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70A -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 Google Patents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70A
KR20080018070A KR1020060109641A KR20060109641A KR20080018070A KR 20080018070 A KR20080018070 A KR 20080018070A KR 1020060109641 A KR1020060109641 A KR 1020060109641A KR 20060109641 A KR20060109641 A KR 20060109641A KR 20080018070 A KR20080018070 A KR 20080018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area
recorded
page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1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hindering electromagnetic reading or 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되,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 보호를 위해 외부에서 쓰거나 지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구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접촉되어 데이터 및 어드레스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비트들을 연결한 입출력 접촉단자;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신호선을 연결한 제어신호 접촉단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포함되어 있되, 해당 배드비트(bad bit)를 피하여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컨텐츠를 기록할 수 없도록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쓰기/삭제 금지 단자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컨텐츠 기록 장치, 컨텐츠 재생 장치 등에 이용됨.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컨텐츠 기록, 컨텐츠 재생, WP 단자 패드, 배드비트, 블록 단위, 페이지 단위, 배드영역 단위

Description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Read only memory 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5 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5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3 :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2 : 입출력 접촉단자
3 : 제어신호 접촉단자 4 : 기록된 컨텐츠 특성 인쇄면
5 : 플래시 메모리 6, 9 : 풀다운 회로
7, 8, 10, 12 : 외부접촉단자 11 : 연결 안함
14 : 메모리 카드 가이드홈 15 : 배터리
16, 22 : 디스플레이부 17 : 접촉단자
18 : 디코더 및 중앙처리부 19 : 내부 플래시 메모리
20, 26 : 스위치 입력부 21 :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
23 : 배터리 관리부 24 : 이어폰 커넥터
25 : WP 단자 패드
본 발명은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원하는 컨텐츠(예 : 음악, 영상, 문자 등)를 배드비트(bad bit)를 고려하여 기록하고, 상 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대하여 쓰기 및 삭제를 금지시켜 상기 기록된 컨텐츠를 보호하며,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재생 장치에 삽입하여 상기 기록된 컨텐츠를 배드비트(bad bit)를 고려하면서 읽어 들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생산 공정 기술의 발전과 수요 확대로 인한 대량 생산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인하되고 있고, 다양한 압축 기술이 개발되어 디지털 동영상과 음원들의 화질과 음질이 CD와 DVD 수준에 이르는 등 컨텐츠의 디지털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동영상과 음원들을 저장하는 미디어 매체로 사용되는 것은, 물리적으로 저장 시간 등이 한정되어 있으며 재생 플레이어 등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MP3 플레이어에 비해 불편한 카세트테이프나 CD 및 DVD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컨텐츠의 디지털화에는 맞지 않는 아날로그적 요소가 강하므로, 최근 널리 보급된 MP3 플레이어에는 내장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혹은 SD 및 MMC 카드와 같은 표준 메모리 카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표준 메모리 카드는 사용자가 읽고/쓰고/삭제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지만, 이로 인해 음원 등의 저작권이 심하게 침해당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컨텐츠 미디어 매체로는 저렴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이면서, 다양한 압축 포맷으로 만들어지는 컨텐츠 데이터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컨텐츠를 기록하여 판매된 후에는 소거(삭제)되지 않아야 하며, 재생 장치로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음성 및 화상과 문자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SD 카드나 메모리스틱 등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컨텐츠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재생전용 기능 및 복제방지 기능, 복잡한 구조에 따른 가격 열세 등으로 카세트테이프나 CD 등을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워크맨 이후 오디오 분야에 있어서 최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MP3 플레이어는 다양한 음성 압축 방식 중 MP3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저장장치인 플래시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의 고용량화 및 저가격화에 맞추어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면서 워크맨을 급격히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칼라 액정을 채택하여 동영상 재생용으로도 사용하는 등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MP3 플레이어는 사용자들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MP3 및 동영상 파일을 쉽게 구하여 자유롭게 설치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과 수명이 카세트와 달리 영구적이라는 점, CD와 달리 내부 메모리를 자유롭게 관리하여 자기만의 음악 및 비디오 저장 창고를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이 있으며, 초기에는 메모리 용량이 128M 정도였지만 현재는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100G 이상의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한편, 현재 동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다양한 포맷들(예 : AVI, ASF, RM/RAM, MOV, MPEG, DivX 방식 등)이 소개되고 있고, 어떠한 동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는가는 시장의 기술적, 경제적, 비용적 트랜드와 소비자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동영상 포맷들과의 호환성에 의해 복잡하게 결정되는데, 현재와 같이 읽기/쓰기가 되는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는 MP3 방식이 독보적인데 반하여 동영상 부분은 여러 표준이 용도 및 분야에 맞추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MP3와 컴퓨터를 포함한 동영상 재생 장치의 보급으로 인하여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은 분야는 음반 업계와 오프라인 음반 매장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디지털 음원은 계속 복제를 해도 음질이 동일하다는 점 때문에 복제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 보호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음반업계는 이에 대응하여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의 불법 복제 방지 기술을 적용하여 온라인 싱글 음반 및 벨소리 다운로드 시장에 진출하는 등 사업 분야를 다각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내부에 MP3 디코더와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하여, 최신 발표곡을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고 재생전용으로 MP3 플레이어를 제작하여 2만원 미만에 공급하는 일명 "디지털디스크"라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즉, CD를 구입하면 CD플레이어에 삽입하여 청취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재생전용 MP3 플레이어의 경우는 이어폰만 연결하면 즉석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고, 케이스에 가수 사진 등을 인쇄하여 온라인상의 MP3 파일과는 달리 소장하는 즐거움을 나름대로 느끼게 하였다. 그러나 제품 크기가 다소 크고 두꺼운 성냥갑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이로 인해 CD 등과는 달리 여러 개를 가지고 다니는 데 무리가 있으며, 재생전용 MP3 플레이어에 모두 MP3 관련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원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즉, 10개의 가수 음반을 가진다고 할 때, 10개의 재생전용 MP3 플레이어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비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맞지 않는 모순에 빠지게 되며, 동영상 재생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음반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오프라인 매체는 10곡~20곡을 모아 하나의 작품집으로 하여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것보다는, 온라인상에서 구매하여 다운로드받는 싱글 음반처럼 1~3곡 정도로만 분할(일례로 곡당 2000원 내외)하여 판매 하는 것과 동영상이 나오는 뮤직비디오 판매도 선호되고 있다. 