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448A -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448A
KR20160046448A KR1020140142306A KR20140142306A KR20160046448A KR 20160046448 A KR20160046448 A KR 20160046448A KR 1020140142306 A KR1020140142306 A KR 1020140142306A KR 20140142306 A KR20140142306 A KR 20140142306A KR 20160046448 A KR20160046448 A KR 2016004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xing bracket
exterior
installation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림
Priority to KR102014014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448A/ko
Publication of KR2016004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 외장 마감재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가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가 고정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A와; 상기 설치관체A와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Assembly for Constructing Exterior Material o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은 외면에 페인트 등의 도료를 이용한 도색이나 타일을 부착하는 공법을 대신하여 우수한 외관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외장 마감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장 마감재는 주로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에 의해 형성된 벽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벽체와 마감재의 사이에는 마감재가 벽체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공 구조물이 설치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38553호(건축외장재 고정장치, 이하 선행기술)에는 전술된 외장 마감재(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수직 배치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로 이루어져 상기 부착판부를 건축외벽면에 밀착하면서 건축외벽에 고정되는 1차 고정부재와,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 상에 결합되어 그 선단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건축외장재를 상기 1차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2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외장재를 건축외벽에 고정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정부재의 배면에서 돌출하여 그 부착판부를 건축외벽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건축 외벽면 속에 박혀짐으로써 그 1차 고정부재의 처짐을 억지하는 처짐억지구조를 더 포함하여」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2차 고정부재가 상당한 두께를 갖는 건축외장재(주로 석재의 외장재)의 배치된 간격 사이로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2차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이 양측의 건축외장재의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전술된 것과 같이 2차 고정부재가 건축외장재 사이로 배치되고, 고정핀이 건축외장재의 측면에 삽입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외장재가 상당한 두께를 갖는 석재의 외장재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즉, 최근 출시되는 건축외장재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의 다양한 디자인과, 높은 부식저항, 가공성, 친환경성 등의 각종 기능을 고려하여 Galvalume(알루미늄과 아연이 합금된 특수도금강판), 알루미늄, Zinc(아연강판) 등과 같이 석재의 외장재를 벗어난 금속판재의 건축외장재(이하, 외장 마감재)를 고정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금속판재 형태의 건축외장재는 주로 사각관을 수직, 수평으로 결합하고, 그 외측에 건축외장재를 결합시키는 형태의 시공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와 수직, 수평의 각관은 대체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시공시간이 지연될 뿐만아니라 차후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시공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을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용접에 의한 시공은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특성상 용접기를 다루는 행위가 대단히 위험할 뿐만아니라, 고열, 고전압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관의 수려한 장식과 방열, 방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 편의성 및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 외장 마감재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가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가 고정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A와; 상기 설치관체A와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관체A는, 판재를 다각으로 절곡하여서 된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고정브래킷 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부는 고정브래킷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 간격이 유지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래킷과 설치관체A의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고정브래킷과 설치관체A에 결합되어 외벽면과 외장 마감재 간의 간격이 설정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브래킷과의 견고한 결합 및 외벽면과 외장 마감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브래킷과 대향되는 면에 고정브래킷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결합안내홈이 형성되어, 고정브래킷 상에서 연결부재가 결합안내홈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관체B는 설치관체A와 결합되기 위한 대향면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결합편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을 갖추어 상당한 두께의 석재, 목재 등으로 된 외장 마감재를 비롯하여 금속판재로 된 외장 마감재에 이르기까지 호환될 수 있는 시공구조를 구현하고, 건축물의 외벽면과 외장 마감재 간의 간격설정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유지하며 시공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높은 작업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자재가 용접에 의한 결합이 아닌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실시와, 건축물의 리모델링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이들 자재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측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는 고정브래킷(20)과, 설치관체A(30), 설치관체B(40)가 대략 직교되어 결합된 설치프레임(10)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추가로, 상기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는 건축물의 외벽면(W)과 외장 마감재(Z)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0)은 대략 양면이 직교된 형상을 취하여 일측면은 상기 건출물의 외벽면(W)에 고정되고, 타측면은 설치프레임(10)과 결합되는 구성을 가져 상기 건축물의 외벽면(W)과 설치프레임(10)을 결합하는 기본적인 결합 및 고정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상기 외벽면(W)과 설치프레임(10)과의 고정 및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브래킷(20)에 형성된 홈과 볼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다른 결합수단이 채택,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상기 고정브래킷(20)에 외장 마감재(Z)를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설치관체A(30)와 설치관체B(4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관체A(30)와 설치관체B(40)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정면상 격자형태를 취하는데 결국 상기 설치관체A(30)는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방향 부재가, 상기 설치관체B(40)는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것이다.
상기 설치관체A(30)는 일측에 상기 고정브래킷(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단부(31)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단부(31)를 매개로 상기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설치관체A(30)는 판재를 다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형태로서 대략 중공의 사각관과 유사한 형상을 취하는데, 이때, 사각의 일측은 마감되지 않고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고정브래킷(20) 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으며, 연장된 부분이 결합단부(31)인 것이다. 상기 결합단부(31)는 상기 고정브래킷(20)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고정브래킷(20)이 상기 결합단부(31)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끼워진 부분을 볼트-너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설치관체A(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설치관체B(40)는 일측은 상기 설치관체A(30)와 타측은 마감재(Z)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설치관체A(30)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결합편부(4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부(41)는 상기 설치관체A(30)와 결합되기 위한 대향면에 대략 직각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편부(41)는 상기 설치관체A(30)와 설치관체B(40) 간의 넓은 밀착면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시에는 볼트-너트, 나사 등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연결부재(50)를 추가로 구성하면 상기 외벽면(W)과 외장 마감재(Z) 간의 간격을 원하는 수치로 설정 및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50)는 양단이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설치관체A(30)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데, 결합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부재(50)에는 상기 고정브래킷(20)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고정브래킷(20)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결합안내홈(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20) 상에서 상기 연결부재(50)가 결합안내홈(51)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원하는 간격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안내홈(51) 상에 형성된 홀과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연결부재(50)가 임의 간격 설정 가능하게 견고한 고정, 결합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0)의 타측(고정브래킷과 결합된 반대측)은 상기 설치관체A(30)와 결합되는데, 상기 설치관체A(30)의 결합단부(31)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고정된 구성의 예로서, 상기 연결부재(50)가 결합단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홀에 볼트 또는 나사가 부분 관통하여 너트 등으로 체결되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설치물의 중량과 강도를 고려하여 체결수단의 종류와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외장 마감재 시공을 위해 상기 고정브래킷(20)의 일측이 외벽면(W)에 고정된 후, 상기 고정브래킷(20)의 타측이 상기 연결부재(5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상기 연결부재(50)에 형성된 결합안내홈(5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시공시 원하는 간격설정이 이루어진다. 설정된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연결부재(50) 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면,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고정브래킷(20)에 고정된다.
다시, 상기 연결부재(50)의 다른 측은 상기 설치관체A(30)의 결합단부(31)로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로 전술한 체결수단으로 상기 설치관체A(3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외벽면(W), 고정브래킷(20), 연결부재(50), 설치관체A(30)가 모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관체A(30)에는 상기 설치관체B(40)의 결합편부(41)가 밀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셉블리 구성요소들의 고정, 결합이 완료되면, 외장 마감재(Z)를 상기 설치관체B(40)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고 용이한 외장 마감재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10: 설치프레임 20: 고정브래킷
30: 설치관체A 31: 결합단부
40: 설치관체B 41: 결합편부
50: 연결부재 51: 결합안내홈
W: 외벽면 Z: 마감재

