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181A -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181A
KR20080023181A KR1020070090859A KR20070090859A KR20080023181A KR 20080023181 A KR20080023181 A KR 20080023181A KR 1020070090859 A KR1020070090859 A KR 1020070090859A KR 20070090859 A KR20070090859 A KR 20070090859A KR 20080023181 A KR20080023181 A KR 2008002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echanism
electromechanical switching
lever element
weigh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코허
조르쥬 기슬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2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승강 설비 (10) 는 하나 이상의 높은 승강실 (A1) 및 하나 이상의 낮은 승강실 (A2),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를 포함하며, 이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의 기다란 런 (24) 에 중량체 (23) 가 고정되며, 이 중량체 (23) 가 중력 (G) 에 의해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가 이동 설정을 유지하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의 아래쪽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두 승강실 (A1, A2) 이 소망하지 않게 접근하는 경우에, 중량체 (23) 는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충돌하여 낮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를 개방한다. 중력 (G) 의 감소에 의해 높은 승강실 (A1) 의 안전 회로가 또한 개방된다.
승강 설비, 충돌 방지, 안전 장치

Description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 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 LIFT INSTALLATION OPERABLE BY THIS METHOD AND SAFETY EQUIPMENT FOR THIS LIFT INSTALLATION}
본 발명은 승강 설비, 특히 샤프트에 여러 승강실이 있는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 (multi-mobile lift installation) 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 방법에 의해 작동가능한 해당 승강 설비 및 이 승강실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승강 설비에 제공되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승강실은, 통상 고유의 구동기 및 고유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각각 구비한다. 전체 승강 설비의 전기적 제어부는 주로 개별 승강실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디자인된다. 특히, 승강실의 비상 정지 또는 심지어 보통의 층간 정지의 경우에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승강 샤프트에 상하로 배치된 추가 승강실이 적절한 시간에 정지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모든 상황에 있어서 보장되기 어렵다. 이러한 정지는 개별 승강실 사이의 충분한 간격 및 적절한 수직 속도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제어를 통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비 설정으로 인하여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이송 능력은 충분히 활용될 수 없기 때문에, 비용/활용도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는 유럽 특허 명세서 EP 765 469 B1 으로부터 공지되었는데, 이 문헌은 다른 승강실이 소망하지 않게 접근하는 경우에 승강실의 안전 회로를 개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 따르면, 각 승강실에는 안전 모듈이 존재하며, 이 안전 모듈은 승강실의 위치 및 속도를 평가하여 다른 승강실에서라도 제동 과정을 주어진 조건에서 촉발할 수 있다. 비상 상황에 정확하게 반응하기 위하여, 개별 안전 모듈은 다른 관련된 승강실의 위치 및 속도를 계속하여 인지하고 평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특별한 결정 모듈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모듈이 비상 상황의 경우에 정지 명령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해결책이 국제특허출원 WO 2004/043841 A1 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실이 접근하여 충돌하기 전에 승강실 사이에서 더욱 복잡한 정보 교환 없이 자동으로 승강실이 정지하는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신뢰성있는 수단에 의해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안전한 작동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어떠한 부가적인 샤프트 단면을 이용하거나 점유하지 않고 '충돌 방지' 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 선점은 종속항으로 실현된다.
승강기의 작동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승강 설비의 공통의 승강기 샤프트에서 모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높은 승강실 및 하나 이상의 낮은 승강실, 및 상기 높은 승강실의 아래쪽 영역에 배치된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가 제공되며, 이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기다란 런 (run) 에 고정된 중량체를 포함하며, 이 런에 고정된 중량체의 중력에 의해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가 이동 설정으로 유지된다.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상기 런에 고정된 상기 중량체의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상기 낮은 승강실의 위쪽 영역에 배치되며, 두 승강실이 소망하지 않게 접근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량체가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와 충돌한다. 상기 낮은 승강실의 안전 회로는 중량체가 충돌함으로써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에 의해 개방된다. 높은 승강실의 안전 회로는 중력이 감소함으로써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에 의해 개방된다.
