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172A - 기재를,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기재를,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172A
KR20080018172A KR1020077027426A KR20077027426A KR20080018172A KR 20080018172 A KR20080018172 A KR 20080018172A KR 1020077027426 A KR1020077027426 A KR 1020077027426A KR 20077027426 A KR20077027426 A KR 20077027426A KR 20080018172 A KR20080018172 A KR 2008001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s
insert
fixing device
support structur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508B1 (ko
Inventor
쟝-끌레멩 뉘귀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8001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substrate)(1, 2)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특히 각기 상대방 앞에 적어도 2개의 판들(1, 2)사이에 위치하는 수용 요소들(3)을 포함하는 다중 글래이징 유닛 (multiple glazing unit) 그리고 판 하중을 전달시키기 위한 운송 구조물인데, 여기서 상기 수용 요소(3)는 디멘전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장치는 판들(1, 2)간의 상대적인 이동이 수행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 또한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재를,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FIXING SUBSTRATES, IN PARTICULAR GLASS SUBSTRATES}
본 발명은 판, 특히 유리 기재 판들을 위한 고정 장치로서, 각 기재(each substrate) 사이에 위치한 유지 요소와 판의 하중을 지지구조물로 전달하는 목적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요소는 판들과 지지구조물사이의 디멘전 변이 또는 차이, 변형, 그리고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주택 및 서비스 건물(tertiary building) 또는 가사 목적의 건물을 위한 유리 전면(facades)의 제조 동안에, 주로 투명한 건축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예를 들어 전면 옹벽에서, 단지 적은 표면적에 걸쳐 창유리 유닛을 지지하는 고립된 유지 또는 고정 요소를 사용하는 다수의 테크닉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쌍으로 있는 기재를 이들을 분리시키는 주변 조인트 비드에서 또는 판에 만들어진 드릴 구멍을 통해 통과하는 유지 요소에서 쌍으로 있는 기재를 지지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유리 전면의 안전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하중이 중요성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외부 하중(유리 자체의 무게, 바람, 강우 및 강설(precipitation), 충격,등)가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온도 차이, 지지 구조물의 공차, 조립 에 러에 따른 응력을 통한 작용들로부터 야기되는 것들이 있다.
이에 더해, 유리 기재는 깨지기 쉬우며, 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는 달리, 탄성적 변형만을 자원하며 가소적(plastic) 변형은 전혀 지원하지 못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원리상, 유리 기재는 따라서 하중에 의해 행사되는 하중이 지지구조물에 전달되는 동안 최소의 역학적 장력아래 놓이게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역학적으로 견고한 전면이 디자인 되려면, 이들 전면은 다수의 유리 기재를 병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바, 디자이너는 몇 개의 솔루션을 가지게 된다.
제 1 솔루션은 유리 기재를 오버디멘저닝(overdimensioning)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오버디멘저닝은 보통 판의 두께에 대해 이루어진다. 이 솔루션의 주요 단점은, 오버디멘저닝이 무게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사실에 있으며, 이는 유지 요소의 오버디멘저닝과 지지구조물의 보강을 포함하게 된다.
제 2 솔루션은 유리 기재의 오버디멘저닝이 아니라 유리 기재와 지지구조물 사이에, 판을 응력하에 두지 않으면서 판과 지지구조물사이에서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도(degrees of freedom)를 (병진 이동에서, 회전에서, 이들 둘의 조합에서) 가지는 유지 요소를 받아들이는데 있다.
