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65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650A
KR20080028650A KR1020060094213A KR20060094213A KR20080028650A KR 20080028650 A KR20080028650 A KR 20080028650A KR 1020060094213 A KR1020060094213 A KR 1020060094213A KR 20060094213 A KR20060094213 A KR 20060094213A KR 20080028650 A KR20080028650 A KR 2008002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ever
cap
conn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535B1 (ko
Inventor
이철섭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535B1/ko
Priority to US11/861,579 priority patent/US7479022B2/en
Priority to CN2007101857568A priority patent/CN101350475B/zh
Publication of KR2008002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에 커넥터의 결합 방향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레버의 이동에 의해 캡과 플러그가 강제로 결합되도록 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류를 연결하도록 캡과 플러그로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어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직선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캡이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면서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가 좁은 공간에 배치되더라도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커넥터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가능해져 커넥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커넥터, 레버, 핀, 직선이동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1차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캡과 플러그의 최초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캡과 플러그의 결합 중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c는 캡과 플러그의 최종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6a는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B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7a는 곡선형 견인홈이 형성된 캡의 정면도.
도 7b는 다중경사형 견인홈이 형성된 캡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8a는 곡선형 작동공이 형성된 레버의 정면도.
도 8b는 다중경사형 작동공이 형성된 레버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11 : 전선결합구 12 : 접속구
20 : 플러그
21 : 전선결합구 22 : 접속구
23 : 슬라이딩홈 231 : 회전방지벽
232 : 회전방지공 24 : 걸림홈
25 : 클릭홈
30 : 레버
31 : 레버작동편 32 : 걸림턱
33 : 클릭돌기 34 : 이격돌기
40 : 커넥터결합부
41 : 견인홈 42 : 가이드공
43 : 작동공 44 : 핀
441 : 회전방지돌기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의 이동방향과 커넥터의 결합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회로상에서 각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캡과 플러그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각종 기계 및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전기적인 작동신호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는 작업자가 양 손으로 각각 캡과 플러그를 잡은 상태에서 서로 맞닿게 한 후 반대 방향으로 큰 힘을 가하여 결합하여야 함에 따라 좁은 작업공간에서 캡과 플러그를 결합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플러그 또는 캡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캡과 플러그를 강제 결합시키는 회전식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의 회전반경이 필수적으로 소요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 사용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은 힘으로 레버를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캡과 플러그가 결합되어 접속되도록 한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가 플러그와 견고히 결합되면서 원활하게 슬라 이딩 작동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레버가 플러그에서 직선이동 됨과 동시에 캡이 강제로 이동되면서 플러그에 접속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의 촉감에 의해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핀이 견인홈과 가이드공 및 작동공의 내측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홈에 레버가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류를 연결하도록 캡과 플러그로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어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직선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캡이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면서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양 측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양 측으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레버작동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캡의 양 측면에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측으로 개방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견인홈과, 상기 플러그의 양 측면에 관통되어 형 성되고, 수직 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레버작동편의 양 측면에 경사지게 관통되고,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작동공과, 상기 견인홈과 가이드공 및 작동공에 일체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및 레버의 일측에 상기 캡과 플러그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플러그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 및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으로 상기 레버의 최대 삽입 위치 및 최대 이탈 위치와 대응되는 클릭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편의 외측면에 상기 클릭홈에 삽입되는 클릭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의 외측면에 상기 레버와 캡의 사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으로 상기 플러그의 외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방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벽에 상기 작동공과 대응되는 회전방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과 맞닿는 레버작동편의 외측면에 레버작동편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1차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원을 연결하는 캡(10)과 플러그(20)로 구성된 커넥터에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레버(30) 및 레버(30)의 이동에 의해 캡(10)이 플러그(20)의 내측으로 강제로 압입되도록 하는 커넥터결합부(40)를 구비하여 캡(10)과 플러그(20)가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10)은 