유리하게,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레버 요소, 힘 저장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런은 상기 레버 요소에 고정되어 이 레버 요소가 상기 런 (24) 에 고정된 상기 중량체의 중력 (G) 에 의해 이동 설정을 유지한다. 상기 힘 저장부는 상기 레버 요소와 연결되어, 중력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활성화되어 안전 회로가 개방될 때 상기 레버 요소가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전환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요소는 레버 요소, 힘 저장부 및 스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힘 저장부는 상기 레버 요소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요소가 이동 설정을 유지한다. 상기 중량체가 레버 요소에 충돌하여 상기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안전 회로를 개방하면,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전환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수집 요소를 포함하며, 이 수집 요소는 상기 승강실의 접근시에 미세한 진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중량체가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의 상기 레버 요소에 충돌하도록 디자인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는 각 승강실을 위한 유지 브레이크 및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회로의 개방에 의해 상기 두 승강실의 구동기가 정지함은 물론 상기 두 승강실의 유지 브레이크가 역시 촉발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는 상기 두 승강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계적 안전 시스템을 형성한다.
또한, 안전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의 요소이다. 이 안전 장치는 제 1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해결책의 단순함과 신뢰성에 있다. 스위칭 기구는 표준 요소로 제작될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스위칭 기구의 작동에 있어서, 한 승강실의 안전 회로는 승강실과 안전 장치 사이의 소통과 무관하게 개방된다. 제작의 단순함 및 자발적 기능성으로 인해, 안전 장치는 고장에 취약하지 않다. 나아가, 소수의 시스템이 서로 매칭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해결책은 작동시 켰을 때 초기화가 단순하다.
상기 중량체가 충돌함으로써, 높은 승강실 및 낮은 승강실의 촉발 기구가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에, 안전 장치는 승강 설비의 제어 유닛과 소통하도록 배치될 경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명백해진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승강실의 소망하지 않는 접근에 관한 매우 풍부한 정보를 가지며, 안전 브레이크 또는 유지 브레이크의 촉발 등의 적절한 반응을 실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의 여러 다른 디자인은 승강 설비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 (실척으로 도시되지 않음)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1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승강실 (미도시) 의 높은 승강실 (A1) 및 제 3 승강실 (미도시) 의 낮은 승강실 (A2) 을 구비한 단순한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 (10) 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두 승강실은 승강 설비 (10) 의 승강기 샤프트 (11) 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실 (A1, A2) 에는 고유의 구동기가 제공되거나, 또는 예컨대 승강실이 승강기 샤프트 (11) 에서 개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중앙 구동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의 위치설정에 대하여는 많은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구동기는 개별 엔진 공간에 고정되거나, 승강기 샤프트 (11) 에 측방향으로 직접 또는 승강실의 위/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기가 승강실 (A1, A2) 의 요소인 승강기의 개념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승강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많은 접근법이 존재한다.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 (20) 가 제공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는 높은 승강실 (A1) 의 아래쪽 영역에, 예컨대 플로어 영역에 고정된다.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는 기다란 런 (24) 에 연결된 중량체 (23) 를 포함하는데, 이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의 중력 (G) 에 의해 소위 이동 설정 (보통 설정) 으로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가 유지된다.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의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낮은 승강실 (A2) 의 위쪽 영역에 고정 및 배치되어, 두 승강실 (A1, A2) 이 소망하지 않게 접근하는 경우에 중량체 (23) 가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와 충돌하게 된다.
중량체 (23) 가 충돌함으로써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의해 낮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또 거의 동시에 중력 (G) 의 감소 및 이와 관련된 런 (24) 에 걸리는 인장력이 감소함으로써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에 의해 높은 승강실 (A1) 의 안전 회로가 개방되도록, 두 스위칭 기구 (21, 22) 가 구성 및 배치된다.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 (10) 는, 바람직하게는 각 승강실 (A1, A2) 마다, 예컨대 안전 접촉부 및 안전 스위치 등의 몇 개의 안전 요소가 직렬 연결로 배치된 고유의 안전 회로를 갖는다. 해당 승강실 (A1 또는 A2) 은 안전 회로 및 이 회로에 일체화된 모든 안전 접촉부가 폐쇄되었을 때에만 이동할 수 있다. 안전 회로는 승강 설비 (10) 의 구동기 또는 제동 유닛과 연결되어, 예컨대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의 작동에 의해 그 안전 회로가 개방될 경우에 대응 승강실 (A1 또는 A2) 의 운행을 차단한다.
