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858A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858A
KR20080022858A KR1020060086607A KR20060086607A KR20080022858A KR 20080022858 A KR20080022858 A KR 20080022858A KR 1020060086607 A KR1020060086607 A KR 1020060086607A KR 20060086607 A KR20060086607 A KR 20060086607A KR 20080022858 A KR20080022858 A KR 2008002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anel
display panel
seal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161B1 (ko
Inventor
신경안
전성록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8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0Clos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1Apparatus used for sealing vessels, e.g. furnaces, machines or the like
    • H01J2209/262Apparatus used for sealing vessels, e.g. furnaces, machines or the like means for applying sealing materials, e.g. frit paste dispen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4Materials for sealing vessels, e.g. frit glass compounds, resins or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와, 패널 지지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실런트(sealant)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을 구비하며, 도포 유닛은: 실런트를 공급받아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향해 토출하는 노즐;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제1 구동부에 의해 노즐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부; 및 간격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도포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Apparatus of dispensing sealant for sealing flat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노즐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패널 110..패널 지지부
111.회전 구동부 120..도포 유닛
121..노즐 131..제1 구동부
141..제2 구동부 151..간격 측정부
161..제어부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글라스 기판에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을 패턴 형성하고, 상부 글라스 기판과 대향이 되는 하부 글라스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 전극을 패턴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기판에 가장자리를 따라 씨일(seal)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 다음, 기판들 사이를 합착하기 전에 씨일 페이스트가 도포된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방식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한 후 기판들 사이를 합착하거나, 기판들 사이를 합착한 후 그 사이로 액정을 주입하는 방식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면적의 상,하부 글라스 기판에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단위 패널을 다수 개로 형성하여 모 패널(mother panel)을 제조한 후, 단위 패널별로 절단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다수의 단위 패널(10a)이 형성된 모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액정 주입 방식으로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하부 글라스 기판(11, 12)에 단위 패널(10a)마다 액정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을 형성하고, 씨일 페이스트(13)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한 다음, 기판들(11, 12) 사이를 합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단위 패널(10a)마다 도포된 씨일 페이스트(13)는 일부가 개구되게 패턴 형성되어 액정 주입구(14)를 가짐으로써, 액정 주입구(14)를 통해 단위 패널(10a) 내로 액정이 주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단위 패널(10a)별로 절단하는 공정 등과 같은 후속 공정을 위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기판들(11, 12) 사이의 합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기판들 사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판들(11, 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 부재(15)가 형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가장자리를 따라 기판들(11, 12) 사이에 틈(16)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틈(16)은 기판들(11, 12)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게 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접착 부재(15)가 중간에 끊어져 형성되어 있거나, 단위 패널(10a)별로 절단이 용이할 수 있게 절단되는 부위에 접착 부재(15)를 인위적으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판들(11, 12) 사이의 틈(16)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된 후, 씨일 페이스트(13)의 액정 주입구(14)를 통해 유입됨으로써, 단위 패널(10a)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들(11, 12) 사이의 틈(16)을 없앨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를 도포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없앨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이 불규칙하더라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는, 적재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패널 지지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실런트(sealant)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도포 유닛은: 실런트를 공급받아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향해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부; 및 상기 간격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도포 유닛;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패널과 같은 각종 패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장의 기판들(11, 12)이 상호 합착되어 구성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 이하 패널이라 함)의 측면에 실런트(sealant)를 도포함으로써, 실런트가 경화된 후 패널(10)의 둘레가 밀봉될 수 있게 하여, 패널(10)의 기판들(11, 12)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없앨 수 있게 한다.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100)는 패널 지지부(110)와, 도포 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지지부(110)는 일 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적재된 패널(10)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패널 지지부(110)는 패널(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패널(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면이 사각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패널 지지부(110)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구동부(111)에 의해 90°씩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될 필요가 있다. 이는 도포 유닛(120)이 패널 지지부(110)의 일 측에 배치됨에 따라, 패널(10)의 네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만을 도포하게 되므로, 패널(10)을 90°씩 회전시켜가면서 패널(10)의 네 측면들 모두에 실런트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 구동부(111)는 통상적인 회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포 유닛(120)은 전술한 패널 지지부(1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패널(10)의 측면에 실런트를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포 유닛(120)은 노즐(121)과, 제1 구동부(131)와, 제2 구동부(141)와, 간격 측정부(151), 및 제어부(161)를 구비할 수 있다.