일측으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결합구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으로는 후술되는 플러그(20)와 맞물려지는 접속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금속재의 터미널(미도시)가 구비되어 터미널이 전선과 접속되면서 플러그(20)와 결합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캡(10)과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측으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결합구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으로는 캡(10)과 맞물려지는 접속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금속재의 플러그(20)핀(미도시)이 구비되어 플러그(20)핀이 상술한 터미널과 접촉되면서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플러그(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캡(10)과 플러그(20)가 강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20)의 양 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딩홈(23)을 형성하고, 레버(30)의 일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홈(23)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레버작동편(31)을 형성하 고, 타측이 플러그(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레버(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는 상술한 레버(3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캡(10)을 플러그(20)의 내측으로 강제로 끌어들여 결합시키거나 캡(10)을 플러그(20)에서 밀어내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견인홈(41)과, 상기 플러그(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42)과, 레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작동공(43) 및 견인홈(41), 가이드공(42) 작동공(43)에 일체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핀(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견인홈(41)은 캡(10)이 플러그(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핀(44)의 내측 끝단이 견인홈(41)에 삽입되고, 레버(30)의 이동에 의해 캡(10)이 플러그(20)와 강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10)의 양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캡(10)의 접속구 측으로는 개방되어 형성되며, 전선결합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42)은 상기 플러그(20)의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딩홈(23)과 연통되어 형성되고, 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수직 방향의 장공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핀(44)이 가이드공(4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공(4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공(43)은 상기 레버(30)의 레버작동편(31)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20)의 접속구에서 전선결합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핀(44)이 작동공(43)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공(4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 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핀(44)은 상기 가이드공(42)과 작동공(43)이 대응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플러그(20)와 레버(30)를 일체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레버(30)의 이동에 의해 플러그(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캡(10)이 플러그(20)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측 끝단이 플러그(2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술한 견인홈(41)의 선단 개방부를 통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플러그(20) 및 레버(30)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캡(10)과 플러그(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30)가 플러그(2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32) 및 걸림홈(24)을 형성하여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레버(30)가 이동하면서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걸림턱(32)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되도록 형성하여 캡(10)과 플러그(20)를 분리시킬 때 걸림턱(32)과 걸림홈(24)을 간편하게 분리시키면서도 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홈(23)의 내측으로는 상기 레버(30)가 최대로 삽입된 위치 및 최대로 이탈된 위치와 대응되게 함몰된 클릭홈(25)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작동편(31)의 외측면에는 상기 클릭홈(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승강되는 클릭돌기(33)를 형성하여 레버(30)의 최대 삽입 및 이탈 위치에서 클릭돌기(33)가 클릭홈(25)에 삽입되면서 딸깍거리는 느낌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이 힘든 좁거나 어두운 작업 공간에서도 커넥터의 완전 결합 및 분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캡(10)과 플러그(20)의 최초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b는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중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c는 캡(10)과 플러그(20)의 최종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시키기 전에 레버(30)를 플러그(20)의 외측으로 최대로 잡아당기면 도 4a에서와 같이 핀(44)은 작동공(43) 및 가이드공(42)을 따라 플러그(20)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핀(44)의 위치가 작동공(43)의 하면에 가로막혀 가이드공(42)의 하방으로 핀(44)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핀(44)의 내측 끝단이 견인홈(41)의 선단 개방부로 삽입되어 견인홈(41)의 내측으로 핀(44)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4b에서와 같이 레버(30)를 플러그(20)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레버(30)의 작동공(43)과 핀(44)이 맞닿으면서 핀(44)이 작동공(43) 및 가이드공(42)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캡(10)의 후방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견인홈(41)의 내측면을 핀(44)이 끌어당기게 되어 캡(10)이 플러그(20)의 내측으로 끌려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4c에서와 같이 레버(30)가 플러그(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핀(44)은 작동공(43) 및 가이드공(42)을 따라 완전히 하강하면서 견인홈(41)의 내측면을 플러그(20)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 캡(10)이 완전히 플러그(20)의 내측에 끌려들어와 캡(10)과 플러그(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캡(10)과 플러그(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반대 순서로 레버(30)를 플러그(20)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작동공(43)과 가이드공(42)을 따라 핀(44)이 상승하면서 핀(44)의 내측 끝단이 견인홈(41)의 내측면을 지지하면서 캡(10)을 플러그(2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캡(10)과 플러그(20)가 분리되는 것이다.
