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32B1 -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32B1
KR101786432B1 KR1020170097228A KR20170097228A KR101786432B1 KR 101786432 B1 KR101786432 B1 KR 101786432B1 KR 1020170097228 A KR1020170097228 A KR 1020170097228A KR 20170097228 A KR20170097228 A KR 20170097228A KR 101786432 B1 KR101786432 B1 KR 10178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luminum panel
panel
fixing member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수 filed Critical 정용수
Priority to KR102017009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지 않고 끼워 조립한 후 조여 고정하기만 하면 간단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외벽 마감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재를 구비할 경우에도 각파이프가 선시공된 후 단열재가 취부되게 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 예방하며, 전체적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자재도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outer wall aluminum panel using prefabricated mo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지 않고 끼워 조립한 후 조여 고정하기만 하면 간단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외벽 마감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재를 구비할 경우에도 각파이프가 선시공된 후 단열재가 취부되게 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 예방하며, 전체적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자재도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외벽 마감은 석재, 유리, 타일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석재나 유리 등은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무겁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량의 금속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하여 외벽을 마감하는 외장마감패널 형태로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종래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한 외벽 시공은 벽체(W)에 앵커볼트(10)로 고정된 지지브라켓(12)상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한 상태에서 각파이프(20)에 설치할 수 있는 규격대로 절단, 절곡한 알루미늄패널(30)을 현장에 반입한 후 대략 'U' 형상을 갖는 체결부재(40)를 각파이프(20)에 스크류 고정하고, 이 체결부재(40)에 알루미늄패널(30)의 절곡단부를 끼워넣은 다음, 알루미늄패널(30)들 사이로 코킹재(50)를 넣고 실리콘(60)으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때문에, 양단을 절곡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수가 추가됨으로 인해 가공시간, 비용 등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가공공수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알루미늄패널(30)의 중간 부분을 고정해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불량도 초래되며, 무엇보다도 실리콘에서 기름기가 배어나와 오염(얼룩 등)이 생기는 외관품질 저하현상도 발생된다.
나아가, 도 2의 예시와 같이, 단열재(70)를 취부해야 할 경우에는 벽체(W)와 각파이프(20) 사이의 공간이 좁기 때문에 법정단열규정규격의 단열재를 취부하기가 매우 곤란하였으므로 부득이하게 별도로 지지브라켓(12)을 길게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 취부해야 했고, 특히 단열재(70)가 시공된 상태에서 각파이프(20)를 지지브라켓(12)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해야 했기 때문에 용접중 불똥이 튀어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도 있다.
이를 개선한 예로, 체결부재(40)를 등록특허 제10-1215934호에서와 같이, 'H'형상으로 개선하여 알루미늄패널(30)을 'H' 형상의 양측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예가 개시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체결부재만 각파이프에 고정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알루미늄패널(30)을 끼운 부분은 실리콘으로 씰링해야만 했으므로 실리콘 작업을 배제할 수 없는 한계에 부딪혀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4678호(2006.11.30.) '건축용 금속외장판넬의 단열 몰딩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934호(2012.12.20.) '건축용 몰딩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8526호(2015.09.30.) '건축용 외장 몰딩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지 않고 끼워 조립한 후 조여 고정하기만 하면 간단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외벽 마감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재를 구비할 경우에도 각파이프가 선시공된 후 단열재가 취부되게 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 예방하며, 전체적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자재도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W)에 앵커볼트(10)를 앵커링하면서 지지브라켓(12)을 앵커볼트(10)로 고정하는 지지브라켓 고정단계; 상기 지지브라켓(12)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하여 알루미늄패널(30) 고정용 틀체를 만드는 각파이프 설치단계; 상기 알루미늄패널(30)을 고정부재(80)의 양측에 각각 끼워 넣어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현하는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단계; 상기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재(80)를 상기 각파이프(20) 상에 위치시킨 한 상태에서 가체결해 두었던 고정볼트(94)를 완전히 조여 고정볼트(94)가 각파이프(20)상에 체결되게 고정하는 조립체 고정단계; 고정부재(80)의 개방부를 마감캡(90)을 밀봉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80)는 일측이 개방된 'U' 형상의 부재본체(82)와, 상기 부재본체(82)의 밀폐면 중앙에서 돌출된 수직판(84)과, 상기 수직판(84)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되 일측은 짧고 타측은 길게 배열되는 수평판(86)과, 상기 부재본체(82)의 개방면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홈(88)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94)는 