Claims (5)

  1. 건축물의 측벽과 지붕의 외벽면(W)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정면상 격자형태의 설치프레임(1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10)에 외장 마감재(Z)를 결합하여서 된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20)과;
    상기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31)가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단부(31)가 고정브래킷(20)과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10)의 일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A(30)와;
    상기 설치관체A(30)와 결합되어 상기 격자형태 설치프레임(10)의 타측방향 부재가 되는 설치관체B(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체A(30)는
    판재를 다각으로 절곡하여서 된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고정브래킷(20) 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단부(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부(31)는 고정브래킷(20)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 간격이 유지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설치관체A(30)의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고정브래킷(20)과 설치관체A(30)에 결합되어 외벽면(W)과 외장 마감재(Z) 간의 간격이 설정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는
    고정브래킷(20)과의 견고한 결합 및 외벽면(W)과 외장 마감재(Z)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브래킷(20)과 대향되는 면에 고정브래킷(20)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결합안내홈(51)이 형성되어, 고정브래킷(20) 상에서 연결부재(50)가 결합안내홈(5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체B(40)는
    설치관체A(30)와 결합되기 위한 대향면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결합편부(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KR1020140142306A 2014-10-21 2014-10-21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KR2016004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6A KR20160046448A (ko) 2014-10-21 2014-10-21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6A KR20160046448A (ko) 2014-10-21 2014-10-21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48A true KR20160046448A (ko) 2016-04-29

Family

ID=5591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06A KR20160046448A (ko) 2014-10-21 2014-10-21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4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CN110352282B (zh) 建筑物的墙壁结构、安装装置及板材的施工方法
KR101615126B1 (ko)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ITTO20130918A1 (it) Pannello modulare prefabbricato per costruzioni, in particolare per abitazioni.
KR20080069772A (ko)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장착되는 단열재의 구성 및 단열재를시공하는 방법
JP2013104287A (ja) 隣地空無し外断熱石貼りrc−ロイヤル
KR20160046452A (ko)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101281490B1 (ko) 건물 외벽의 금속패널 시공장치
KR101141158B1 (ko) 외부 벽체 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WO2013031764A1 (ja) 外断熱外装パネル
KR20160046448A (ko)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시공 어셈블리
KR101077118B1 (ko) 조립식 차폐물
KR101786432B1 (ko)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AU2011250644A1 (en) Elongate building panel improvement
AU2018256603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20120079790A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6946608B2 (ja) 断熱パネルの両端を凹凸形フレーム金具で構成した外壁断熱パネル
KR20130043914A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내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9509207U (zh) 一种钢柱装配式装修的防火连接构造
KR20170118372A (ko) 하우스 시공방법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JP2010174437A (ja) 外装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