이 제 2 솔루션은 판들 사이의 디멘저널 공차를 보정하는데 그리고 외부 하중(예를 들어 바람)로부터 발생한 힘을 지지구조물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한에서 최고의 만족도를 제공하지만, 두 판 사이에 갇혀져 있는 가스 유체의 온도 변화로 부터 기인하는 힘을 견디는 것이 필요한 때 작동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온도에 있어서 증가 또는 감소로의 온도 변화는 갇혀진 유체의 부피 또는 압력에 있어 변화를 유도하며, 받아들여지는 역학적 한계를 초과하는 판들에 대한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재 사이의 스웰링(swelling) 현상 또는 이와 반대인 수축 현상을 발생시키게 되며, 따라서 파손을 야기를 감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판들 사이에 갖혀진(trapped) 유체의 열역학적 상태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제약하는 판과 지지구조물사이에 유지(retaining) 요소에 대한 향상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단점들을 경감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인 판들을 위한, 특히, 기재들을 위한, 특정적으로 유리 기재를 위한 고정장치로서, 다중 창유리 유닛의 형태로 조립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기재중 적어도 하나와 기재들의 하중을 지지구조물로 전달하는 목적의 지지구조물 사이에 놓여진 유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요소는 디멘저널 변이에 대한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이 또한 상기 기재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모드에서 다음의 성질들 중의 하나및/또는 다른 것을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수단은, 한편으로, 제 1 기재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요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 2 기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디멘저널 변이의 보정을 위한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요소를 포함한다.
디멘저널 변이의 보정을 위한 수단은 편심된 요소를 가진 2 부분으로된 장치를 포함한다.
제 2 요소는 제 1 요소와 관려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슬리브(sleeve)를 포함한다.
제 2 요소는 디멘저널 변이를 보정하는 수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 2 요소는 편심된 요소를 가진 장치의 부품중 하나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 1 요소는 자유 단부(free ends) 중 하나에서, 삽입부를 가진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삽입부는 기재들중 하나와 상호 작용하도록 디자인되며, 상기 삽입부는 곡선의 프로파일과 유지력이 있는 벽을가진 구멍에서 받아들여지거나 적소에 놓여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기재의 한 면에 만들어지고, 상기 삽입부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거될 수 있는 피스(piece)로부터 만들어진다.
제 1 요소는 요소의 자유 단부중 하나에서, 제어되는 방식으로 제 2 요소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공기의 진입 및/또는 방출을 위한 개구부는 설치 관모양의 케이싱(casing) 및/또는 편심된 링들 안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장치의 도움으로 조립된 여러 기재와 병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구조물 조립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 제약적인 예들과 도면의 도움으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제인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개도.
무엇보다도 도 1에 참조하여,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자세하게 설명되지는 않을 알려진 수단에 의해서 조립되었을 때, 다중 창유리 유닛(예를 들어 2 중 창유리 유닛)을 형성하도록 디자인된 두 개의 본질적으로 투명한 판들, 특히 템퍼된(tempered) 유리로 만들어진 기재가 참조번호(1 및 2로) 도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창유리 유닛은, 병치되었을 때, 도 1에서 번호(3)로 마크된 다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지지구조물위에 고정되는 투명한 전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 1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요소(3)는 사실상 다수의 요소의 조립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 요소(3)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압출 성형으로 얻어지며 여러 형태의 프로파일의 단면을 갖는, 특히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1 요소(4)를 포함하는데 제 1요소의 자유 단부중 하나가 삽입부(5)를 갖는 연결 수단을 제공하며, 이 연결 수단은 쓰레드, 베이어넛(bayonet) 조립 또는 임의의 다른 동일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될 이 삽입부(5)는 블라인드 구멍(6)안으로 밀려들어가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이들 중 하나가 도 1에서 도시되어 보여진다. 자연적으로, 의도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멍은 단부가 열려있으며(open-ended), 원형, 장방형 등등일 수 있다.
이들 구멍(6)의 각각은 평탄한 바닥 그리고 곡선의 유지력있는 프로파일의, 특히, 구멍(6)의 내부를 향해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한 형태의, 지역을 경유하여 바닥에 연결되는 측면 벽에 의해서 한정되게 된다.
바닥(3)에서 구멍(6)의 깊이는, 예를 들어, 기껏 판(1)의 두께의 절반에 상응한다.
