핀 자체를 소정 텐션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하여 암/수 커넥터를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구현되었는데, 암/수 커넥터의 무수한 부착/이탈 과정을 거치는 동안 단자핀 자체가 마모되어 접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 작업 공수를 줄이기 위한 다른 하나의 종래 기술로서, 커넥터의 내측에 소정 텐션을 갖는 탄성부재를 구성하여 암/수 커넥터를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종래로 구현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암/수 커넥터의 무수한 부착/이탈 과정을 거치는 동안 탄성부재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반면, 탄성부재만을 교체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암 커넥터 또는 수 커넥터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1.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특허출원 10-2012-0013994호)
2.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 탄성부재(특허출원 10-2008-00303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간의 연결을 위한 공수를 현저히 줄이고,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되어 커넥터 간의 탄성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는, 외부 케이블 하니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와 착탈하면서 수용 커넥터와 케이블 하니스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단자 블럭; 단자 블럭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단자 블럭을 고정하고, 단자 블럭의 전단부에 구비된 단자핀이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단자핀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하우징; 외력에 대해 소정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하우징의 측벽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메인 하우징의 일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개구부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상부의 내측벽에 단면의 형태가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돌부가 형성되어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에 수용 커넥터가 끼워지는 경우 상부 경사면이 수용 커넥터의 측벽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면서 슬라이드된 후 테이퍼 돌부의 선단부가 수용 커넥터의 측벽을 탄성적으로 밀어 고정하고,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수용 커넥터가 이탈되는 경우 하부 경사면이 수용 커넥터의 측벽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자유 판 스프링 레버는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상부의 내측벽에 단면의 형태가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으로 이루어는 테이퍼 돌부가 형성되어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에 수용 커넥터를 끼우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상부 경사면을 따라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소정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된 후 테이퍼 돌부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고정되고,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수용 커넥터를 이탈시키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하부 경사면을 따라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소정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경사면의 경사각을 상부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하여 수용 커넥터를 메인 하우징에 끼울 때보다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잡아당겨 이탈시킬 때 가해지는 외력이 더 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은 단자 블럭의 외부를 감싸는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져 단자 블럭을 외부로부터 밀착 고정하고, 단자핀에 대응하는 위치의 선단부는 중심부가 함몰되어 외곽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이 외곽 테두리부는 단자핀과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이 수용 커넥터의 외부벽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 단면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수용 커넥터의 선단부 외주벽과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비틀림 외력에 대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핀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 선단부는 내향하는 제 1 단차부를 이루어 외곽 테두리부와 나란하게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단자 블럭 선단부의 외주벽과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은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며, 단자핀과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단자 블럭 선단부의 외주벽과 수용 커넥터 선단부 내주벽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자 블럭의 일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메인 하우징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보조 하우징; 단자 블럭의 타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제 1 보조 하우징과 마주한 상태로 메인 하우징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보조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는,
(1) 하나의 커넥터 외표면에 착탈형의 자유 판 스프링 레버를 구비하여, 커넥터 간의 연결을 위한 공수를 현저히 줄이는 장점이 있다.
(2) 기존 커넥터에서 단자핀을 탄성체로 구비하는 경우 탄성체의 그립력이 떨어지면 단자핀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커넥터 자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3)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착탈이 용이하여 무수한 사용으로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 커넥터에 대해 자유 판 스프링 레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사용주기를 현저히 길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1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2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는 커넥터 간의 연결을 위한 공수를 현저히 낮추고, 하나의 커넥터에 부착되어 커넥터 간의 탄성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의 교체를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는 단자 블럭(100), 메인 하우징(200),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 제 1 보조 하우징(400), 제 2 보조 하우징(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블럭(100)은 외부 케이블 하니스(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 수용 커넥터(미도시)의 단자부(미도시)와 착탈하면서 수용 커넥터와 케이블 하니스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킨다.