두 구동기의 스위칭 오프 (swiching-off) 및 두 승강실 (A1, A2) 의 유지 브레이크의 촉발 (triggering) 은 각 안전 회로의 개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안전 회로 대신에 안전 버스 시스템 (safety bus system) 이 구비된 승강 설비 (10) 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안전 장치 (20) 는 승강실 사이의 어떠한 정보 교환 또는 승강기 제어부의 어떠한 차단 (관련된 승강실의 안전 버스 시스템 또는 안전 회로에 포함되는 한) 도 필요치 않는, 즉 안전 장치 (20) 는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라도 완전히 자발적으로 작동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순수한 전자기계적 시스템이다.
실시예의 제 2 양태의 상세사항은 도 2 를 참고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 또는 성분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다. 실시예의 제 2 양태에서도, 중량체 (23) 가 충돌함으로써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의해 낮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또 거의 동시에 중력 (G) 이 감소함으로써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에 의해 높은 승강실 (A1) 의 안전 회로가 개방되도록, 두 스위칭 기구 (21, 22) 가 구성 및 배치된다.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는 기다란 레버 요소 (25), 힘 저장부 (30) 및 스위치 (26) 를 포함한다. 런 (24), 예컨대 로프 또는 케이블은 레버 요소 (25) 에 고정되고, 그 레버 요소 (25) 는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의 중력 (G) 에 의해 이동 설정을 유지한다. 힘 저장부 (30) 는 레버 요소 (25) 와 연결된 요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중력 (G) 이 감소하여 스위치 (26) 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레버 요소는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힘 저장부 (30) 로서는 스프링 기반의 기구가 특히 적절한데, 도 2 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이 기구는 레버 요소 (25) 의 피봇축 (32) 영역에 위치하며, 런 (24) 이 회복될 때 시계방향으로 피봇축 (32) 에 대하여 레버 요소 (25) 를 이동시키기 위한 토크를 미리 결정한다. 그러나, 레버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스프링 기반의 기구가 또한 힘 저장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런 (24) 에서 변형율이 상당히 감소하는 즉시 레버 요소 (25) 를 이동시켜 스위치 (26) 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힘 저장부 (30) 는 충분한 힘을 제공하여야 한다.
스위치 (26) 는 레버 요소 (25) 와 직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레버 요소 (25) 가 시계방향으로 어느 정도 피봇축 (32) 에 대하여 회전하자마자 촉발되는 요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26) 의 실시예의 양태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스위치는 단부 롤러 (33) 를 구비한 짧은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 (25) 의 피봇에 있어서, 짧은 레버가 이동하여 스위치 (26) 가 활성 화된다.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요소 (22) 는 레버 요소 (28), 힘 저장부 (31) 및 스위치 (29) 를 또한 포함한다. 힘 저장부 (31) 가 레버 요소 (28) 에 연결되어, 레버 요소 (28) 는 이동 설정을 유지한다. 중량체 (23) 가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의 레버 요소 (28) 에 충돌하여 스위치 (29) 가 활성화된 경우, 레버 요소는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전환된다. 낮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는 스위치 (26) 에 의해 개방된다.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수집 요소 (27)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수집 요소는 승강실 (A1, A2) 의 접근시에 미세한 진동이 있는 경우에도 중량체 (23) 가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의 레버 요소 (28) 에 충돌하도록 디자인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깔대기 (funnel) 가 수집 요소 (27) 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요소 (27) 는 선택적이다.
스위치 (29) 는 레버 요소 (28) 와 직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레버 요소 (28) 가 반시계방향으로 어느 정도 피봇축에 대하여 회전하자마자 촉발되는 요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29) 의 실시예의 양태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스위치는 단부 롤러 (34) 를 구비한 짧은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 요소 (28) 의 피봇에 있어서, 짧은 레버가 이동하여 스위치 (29) 가 활성화된다.
승강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수단에 의해, 단순하고, 안전하며, 튼튼한 발전된 전자기계적 스위칭 오프 가 실현될 수 있다. 설명한 안전 장치 (20) 를 통하여, 최소 간격 (S) 이 감소할 때 (도 1 참조) 비상 정지가 자동으로 촉발된다. 승강실 (A1) 및 승강실 (A2) 모두가 서로 충분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정상 상태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승강실 (A1, A2) 이 더욱 접근하여 간격 (R) 이 0 으로 감소한다면, 중량체 (23) 는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충돌하게 되고, 스위치 (29) 에 의해 낮은 승강실 (A2) 의 즉각적인 정지를 촉발한다. 거의 동시에, 위쪽 요소 (25) 가 상방으로 구동하여, 스위치 (26) 에 의해 높은 승강실 (A1) 의 즉각적인 정지가 또한 촉발된다.