상기 부재본체(82)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감단계에서 조립되는 마감캡(90)은, 부재본체(82)의 양단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88)에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양단 내측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92)를 갖는 'U' 형상의 부재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 고정단계 전에 단열재(70)를 취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되, 상기 단열재(70)는 고정볼트(94) 대신에 장볼트(LBT)를 이용하여 단열재(70)까지 관통한 다음 각파이프(20)에 체결되는 형태로 상기 각파이프(20)와 상기 알루미늄패널(30) 사이에 취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지 않고 끼워 조립한 후 조여 고정하기만 하면 간단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외벽 마감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재를 구비할 경우에도 각파이프가 선시공된 후 단열재가 취부되게 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 예방하며, 전체적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자재도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한 외벽 마감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한 외벽 마감중 단열재를 포함한 경우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한 외벽 마감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알루미늄패널과 고정부재를 조립하여 조립체를 구현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패널을 이용한 외벽 마감중 단열재를 포함한 경우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은 지지브라켓 고정단계 → 각파이프 설치단계 → 알루미늄패널과 고정부재 조립단계 → 조립체 고정단계 →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브라켓 고정단계와 각파이프 설치단계는 기존과 동일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브라켓 고정단계는 벽체(W)에 앵커볼트(10)를 앵커링하면서 대략 'ㄴ' 형상을 갖는 지지브라켓(12)을 앵커볼트(10)로 견고히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벽체(W) 상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파이프 설치단계는 상기 지지브라켓(12) 상에 외벽마감패널, 즉 알루미늄패널(30)을 고정하기 위한 틀체를 만드는 단계로서, 각파이프(20)를 용접 방식으로 지지브라켓(12)에 고정한다.
물론, 반드시 용접으로 국한될 필요는 없지만, 고정안정성과 견고성을 위해 용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패널과 고정부재 조립단계와, 조립체 고정단계 및 마감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사항으로서 기존과 다른 방식을 취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패널과 고정부재 조립단계는 알루미늄패널(30)을 고정부재(80)에 끼워 넣어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현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패널(30)을 기존처럼 절곡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패널(30)을 규격에 맞춰 절단한 다음 그냥 단부를 고정부재(80)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80)는 기존과 달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U' 형상의 부재본체(82)와, 상기 부재본체(82)의 밀폐면 중앙에서 돌출된 수직판(84)과, 상기 수직판(84)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되 일측은 짧고 타측은 길게 배열되는 수평판(86)과, 상기 부재본체(82)의 개방면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홈(8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판(86)을 형성시킬 때 상기 수직판(84)을 기준으로 일측은 짧고 타측은 길게 형성하는 이유는 알루미늄패널(30)을 끼워 조립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는 하나의 단위체를 구성하고, 이 단위체 여러 개가 상호 조립되어 하나의 커다른 외장패널을 구성하게 되므로 이들 단위체들의 조립시 끼워 맞출 홈이 깊으면 조립하기가 어렵고 까다롭기 때문에 일측을 짧게 하여 끼워 맞출 홈의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조립을 원활하게 하고, 시공작업이 편리하며,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재본체(82)의 밀폐면과 수직판(84)과 수평판(86) 사이에는 공간, 즉 홈이 생기는데, 상기 홈에는 알루미늄패널(30)의 일단이 각각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재본체(82)의 내부에서 상기 밀폐면과 알루미늄패널(30)을 관통하여 고정볼트(94)가 가체결됨으로써 알루미늄패널(30)은 상기 고정부재(80) 상에 고정된 상태로 하나의 조립체, 즉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즉, 도 5의 예시와 같은 다수의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가 하나의 단위체(ASY)를 구성하고, 이들 단위체(ASY)들이 서로 다시 조립되어 외장패널을 완성하게 되는데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94)는 부재본체(82) 속에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마감캡(90)에 의해 밀폐되므로 굳이 실리콘으로 씰링할 필요도 없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결코 실리콘 씰링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때문에, 그 만큼 작업공수가 줄어 들고, 실리콘에 의해 유발되는 기름기가 배어 나오는 현상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패널(30)의 4변이 모두 부재본체(82) 상에 끼워지기 때문에 모든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 시공 후 배부름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조립체 고정단계는 상술한 단위체(ASY)들을 시공현장에서 완전히 조립하여 하나의 외장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단위체(ASY)에 포함되는 고정부재(80)가 각파이프(20) 상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가체결해 두었던 고정볼트(94)를 완전히 조여 고정볼트(94)가 각파이프(20)상에 체결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각 단위체(ASY)를 끼워 연결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간단히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그냥 끼우고 체결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마감단계가 수행되는데, 상기 마감단계는 부재본체(82)의 개방된 부분을 마감캡(90)으로 밀봉하는 단계이다.