또한, 단자 블럭(100)은 단자핀(110)이 전면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단자핀(110)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케이블 하니스에 접속되는 전기적 연결수단(미도시)이 단자핀(110)이 위치한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하는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단자 블럭(100)의 전면에 탑재된 단자핀(110)은 단자 블럭(100)을 관통하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통전되고, 이 전기적 연결수단은 외부 케이블 하니스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에 접속되어 통전된다. 이러한 단자 블럭(100)은 일정한 형태의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어 마감된다.
그리고, 단자핀(110)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100)의 선단부는 내향하는 제 1 단차부(120)가 형성되고 제 1 단차부(120)는 메인 하우징(200)의 외곽 테두리부(230)와 나란하게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때, 단자 블럭(100) 선단부의 외주벽과 외곽 테두리부(230)의 내주벽은 일정한 폭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단자핀(110)과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단자 블럭(100) 선단부의 외주벽과 수용 커넥터 선단부 내주벽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자 블럭(100)의 후단부는 제 1 단차부(120)에 대해 외향하는 제 2 단차부(130)를 이루고, 제 2 단차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의 메인 하우징(200) 내벽에 절개홈(140)이 형성되며, 제 2 단차부(130)가 절개홈(140)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자 블럭(100)이 메인 하우징(200)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하우징(200)은 단자 블럭(10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단자 블럭(100)을 고정하고, 단자 블럭(100)의 전단부에 구비된 단자핀(110)이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단자핀(110)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100)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10)에 외부 수용 커넥터가 끼워지면서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단자핀(110)에 접속된다.
메인 하우징(200)은 단자 블럭(100)의 외부를 감싸는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단자 블럭(100)을 외부로부터 밀착 고정하고, 단자핀(110)에 대응하는 위치의 선단부는 중심부가 함몰되어 외곽 테두리부(2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외곽 테두리부(230)는 단자핀(110)과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외곽 테두리부(230)의 내주벽이 수용 커넥터의 외주벽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개구부(210)는 단자핀(110)이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그 단자핀(110)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100)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부(220)는 단자핀(110)이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단자핀(110)이 위치하는 단자 블럭(100)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외곽 테두리부(230)는 단자핀(110)에 대응하는 위치의 선단부에 함몰되는 개구부(210)의 외곽을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곽 테두리부(230)는 외부 수용 커넥터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외곽 테두리부(230)의 내주벽이 수용 커넥터의 선단부 외주벽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외곽 테두리부(230)는 단자 블럭(100)이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수용 커넥터가 착탈되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며, 수용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들썩임 없이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곽 테두리부(230)은 내주벽 단면이 테두리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수용 커넥터의 선단부 외주벽과 외곽 테두리부(230)의 내주벽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비틀림 외력에 대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외력에 대해 소정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하우징(200)의 측벽에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는 메인 하우징(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절개부(220)를 통해 개구부(210)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단자 블럭(100)에 끼워진 상태의 수용 커넥터 측벽을 소정 압력의 탄성적으로 그립하고, 소정 압력 이상의 외력으로 수용 커넥터와 단자 블럭(100)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단자 블럭(100)으로부터 수용 커넥터가 이탈되도록 한다.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에는 메인 하우징(200)의 개구부(210)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 돌부(310)가 형성되며, 메인 하우징(200)의 개구부(210)에 수용 커넥터를 끼우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테이퍼 돌부(310)에 소정 탄성력으로 맞물려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테이퍼 돌부(310)는 단면의 형태가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빗변에 대응하는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빗변에 대응하는 하부 경사면(3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하우징(200)의 개구부(210)에 수용 커넥터를 끼우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상부 경사면(311)을 따라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소정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된 후 테이퍼 돌부(310)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고정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의 개구부(210)로부터 수용 커넥터를 이탈시키는 경우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하부 경사면(312)을 따라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소정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경사면(312)의 경사각을 상부 경사면(311)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하여 수용 커넥터를 메인 하우징에 끼울 때보다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잡아당겨 이탈시킬 때 가해지는 외력이 더 