도 5는 캡(10)과 플러그(2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캡(10)과 플러그(2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상술한 핀(44)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버(30)와 캡(10)의 사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441)가 돌출되도록 하여 핀(44)이 가이드공(42) 및 작동공(43)을 따라 승강작동될 때 회전방지돌기(441)가 레버(30)와 캡(10)의 외측면을 각각 지지하면서 핀(44)이 측방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시 가이드공(42) 및 작동공(43)과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작동 중에 핀(44)이 승강되면서 상시 가이드공(42) 및 작동공(43)과 수직을 이루게 되어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핀(44)이 견인홈(41)의 내측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정확한 결합 및 분리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레버작동편(31)의 외측면에는 레버(30)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격돌기(34)를 형성하고, 이격돌기(34)에 의해 레버작동편(31)과 슬라이딩홈(23)의 내측면이 상시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레버작동편(31)과 슬라이딩홈(23)이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레버(30)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레버(30)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기 움직이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6a는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회전방지돌기의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23)의 내측으로 상기 플러그(20)의 외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방지벽(231)을 형성하고, 회전방지벽(231)에 상술한 작동공(43)과 대응되게 관통된 회전방지공(232)을 형성하여 핀(44)의 외측면에 상술한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핀(44)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면서 커넥터의 결합 작동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 때, 상술한 플러그(20)와 회전방지벽(231)의 이격 거리는 레버작동편(31)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레버작동편(31)이 플러그(2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과정에서 레버(30)가 움직임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견인홈(41)과 가이드공(42) 및 작동공(43)을 따라 핀(44)이 이동하면서 핀(44)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원활하고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7a는 곡선형 견인홈이 형성된 캡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다중경사형 견인홈이 형성된 캡의 정면도로서, 상술한 견인홈(41)은 핀(44)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나,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작동 시에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상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곡선형 또는 후방 측으로 점차 높은 경사도를 갖는 다중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통상적으로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할 때에는 캡(10)과 플러그(20)가 최초로 맞닿을 때에나, 마지막으로 최종 결합될 때 가장 많은 힘이 소요되는데, 이에 따라, 곡선 또는 다중경사면을 갖는 견인홈(41)을 따라 핀(44)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레버(30)를 작동시키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더욱 간편하게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레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8a는 곡선형 작동공이 형성된 레버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다중경사형 작동공이 형성된 레버의 정면도로서, 상술한 작동공(43)은 핀(44)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나,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작동 시에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상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곡선형 또는 후방 측으로 점차 높은 경사도를 갖는 다중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통상적으로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할 때에는 캡(10)과 플러그(20)가 최초로 맞닿을 때에나, 마지막으로 최종 결합될 때 가장 많은 힘이 소요되는데, 이에 따라, 곡선 또는 다중경사면을 갖는 작동공(43)을 따라 핀(44)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레버(30)를 작동시키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더욱 간편하게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상술한 가이 드공(42)은 핀(44)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플러그(20)의 수직 하향된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나, 캡(10)과 플러그(20)의 결합 작동 시에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상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플러그(20)의 접속구 측으로 돌출된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통상적으로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할 때에는 캡(10)과 플러그(20)가 최초로 맞닿을 때에나, 마지막으로 최종 결합될 때 가장 많은 힘이 소요되는데, 이에 따라, 곡선을 갖는 가이드공(42)을 따라 핀(44)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레버(30)를 작동시키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더욱 간편하게 캡(10)과 플러그(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에 결합되는 레버 및 레버의 이동에 의해 캡과 커넥터가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결합부를 형성하여 레버를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캡과 플러그가 결합되어 접속되도록 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서, 커넥터가 좁은 공간에 배치되더라도 작업자가 한 손 만으로 커넥터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가능해져 커넥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와 레버에 슬라이딩홈 및 레버작동편을 각각 형성하여 레버가 플러그와 견고히 결합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레버를 작동시킬 때 레버가 플러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결합부가 견인홈과 가이드공 및 작동공과 핀의 간단한 구성으로 레버가 플러그에서 직선이동 됨과 동시에 캡이 강제로 이동되면서 