동일한 샤프트 (11) 에서 여러 승강실이 운행된다면, 이들 승강실 사이에는 해당 안전 장치 (20) 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다중 이동성 승강 설비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Claims (7)

  1.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으로서,
    - 상기 승강 설비 (10) 의 공통의 승강기 샤프트 (11) 에서 모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높은 승강실 (A1) 및 하나 이상의 낮은 승강실 (A2) 이 제공되며,
    - 상기 높은 승강실 (A1) 의 아래쪽 영역에 배치된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가 제공되며, 이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는 기다란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를 포함하며, 이 런 (24) 에 고정된 중량체 (23) 의 중력 (G) 에 의해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가 이동 설정을 유지하며,
    - 상기 런 (24) 에 고정된 상기 중량체 (23) 의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상기 낮은 승강실 (A2) 의 위쪽 영역에 배치된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가 제공되며,
    - 소망하지 않게 상기 두 승강실 (A1, A2) 이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중량체 (23) 는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충돌하게 되며,
    - 상기 충돌로 인하여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에 의해 상기 낮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가 개방되며, 그리고
    - 중력 (G) 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에 의해 상기 높은 승강실 (A1) 의 안전 회로가 개방되는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는 레버 요소 (25), 힘 저장부 (30) 및 스위치 (26) 를 포함하며, 상기 런 (24) 은 상기 레버 요소 (25) 에 고정되어 이 레버 요소 (25) 가 상기 런 (24) 에 고정된 상기 중량체 (23) 의 중력 (G) 에 의해 이동 설정을 유지하며, 상기 힘 저장부 (30) 는 상기 레버 요소 (25) 와 연결되어 중력 (G) 이 감소하여 상기 스위치 (26) 가 활성화되어 안전 회로가 개방될 때 상기 레버 요소 (25) 가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요소 (22) 는 레버 요소 (28), 힘 저장부 (31) 및 스위치 (29) 를 포함하며, 상기 힘 저장부 (31) 는 상기 레버 요소 (28) 연결되어 상기 레버 요소 (28) 가 이동 설정을 유지하며, 상기 중량체 (23) 가 레버 요소 (28) 에 충돌하여 상기 스위치 (29) 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안전 회로를 개방하면,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이동 설정으로부터 비상 설정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수집 요소 (27) 를 포함하며, 이 수집 요소는 상기 승강실 (A1, A2) 의 접근시에 미세한 진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중량체 (23) 가 상기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의 상기 레버 요소 (28) 에 충돌하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10) 의 작동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 (10) 로서,
    상기 승강 설비 (10) 는 각 승강실 (A1, A2) 을 위한 유지 브레이크 및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회로의 개방에 의해 상기 두 승강실 (A1, A2) 의 구동기가 정지함은 물론 상기 두 승강실 (A1, A2) 의 유지 브레이크가 역시 촉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1)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 (22) 는 상기 두 승강실 (A1, A2) 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계적 안전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10).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 (10) 용 안전 장치 (20) 로서,
    상기 안전 장치 (20) 는 제 1 및 제 2 전자기계적 스위칭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20).