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외부 수용 커넥터가 끼워진 상태로 차량의 전장 작업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에 끼워진 수용 커넥터가 작업자가 의도치 않게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메인 하우징(200)의 외표면에 단자핀(110)과 별도로 소정 탄성력을 갖는 착탈식의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를 구비하여 커넥터 간의 연결을 위한 공수가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를 메인 하우징(200)으로부터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커넥터 간의 무수한 착탈 동작으로 인해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 커넥터로부터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커넥터의 사용주기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구조적 특징은 기존 커넥터에서 단자핀을 탄성체로 구비하는 경우 탄성체의 그립력이 떨어지면 단자핀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커넥터 자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조 하우징(400)은 단자 블럭(100)의 일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메인 하우징(20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 2 보조 하우징(500)은 단자 블럭(100)의 타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제 1 보조 하우징(400)과 마주한 상태로 메인 하우징(200)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때, 메인 하우징(200)의 후단부는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제 1 보조 하우징(400)과 제 2 보조 하우징(500)의 선단부가 상호 마주한 상태로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볼트(B2)가 제 2 보조 하우징(500)을 관통하여 제 1 보조 하우징(400)에 내측벽에 끼워짐으로써 제 1 보조 하우징(400)과 제 2 보조 하우징(500)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고, 동시에 제 1 보조 하우징(400)과 제 2 보조 하우징(500)의 선단부에 메인 하우징(200)의 단차부가 끼워짐으로써 메인 하우징(200)과 제 1,2 보조 하우징(400,500)을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의 내측벽에는 테두리를 따라 절개홈(140)이 형성되는데, 이 절개홈(140)에 단자 블럭(100)의 제 2 단차부(130)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연결로부터 양 커넥터를 당겨 이탈시키는 경우 단자 블럭(100)이 수용 커넥터의 이탈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시킨다.
한편,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메인 하우징(200)의 외측벽으로부터 제 1 보조 하우징(400)의 일측벽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고정홈에 끼워지며, 고정 볼트(B1)가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후단부를 관통한 후 이 고정홈의 후단부에 끼워짐으로써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메인 하우징(200)과 제 1 보조 하우징(400)의 일측벽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판 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는 탄성복원력이 양호한 납작한 형태의 판 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져 메인 하우징(200)과 제 1 보조 하우징(400)의 측벽에 밀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의 수용 커넥터를 삽입하는 경우에 수용 커넥터의 외측벽에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테이퍼 돌부(310)가 맞닿은 상태로 수용 커넥터의 삽입 과정과 이탈 과정에 맞추어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가 고정된 후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수용 커넥터의 외측벽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여 수용 커넥터의 삽입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퍼 돌부(310)는 측단면 형태가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경사면(312)을 이룬다. 이를 통해, 수용 커넥터가 외곽 테두리부(2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경우에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상부 경사면(311)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반대로 이탈되는 경우에는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하부 경사면(312)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여기서,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상부 경사면(311)과 하면 경사면(312)에 맞물려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테이퍼 돌부(310)가 위치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의 상부는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에 대해 전,후진하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수용 커넥터의 외표면에는 반달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수용 커넥터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삽입되면 수용 커넥터의 반달형 홈에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경사면(312)이 만나는 둥근 모서리 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수용 커넥터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상부 경사면(311)을 미끄러지다가 수용 커넥터의 반달형 홈에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경사면(312)이 만나는 둥근 모서리 부분이 끼워지는 순간 "딸깍" 소리를 내며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수용 커넥터가 본 발명의 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수용 커넥터의 일측벽이 하부 경사면(312)을 미끄러지다가 수용 커넥터의 반달형 홈으로부터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경사면(312)이 만나는 둥근 모서리 부분이 이탈되는 순간 "딸깍" 소리를 내며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커넥터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 경사면(311)의 경사각보다 하부 경사면(312)의 경사각을 보다 급경사가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100 : 단자 블럭
110 : 단자핀
120 : 제 1 단차부
130 : 제 2 단차부
140 : 절개홈
200 : 메인 하우징
210 : 개구부
220 : 절개부
230 : 외곽 테두리부
300 : 자유 판 스프링 레버
310 : 테이퍼 돌부
311 : 상부 경사면
312 : 하부 경사면
400 : 제 1 보조 하우징
500 : 제 2 보조 하우징
B1,B2 : 고정볼트
W : 와샤

Claims (7)

  1. 외부 케이블 하니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와 착탈하면서 상기 수용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하니스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단자 블럭(100);