예를들어 PVDF (polyvinylidene fluoride)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몰딩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삽입부는 구멍(6)의 각각 안으로 삽입된다.. 변형으로, 이러한 삽입부는 원래 자리에서(in situ) 몰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는 단일 피스이거나 또는 몇몇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구멍에 삽입 될 수 있도록 더 나아가 가소적으로(plastically) 변형될 수도 있다.
삽입부(5)는 다수의 규칙적인 간격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깊은 방사형의 노치들을 포함하며, 필요하다면 뚫릴 수도 있는 바닥(10)의 근처까지 연장한다.
이들 노치들에 의해서, 삽입부(5)의 측벽은 삽입부에 유연성을 주는 "페틀"(petals)로 분할되며, 페틀은, 따라서, 탄성적인 또는 더 나아가 가소적인 변형에 의해서 구멍(6)으로의 삽입부(5)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삽입부(5)가 삽입되게 되면, 페틀은 자신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고, 구멍의 외부 표면을 감싸안게 된다. 위에 언급된 플랜지 아래로 삽입부(5)를 커플링하는 것은 이런 식으로 얻어지게 된다.
제 1 요소(4)의 다른 자유 단부(free end)는 유지 요소(3)를 형성하는 제 2 요소 안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지거나 흘려 들어가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도 1에서, 이러한 제 2 요소(7)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몰딩하거나 기계가공(machining)에 의해서 만들어진 피스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잘려나간 원뿔의 형태이다.
이 제 2 요소(7)의 한 특성에 따라, 이의 특성 디멘전(characteristic dimension) (구체적으로 두께)의 하나가 2중 창유리 유닛의 내부 간격의 거리보다 작다.
이 제 2 요소(7)는, 근본적으로 제 1 요소(4)가 미끄러져 들어가는 (다시 말해 병진이동에 있어서 상대적 움직임을 허용하는) 제 1 오리피스(8)(orifice)를 한정하기 위해서 메인 축과 동축을 갖는 두 개의 보어 구멍과 이 제 1 구멍(8)의 연장에서, 그 기능과 구조가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될 디멘전 변이에 대한 보정 수단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한정하는 제 2 오리피스(9)(orifice)을 포함한다.
제 1 변형 실행모드에 따라, 이 제 2 요소에 만들어진 두 개의 오리피스(8, 9)사이에, 제 1 요소(4)의 다른 자유 단부에서 쇼울더의 형태로 만들어진 돌출 부(11)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10)를 두 단부 구멍사이에서 한정하는 제 3 보어 를 위치시키는 준비가 이루어지고, 이 돌출부는 병진이동 정지부를, 제 1 요소(4)를 제 2 요소(7)로 연결하는 운동학적 장치로 삽입할 수 있다.
제 2 변형 실행모드에 따라, 제 1 요소(4) 와 제 2 요소(7) 사이의 병진이동 정지부가 제 1 요소(4) 그리고 제 2 요소(7)를 방사상 관통하는 핀으로 만들어지며, 축상 간극 또는 틈새는 만들어진 오리피스의 각기 디멘전에 의해서 얻어진다. (사실상 오리피스 중 하나, 예를 들어 제 1 요소(4)에 만들어진 오리피스는 원형인 반면, 제 2 요소에서 방사형으로 만들어진 오리피스는 두 피스들을 연결하는 핀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해 장방형이다.)
디멘저널 변이에 대한 보정의 수단이 자세하게 기술 될 것이다.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내부 링(12) 그리고 외부 링(13)의 조립에의해 형성되는 편심된 요소들을 가진 장치로서 크로핑(cropping)에 의해서 얻어지는 일련의 가공 동작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편심된 링들은 원형의 외부 직경과 중앙에서 벗어난(off-center) 구멍을 가지며, 이 쌍의 보다 작은 편심된 링(12) (내부 링)의 외부 직경은 보다 큰 편심된 링(13)(외부 링)에 만들어진 중심에서 벗어난 구멍의 직경에 상응한다. 작은 편 심된 링의 중심에서 벗어난 구멍은 이 쌍의 편심된 링들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밀한 정렬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될 수 있다.