물론, CD/DVD 및 디지털디스크에 한 곡만 넣어서 제작할 수 있지만, 이는 가격 및 크기가 만만치 않고 CD나 DVD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디지털 음원이지만 레코드와 유사하고 표면이 외부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 형태가 그 대안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신용카드(황금분할 사이즈 86mm/53.5mm=1.607)와 유사한 형태의 크기와 두께의 기록 매체로 만들 수 있고,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카드 디자인 인쇄를 통하여 소장 가치와 소유에 따른 만족감 그리고 휴대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도 있다. 특히, 뮤직비디오와 같은 동영상 음원의 경우 동영상 압축 방식에 의해 용량이 달라지지만 60분 정도는 QVGA 화면의 경우 128MB 내외로 제공(교육용으로 사용 가능 분량)이 되므로, 10분 내외의 싱글 뮤직비디오 음반의 경우 30MB 이내로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읽기 전용 컨텐츠 기록 매체 및 이 기록 매체와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전용장치가 만들어진다면, 기록매체와 재생전용장치의 가격이 저렴한 이점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싱글 음반 등)를 통해 컨텐츠(예 : 음원, 뮤직비디오, 문자 등)를 판매하는 음반 산업 및 재생 플레이어의 부족으로 침체된 뮤직비디오 시장의 활성화는 물론, 종교단체 및 교육기관 등에서 좋은 컨텐츠를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넣어서 재생전용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형태나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등 응용 분야가 확대될 수 있다. 특히, CD의 경우 최대 재생시간이 74분, 카세트테이프의 경우 60분~120분 정도이지만 MP3 방식의 경우(32kbps로 녹화 시 12M/시간 필 요, 음악은 최대 128kbps 사용) 1G바이트의 경우 80시간 정도 재생이 가능하므로, 웬만한 교육용 어학테이프(80시간이면 보통 카세트테이프 80개 필요)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장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되,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 보호를 위해 외부에서 쓰거나 지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구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접촉되어 데이터 및 어드레스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비트들을 연결한 입출력 접촉단자;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신호선을 연결한 제어신호 접촉단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접지를 위한 그라 운드 단자;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포함되어 있되, 해당 배드비트(bad bit)를 피하여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컨텐츠를 기록할 수 없도록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쓰기/삭제 금지 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는 전원이 없어져도 기록된 내용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현재 다양한 메모리 방식(DRAM, 플래시, SRAM 등)들 중에서도 플래시 메모리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P램 등과 같이 전원이 없어져도 기록된 내용이 유지되는 어느 형태의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플래시 메모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반도체 패키지(package)의 경우 낸드(NAND) 플래시 타입은 48핀이 표준이며, 노어(NOR) 플래시 타입은 48~88핀의 패키지로 되어 있다. 이를 일반적인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예 : SD, MMC, CF, 메모리스틱 타입 등)으로 변경 시에는 별도로 플래시 카드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가가 올라간다. 2006년 7월 현재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는 32M 바이트(MP3는 8곡, 뮤직비디오는 10분 수록 가능)의 경우 TSOP 등의 패키지를 하여 판매되는 가격이 2.4$ 정도이고, 이를 웨이퍼 상태로 공급받을 경우 가격은 더욱 내려가는데, 4M 바이트(32M 비트) 정도의 용량은 싱글 음반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가격 수준으로도 제공이 가능하 리라 판단된다. 노어(NOR) 플래시 메모리의 문제는 48~88핀을 재생전용장치와 직접 모두 연결할 경우 우선 신용카드 크기와 두께로 제공하기 어려우며, 이 많은 핀이 커넥터를 통하여 접촉하면서 신뢰성 및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현재까지는 별도의 부품 비용이 들더라도 고가의 플래시 카드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는데, 커넥터의 핀 수가 SD의 경우 12핀, SIM 방식(고성능 CPU가 내장됨)의 경우 8핀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처럼 적용하고자 하는 용도를 재생 전용(즉, 쓰기 및 삭제를 금지한 읽기 전용)으로만 할 경우 별도의 플래시 카드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최소 14핀(I/O 8핀, CLE, ALE, RE, WE, Power, GND)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일본의 "도시바"가 중심이 되어 만든 스마트미디어 카드도 별도의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이는 읽기/쓰기가 모두 지원되어야 하므로 핀의 접점이 18핀 정도로 많다. 본 발명에서처럼 컨텐츠를 기록하여 음반용, 교육용, 종교용 등으로 판매하는 용도에서는 단지 메모리 카드의 읽기 기능만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한 컨텐츠를 보호해야 하므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내용물을 임의로 삭제 및 메모리 카드에 새로운 데이터를 쓰는 것을 막기 위해, 스마트미디어 카드의 경우 외부로 제어 가능하도록 나와 있는 신호 중 WP(erite protect) 신호를 본 발명에서는 내부적으로 풀다운(pull down)시켜 액티브 상태로 하여 쓰기 및 지우기를 금지시킨다. 다만, 컨텐츠의 유효함을 인증하는 과정에서 WP(Write Protect) 핀을 활성화하여 소정의 인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도 있다. 하지만, 이때에도 컨텐츠 데이터를 기 록하는 컨텐츠 데이터 영역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쓰기/지우기(삭제)가 금지된 읽기 전용이라 할 수 있다. 저렴한 플래시 메모리가 아니라 EEPROM이나 OTP(One Time Programmable) EPROM과 같은 일회용 메모리 및 그 밖의 전원이 없어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읽기 전용으로 핀들을 구성하여 메모리 카드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P3 혹은 별도 동영상 압축 방식의 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한 최소 14핀의 소켓을 가지고(별도로 플래시 메모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R/B(Ready/busy output) 핀과 CE(Chip enable) 핀을 필요 시 연결할 수도 있도록 구현)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컨텐츠를 읽어 디코더에서 이를 디코딩하여 컨텐츠를 재생만 하는 단순한 형태이며, 현재의 MP3 플레이어처럼 SD 등 표준 메모리 카드의 인터페이스나 별도로 내부에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별도로 플래시 메모리를 설치할 경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내용을 내부 플래시 메모리에 전부 카피해두고 실행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소켓에서 빼도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지만, 데이터 복사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는 컨텐츠 압축 디코더, 간단한 스위치 입력부, 액정 혹은 LED 램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 이어폰 커넥터, 배터리 관리부, 및 본 발명의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코더는 대부분 주문형반도체(ASIC)화되어 제공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 플래시 메모리가 대부분의 기록매체를 대체하면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용량의 증가와 함께 메모리 셀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고 있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배드비트(bad bit) 또는 배드블록(bad block) 등이 어느 기준 이상(1G 비트급의 경우 총 1024개의 블록 중 20개의 배드블록 허용 규격이 있음-삼성전자 데이터북) 발생하면 단품 불량으로 분류되고 있다. 표준 메모리 카드 등에서는 중요한 데이터나 파일이 기록되므로 배드비트(bad bit) 또는 배드블록(bad block)은 치명적이어서 불량 부품을 사용할 수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오디오(예 : 웨이브 파일 등)나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여 읽기 전용으로 재생하여 사용하는 경우, 현재 한 개의 비트가 이상이 있어도 128K 바이트 블록(대블록 타입의 경우, 소블록 타입은 64K 바이트가 한 블록임) 전부를 사용치 못하는 현재의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읽기 전용으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므로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배드영역만을 사용치 못하고 블록 내의 나머지 정상영역은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되는 불량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신용카드처럼 만들어져 다양한 음원 및 동영상 등의 컨텐츠 특성에 맞추어 디자인되어 인쇄됨으로써(온라인상에서 MP3 파일을 구입하여 다운로드하는 경우 소유자가 만질 수 있는 실체가 없음) 소장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음반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싱글 음반 등을 메모리 용량을 줄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종교 및 교육 기관의 오디오 성 경 및 불경과 교육자료 등을 CD와 달리 그 자리에서 듣거나 볼 수 있도록 재생전용으로 만든 간단한 재생 장치와 같이 제공한다. 