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452A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6452A KR20160046452A KR1020140142312A KR20140142312A KR20160046452A KR 20160046452 A KR20160046452 A KR 20160046452A KR 1020140142312 A KR1020140142312 A KR 1020140142312A KR 20140142312 A KR20140142312 A KR 20140142312A KR 20160046452 A KR20160046452 A KR 20160046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coupled
- exterior
- fixing bracke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04F13/23—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 외장 마감재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브래킷과 결합되는 일측에 외장 마감재와 외벽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된 연결부재 측단의 반대측단에 결합되어 설치프레임이 장착되도록 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 외장 마감재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브래킷과 결합되는 일측에 외장 마감재와 외벽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된 연결부재 측단의 반대측단에 결합되어 설치프레임이 장착되도록 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은 외면에 페인트 등의 도료를 이용한 도색이나 타일을 부착하는 공법을 대신하여 우수한 외관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외장 마감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장 마감재는 주로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에 의해 형성된 벽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벽체와 마감재의 사이에는 마감재가 벽체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공 구조물이 설치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38553호(건축외장재 고정장치, 이하 선행기술)에는 전술된 외장 마감재(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수직 배치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로 이루어져 상기 부착판부를 건축외벽면에 밀착하면서 건축외벽에 고정되는 1차 고정부재와,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 상에 결합되어 그 선단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건축외장재를 상기 1차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2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외장재를 건축외벽에 고정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정부재의 배면에서 돌출하여 그 부착판부를 건축외벽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건축 외벽면 속에 박혀짐으로써 그 1차 고정부재의 처짐을 억지하는 처짐억지구조를 더 포함하여」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2차 고정부재가 상당한 두께를 갖는 건축외장재(주로 석재의 외장재)의 배치된 간격 사이로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2차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이 양측의 건축외장재의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전술된 것과 같이 2차 고정부재가 건축외장재 사이로 배치되고, 고정핀이 건축외장재의 측면에 삽입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외장재가 상당한 두께를 갖는 석재의 외장재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즉, 최근 출시되는 건축외장재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의 다양한 디자인과, 높은 부식저항, 가공성, 친환경성 등의 각종 기능을 고려하여 Galvalume(알루미늄과 아연이 합금된 특수도금강판), 알루미늄, Zinc(아연강판) 등과 같이 석재의 외장재를 벗어난 금속판재의 건축외장재(이하, 외장 마감재)를 고정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금속판재 형태의 건축외장재는 주로 사각관을 수직, 수평으로 결합하고, 그 외측에 건축외장재를 결합시키는 형태의 시공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와 수직, 수평의 각관은 대체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시공시간이 지연될 뿐만아니라 차후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시공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을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용접에 의한 시공은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특성상 용접기를 다루는 행위가 대단히 위험할 뿐만아니라, 고열, 고전압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 외장 마감재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브래킷과 결합되는 일측에 외장 마감재와 외벽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된 연결부재 측단의 반대측단에 결합되어 설치프레임이 장착되도록 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설치관체A와; 상기 설치관체A와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B;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는 설치관체A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ㄷ" 단면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의 개방부 내측에는 탄성체의 지지부재가 결합되고, 이와 대응결합되는 설치관체A의 외면에는 지지부재가 끼워지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설치관체A가 결합부재에 결합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기 이전에 결합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의 개방부 내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안내홈에 슬라이드 되도록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는 연결부재의 고정브래킷과 결합된 측부에 외장 마감재와 외벽면의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고정브래킷 상에서 연결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너트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을 갖추어 상당한 두께의 석재, 목재 등으로 된 외장 마감재를 비롯하여 금속판재로 된 외장 마감재에 이르기까지 호환될 수 있는 시공구조를 구현하고, 건축물의 외벽면과 외장 마감재 간의 간격설정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유지하며 시공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높은 작업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자재가 용접에 의한 결합이 아닌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실시와,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이들 자재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평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주요부 발췌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는 고정브래킷(20), 연결부재(30), 결합부재(40), 설치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20)은 건출물 외벽면(W)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며, 후술되는 연결부재(30)에 의해 설치프레임(10)과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설치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외장 마감재(Z)와 외벽면(W)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된 연결부재(30) 측단의 반대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0)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주요 구성요소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설치관체A(11), 설치관체B(12)를 포함하며, 외형상 격자형태를 취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관체A(11)는 격자형상의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부재(40)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관체B(12)는 상기 설치관체A(11)와 결합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전술하였듯, 설치관체A(11)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재(40)의 일측에는 개방부(41)가 형성된다. 이로서, 상기 결합부재(40)는 "ㄷ" 단면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설치관체A(1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결합부재(40)와 함께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결합 매개체로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외장 마감재(Z)와 상기 외벽면(W)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31)는 나사부(32)와 너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부(32)는 상기 연결부재(30)의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된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장 마감재(Z)와 외벽면(W)의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부(32)에는 상기 고정브래킷(20) 상에서 상기 연결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너트(33)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설치관체A(11) 간의 견고한 결합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설치관체A(11)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데 후술되는 지지부재(42), 지지홈(13), 안내홈(44), 끼움돌기부(45)의 의해 견고한 고정, 결합과 고정전 결합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결합부재(40)의 개방부(41)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전 상기 설치관체A(11)와 밀착된 상태에서 원하는 