두 개의 링은 삽입부(5)를 수용하는 기재에 만들어진 블라인드 구멍에 실질적으로 맞은편에 있는 기재들중의 하나에 만들어진 열린 단부의 구멍안으로 강제로 끼워 맞춰지게 된다.
기재의 구멍의 전반적인 배치는, 예를 들어 지지구조물과 연결되어야만 하도록 나사 조임되는 볼트와 같은 스템의 형태로 고정 요소(15)의 삽입을 위한 베어링 쿠션을 형성하게 된다.
스템의 형태인 고정 요소(15)는 그안에 직접 수용되거나 기재 2의 외측 표면 사이로 연장하는 설치 관형 케이싱(14)을 사용해서 간접적으로도 수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링{내부 링(12)}의 하나에 연결되는 관형 케이싱(14)은, 이를 조립하고 제 1 요소(4)에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는 제 2 요소(7)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연결 수단(예를 들어 쓰레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원통형인 설치 관형 케이싱(14)의 길이는 기재(2)의 두께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 베이링 그리고 밀폐 쿠션(16)에 설치가 완료된 후 유리판의 면을 넘어서 지나가지 않게 된다. 여러 가능성에 따라서, 설치 관형 케이싱의 단부 면은 판들의 면들과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특성에 따라서, 기재들 사이에 위치한 공간과 주위환경 사이에 열역학적 상태의 변수중 하나에 변화가 생기는 유체의 방출을 허용하는 구 멍(orifice)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기의 진입 및/또는 방출을 위한 개구부는 설치 관형 케이싱안 및/또는 편심된 링안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점들중 하나는 전면을 형성하는 기재들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특히, 지지구조물에 가장 가까운 기재가 파손 되더라도, 상기 구조와 관련한 다른 성분들에의 위험한 불안정성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은 판, 특히 유리 기재 판들을 위한 고정 장치이며, 각 판(each substrate) 사이에 위치한 유지 요소와 판의 하중을 지지구조물로 전달하는 목적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요소는 판들과 지지구조물사이의 디멘전 변이 또는 차이, 변형, 그리고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로서 산업상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판(1, 2), 특히 다중 글래이징 유닛의 형태로 조립되는 주로 유리 기재를 위한 고정 장치로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기재(1, 2)의 적어도 하나와 지지구조물에 판들의 하중을 전달하는 목적을 위한 지지구조물 사이에 위치한 지탱요소(3)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지탱요소(3)는 디멘저널 변이를 보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은 또한 상기 기재(1,2)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수단은 한편으로 제 1 판(1)과 상호작용하는 제 1 요소(4)를 다른 한편으로 제 2 판(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디멘저널 변이에 대한 보정 수단과 상호작용하는 제 2 요소(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디멘저널 변이에 대한 보상 수단이 편심된 요소를 갖는 2개의 부분으로된 장치(12, 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요소(7)가 제 1 요소(4)와 관련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갖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요소(7)가 디멘저널 변이에 대한 보상 수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요소(7)가 편심된 요소를 가진 장치의 부품들 중 하나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요소(4)가 자유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삽입부(5)를 갖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삽입부(5)가 기재(1, 2)중 하나와 상호 작용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는 곡선-프로파일(curved-profile)과 유지력있는(retentive) 벽들을 가진 구멍에 원래 자리(in situ)에 형성거나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은 상기 기재의 한 면에 만들어져 있고, 상기 삽입부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분리 가능한 피스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요소(4)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 단부에서, 제어된 방식으로 제 2 요소(7)와 관련하여 상기 제 1 요소(4)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 정지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의 진입 및/또는 방출을 위한 개구부가 설치 관형 케이싱(14)안에 및/또는 편심된 요소를 가진 장치의 링들(12, 13)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장치의 도움으로 조립된 여러 개의 기재들의 병치(juxtaposition)로 구성된, 건설물 조립체.