또는, 사용자가 이미 재생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재생 장치는 빼고, 컨텐츠를 기록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만을 제공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컨텐츠는 MP3 원음이 아니라 여기에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DRM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변형된 형태로 기록되는 것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 요지 전반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여 싱글 음반 등과 같이 재생 전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메모리 카드의 내용물(컨텐츠)을 임의로 삭제거나 메모리 카드에 새로운 내용물(컨텐츠)을 쓰는 것을 막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에 쓰기/지우기(삭제)를 금지시키는 단자인 WP(Write Protect) 신호 단자를 내부적으로 풀다운(pull down)시켜 액티 브 상태로 하여 쓰기 및 지우기 기능을 수행시키지 못하도록 금지시키고, 메모리의 데이터(컨텐츠)를 읽어내기 위한 입출력(I/O) 및 제어신호 단자들을 외부 접촉단자와 연결하여 신용카드와 유사한 형태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구현한다. 이때, WP 단자 부분을 외부에서 필요 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 부분에 접점 패드(최종 배포 시 테이프나 인쇄 등으로 밀봉하거나 인증을 위한 핀만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함)로 만들어 두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제조 시에 컨텐츠를 플래시 메모리에 미리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 단계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겉면 인쇄를 끝낸 후에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메모리 카드에 쓰기 및 지우기 금지 기능을 구현함은, 메모리 카드에 싱글 음반, 종교자료, 교육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기록하여 메모리 카드 제조 가격에 컨텐츠 비용을 더하여 판매하는 만큼, 컨텐츠가 임의로 삭제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스마트미디어 등 다양한 표준 메모리 카드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내용물을 삭제/변경할 수 있는 방식의 기록매체이므로 이와 같은 목적(읽기 전용)으로는 바로 사용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특성에 따라 쓰기/소거 금지 단자를 비활성화시킨 형태로 새로이 만들거나, 또는 여러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경우에도 컨텐츠를 기록하고, 이 컨텐츠를 외부에서 임의로 삭제 및 변경할 수 없도록 잠그는 기능(락 기능 : SD카드의 경우 슬라이드판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 또한 컨텐츠 보호 목적에 맞지 않음)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접촉단자가 많이 나와 있으면 신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올라가므로 단자 수를 최소화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은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가격이 저렴한 플래시 메모리를 적용하는 경우 최소 14핀(I/O 8핀, ALE, CLE, RE, WE, Power, GND)으로 구성하여도 충분하지만, 부가적인 기능을 추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R/B 단자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치 않을 경우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CE 단자를 외부 접촉 커넥터에 더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쓰기/소거 금지 단자는 외부 장치들이 임의로 제어할 수 없도록 내부적으로 풀다운된 상태로 제공된다.
한편, 플래시 메모리의 공정이 현재는 50nm(비트당 0.00625 스퀘어 마이크론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종전의 60nm 프로세스와 비교하면 단위당 면적이 25%가 다운된 것이며, 이로 인해 배드비트(bad bit)나 배드블록(bad block)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등 수율이 95%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현재는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플래시 메모리를 대부분 폐기하고 있다. 휴대폰,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디지털카메라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예 : ZD, CF, MMC, mini SD 등)들은 중요한 데이터를 읽고, 쓰고, 삭제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 부품에 비해서 월등히 값이 싼 배드비트(bad bit)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오디오나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여 읽기 전용으로 재생하여 사용하는 경우, 현재 한 개의 비트가 이상이 있 어도 128K 바이트 블록(대블록 타입의 경우, 소블록 타입은 64K 바이트가 한 블록임) 전부를 사용치 못하는 현재의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읽기 전용으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므로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배드영역만을 사용치 못하고 블록 내의 나머지 정상영역은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되는 불량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컨텐츠 데이터 어드레스 영역의 앞부분에 기록되는 헤더(header) 데이터 영역에 각 목록별 어드레스 영역 정보, 적용된 암호화 기법 정보, 재생속도(baud rate), 캡션 데이터, 일자, 및 온라인 등록 등을 위한 고유일렬번호 등과 같은 컨텐츠 특성 정보와 함께 배드비트(bad bit)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하고, 재생 장치에서는 배드비트(bad bit) 부분을 제외하고 다음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읽어 앞의 컨텐츠 데이터에 이어서 재생 컨텐츠 시그널로 자동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배드비트(bad bit)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 카드 제조 시에 컨텐츠를 기록하고 다시 읽어 들여 검사(verify)하는 과정에서 배드비트(bad bit)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컨텐츠 데이터를 배드비트(bad bit)를 건너뛰어 기록하고 그 배드비트 정보를 헤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도 배드비트(bad bit)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헤더 데이터 영역을 다수 개 설치하여 배드비트(bad bit)가 없는 영역을 탐색하여 헤더 데이터를 그곳에만 기록한다. 그러므로 재생 장치는 메모리 카드와 처음 연결하여 헤더 데이터를 가져올 때, 순차적으로 정해진 헤더 데이터 영역을 검사하여, 데이 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 발견되면 그때 정상적인 헤더 데이터를 읽어 들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1)는,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의 커넥터와 접촉되어 데이터 및 어드레스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8개의 비트들을 연결한 입출력 접촉단자(2)와,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신호선을 연결한 제어신호 접촉단자(3)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한 메모리 소자인 플래시 메모리(도 2의 5), 및 메모리 소자(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컨텐츠를 기록할 수 없도록 하드웨어적으로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WP 단자 패드(2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에 읽기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ALE(Address Latch Enable), CLE(Command Latch Enable), RE(Read Enable), WE(Write Enable)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메모리 방식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같이 쓰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여러 표준 방식의 메모리 카드 중 읽기 전용(SD카드는 사용자가 측면의 잠금장치를 슬라이딩시켜 쓰기 금지 모드로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어 목적에 맞지 않음)으로 구성된 제품은 아직 없으며, 대안으로는 물리적 으로 일회 밖에 사용할 수 없는 OTP EPROM 등의 메모리가 있지만, 고용량화(최대 1Mbit)가 어렵고 가격이 비싸며 어드레스와 데이터 버스가 분리되어 있어 핀 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메모리 소자는 쓰고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는데 DRAM, SRAM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야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 소자를 제외하고, 전원이 없어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 소자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지우고 쓰기 위해서 WP(Write protect)와 같은 형태의 단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단자가 액티브 상태(단자 설계에 따라 하이나 로우로 설정)일 때는 쓰기/소거(삭제)가 금지된다. 즉, 상기 WP(Write protect) 단자는, 액티브 로우 상태에서 쓰기/삭제 금지 상태가 되는 경우 풀다운 회로를, 액티브 하이 상태에서 쓰기/삭제 금지 상태가 되는 경우 풀업 회로를 이용하여 내부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WP 단자를 액티브 상태(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풀다운 상태)로 고정하여 제작하는데, 재고 관리 등의 이점(카드 제작 공장에서 컨텐츠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관리하는 곳에서 메모리 카드에 컨텐츠를 기록)을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로 WP 단자 패드(25)를 카드 면에 설치하여, 컨텐츠를 기록한 후 그 단자 패드 부분을 덮는 테이프나 인쇄로 밀봉하거나 인증을 위한 핀만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해 둘 수도 있다.