즉, 마감캡(90)을 잡고 부재본체(82)의 개방부에 맞춰 눌러 끼우면 마감캡(90)의 양단 내측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92)가 부재본체(82)의 양단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88)에 딸깍하고 끼워짐과 동시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재본체(82)의 개방부가 마감캡(90)에 의해 밀봉되게 되므로 빗물 등이 침투될 우려가 없어 별도의 씰링 작업 자체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단열재(70)를 더 구비할 경우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조립체 고정단계 전에 단열재(70)를 취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되, 상기 단열재(70)는 고정볼트(94) 대신에 장볼트(LBT)를 이용하여 단열재(70)까지 관통한 다음 각파이프(20)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간편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벽체(W)와 각파이프(20) 사이에 단열재가 취부되었기 때문에 제약이 많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파이프(20)가 벽체(W)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파이프(20)와 알루미늄패널(30) 사이에 단열재(70)가 취부되게 함으로써 크기나 규격 제한없이 완전히 자유롭고 쉬우면서 편리하게 단열재(70)를 가능하게 한다.
때문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하기 위한 용접작업중 불똥이 튀더라도 단열재가 없는 상태에서 작업되기 때문에 화재위험이 없고, 각파이프(20)가 완전히 고정된 후에 단열재(70)가 설치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과 유사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구조와 구성 및 이에 따른 시공방법상 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시공개념으로서 그 유용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10: 앵커볼트
12: 지지브라켓
20: 각파이프
30: 알루미늄패널
80: 고정부재
82: 부재본체
84: 수직판
86: 수평판
88: 걸림홈
90: 마감캡
92: 걸림돌기
94: 고정볼트

Claims (3)

  1. 벽체(W)에 앵커볼트(10)를 앵커링하면서 지지브라켓(12)을 앵커볼트(10)로 고정하는 지지브라켓 고정단계;
    상기 지지브라켓(12)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하여 알루미늄패널(30) 고정용 틀체를 만드는 각파이프 설치단계;
    상기 알루미늄패널(30)을 고정부재(80)의 양측에 각각 끼워 넣어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현하는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단계;
    상기 알루미늄패널-고정부재 조립체를 구성하는 고정부재(80)를 상기 각파이프(20) 상에 위치시킨 한 상태에서 가체결해 두었던 고정볼트(94)를 완전히 조여 고정볼트(94)가 각파이프(20)상에 체결되게 고정하는 조립체 고정단계; 및
    고정부재(80)의 개방부를 마감캡(90)을 밀봉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80)는 일측이 개방된 'U' 형상의 부재본체(82)와, 상기 부재본체(82)의 밀폐면 중앙에서 돌출된 수직판(84)과, 상기 수직판(84)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되 일측은 짧고 타측은 길게 배열되는 수평판(86)과, 상기 부재본체(82)의 개방면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홈(88)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94)는 상기 부재본체(82)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단계에서 조립되는 마감캡(90)은, 부재본체(82)의 양단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88)에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양단 내측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92)를 갖는 'U'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 고정단계 전에 단열재(70)를 취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되, 상기 단열재(70)는 고정볼트(94) 대신에 장볼트(LBT)를 이용하여 단열재(70)까지 관통한 다음 각파이프(20)에 체결되는 형태로 상기 각파이프(20)와 상기 알루미늄패널(30) 사이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20170097228A 2017-07-31 2017-07-31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178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228A KR101786432B1 (ko) 2017-07-31 2017-07-31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228A KR101786432B1 (ko) 2017-07-31 2017-07-31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432B1 true KR101786432B1 (ko) 2017-10-17

Family

ID=6029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228A KR101786432B1 (ko) 2017-07-31 2017-07-31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551B1 (ko) * 2018-09-18 2019-01-08 정용수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1959349B1 (ko) * 2018-09-27 2019-03-19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방음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56B1 (ko) 2015-07-13 2015-11-16 김범진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56B1 (ko) 2015-07-13 2015-11-16 김범진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551B1 (ko) * 2018-09-18 2019-01-08 정용수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WO2020060083A1 (ko) * 2018-09-18 2020-03-26 정용수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1959349B1 (ko) * 2018-09-27 2019-03-19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방음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750037B1 (ko)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1786432B1 (ko)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1571468B1 (ko)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KR101936551B1 (ko) 조립식 몰딩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2021445B1 (ko) 장식 루버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KR101139778B1 (ko) 패널지지용 커튼월의 스페이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46452A (ko)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KR20150045807A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8376B1 (ko) 고층용 창호
KR101611453B1 (ko)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KR20042188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649307B1 (ko) 실내 설치형 커튼월 및 이의 시공방법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JP7132170B2 (ja) 窓部連結構造
KR102303438B1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67754B1 (ko) 커튼월의 유리 설치방법 및 설치장치
KR102015433B1 (ko) 커튼월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