KR1020077027426A 2005-05-27 2006-05-22 기재,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335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1392 2005-05-27
FR0551392A FR2886322B1 (fr) 2005-05-27 2005-05-27 Dispositif de fixation pour substrats, en particulier des substrats verriers
PCT/FR2006/050466 WO2007000543A2 (fr) 2005-05-27 2006-05-22 Dispositif de fixation pour substrats, en particulier des substrats verr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172A true KR20080018172A (ko) 2008-02-27
KR101335508B1 KR101335508B1 (ko) 2013-12-02

Family

ID=3550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426A KR101335508B1 (ko) 2005-05-27 2006-05-22 기재,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43559B2 (ko)
EP (1) EP1885982B1 (ko)
JP (1) JP5607299B2 (ko)
KR (1) KR101335508B1 (ko)
CN (1) CN101228332B (ko)
BR (1) BRPI0610272B1 (ko)
FR (1) FR2886322B1 (ko)
MX (1) MX2007014891A (ko)
PL (1) PL1885982T3 (ko)
WO (1) WO20070005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9889B1 (fr) * 2003-01-15 2005-02-18 Saint Gobain Systeme permettant un assemblage entre au moins une feuille de verre et un autre objet, feuille de verre equipee d'un tel systeme et application d'une telle feuille
US8534019B2 (en) * 2008-07-22 2013-09-17 Quanex Ig Systems, Inc. Glass block with low-e center lite
CN102220825A (zh) * 2011-03-15 2011-10-19 上海玻机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改进的单元窗
DE102012202134B4 (de) * 2012-02-13 2018-02-15 HERO-FIRE GmbH Brandschutzverbundscheib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9010065B2 (en) * 2013-01-07 2015-04-21 Shimfast, Llc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installation of construction items within a rough opening
CN103863067B (zh) * 2014-03-04 2016-03-23 江苏铁锚玻璃股份有限公司 能够快速更换的高速列车前挡玻璃生产方法和前挡玻璃
FR3024506B1 (fr) * 2014-07-30 2016-07-29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p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3258B1 (fr) * 1993-11-30 1996-02-09 Saint Gobain Vitrage Liaison mécanique entre un élément vitré et une structure porteuse.
FR2723757B1 (fr) * 1994-08-18 1996-10-25 Vertal Sud Est Dispositif de fixation d'un double vitrage sur une structure porteuse
GB9517639D0 (en) * 1995-08-30 1995-11-01 Pilkington Glass Ltd Multiple glazing units
AT403719B (de) * 1996-07-15 1998-05-25 Feigl Anton Vorrichtung zur festlegung von zweischaligen isolierglasscheiben an tragkonstruktionen
DE29622665U1 (de) * 1996-07-15 1997-06-05 Feigl Anton Vorrichtung zur Festlegung von zweischaligen Isolierglasscheiben an Tragkonstruktionen
KR100228599B1 (ko) * 1997-12-26 1999-11-01 김성만 조립용 복층유리
DE19858527C1 (de) * 1998-12-18 2000-08-10 Gebo Gmbh Halter für Platten
DE29913278U1 (de) * 1999-07-29 2000-12-07 Fischer Artur Werke Gmbh Befestigungselement für Doppelglasplatten
DE19938250C2 (de) * 1999-08-12 2003-06-18 Vetrotech Saint Gobain Int Ag Befestigung zum Haltern einer Verbundscheibe
DE10009531A1 (de) * 2000-02-29 2001-08-30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ung zur Befestigung von plattenförmigem Material an einer Unterkonstruktion
EP1278929A1 (de) * 2000-04-26 2003-01-29 DORMA GmbH + Co. KG Klemmbeschlag für die befestigung von glasscheiben
DE20008684U1 (de) * 2000-05-13 2001-09-20 Fischer Artur Werke Gmbh Befestigungselement für ein Mehrscheibenglas und Anordnung in dem in einem plattenförmigen Mehrschichtkörper verankerten Befestigungselement