한편, 현재 널리 사용되는 낸드(NAND)형 플래시 메모리는 다양한 용량과 원리상 저렴한 설계 및 생산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구조는 비트 단위의 셀, 그리고 이 비트들이 모여서 페이지를 만들고, 페이지가 모여서 블록 을 만든다. 대블록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페이지는 2048바이트의 주영역과 64바이트의 여유영역(주영역의 데이터 상태 및 에러정정 복원용 코드 영역 등으로 사용)으로 총 (2048+64)바이트로 구성되고, 블록은 이러한 페이지가 64개 모여 구성되므로 한 블록의 용량은 (2048+64)x64 = (128K+4K)바이트로 이루어진다. 소블록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페이지는 512바이트의 주영역과 16바이트의 여유영역으로 총 (512+16)바이트로 구성되고, 블록은 이러한 페이지가 32개 모여 구성되므로 한 블록의 용량은 (512+16)x32 = (16K+512)바이트로 이루어진다. 8비트 단위가 아니고 16비트 단위의 워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용량의 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셀 구조 특성에 의해 읽고/쓰는 모드의 경우는 페이지 단위로만 가능하고 쓰기 전에 수행해야 하는 지우기 기능은 블록 단위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 비트가 배드(bad) 상태이면 블록 전체(대블록의 경우 <128K+4K>바이트)를 못쓰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초기 제품 출하 시에는 1G비트급 대블록의 경우 총 1024개의 블록이 사용가능하지만,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서는 정상 블록이 최소 1004개 블록인 경우까지를 양품으로 분류하고, 그 이하를 불량 및 등외로 판정한다.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페이지 단위로 주영역과 함께 구성되는 여유영역(spare area)에는 배드블록 정보, 논리적 섹터 번호, 쓰기 시 발생한 파워실패 상태 플래그(flag), 주영역 및 논리적 섹터 번호의 에러정정 코드값 등이 저장되어 사용 중 발생하는 비트 깨짐 현상 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신뢰성을 보장하며 복구하도록 되어 있다. 즉,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비유효(invalid)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 비유효 블록에는 정보가 저장되지 않아야 하며, 초기 비유효 블록은 출하 전에 테스트된 원래의 배드블록을 의미하고, 비유효 블록 표시는 그 블록의 각 첫 번째 페이지 여유 영역에 00H를 써넣어 표시하며, 사용 연한 내(최소 10년)에서 쓰고 지우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배드블록이 발생할 수 있어 이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총 용량의 10% 내외를 보관(reserved) 영역으로 설정한다. 쓰고 지우는 중(읽는 중에는 발생 확률 극히 적음)에 배드블록이 발생하면 원래의 데이터를 이 보관 영역에 옮겨 기록하고, 사용 중 배드블록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으면 보관 영역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버려지는 필요없는 영역으로 생각되지만, 데이터 손실로 인한 사용자의 클레임에 대응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현재 장치들은 보관 영역을 의무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쓰거나 지울 때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블록을 배드블록으로 마킹하고 보관 영역의 블록으로 대체하지만, 읽을 때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정정 코드를 재확인하여 정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읽기/쓰기/지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하는 기존 장치들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에 컨텐츠 데이터를 한번 기록한 후에는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고, 지우기 기능과 같은 블록 단위 모드는 사용하지 않고 페이지 단위 모드 등으로만 사용하므로, 배드비트가 발생하더라도 배드블록이 아닌 배드페이지 단위 등으로 메모리 공간을 운영할 수 있어, 대블록의 경우 배드비트가 발생하면 현재는 (128K+4K)바이트 전부를 못 쓰지만, 본 발명과 같은 용도의 읽기 전용 모드에서는 (2K+64)바이트만 버리면 되는 큰 이점(98.5%를 유효화시킴)이 있다.