지점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탕성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40)의 개방부(41) 내측면에는 안내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2)에는 끼움돌기부(45)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끼움돌기부(45)가 상기 안내홈(44)에 슬라이드 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결국, 상기 지지부재(42)가 상기 결합부재(4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2) 간의 결합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상기 설치관체A(11)의 외면에는 상기 지지부재(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3)의 구성은 상기 설치관체A(11)가 결합부재(40)에 결합된 후, 체결부재(43)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결합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결국, 상기 지지부재(42), 지지홈(13), 안내홈(44), 끼움돌기부(45)의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재(40)가 상기 설치관체A(11)와 상기 체결부재(43)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 외벽면(W)에 고정브래킷(20)이 고정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브래킷(20)에 상기 연결부재(30)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40)를 결합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30)의 간격조절부(31)를 통해 상기 외장 마감재(Z)와 외벽면(W) 간의 원하는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의 조절은 상기 나사부(32)에 상기 너트(33)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너트(33)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다시, 상기 결합부재(40)에 설치관체A(11)를 결합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재(40)에 끼워져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42)가 상기 설치관체A(11)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홈(13)에 이르러 닿으면, 사전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체결전 사전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결합부재(40)와 설치관체A(11)를 결합시키게 되고, 이후 상기 설치관체A(11)에 상기 설치관체B(12)를 결합하여 어셈블리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설치관체B(12)에 외장 마감재(Z)를 결합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10: 설치프레임
11: 설치관체A
12: 설치관체B 13: 지지홈
20: 고정브래킷 30: 연결부재
31: 간격조절부 32: 나사부
33: 너트 40: 결합부재
41: 개방부 42: 지지부재
43: 체결부재 44: 안내홈
45: 끼움돌기부 W: 외벽면
Z: 외장 마감재
12: 설치관체B 13: 지지홈
20: 고정브래킷 30: 연결부재
31: 간격조절부 32: 나사부
33: 너트 40: 결합부재
41: 개방부 42: 지지부재
43: 체결부재 44: 안내홈
45: 끼움돌기부 W: 외벽면
Z: 외장 마감재
Claims (5)
-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W)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1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10)에 외장 마감재(Z)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면(W)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래킷(20)과;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설치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되는 일측에 외장 마감재(Z)와 외벽면(W)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31)가 형성된 연결부재(30)와;
상기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된 연결부재(30) 측단의 반대측단에 결합되어 설치프레임(10)이 장착되도록 한 결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10)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며, 상기 결합부재(40)에 결합되는 설치관체A(11)와; 상기 설치관체A(11)와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10)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B(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40)는 설치관체A(11)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부(41)가 형성된 "ㄷ" 단면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의 개방부(41) 내측에는 탄성체의 지지부재(42)가 결합되고, 이와 대응결합되는 설치관체A(11)의 외면에는 지지부재(42)가 끼워지는 지지홈(13)이 형성되어 설치관체A(11)가 결합부재(40)에 결합된 후, 체결부재(43)에 의해 고정되기 이전에 결합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40)의 개방부(41) 내측면에는 안내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2)에는 안내홈(44)에 슬라이드 되도록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31)는
연결부재(30)의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된 측부에 외장 마감재(Z)와 외벽면(W)의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나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32)에는 고정브래킷(20) 상에서 연결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너트(3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312A KR20160046452A (ko) | 2014-10-21 | 2014-10-21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312A KR20160046452A (ko) | 2014-10-21 | 2014-10-21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6452A true KR20160046452A (ko) | 2016-04-29 |
Family
ID=5591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2312A KR20160046452A (ko) | 2014-10-21 | 2014-10-21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645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072B1 (ko) | 2020-02-20 | 2020-09-2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입체적인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하지 프레임 |
KR102217685B1 (ko) | 2020-02-28 | 2021-02-2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
KR102224180B1 (ko) * | 2021-01-22 | 2021-03-08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전기 분전함 |
CN114412113A (zh) * | 2022-01-15 | 2022-04-29 | 上海久山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麦秸秆再利用的装饰组装板材及使用方法 |
-
2014
- 2014-10-21 KR KR1020140142312A patent/KR201600464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072B1 (ko) | 2020-02-20 | 2020-09-2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입체적인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하지 프레임 |
KR102217685B1 (ko) | 2020-02-28 | 2021-02-2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
KR102224180B1 (ko) * | 2021-01-22 | 2021-03-08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전기 분전함 |
CN114412113A (zh) * | 2022-01-15 | 2022-04-29 | 上海久山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麦秸秆再利用的装饰组装板材及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46452A (ko)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
JP2018035662A (ja) | 振動吸収用耐震パネルを備えた壁体断熱システム組立体 | |
KR20150144561A (ko) |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 |
KR20080069772A (ko) |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장착되는 단열재의 구성 및 단열재를시공하는 방법 | |
JP2019007327A (ja) |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 |
CN102912960A (zh) | 用于旧房改造的墙体装饰结构及施工方法 | |
CN101555767B (zh) | 一种复合保温墙体的窗体组件及其施工方法 | |
KR20160115107A (ko) | 패시브형 단열타일과 이를 이용한 벽체 타일 시공방법 | |
KR101281490B1 (ko) | 건물 외벽의 금속패널 시공장치 | |
KR20150045807A (ko) |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 |
KR101786432B1 (ko) |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 |
KR100983030B1 (ko) | 코너 벽 패널 조립체 | |
KR200473612Y1 (ko) |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 |
TW201321583A (zh) | 外部隔熱外裝板 | |
KR101762419B1 (ko) | Cnc t-bar를 이용한 3차원 건축내외장재패널의 설치방법 | |
JP5643608B2 (ja) |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 |
JP2019044482A (ja) | 押し出しセメント板の縦張り構造及び押し出しセメント板の縦張り工法 | |
CN104278777B (zh) | 连接装置 | |
KR20160046448A (ko)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
KR101139330B1 (ko) |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 |
JP2021004494A (ja) | 梁の耐火構造とその施工方法 | |
JP2010174437A (ja) | 外装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 |
KR100986615B1 (ko) | 설비 매입형 벽 패널 | |
KR100326393B1 (ko) | 벽체마감용패널 | |
KR20170030801A (ko)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용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