노즐(121)은 실런트 저장용기(122)로부터 실런트를 공급받아서 실린트를 토출한다. 여기서, 노즐(121)은 패널(10)의 측면에 실런트를 토출할 수 있도록, 끝 부위가 패널(10)의 측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실런트 저장용기(122)에는 노즐(121)이 실런트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 압력을 가하는 한편, 토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압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1)는 패널(10)에 대해 노즐(121)이 가까워지고 멀어질 수 있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으로 노즐(121)을 수평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노 즐(121)로부터 패널(10)의 측면까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구동부(131)는 제1 스테이지(132)와, 적어도 한 쌍의 제1 LM(Linear Motion) 가이드(133)들, 및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132)는 상부에 노즐(121) 및 실런트 저장 용기(122)가 장착되게 함으로써,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34)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노즐(121)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LM 가이드(133)들은 제1 방향에 따른 제1 스테이지(132)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스테이지(132)와 제2 스테이지(142)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34)는 제1 스테이지(132)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노즐(121)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니어 모터는 전류 공급에 따라 고정자와 이동자 사이에 추력, 즉 미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정자에 대해 이동자가 직선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리니어 모터가 이용되는 경우, 리니어 모터에 마련되는 고정자와 이동자는 제1 스테이지(132)와 제2 스테이지(142) 사이에서 상호 마주하는 부위들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이동자는 제1 스테이지(132)에 고정되며, 고정자는 제2 스테이지(14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는 이동자를 둘러싸게 형성되되, 이동자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34)는 제1 스테이지(132)에 나사 결합하 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1 구동부(131)는 제1 방향에 따른 노즐(12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위치 센서는 노즐(121)의 정밀한 위치 제어를 위해 리니어 엔코더(linear encoder)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니어 엔코더는 제1 스테이지(132)의 이동량과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61)로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방향에 따른 노즐(12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구동부(131)는 노즐(121)을 원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원점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41)는 전술한 제1 구동부(131)에 의해 노즐(121)이 이동하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 함)으로 노즐(121)을 수평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패널(10)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를 도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구동부(141)는 제2 스테이지(142)와, 적어도 한 쌍의 제2 LM 가이드(143)들, 및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142)는 상부에 제1 LM 가이드(133)들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테이지(132)가 장착되게 함으로써,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44)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1 스테이지(132)와 함께 노즐(121)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2 LM 가이드(143)들은 제2 방향에 따른 제2 스테이지(142)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스테이지(142)와 베이스 프레임(101)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44)는 제2 스테이지(142)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44)는 베이스 프레임(10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고 제2 스테이지(142)에 나사 결합한 볼 스크류(145), 및 상기 볼 스크류(14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모터(14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니어 액추에이터(144)는 제1 리니어 액추에이터(134)에서와 같이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2 구동부(141)는 제2 방향에 따른 노즐(12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위치 센서,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엔코더(linear encoder)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리니어 엔코더는 제2 스테이지(142)의 이동량과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61)로 제공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2 방향에 따른 노즐(12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 구동부(141)는 노즐(121)을 원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원점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간격 측정부(151)는 패널(10)의 측면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동안 노즐(121)로부터 패널(10)의 측면까지 간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61)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간격 측정부(151)는 노즐(121)과 패널(1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비전 카메라(15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전 카메라(152)는 노즐(121)의 상측에서 제2 구동부(141)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 바람직하게는 패널(10)의 가장자리 선과 노즐(121)의 끝 부위를 포함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비전 카메라(152)는 제2 스테이지(142)에 고정 결합하고 노즐(12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카레라 브래킷(153)에 장착됨으로써, 노즐(121)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전 카메라(152)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노즐(121)과 패널(10) 사이의 간격을 산출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한 영상 처리 방법은 통상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는 노즐(121)의 끝 부위로부터 연장된 선과 패널(10)의 가장자리 선이 만나는 지점의 위치와 기준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노즐(121)과 패널(10) 사이의 간격을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후술할 제어부(161)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전술한 간격 측정부(15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1)이 패널(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G)을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상술하면, 제어부(161)는 실런트 도포가 진행되는 동안 간격 측정부(151)에 의해 노즐(121)로부터 패널(10)의 측면까지 측정된 간격 값을 초기 설정된 간격 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이동하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1)는 측정된 간격 값이 설정된 간격 값보다 크면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패널(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며, 이와 반대로 측정된 간격 값이 설정된 간격 값보다 작으면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패널(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121)이 패널(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G)을 유지하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하면서, 노즐(121)이 패 널(1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구동부(141)를 제어함으로써, 패널(10)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게 한다.