또한, 읽기/쓰기/지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하는 기존 장치들은 사용 중 발생 할 우려가 있는 배드비트에 대응하기 위해 총 용량의 10% 내외를 보관(reserved) 영역으로 할당하여야 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읽기 전용 모드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배드비트가 발생할 확률이 극히 적으므로 별도로 보관 영역을 할당할 필요가 없어 주어진 메모리 용량을 전부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읽기 전용 모드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플래시 메모리 파일관리프로그램(FAT)이 디바이스(장치) 단에서 필요 없어, 배드비트가 발생한 배드영역만 못쓰고 다른 정상영역(2K바이트 페이지 영역 중 배드비트가 하나 발생하면 한 바이트만 못쓰고 1999바이트를 유효화시킴)은 모두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방식을 살펴보면,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들에 있어서, 초기화 시 배드비트가 발생하면 이 배드비트가 속하는 블록을 전부 배드블록화하고, 지우고 쓰는 과정에서 배드블록화되는 경우 설정된 보관(reserved) 블록 영역에 쓰는 방법이 현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용되고 있는데, 컨텐츠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는 제조 시 한 번만 헤더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 등을 기록할 뿐 이후에는 읽기 전용으로 사용되므로, 초기화(포매팅) 시에 발견된 배드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블록을 배드블록으로 마킹하고, 이후에 정상블록에만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여 나가되, 배드블록이 나오면 해당 배드블록을 스킵하고 다음의 정상블록에 이어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배드블록이 사용 중 발생하지 않으면 필요하지 않은 보관 블록 영역이 없도록 구현하여, 주어진 메모리 공간을 전부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
두 번째 방식을 살펴보면,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들에 있어서, 컨텐츠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는 제조 시 한번만 헤더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 등을 기록할 뿐이고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단위로 지우는(erase) 기본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읽기 전용으로 사용되므로, 초기화(포매팅) 시에 발견된 배드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를 배드페이지로 마킹하거나 혹은 배드페이지 어드레스를 헤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이후에 정상페이지에만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여 나가되, 배드페이지가 나오면 해당 배드페이지를 스킵하고 다음의 정상페이지에 이어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어진 메모리 공간을 배드페이지를 제외하고 전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두 번째 방식에 있어서,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다음의 정상페이지에 이어서 기록하는 대신에, 배드페이지의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별도의 보관(reserved) 영역을 설정하여 두고, 상기 보관 영역에 해당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페이지 단위로 보관 영역에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세 번째 방식을 살펴보면, 현재에는 플래시 메모리의 페이지를 분할하여 1개 혹은 2개 내지 4개(대블록 플래시 메모리는 한 페이지 크기가 2K바이트의 경우 4개의 분할페이지(서브페이지)로 분할함. 추후 대블록 크기가 4K로 늘어나면 8개의 분할페이지로 분할함)로 나누어 해당 분할페이지의 상태를 기록하는 여유(spare) 공 간과 각각 대응하여 구현하는데, 컨텐츠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는 제조 시 한번만 기록할 뿐이고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단위로 지우는(erase) 기본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읽기 전용으로 사용되므로, 초기화(포매팅) 시에 발견된 배드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를 여유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로 마킹하거나 혹은 배드분할페이지 어드레스를 헤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이후에 정상분할페이지에만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여 나가되, 배드분할페이지가 나오면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를 스킵하고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에 이어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어진 메모리 공간을 배드분할페이지를 제외하고 전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 번째 방식에 있어서,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에 이어서 기록하는 대신에, 배드분할페이지의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별도의 보관(reserved) 영역에 설정하여 두고, 상기 보관 영역에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분할페이지 단위로 보관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네 번째 방식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들에 있어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기록하는 헤더 데이터 영역에 초기 검사 시에 배드비트가 발견된 배드영역(예 : 1비트, 4비트, 8비트, 16비트 등)의 어드레스들을 기록하고, 플래시 메모리의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면서 헤더 데이터를 기준으로 배드영역 이 발견된 위치에 도달하면 이 배드영역을 스킵(skip)하고 다음 위치에 배드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를 이어서 기록하고, 역으로 재생장치에서 플래시 메모리를 읽을 때는 헤더 데이터 영역을 읽어 배드영역 정보에 따라 배드영역의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해당 배드영역을 스킵(skip)하고 다음 영역의 데이터를 이어서 읽어 들이도록 구현함으로써, 배드블록 내에서도 배드영역을 제외하고 남은 정상영역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째 방식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들에 있어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기록하는 헤더 데이터 영역에 초기 검사 시에 배드비트가 발견된 배드영역(예 : 1비트, 4비트, 8비트, 16비트 등)의 어드레스들을 기록하고, 플래시 메모리의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배드영역을 무시하고 순차적으로 기록하면서 배드영역이 발견된 위치에서는 헤더 데이터 영역에 있는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참 데이터 값(해당 배드영역에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을 기록하고, 역으로 재생장치에서 플래시 메모리를 읽을 때는 헤더 데이터 영역을 읽어 배드영역 정보에 따라 배드영역의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해당 배드영역을 스킵(skip)하고 헤더 데이터 영역에 있는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된 참 데이터 값을 읽어 교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배드블록 내에서도 배드영역을 제외하고 남은 정상영역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5)의 경우 어드레스와 데이터, 및 커맨드(command) 버스를 같이 사용하므로 이를 제 1 외부접촉단자(7)를 통해 연결 하고, 제어신호 중 입출력 버스를 구분해 주는 CLE와 ALE를 제 2 외부접촉단자(8)와 연결하며,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읽어내는 RE 제어핀과 읽어내는 기준 어드레스를 쓸 때 사용하는 WE 제어핀을 제 3 외부접촉단자(10)로 연결하고, 전원공급과 그라운드 핀을 제 4 외부접촉단자(12)와 연결한다. 이때, 쓰기 금지를 설정하는 WP 제어핀이 로우 상태에서 쓰기 금지가 되면 풀다운 회로(6)를 이용하여 로우 상태로 하고, 역으로 하이 상태에서 쓰기 금지가 되면 풀업 회로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이를 별도의 WP 단자 패드(25)로 만들어 둘 수 있다.
이때, 엄밀하게 CE(chip enable) 단자는 언제나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데, 이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못해 전류가 계속 소비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재생 장치에서는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를 읽은 후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CE 단자의 역할을 대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CE 단자는 풀다운 회로를 이용하여 액티브 로우 상태가 되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가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R/B(Ready/Busy) 단자도 최종 데이터가 버스에 출력된 후 레디소요시간이 최대값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그 시간 후에 다음 동작을 하도록 타임딜레이를 두면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외부접촉단자로 나올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 한쪽 표면에 최소 14핀으로 읽기 전용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물론, 필요 시 CE(9), 및 R/B(11)도 외부접촉단자로 연결할 수 있지만, 이는 변형된 내용에 불과하며, 무엇보다도 생산 공정의 효율을 위해 WP 단자 패드(25)는 외부접촉단자와는 별도로 접촉 패드를 설치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판매될 때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밀봉하거나 인증을 위한 핀만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컨텐츠 기록 장치를 이용하므로 컨텐츠 기록 장치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31),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블록을 배드블록으로 마킹한다(3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블록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33).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블록이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블록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블록을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블록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34).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 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41),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를 배드페이지로 마킹한다(4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43).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를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44).
이때, 상기 제 2 실시예의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를 배드페이지로 마킹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며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보관(reserved)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에 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하며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다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를 배드페이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페이지 정보(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를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를 배드페이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 터 영역을 설정하며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보관(reserved)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페이지 정보(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하고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다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51),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서브페이지)를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로 마킹한다(5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53).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를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54).
이때, 상기 제 3 실시예의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를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로 마킹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며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보관(reserved)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하고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다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를 배드분할페이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 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를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를 배드분할페이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며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보관(reserved)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하며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다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61),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비트들을 배드영역으로 설정한다(6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63).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영역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영역을 스킵(skip)하며 다음의 정상영역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64).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대한 제 5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메모리 카드를 검사하여 불량이 발생한 배드비트(bad bit)를 확인하고(71), 상기 확인한 배드비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비트들을 배드영역으로 설정한다(7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다(73).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영역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배드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해당 배드영역을 스킵(skip)하며 해당 배드영역에 기록되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있는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기록하며 다음의 정상영역부터 다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74).