플러그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커넥터의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플러그와 레버가 견고히 결합되고, 레버를 원활하게 직선 이동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턱 및 걸림홈을 형성하여 캡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커넥터가 결합된 각종 기계장비 등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캡과 플러그가 분리되어 접속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전류의 연결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릭홈과 클릭돌기를 형성하여 레버의 촉감에 의해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가 눈으로 커넥터를 직접 보지 않고 손의 촉감 만으로도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핀의 외측면에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여 핀이 견인홈과 가이드공 및 작동공의 내측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상시 핀이 플러그 및 레버의 측벽과 수직을 이루게 되어 레버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움직일 뿐만 아니라 캡과 플러그의 결합 또한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돌기를 형성하여 슬라이딩홈에 레버가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레버가 이동될 때 발생되는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레버의 직선 방향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캡과 플러그를 결합할 때 소 요되는 힘이 더욱 줄어드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8)

  1.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류를 연결하도록 캡과 플러그로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어 캡과 플러그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직선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캡이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면서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양 측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양 측으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레버작동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캡의 양 측면에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측으로 개방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견인홈과,
    상기 플러그의 양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수직 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레버작동편의 양 측면에 경사지게 관통되고,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작동공과,
    상기 견인홈과 가이드공 및 작동공에 일체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레버의 일측에 상기 캡과 플러그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플러그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 및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으로 상기 레버의 최대 삽입 위치 및 최대 이탈 위치와 대응되는 클릭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편의 외측면에 상기 클릭홈에 삽입되는 클릭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외측면에 상기 레버와 캡의 사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으로 상기 플러그의 외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방 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벽에 상기 작동공과 대응되는 회전방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과 맞닿는 레버작동편의 외측면에 레버작동편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094213A 2006-09-27 2006-09-27 커넥터 KR10125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13A KR101259535B1 (ko) 2006-09-27 2006-09-27 커넥터
US11/861,579 US7479022B2 (en) 2006-09-27 2007-09-26 Connector with a lever to couple a cap to a plug
CN2007101857568A CN101350475B (zh) 2006-09-27 2007-09-27 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13A KR101259535B1 (ko) 2006-09-27 2006-09-2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650A true KR20080028650A (ko) 2008-04-01
KR101259535B1 KR101259535B1 (ko) 2013-05-06

Family

ID=3922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13A KR101259535B1 (ko) 2006-09-27 2006-09-27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79022B2 (ko)
KR (1) KR101259535B1 (ko)
CN (1) CN1013504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47Y1 (ko) * 2009-07-21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52562Y1 (ko) * 2008-05-19 2011-03-08 박근만 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2184B2 (ja) * 2013-11-28 2016-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と電源線の接続構造
CN111095687B (zh) * 2017-09-07 2021-10-29 赫斯曼汽车有限公司 电子插接连接器的具有沿着插接方向的移动方向的辅助拉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181A (ja) * 1987-12-09 1989-06-13 Yazaki Corp 低挿抜力多極コネクタ
JPH04160775A (ja) * 1990-10-22 1992-06-04 Yazaki Corp 嵌合操作用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DE69530364T2 (de) * 1995-01-16 2004-02-12 Molex Inc., Lisl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m Nockensystem
US5843625A (en) * 1996-07-23 1998-12-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reducing via and contact dimensions beyond photolithography equipment limits
EP0831559A3 (de) * 1996-09-19 1999-06-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verbinder
JP3334848B2 (ja) * 1996-12-25 2002-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KR100230428B1 (ko) * 1997-06-24 1999-11-15 윤종용 다층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126069A (ja) 1997-06-27 1999-01-29 Yazaki Corp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JPH1131551A (ja) * 1997-07-09 1999-02-02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422925B2 (ja) * 1998-03-30 2003-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155850A (en) * 1998-09-25 2000-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Cam slide electrical connector