즉, 제어부(161)는 패널(10)의 측면이 불규칙하더라도 패널(10)의 측면에 실런트의 단선 없이 실런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런트의 경화 후, 패널(10)의 기판들(11, 12) 사이에 존재하는 틈이 완전히 밀봉될 수 있는바, 기판들(11, 12)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어 패널(10)의 불량이 방지될 수 있으며, 패널(10)의 구조가 강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100)에 의해, 패널(10)의 측면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런트 도포가 시작되기 전에, 제어부(161)에서는 노즐(121)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161)에서는 간격 측정부(15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노즐(121)의 끝 부위가 패널(10)의 일 코너를 향할 때까지 제2 구동부(141)를 제어하여 노즐(121)을 이동시키는 한편, 간격 측정부(151)에 의해 노즐(121)로부터 패널(10)의 측면까지 측정된 간격 값이 초기 설정된 간격 값과 일치할 때까지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하여 노즐(121)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노즐(121)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실런트 도포가 시작되면, 제어부(161)에서는 일 코너에 있던 노즐(121)이 제2 방향을 따라 반대쪽 코너 쪽으로 이동하도록 제2 구동부(141)를 제어하면서, 간격 측정부(151)에 의해 노즐(121)로부터 패널(10)의 측면까지 실시간으로 측정된 간격 값을 입력받은 후,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이동하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이때, 측정된 간격 값이 설정된 간격 값보다 크다고 제어부(161)에서 판단하면, 제어부(161)에서는 노즐(121)과 패널(10)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패널(10)에 가까워지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이와 반대로, 측정된 간격 값이 설정된 간격 값보다 작다고 제어부(161)에서 판단하면, 제어부(161)에서는 노즐(121)과 패널(10) 사이의 간격을 늘리기 위해, 그 차이만큼 노즐(121)이 패널(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패널(10)의 네 측면들 중 첫 번째 측면에 실런트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패널의 첫 번째 측면에 실런트 도포가 완료되면, 제어부(161)에서는 패널(10)의 회전시 노즐(121)이 패널(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노즐(121)을 이동시킨 후, 회전 구동부(111)에 의해 패널 지지부(110)를 90°회전시켜 패널(10)이 90°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제어부(161)에서는 전술한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패널(10)의 두 번째 측면에 실런트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패널(10)의 세 번째 측면, 네 번째 측면에도 실런트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실런트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 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2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도포 유닛(120)이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도포 유닛(120)들은 패널 지지부(11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패널(10)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10)의 네 측면들 중 두 측면들에 실런트 도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패널 지지부(1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구동부(111)에 의해 90°회전 가능하게 될 필요가 있다. 이는 패널(10)의 네 측면들 중 두 측면들에 실런트 도포가 완료된 후, 패널(10)을 90°시켜 나머지 두 측면들에 실런트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패널(10)의 네 측면들 모두에 실런트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300)에는, 전술한 제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도포 유닛(120)이 두 쌍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두 쌍의 도포 유닛(120)들은 패널 지지부(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됨으로써, 패널(10)의 네 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10)의 네 측면들에 실런트 도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10)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 로, 패널 지지부(11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11)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장의 기판들이 상호 합착되어 구성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실런트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실런트가 경화된 후 패널의 둘레가 밀봉될 수 있게 하여, 패널의 기판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패널의 측면이 불규칙하더라도 패널의 측면에 실런트의 단선 없이 실런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의 기판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이 완전히 밀봉될 수 있는바, 기판들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어 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패널의 구조가 강건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적재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패널 지지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실런트(sealant)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도포 유닛은:
    실런트를 공급받아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향해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노즐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부; 및