한편, 본 발명에서는 WP 단자를 타 접촉단자들과 별도로 이격시켜 카드 외부에서 접촉 가능한 패드(25)로 구현하고,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컨텐츠를 처음 기록할 때 상기 패드의 쓰기 금지를 해지하는 신호(액티브 로우의 경우 하이 신호)를 입력하여 쓰기 금지를 해제한 후에, 입출력 접촉단자(2)와 제어신호 접촉단자(3)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메모리 소자에 기록(전술한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기록)한 후, 선택적으로 상기 WP 단자의 패드(25)를 테이프나 인쇄로 밀봉하거나 인증을 위한 핀만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컨텐츠를 기록하고 그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메모리 카드를 사용 시에는 배드비트(bad bit)를 사용자가 전혀 인식할 수 없는 만큼 컨텐츠 품질의 적절한 규제 하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컨텐츠 데이터 어드레스 영역의 앞부분에 기록되는 헤더(header) 데이터 영역 에 각 목록별 어드레스 영역 정보, 적용된 암호화 기법 정보, 재생속도(baud rate), 캡션 데이터, 일자, 및 온라인 등록 등을 위한 고유일렬번호 등과 같은 컨텐츠 특성 정보와 함께 배드비트(bad bi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하거나, 배드비트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마킹하도록 구현하여, 재생 장치에서는 배드비트(bad bit) 부분을 제외하고 다음의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읽거나 타 영역(예 : 보관 영역 등)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 앞의 컨텐츠 데이터에 이어서 재생 컨텐츠 시그널로 자동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배드비트(bad bit)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 카드 제조 시에 컨텐츠를 기록하고 다시 읽어 들여 검사(verify)하는 과정에서 배드비트(bad bit)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컨텐츠 데이터를 배드비트(bad bit)를 피하여 기록하고 그 배드비트 정보를 헤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거나 별도로 마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도 배드비트(bad bit)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헤더 데이터 영역을 다수 개 설치하여 배드비트(bad bit)가 없는 영역을 탐색하여 헤더 데이터를 그곳에만 기록한다. 그러므로 재생 장치는 메모리 카드와 처음 연결하여 헤더 데이터를 가져올 때, 순차적으로 정해진 헤더 데이터 영역을 검사하여,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 발견되면 그때 정상적인 헤더 데이터를 읽어 들이게 된다.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외부 접촉단자들을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바리스타 등을 설치하거나 플래시 메모리를 올려놓는 기판의 그라운드 상태를 보강하여 설계된다. 이상과 같이 플래시 메모리를 기준으로 하여 각 핀의 명칭이 정의되었지만, 대부분의 메모리 소자들은 비슷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명칭 및 메모리 소자별로 제공되는 타이밍 챠트상의 사소한 동작 차이점들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헤더 데이터 영역에 제품의 고유일렬번호를 기록하여 두고 이를 온라인 등록 시 사용하여 자신이 구입한 제품의 목록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컨텐츠들을 재생 장치에 자동 카피하여 편리하게 저작권 침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변형하여 메모리 로직과 함께 제어 로직을 구성하여 다양하게 인터페이스 방식(예 : UART, JTAG, SPI, SD, CF, MMC 등)을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쓰기/읽기가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플래시, EEPROM 등)로 설계한 경우, 물리적으로 별도로 연결하여 쓰기 금지를 해제하지 않는 한 메모리를 읽기 전용으로만 제한하여 내장된 컨텐츠를 보호하도록 하는 수단(SD카드의 슬라이딩 잠금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하는 수단은 제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더 데이터 영역에 제품의 특성 정보 및 저작권보호를 위한 정보, 부가적으로 배드비트(bad bit)를 피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혹은 별도 압축 방식의 재생 장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13)를 메모리 카드 가이드홈(14)을 통해 끼우면 접촉단자(17)를 통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13)의 데이터(컨텐츠)를 읽어 디코더에서 이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이와 함께 간단한 스위치 입력부(26), 액정 혹은 LED 램프 등과 같 은 디스플레이부(16), 이어폰 커넥터(24)와 배터리 관리부(23)를 포함한다. 배터리(15)는 일회용 건전지나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외부에 충전용 커넥터를 설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혹은 별도 압축 방식의 재생 장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13)를 연결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17), 원하는 기능(예 : 재생 등)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 입력부(20),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17)를 통해 접속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13)의 데이터(컨텐츠)를 읽어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 및 중앙처리부(18), 재생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 혹은 LED 램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22), 재생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커넥터(24)와, 배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부(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러 곡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것과 같은 편리 기능을 위해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19)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101).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 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10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다가, 배드비트로 인하여 배드블록으로 마킹되어 있는 블록이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블록을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블록 다음의 정상블록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103),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104).
도 11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111).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11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다가, 배드비트로 인하여 배드페이지로 마킹되어 있는 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를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페이지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113),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114).
여기서, 상기 도 11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 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다가, 배드비트로 인하여 배드페이지로 마킹되어 있는 페이지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로부터 읽어야할 데이터를 보관(reserved) 영역에서 읽은 후에 해당 배드페이지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11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를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페이지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11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페이지로부터 읽어야할 데이터를 보관(reserved) 영역에서 읽은 후에 해당 배드페이지 다음의 정상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121).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와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데이터(배드분할페이지 정보)를 읽는다(12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상태 기록 데이터 중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를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분할페이지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123),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124).
이때, 상기 도 12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와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데이터(배드분할페이지 정보)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상태 기록 데이터 중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로부터 읽어야할 데이터를 보관(reserved) 영역에서 읽은 후에 해당 배드분할페이지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12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를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분할페이지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12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변형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에 따라 해당 배드분할페이지로부터 읽어야할 데이터를 보관(reserved) 영역에서 읽은 후에 해당 배드분할페이지 다음의 정상분할페이지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131).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13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영역의 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배드영역을 스킵(skip)한 후에 해당 배드영역 다음의 정상영역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133),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134).
도 14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제 5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가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연결됨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중앙처리부가 인식한다(141).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를 읽는다(14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가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읽어 나가면서, 상기 읽은 헤더 데이터 중 배드영역의 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배드영역으로부터 읽어야할 데이터를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의 배드영역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읽은 후에 해당 배드영역 다음의 정상영역부터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여(143), 상기 재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144).