KR1020070090859A 2006-09-08 2007-09-07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 KR20080023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0359 2006-09-08
EP06120359.2 2006-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181A true KR20080023181A (ko) 2008-03-12

Family

ID=3805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859A KR20080023181A (ko) 2006-09-08 2007-09-07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779967B2 (ko)
EP (1) EP1905717B1 (ko)
JP (1) JP5147106B2 (ko)
KR (1) KR20080023181A (ko)
CN (1) CN100595120C (ko)
AR (1) AR062714A1 (ko)
AU (1) AU2007216677B8 (ko)
BR (1) BRPI0705798A (ko)
CA (1) CA2600955A1 (ko)
EG (1) EG24538A (ko)
MX (1) MX2007010365A (ko)
MY (1) MY146205A (ko)
NZ (1) NZ560838A (ko)
RU (1) RU2438959C2 (ko)
SG (1) SG141341A1 (ko)
TW (1) TWI383944B (ko)
ZA (1) ZA200707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455B2 (ja) * 2005-10-25 2013-07-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複数かごのエレベータ安全装置および方法
EP1894874A1 (de) *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ZA200710597B (en) * 2006-12-21 2008-11-26 Inventio Ag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 of two lift cages movable in the same shaft of a lift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lift installation
US8813919B2 (en) * 2008-12-23 2014-08-26 Inventio Ag Elevator safety system preventing collision of cars
ES2926908T3 (es) * 2011-03-22 2022-10-31 Otis Elevator Co Conjunto de protección de los dedos de los pies para un sistema de ascensor
US9428365B2 (en) 2011-04-05 2016-08-30 Otis Elevator Company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101808971B1 (ko) * 2013-09-03 2018-01-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07275B2 (en) * 2016-06-10 2019-09-10 Otis Elevator Company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elevator operations
CN108382942B (zh) * 2018-04-11 2023-09-19 浙江速捷电梯有限公司 一种双层轿厢电梯
EP3620419A1 (en) * 2018-09-07 2020-03-11 KONE Corporation Constant deceleration progressive safety gear system
CN111891882B (zh) * 2020-09-09 2023-09-08 金胜昔 一种连续升降机构、连续升降机构的提升方法及竖井
CN112744673B (zh) * 2020-12-22 2022-10-11 合肥学院 一种施工升降机用人员防坠装置
CN115321311B (zh) * 2022-08-19 2023-06-20 深圳市菲昂机电有限公司 一种高可靠型的低功耗机电设备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715A (en) * 1951-01-05 1955-05-17 Western Electric Co Crane control systems
JPS59133188A (ja) * 1983-01-20 1984-07-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JPS62136470U (ko) * 1986-02-21 1987-08-27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ATE256625T1 (de) * 1995-10-17 2004-01-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 aufzugsgruppen
JPH09124247A (ja) * 1995-10-31 1997-05-13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用安全装置
EP1329412B1 (en) * 2000-10-10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US6554107B2 (en) * 2001-09-27 2003-04-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JP4107858B2 (ja) * 2002-03-22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104911B2 (ja) * 2002-06-07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04043841A1 (de) * 2002-11-09 2004-05-27 Thyssenkrupp Elevato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DE502005000701D1 (de) * 2005-03-05 2007-06-2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WO2006097139A1 (de) * 2005-03-12 2006-09-2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JP5247455B2 (ja) * 2005-10-25 2013-07-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複数かごのエレベータ安全装置および方法
EP1894874A1 (de) *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33500A (ru) 2009-03-20
AU2007216677B2 (en) 2012-12-20
NZ560838A (en) 2009-03-31
AU2007216677B8 (en) 2013-02-14
SG141341A1 (en) 2008-04-28
EP1905717A1 (de) 2008-04-02
AU2007216677A1 (en) 2008-04-03
US20080067014A1 (en) 2008-03-20
CA2600955A1 (en) 2008-03-08
ZA200707601B (en) 2008-09-25
BRPI0705798A (pt) 2008-07-22
CN100595120C (zh) 2010-03-24
EP1905717B1 (de) 2014-06-04
EG24538A (en) 2009-09-03
US7779967B2 (en) 2010-08-24
RU2438959C2 (ru) 2012-01-10
AR062714A1 (es) 2008-11-26
MX2007010365A (es) 2009-01-30
JP2008063145A (ja) 2008-03-21
CN101139058A (zh) 2008-03-12
TWI383944B (zh) 2013-02-01
MY146205A (en) 2012-07-31
JP5147106B2 (ja) 2013-02-20
TW200821252A (en)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3181A (ko) 승강 설비의 작동 방법, 이 방법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설비및 이 승강 설비를 위한 안전 장치
JP501009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953926B (zh) 电梯装置
EP261637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US8869945B2 (en) Supplemental elevator safety system
EP2229331B1 (en) Control strategy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CN108883894B (zh) 用于运行电梯系统的方法和设计用于执行该方法的电梯系统
EP1604934B1 (en) Temporary safety spaces for elevators
EP3336032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EP3702310B1 (en) Elevator safety with translating safety block
RU2464217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аезда двух установленных в одной шахте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движения лифтовых кабин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CN112978524A (zh) 电梯功能安全控制系统
JP410491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2408138A (zh) 一种浅底坑电梯的安全保护装置
WO2022013606A1 (en) System and method to operate a pneumatic vacuum elevator
CN117377632A (zh) 用于线性马达升降机的固定式机械制动器
AU2021405615A1 (en) Elevator,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JPS6031748B2 (ja) エレベ−タの救出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