DE10054816B4 (de) * 2000-07-06 2005-09-22 Saint-Gobain Glass Deutschland Gmbh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Wandelement in Verbundbauweise und Wandelement
DE10055983C1 (de) * 2000-11-11 2002-09-26 Eckelt Glas Gmbh Steyr Verbindungselement zum Einsetzen in eine Bohrung
GB0101280D0 (en) * 2001-01-18 2001-02-28 Pilkington Plc Sealed glazing units
DE20110192U1 (de) * 2001-06-20 2002-11-07 Fischer Artur Werke Gmbh Befestigungselement für Doppelscheiben-Isolierglas
FR2847310B1 (fr) * 2002-11-18 2008-12-05 Saint Gobain Inserts destines a equiper des plaques, notamment en verre, en vue de leur fixation et les plaques ainsi equipees
FR2849889B1 (fr) * 2003-01-15 2005-02-18 Saint Gobain Systeme permettant un assemblage entre au moins une feuille de verre et un autre objet, feuille de verre equipee d'un tel systeme et application d'une telle feu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0543A2 (fr) 2007-01-04
BRPI0610272B1 (pt) 2017-05-09
WO2007000543A3 (fr) 2007-03-29
BRPI0610272A2 (pt) 2012-09-25
US20080190051A1 (en) 2008-08-14
CN101228332B (zh) 2013-07-10
CN101228332A (zh) 2008-07-23
MX2007014891A (es) 2008-01-28
FR2886322B1 (fr) 2008-11-28
PL1885982T3 (pl) 2017-01-31
EP1885982A2 (fr) 2008-02-13
EP1885982B1 (fr) 2016-07-27
KR101335508B1 (ko) 2013-12-02
JP5607299B2 (ja) 2014-10-15
US8443559B2 (en) 2013-05-21
JP2008545901A (ja) 2008-12-18
FR2886322A1 (fr)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8172A (ko) 기재를, 특히 유리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K2191090T3 (da) Dør- eller vinduesrammesamling af ekstruderet plast og fiberforstærket koekstrudat
AU755516B2 (en) Device for fixing plates, in particular glass plates
KR101166100B1 (ko) 적층된 유리창을 조립하는 디바이스
JP2008545939A (ja) 空気ばね用のプラスチック製プランジャピストン
NO328307B1 (no) Lukket, flerlags, rammelos glassenhet, fremgangsmate for sammenstilling av en slik glassenhet og en sammenholdingsenhet for en slik glassenhet.
PL206923B1 (pl) Element mocujący dla płyt
KR102091868B1 (ko) 건축용 패널 고정기구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IE20090481A1 (en) A facade system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101872263B1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KR101786432B1 (ko)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1555958B1 (ko) 플레이트, 특히 유리 플레이트의 고정을 위해, 이들을 설치하도록 의도되는 연결 시스템과, 이와 같이 설치된 플레이트
US9909362B2 (en) Slat holder
CN106460922B (zh) 直线轴承
KR200398409Y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PL208793B1 (pl) Mechaniczne urządzenie łączące dla mocowania elementu oraz ściana zawierająca co najmniej jeden element stały albo otwieralny przymocowany do struktury albo szkieletu konstrukcji za pomocą mechanicznego urządzenia łączącego
JP2006183341A (ja) 外断熱用外壁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2017061833A (ja) 建具
BE1027949B1 (fr) Système d'ancrage murs comprenant une cheville pour ancrage murs et un ancrage murs
IT201800002642U1 (it) Sistema di ancoraggio per facciate ventilate denominato "sistema gancio armonico"
JP2019190192A (ja) ルーバー用パネル
ITPC20060027U1 (it) Sistema di giunzione per serramento a monoblocco comprensivo di zanzariera
JP2004537661A (ja) プレート固定用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