한편, 전술한 디지털디스크와 같은 제품은 구입한 그 장치에서만 구입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를 자신의 컴퓨터나 자신의 다른 MP3나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서도 들을 수 있기를 원한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재생전용장치를 케이블로 컴퓨터와 연결하고, 구입한 컨텐츠의 각종 정보를 공인된 웹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보관함에 올려두면 해당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해당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재생플레이어용 소프트웨어로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들을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가 지원되는 본인의 다른 재생 장치를 등록하면 인증절차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시 켜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는 온라인으로 MP3파일 등을 구입하여 관리하는 여러 서비스(SKT의 멜론 서비스에서 곡당 500원에 판매하는 서비스 참조, 데이터 요금은 별도)가 있는데, 이는 사이버 공간상에서 데이터 파일로 소유하는 형태로 사용자들이 소장 가치를 느끼기 힘들지만, 본 발명과 같이 컨텐츠 내용이 캐릭터화되어 인쇄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다양하게 소유하면서 느끼는 만족감과 함께, 여기에 담겨져 있는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재생전용장치나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등록하면 사이버 공간상에서도 소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오프라인 음반업계에서 시도하는 싱글 음반 판매를 기존의 CD 등으로 하기에는 CD 크기와 사용자의 불편함이 크고, CD의 제조원가가 한 곡을 기록하든지 20곡을 기록해도 동일하여 경제성이 없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로 할 경우에는 메모리 용량(MP3 형식의 경우 한 곡당 3~4M 바이트, 10분 뮤직비디오의 경우 30M 바이트 정도임)을 조절하면 메모리 카드 제조단가(현재 32M 바이트<8곡 기록> 플래시 메모리의 시장가격이 2.4$ 수준임. 이론적으로는 곡당 0.3$임)를 낮출 수 있고, 무엇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일반 제품들과 표준 메모리 카드에서 사용 불가한 수준 정도의 배드비트(bad bit)를 가지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도 컨텐츠 품질의 큰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헤더 데이터(컨텐츠 수록 정보, 인증 정보와 생산 시 발견한 배드비트 정보)를 읽어 배드비트(bad bit)를 만나면 배드비트를 피하여 재생시키도록 구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헤더 데이터 영역에도 배드비트(bad bit)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영역을 다수 개 설치(가령, 헤더 데이터 저장 어드레스를 0000H, 0100H, 0200H, 0300H 등 4곳에 설치하여 0000H에 이상이 있으면 0100H에 기록, 0100H도 이상이 있으면 0200H에 기록, 0200H도 이상이 있으면 0300H에 기록, 0300H도 이상이 있으면 사용불가 판정)하여 배드비트(bad bit)가 없는 영역을 찾아 헤더 데이터를 그곳에만 기록해 두는데, 재생 장치는 메모리 카드와 처음 연결하여 헤더 데이터를 읽어올 때, 순차적으로 정해진 헤더 데이터 영역(0000H-> 0100H-> 0200H-> 0300H)을 검사하여,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발견하면 그때 정상적으로 헤더 데이터 등을 읽어 들이게 된다.
또한, 휴대폰 충전기의 경우 대부분 표준화가 되어 있고 휴대폰 사용자는 누구나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 일회용인 건전지보다는 리튬폴리머 등 저렴한 2차 전지를 내장하고 휴대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관리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초기 판매 시에는 일정부분 충전해서 제공함으로써, 구입하는 그 자리에서 바로 컨텐츠를 이어폰을 통해 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재생 장치는 단순히 음악 컨텐츠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종교, 교육 등의 컨텐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다음곡 및 이전곡을 선택하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음악을 들을 때는 빨리감기와 빨리되감기 기능을 수행하고, 종교 및 교육 컨텐츠를 이용할 때는 컨텐츠 내용이 **장 ##절로 구성되는 경우 짧게 누르면 절을 이동하고 길게 누르면 장을 이동하도록 구현한다.
이와 함께 재생전용장치에 별도의 저장용 메모리를 설치하여,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간단히 조작하면(혹은 자동으로) 메모리 카드 내용을 저장용 메모리에 복사하게 하고, 다른 컨텐츠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들을 끼우면 동일한 과 정이 반복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일일이 다운로드받지 않고, 혹은 들을 때마다 일일이 메모리 카드를 바꾸지 않고, 단지 자신이 듣고자하는 컨텐츠가 담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들을 재생 장치에 삽입하여 넣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자기만의 컨텐츠 저장창고 구축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두되는 문제로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여기저기 다른 사람의 재생 장치에 삽입하여 복사하여 듣는 불법복제를 어떻게 막느냐 하는 점이다. 물론,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빌려줘 다른 사람이 자신의 재생 장치에 삽입하여 듣는 것은 현재의 CD나 카세트테이프도 동일하게 사용하는 만큼 저작권에 위배된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위의 방식의 경우 타인이 데이터 파일 형태로 자신의 재생 장치에 보관해 둔다는 점은 저작권에 위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파일의 경우 재생 장치의 운영 프로그램에서, 설치(복사) 후 듣는 회수를 2~10회(10회 들은 후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다시 설치) 등으로 제한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 자체는 컴퓨터나 다른 재생 장치와 케이블 등을 연결하여 옮길 수 없도록 하거나,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와 재생 장치를 상호 인증하도록 하는 방식(가령, 재생 장치에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 목록을 컴퓨터를 통해 공인된 웹사이트<로그인하면 자신이 구입한 목록 관리 기능>에서 다운로드하도록 하면, 자신은 자신이 구입한 것만 자신의 재생 장치에 설치할 수 있음) 등이 있는데, 이 문제는 저작권과 관련된 만큼 초기에 근본적으로 불법 복제 및 무단 사용을 막아야 한다. 이 경우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의 인증번호 등을 입력해 두는 과정(메모리 카드에 봉인된 인증번호가 인쇄되어 포장을 뜯은 후 봉인을 풀어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컴 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방식과 재생 장치나 별도 어댑터에 메모리 카드를 끼우고 컴퓨터와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증번호를 전달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온라인상에서 하나의 인증번호는 하나의 계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복인증이 안되는 만큼 불법복제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 장치에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 메모리 카드의 인증번호 목록을 다운로드받아두면 등록된 메모리 카드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컨텐츠를 재생 장치에 다수 개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다운로드받은 목록에 없는 컨텐츠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이를 읽어서 재생시켜 들으면 된다.
여기서, 저작권 보호 방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식은, 데이터 저장 공간이 아닌 메모리 카드의 특성을 기록하는 영역인 헤더 데이터 영역 등에 재생 장치의 일렬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기록하는 고유번호 기록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 장치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고유번호 기록 영역의 정보를 읽어 해당 영역이 비어있으면 해당 재생 장치의 고유번호를 기록하고, 다른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으면 그 다음 영역에 해당 재생 장치의 고유번호를 기록하는데, 기 정해진 숫자만큼의 고유번호가 전부 기록되어 있으면 해당 숫자만큼 다른 재생 장치에서 재생한 경우이므로 "저작권 허용범위 초과"와 같은 경우로 분류하여, 기 정해진 숫자를 초과한 재생 장치에서는 재생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첫 번째 방식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의 숫자를 메모리 카드별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저작권을 보호한다.
두 번째 방식은, 데이터 저장 공간이 아닌 메모리 카드의 특성을 기록하는 영역인 헤더 데이터 영역 등에 메모리 카드를 재생 장치에서 읽은 횟수를 관리하는 횟수 관리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 장치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고 재생시키면, 재생 장치에서는 횟수 관리 영역의 정보를 읽어 재생 횟수를 기록(예 : 최대 허용치를 기록하고 이를 카운트-다운하거나 0부터 카운트-업하는 방식 혹은 특정 영역을 정해진 숫자로 마킹하는 방식)하고, 기 정해진 재생 횟수에 도달하면 해당 횟수만큼 재생 장치에서 재생한 경우이므로 "저작권 허용범위 초과"와 같은 경우로 분류하여, 기 정해진 횟수 이상을 재생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두 번째 방식은, 사용할 수 있는 재생 횟수를 메모리 카드별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저작권을 보호한다.