JP3419715B2 (ja) * 1999-10-14 2003-06-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におけるロック機構
EP1100160B1 (en) * 1999-11-10 2007-03-2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3726641B2 (ja) * 2000-05-23 200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79154B2 (ja) * 2000-06-07 2012-07-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910268B2 (en) * 2001-03-27 2005-06-28 Formfactor, Inc. Method for fabricating an IC interconnect system including an in-street integrated circuit wafer via
DE10118914A1 (de) * 2001-04-19 2002-10-24 Bosch Gmbh Robert Kabelbaumstecker mit kompaktem Verriegelungselement
JP3863739B2 (ja) * 2001-07-16 200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式低挿入力コネクタ
US20030119308A1 (en) * 2001-12-20 2003-06-26 Geefay Frank S. Sloped via contacts
US6645832B2 (en) * 2002-02-20 2003-11-11 Intel Corporation Etch stop layer for silicon (Si) via etch in three-dimensional (3-D) wafer-to-wafer vertical stack
JP4160775B2 (ja) * 2002-05-13 2008-10-08 日本鋳鉄管株式会社 遠心鋳造設備における鋳鉄管の製造方法
US6569777B1 (en) * 2002-10-02 2003-05-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lasma etching method to form dual damascene with improved via profile
US6660630B1 (en) * 2002-10-10 2003-12-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a tapered dual damascene via por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KR100444588B1 (ko) * 2002-11-12 2004-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웨이퍼의 비아홀 형성방법
US20040222082A1 (en) * 2003-05-05 2004-11-11 Applied Materials, Inc. Oblique ion milling of via metallization
US7007258B2 (en) * 2003-06-13 2006-02-2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on of a via array within a fill area of a design layout
US7041598B2 (en) * 2003-06-25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rectional ion etching process for patterning self-aligned via contacts
US7449067B2 (en) * 2003-11-03 2008-1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vias
US20050118844A1 (en) * 2003-12-02 2005-06-02 Rho Suk Y. Junction box assembly
US6967282B2 (en) * 2004-03-05 2005-11-22 Raytheon Company Flip chip MMIC on board performance using periodic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US7186650B1 (en) * 2004-08-02 2007-03-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ntrol of bottom dimension of tapered contact via variation(s) of etch process
US7092284B2 (en) * 2004-08-20 2006-08-15 Infineon Technologies Ag MRAM with magnetic via for storage of information and field sensor
US7199050B2 (en) * 2004-08-24 2007-04-03 Micron Technology, Inc. Pass through via technology for use during the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US20060252262A1 (en) * 2005-05-03 2006-11-09 Rockwell Scientific Licensing, Llc Semiconductor structures having via structures between planar frontside and backside surfa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70004079A1 (en) * 2005-06-30 2007-01-04 Geefay Frank S Method for making contact through via contact to an offset contactor inside a cap for the wafer level packaging of FBAR chips
JP2007109758A (ja) * 2005-10-12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化合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62Y1 (ko) * 2008-05-19 2011-03-08 박근만 부트
KR200452247Y1 (ko) * 2009-07-21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0475A (zh) 2009-01-21
US20080076286A1 (en) 2008-03-27
KR101259535B1 (ko) 2013-05-06
US7479022B2 (en) 2009-01-20
CN101350475B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1115B (zh) 自由更换插头的电源插座
US768663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mechanism
JP5035990B2 (ja) 弾性レバー付きコネクタ
KR20080032243A (ko) 접속 보조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WO2017104312A1 (ja) コネクタ
KR101259535B1 (ko) 커넥터
CN211743556U (zh) 插头电连接器
JP2010010152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CN110197980A (zh) 导电端子和电连接器
JP3208887U (ja) 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ター
CN106887726B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11789791U (zh) 插头电连接器
US20110143570A1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CN109411954B (zh) 便于锁扣与解锁的插头连接器
CN210016048U (zh) 电连接器
KR200461009Y1 (ko) 원터치 플러그 분리 콘센트
CN208078303U (zh) 导电端子和电连接器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100677181B1 (ko) 플러그 커넥터
KR200258988Y1 (ko)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EP1037326A3 (en) Lever 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CN213071574U (zh) 适配器
CN211320470U (zh) 弹锁式插座
KR102302283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N217009764U (zh) 基于可扫描代码的连接器锁定验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