    상기 간격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노즐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도포 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90°씩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유닛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유닛은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측정부는, 상기 노즐의 상측에서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촬영한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비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런트 도포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간격 측정부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까지 측정된 간격 값을 초기 설정된 간격 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상기 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KR1020060086607A 2006-09-08 2006-09-08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KR10123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07A KR101238161B1 (ko) 2006-09-08 2006-09-08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07A KR101238161B1 (ko) 2006-09-08 2006-09-08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58A true KR20080022858A (ko) 2008-03-12
KR101238161B1 KR101238161B1 (ko) 2013-02-28

Family

ID=3939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07A KR101238161B1 (ko) 2006-09-08 2006-09-08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1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7069A (zh) * 2010-12-01 2012-06-06 塔工程有限公司 用于平板显示单元的补充密封的装置
KR20120058759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KR101336541B1 (ko) * 2013-01-02 2013-12-03 이구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드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KR101428557B1 (ko) * 2014-04-15 2014-08-12 (주)프랜즈시스템 Woled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드 실링 시스템
CN106862011A (zh) * 2017-03-23 2017-06-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密封框胶涂布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26B1 (ko) 2018-07-03 2020-01-31 배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용 실런트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642B1 (ko) * 2001-12-19 2005-08-0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턴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759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CN102487069A (zh) * 2010-12-01 2012-06-06 塔工程有限公司 用于平板显示单元的补充密封的装置
KR101336541B1 (ko) * 2013-01-02 2013-12-03 이구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드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KR101428557B1 (ko) * 2014-04-15 2014-08-12 (주)프랜즈시스템 Woled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드 실링 시스템
CN106862011A (zh) * 2017-03-23 2017-06-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密封框胶涂布装置
CN106862011B (zh) * 2017-03-23 2019-01-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密封框胶涂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161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161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밀봉용 실런트 도포장치
KR20120069141A (ko) 노즐세정장치 및 노즐세정장치가 구비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077814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CN101855593B (zh) 液滴涂敷装置、液滴涂敷方法、液晶显示面板的制造装置及液晶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050056798A (ko) 디스펜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10111001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US75533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ne drop fill apparatus used for the same
US9581939B2 (en)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JP2003295219A (ja) 液晶パネル、液晶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80782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1208029B1 (ko)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이드 실링 장치
JP2008036454A (ja) 塗布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56126A (ko) 디스펜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JP2004206114A (ja) 液晶表示パネルのディスペンサ及びこれを利用したディスペンシング方法
KR20110042733A (ko) 기판위치결정장치 및 방법
Park et al. Liquid crystal cell process
JP2007125552A (ja) ペーストディスペンサーのヘッドユニット
KR20030091541A (ko) 액정표시장치용 씰 패턴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140047436A (ko) 표시 패널의 에지 부분을 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45902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 방법
US20130022738A1 (en) Liquid crystal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upporting stage
JP2004290885A (ja) 塗布物の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07329A (ko) 유체토출장치의 헤드유닛
JP2006181418A (ja) シール材描画方法、シール材描画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装置の製造装置
JP2009058605A (ja) 配向膜の形成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