세 번째 방식은, 데이터 저장 공간이 아닌 메모리 카드의 특성을 기록하는 영역인 헤더 데이터 영역 등에 재생 장치의 일렬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기록하게 하는 고유번호 기록 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의 고유번호들을 기록(성경 낭독 컨텐츠 등과 같이 고가 컨텐츠의 경우 메모리 카드 판매 시 사용을 허가하는 재생 장치의 고유번호들을 기록)하고, 재생 장치는 메모리 카드가 처음 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고유번호들을 읽어들인 후에 자신의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재생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저작권 침해사례"와 같은 경우로 분류하여, 메모리 카드에 고유번호가 기록되지 않은 재생 장치에서는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세 번째 방식에서도 첫 번째 방식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재생 장치의 숫자를 메모리 카드별 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저작권을 보호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는 재생전용의 단말기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에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구비하고 휴대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재생 장치를 개인휴대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동영상 플레이어(PMP), MP3 플레이어, 오디오 장치, 카오디오/비디오 장치, 디지털 TV, 전자책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현재 음반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오프라인 매체는 10곡~20곡을 모아 하나 의 작품집으로 하여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것보다는 온라인상에서 구매하여 다운로드받는 싱글 음반처럼 1~3곡 정도로만 분할(일례로 곡당 2000원 내외)해서 판매하는 것과 재생 장치의 보급 부족 등으로 실패한 뮤직비디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기능을 가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과 같은 기능의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는, 신용카드와 유사한 형태의 크기와 두께의 기록 매체로 만들 수 있고,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카드 디자인 인쇄를 통해 소장 가치와 소유에 따른 만족감 그리고 휴대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와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와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와 전용재생장치의 저렴한 가격적인 이점 및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싱글 음반 등)를 통해 음원 및 컨텐츠를 판매하는 음반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종교단체 및 교육기관 등에서 좋은 컨텐츠를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여 재생 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형태나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등 응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접촉되어 데이터 및 어드레스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비트들을 연결한 입출력 접촉단자;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신호선을 연결한 제어신호 접촉단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
    불량 현상인 배드비트(bad bit)가 포함되어 있되, 해당 배드비트(bad bit)를 피하여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컨텐츠를 기록할 수 없도록 쓰기 및 삭제 금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쓰기/삭제 금지 단자
    를 포함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영역이 블록 단위로 처리되어 해당 배드블록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블록이 배드블록으로 마킹되어 있고,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블록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블록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블록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영역이 페이지 단위로 처리되어 해당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가 배드페이지로 마킹되어 있고,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페이지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페이지가 배드페이지로 마킹되어 있고,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과 보관(reserved)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의 정상페이지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페이지 정보(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페이지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과 보관(reserved)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페이지 정보(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해당 배드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 는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의 정상페이지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영역이 분할페이지 단위로 처리되어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가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로 마킹되어 있고,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분할페이지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분할페이지가 여유(spare) 공간에 있는 상태 기록 영역에 배드분할페이지로 마킹되어 있고,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과 보관(reserved)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의 정상분할페이지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 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분할페이지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분할페이지 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과 보관(reserved)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분할페이지 정보(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분할페이지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해당 배드분할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보관(reserved)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의 정상분할페이지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가 발생되어 있는 영역이 배드영역 단위로 처리되어 해당 배드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영역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정상영역에만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배드비트(bad bit)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영역에 헤더 데이터 영역과 콘텐츠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컨텐츠 특성 정보와 배드영역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배드영역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해당 배드영역에 기록되어 있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헤더 데이터 영역에 있는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 영역의 정상영역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삭제 금지 단자는, WP(Write protect)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WP(Write protect) 단자는,
    액티브 로우 상태에서 쓰기/삭제 금지 상태가 되는 경우 풀다운 회로를, 액티브 하이 상태에서 쓰기/삭제 금지 상태가 되는 경우 풀업 회로를 이용하여 내부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삭제 금지 단자는,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패드 형태로 구비되어, 최초로 컨텐츠가 기록된 후에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삭제 금지 단자는,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패드 형태로 구비되어, 최초로 컨텐츠가 기록된 후에 인증을 위한 핀만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컨텐츠의 특성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전면에 인쇄되고, 분할된 후면에 다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KR1020060109641A 2006-08-23 2006-11-07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KR20080018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123 2006-08-23
KR20060080123 2006-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70A true KR20080018070A (ko) 2008-02-27

Family

ID=393852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641A KR20080018070A (ko) 2006-08-23 2006-11-07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KR1020060109709A KR20080018071A (ko) 2006-08-23 2006-11-07 컨텐츠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60110178A KR20080018072A (ko) 2006-08-23 2006-11-08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709A KR20080018071A (ko) 2006-08-23 2006-11-07 컨텐츠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60110178A KR20080018072A (ko) 2006-08-23 2006-11-08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800180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93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31579A (ko) * 2014-09-12 2016-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57715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KR20160093919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9788B2 (ja) * 2008-10-03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メモリ用途設定プログラム
KR102231441B1 (ko) 2014-12-17 2021-03-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530369B1 (ko) * 2018-04-23 2023-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93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31579A (ko) * 2014-09-12 2016-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57715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KR20160093919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72A (ko) 2008-02-27
KR20080018071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8592B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US8139918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KR100718620B1 (ko) 기록 재생 장치
KR20080018070A (ko)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US20070174200A1 (en) Medium purchase and playback protection system and its method
US7334266B2 (en) Reproduc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9084881A2 (en) Card and input and output apparatus for the card
JP2000112824A (ja) メモリシステム
US20070174204A1 (en) Purchasing and copy protecting method for a digital content
KR20080005829A (ko)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AU2006343229B2 (en) A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by encrypting and decrypting a memory card
JP4293196B2 (ja) 再生装置、編集方法
KR20090099955A (ko) 플래시메모리와 스마트카드 칩온보드를 함께사용하는 디지털 음반, 재생 장치 및 컴퓨터 연결 방법
KR20080088911A (ko) 메모리의 배드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는 데이터저장카드, 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102539473B1 (ko)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JP2005260374A (ja) メモリカード、データ暗号化方法及びデータ復号化方法
AU2007202015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KR20120050449A (ko) 단순 비자동 피어링 미디어 복제 감지
KR20080070249A (ko) 자동으로 암호화 과정을 처리해주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JP2012108672A (ja) 記録媒体
US20150186656A1 (en)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by using memory card encryption and decryption
AU2004200714A1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KR20080000976U (ko)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