    상기 단자 블럭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단자 블럭을 고정하고, 상기 단자 블럭의 전단부에 구비된 단자핀(110)이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핀이 위치하는 상기 단자 블럭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개구부(210)가 형성된 메인 하우징(200);
    외력에 대해 소정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측벽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부에 형성된 절개부(220)를 통해 상기 개구부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상부의 내측벽에 단면의 형태가 상부 경사면(311)과 하부 경사면(312)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돌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에 상기 수용 커넥터가 끼워지는 경우 상기 상부 경사면이 상기 수용 커넥터의 측벽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면서 슬라이드된 후 상기 테이퍼 돌부의 선단부가 상기 수용 커넥터의 측벽을 탄성적으로 밀어 고정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 커넥터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하부 경사면이 상기 수용 커넥터의 측벽에 소정 탄성력을 가하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자유 판 스프링 레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사면(312)의 경사각을 상기 상부 경사면(311)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수용 커넥터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끼울 때보다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잡아당겨 이탈시킬 때 가해지는 외력이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200)은, 상기 단자 블럭의 외부를 감싸는 원바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단자 블럭을 외부로부터 밀착 고정하고, 상기 단자핀에 대응하는 위치의 선단부는 중심부가 함몰되어 외곽 테두리부(230)를 형성하며, 이 외곽 테두리부는 상기 단자핀과 상기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이 상기 수용 커넥터의 외부벽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 단면은 테두리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커넥터의 선단부 외주벽과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비틀림 외력에 대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이 위치하는 상기 단자 블럭 선단부는 내향하는 제 1 단차부(120)를 이루어 상기 외곽 테두리부와 나란하게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단자 블럭 선단부의 외주벽과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내주벽은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자핀과 상기 수용 커넥터의 단자부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자 블럭 선단부의 외주벽과 상기 수용 커넥터 선단부 내주벽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럭의 일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보조 하우징(400);
    상기 단자 블럭의 타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과 마주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보조 하우징(5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KR1020130063822A 2013-06-04 2013-06-04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KR10134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822A KR101344277B1 (ko) 2013-06-04 2013-06-04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822A KR101344277B1 (ko) 2013-06-04 2013-06-04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277B1 true KR101344277B1 (ko) 2013-12-23

Family

ID=4998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822A KR101344277B1 (ko) 2013-06-04 2013-06-04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37B1 (ko) * 2014-06-12 2014-11-14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원바디 타입 커넥터
KR101865884B1 (ko) * 2017-03-23 2018-06-08 윤근환 테스트용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90B1 (ko) * 2012-02-10 2012-05-09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90B1 (ko) * 2012-02-10 2012-05-09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37B1 (ko) * 2014-06-12 2014-11-14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원바디 타입 커넥터
KR101865884B1 (ko) * 2017-03-23 2018-06-08 윤근환 테스트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8305B2 (en) Optical connector plug
US9958623B1 (en) Tool for plug, plug and cable with plug
CN103201910B (zh) 保持器锁定结构
JP6434742B2 (ja) 2芯型光コネクタプラグ
JP6905434B2 (ja) 光コネクタ用タブ
JP6363781B1 (ja) プラグ及びプラグ付きケーブル
WO2014112136A1 (ja) コネクタ
KR101271364B1 (ko) 로크 해제 장치,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
JP2018081767A (ja) 光トランシーバの挿抜機構
KR101344277B1 (ko)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JP2014127308A (ja) 並列部材、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機器の組み立て方法
WO2014209143A1 (en) Electrical plug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US20220155534A1 (en) Connector removal tool
US9768551B2 (en) Plug-type connector
WO2010047795A1 (en) Connector including housing shells secured together
JP3851840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JP2006344410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挿抜工具
JP3851839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KR101143590B1 (ko)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KR20150005235A (ko) 고전압 커넥터
CN110799872A (zh) 光连接器和推拉件
KR101869540B1 (ko) 방수 커넥터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JP7016935B1 (ja) 電線差し込み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